KR20150078493A -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493A
KR20150078493A KR1020130167888A KR20130167888A KR20150078493A KR 20150078493 A KR20150078493 A KR 20150078493A KR 1020130167888 A KR1020130167888 A KR 1020130167888A KR 20130167888 A KR20130167888 A KR 20130167888A KR 20150078493 A KR20150078493 A KR 20150078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windings
winding
spacers
spac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진
조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3016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493A/ko
Publication of KR2015007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1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using a fluid for insulating purpos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페이서(20)는 권선(14)의 각각의 층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권선(14)의 층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상기 권선(14)의 내측과 외측을 둘러싸는 내측 베리어(12) 및 외측 베리어(16)와 권선(14)의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20)의 양단부에 있는 간격단(24)이 위치되어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권선(14)의 층 사이에는 스페이서 몸체(22)가 위치되어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길이는 상기 권선(14)의 폭과 같도록 되고, 상기 스페이서(20)는 목재와 같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0)의 스페이서 몸체(22)가 권선(14)의 층 사이에 위치하여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간격단(24)이 상기 권선(14)과 내측 베리어(12) 및 외측 베리어(16)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면 상기 스페이서(20)의 크기가 최소화되고 하나의 스페이서(20)가 동시에 여러 군데에 간격을 형성하게 되어 부품 수를 줄여 조립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Transformer having spacer}
본 발명은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선 사이에 일체형 스페이서를 두어 권선 사이의 거리 및 권선에 인접한 베리어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는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력계통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된다. 이와 같은 변압기는 전력의 안정된 공급을 위해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변압기에는 철심의 주변에 권선들이 많이 설치되는데, 상기 권선에서는 전류의 자기작용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은 변압기 본체를 구성하는 외함의 내부에 채워진 절연유에 의해 변압기본체 외부의 방열기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변압기의 일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철심과 권선 부분을 횡으로 잘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2는 권선과 스페이서 사이의 관계를 보인 개략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중앙의 철심(1)을 둘러서 내측 베리어(3)가 있고, 상기 내측 베리어(3)를 둘러서는 권선(5)이 설치된다. 상기 권선(5)은 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철심(1)을 둘러 소정의 높이로 적층된다. 상기 권선(5)의 외측을 둘러서는 외측 베리어(7)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권선(5)의 높이방향으로 사이사이에는 방사방향 스페이서(8)가 설치된다.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에 의해 상기 권선(5)들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권선(5) 사이의 간격은 절연유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들을 연결하면서 상기 권선(5)과 내측 베리어(3) 사이 및 상기 권선(5)과 외측 베리어(7) 사이에는 연직방향 스페이서(9)가 설치된다. 상기 연직방향 스페이서(9)는 상기 내측 베리어(3)와 권선(5), 상기 외측 베리어(7)와 권선(5)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절연유가 유동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변압기에서는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와 연직방향 스페이서(9)가 서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에 연직방향 스페이서(9)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에 상기 연직방향 스페이서(9)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는 주로 상기 권선(5)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데,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의 크기가 크므로, 권선(5)과 접촉하는 면적이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하나의 방사방향 스페이서(8)와 권선(5)이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면서, 해당 위치에서 국부적으로 고온화 형상이 일어나게 되어, 절연지의 열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방사방향 스페이서(8)와 연직방향 스페이서(9)가 별개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권선(5)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사방향 스페이서(8)와 연직방향 스페이서(9)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을 결합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방사방향 스페이서(8)의 크기가 크므로, 링형상으로 적층되는 권선(5)에서 사용되는 방사방향 스페이서(8)의 갯수를 줄여서 절연유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방사방향 스페이서(8)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권선(5)에서 틈새를 형성하는 부분의 부풀어 오름 형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유럽 등록특허 제01016098호 유럽 공개특허 제024876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권선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일체형으로 된 변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철심의 둘레에 설치되는 권선과, 상기 철심과 권선의 사이에 위치되어 절연역할을 하는 내측 베리어와, 상기 권선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과 주위와의 절연역할을 하는 외측 베리어와, 상기 권선의 층 사이에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권선과 상기 내측 베리어, 상기 권선과 외측 베리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권선의 층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몸체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권선과 내측 베리어 상기 권선과 외측 베리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는 상기 권선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진다.
상기 간격단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간격단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간격단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 베리어의 외측에 적어도 한 세트 이상의 권선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권선을 평면도로 볼 때,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의 층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스페이서가 권선 자체의 간격과 권선과 주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권선자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분과 권선과 주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분이 스페이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 자체를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의 골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몸체의 크기, 특히 폭이 작아지므로 스페이서 몸체와 권선이 접촉하여 절연유가 닿지 못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권선의 특정 위치에서 열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폭이 작아지게 되면 권선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권선과 접촉되는 스페이서 몸체의 전체 면적이 같은 조건이라면 스페이서의 갯수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스페이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게 되면 권선의 일부가 부풀어오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변압기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것으로 철심과 권선 부분을 횡으로 잘라 보인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권선과 스페이서 사이의 관계를 보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중요부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철심과 권선부분을 횡으로 잘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례에서 권선과 스페이서 사이의 관계를 보인 개략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페이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페이서의 다른 예와 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페이서의 또 다른 예와 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6에 따르면, 변압기의 변압기본체(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는 변압기를 구성하는 주요 부분이 구비된다. 본 명세서에는 편의상 주요부분만을 설명한다. 철심(10)은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철판을 적층하여 만들게 된다. 도면에서는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철심(10)을 둘러서는 내측 베리어(12)가 설치되는데, 상기 내측 베리어(12)는 아래에서 설명될 권선(14)과 상기 철심사이에서 절연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내측 베리어(12)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를 들면 종이가 있다. 상기 내측 베리어(12)는 전체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내측 베리어(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내측 베리어(12)를 둘러서는 권선(14)이 위치된다. 상기 권선(14)은 코일을 감아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권선(14) 전체로 보면 나선이 반복되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인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20)가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링형상으로 된 권선(14)이 층을 이루면서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적층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권선(14)은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전기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도 3에는 상기 권선(14)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권선(14)의 외측을 둘러서는 외측 베리어(16)가 있다. 상기 외측 베리어(16)도 역시 전체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권선(14)과 상기 외측 베리어(16)의 외측에 위치되는 권선(14) 사이의 절연역할을 한다. 참고로, 변압기에서는 철심(10)을 둘러 적어도 2세트 이상의 권선(14)이 적층되어 설치된다.
상기 내측 베리어(12)와 외측 베리어(1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권선(14)이 적층되어 위치되는데, 상기 권선(14)과 상기 내측 베리어(12) 및 외측 베리어(1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유로공간(18)이 된다. 상기 유로공간(18)은 상기 권선(14)과 상기 내측 베리어(12) 및 외측 베리어(16)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권선(14)의 사이사이에도 형성된다.
상기 권선(14)의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유로공간(18)은 스페이서(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권선(14)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권선(14)과 내측 베리어(12) 그리고 상기 권선(14)과 외측 베리어(16) 사이에도 간격을 형성한다. 스페이서(20)도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예로서는 목재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20)는 스페이서 몸체(22)가 상기 권선(14)의 일측의 폭과 같은 길이로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22)는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권선(14)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22)는 본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횡단면은 상기 권선(14) 사이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 몸체(22)의 횡단면을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에서 권선(14)에 접촉하는 부분을 일부 평면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양단에는 간격단(24)이 있다. 상기 간격단(24)은 상기 권선(14)과 내측 베리어(12), 상기 권선(14)과 외측 베리어(16)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단(24)은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간격단(24)은 본 실시례에서는 양단의 것이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2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일측 표면과 상기 간격단(24)의 해당 표면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권선(14)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간격단(24)이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일측 표면에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권선(14) 한 층의 높이의 절반 정도이다. 따라서, 한 층의 권선(14)을 2개의 스페이서(20)가 감싸도록 된다. 이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보면, 하나의 스페이서(20)의 스페이서 몸체(22) 양측 표면에 각각 권선(14)이 안착되어, 각각의 권선(14)의 외면중 스페이서(20)와 대응되는 부분의 절반씩이 일측 스페이서(2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2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권선(14)을 평면도로 볼 때,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층의 권선(14)에 대해 8개의 스페이서(20)가 사용되어 있다. 참고로,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에서도 8개의 방사방향 스페이서가 사용되었는데, 권선(14)과 접촉되는 면적을 비교하면 도 4에 도시된 스페이서(20)들이 권선(14)과 접촉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폭이 방사방향 스페이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사방향 스페이서와 비교할 때, 동일한 접촉면적을 상기 스페이서(20)가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20)의 갯수를 더 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방사방향 스페이서의 접촉면적이 상기 스페이서(20)의 2배라면, 상기 스페이서(20)의 갯수를 2배로 늘릴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스페이서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페이서의 도면부호를 100단위로 부여한다. 본 스페이서(120)는 스페이서 몸체(122)의 양단부에 있는 간격단(124)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된다. 즉, 상기 간격단(124)이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여기서는 상기 간격단(124)의 돌출정도가 상기 권선(14)의 하나의 층 높이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는 도 7의 (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에는 스페이서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페이서의 도면부호를 200단위로 부여한다. 본 스페이서(220)는 스페이서 몸체(222)의 양단부에 있는 간격단(224)이 동일한 형상인데,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단(224)이 돌출되는 정도는 상기 권선(14)의 하나의 층의 높이정도가 되는 것이 좋다. 이는 도 8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스페이서(20,120,220)는 일반적으로 목재를 사용하여 만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기 스페이서(20,120,220)의 형상은 목재를 잘라 만들때, 스크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상이 좋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120)가 좋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0,120,220)는 서로의 결합이 좋고 권선(14)의 적층시에 좋은 구조가 좋은데, 이런 관점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이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가 조립되는 것과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권선(14)을 적층하는 것은 상기 철심(10)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권선(14)을 적층하여 만든 하나의 조립체를 만들어서, 이를 변압기본체의 내부에 있는 철심(10)을 둘러싸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 권선(14)을 조립체로 만드는 것은 상기 철심(10)과 권선(14)사이의 절연을 유지하는 내측 베리어(12)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업은 도시되지 않은 작업대 상에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권선(14)을 한 층을 쌓고 그 위에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스페이서(20)를 설치한다. 상기 스페이서(2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8개가 설치된다. 즉, 한 층의 권선(14)을 놓은 상태에서 8개의 스페이서(20)를 소정이 각도 간격으로 설치하고, 다시 또 한 층의 권선(14)을 놓는다. 이때에는 상기 스페이서(20)의 스페이서 몸체(22)의 표면 상에 권선(14)이 놓여지게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권선(14)의 층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 틈새는 절연유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또 8개의 상기 스페이서(20)를 상기 권선(14) 상에 각각 얹는다. 이때에는 아래쪽에 있는 스페이서(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페이서(20)를 놓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적으로 권선(14)과 스페이서(20)를 교대로 적층하게 된다.
상기 권선(14)과 스페이서(20)를 교대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권선(14)의 내측면과 상기 내측 베리어(12)의 외면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20)의 간격단(24)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간격단(24)에 의해 상기 권선(14)과 내측 베리어(12)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권선(14)과 스페이서(20)의 적층이 완성되고 나면, 상기 외측 베리어(16)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외측 베리어(16)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스페이서(20)의 간격단(24)이 상기 권선(14)의 외면과 상기 외측 베리어(16)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권선(14)과 외측 베리어(16)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20)에 의해 유로공간(18)이 형성되는데, 상기 권선(14) 사이와 상기 권선(14)과 내측 베리어(12) 그리고 상기 권선(14)와 외측 베리어(16)의 사이에 유로공간(18)이 형성되어 절연유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 세트의 권선(14)의 적층이 완성되면, 상기 외측 베리어(16)를 둘러서 또 하나의 세트의 권선(14)을 적층하게 된다. 이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권선(14)을 조립체로 만들고 나면, 변압기본체 내부의 철심(10)을 둘러싸도록 설치한다.
변압기가 실제로 동작할 때, 상기 권선(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류의 흐름에 의한 작용으로 상기 권선(14)에서는 열이 발생하는데, 상기 열은 상기 유로공간(18)을 통해 유동되는 절연유로 전달된다. 상기 절연유는 변압기본체에 연결된 방열기로 전달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하고, 다시 변압기본체로 들어와서 상기 유로공간(18)을 유동하면서 열을 흡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20)가 특히 상기 권선(14)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절연유가 유동되도록 함에 의해 권선(14)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상기 스페이서(20)가 일체로 되어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질 수 있어, 권선(14)과 스페이서 몸체(22)가 접촉되는 면적이 각각의 스페이서(20)에 대해서 넓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 몸체(22)와 권선(14)이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지므로 권선(14)의 특정 부분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철심 12: 내측 베리어
14: 권선 16: 외측 베리어
18: 유로공간 20: 스페이서
22: 스페이서 몸체 24: 간격단
120: 스페이서 122: 스페이서 몸체
124: 간격단부 220: 스페이서
222: 스페이서 몸체 224: 간격단

Claims (8)

  1. 철심의 둘레에 설치되는 권선과,
    상기 철심과 권선의 사이에 위치되어 절연역할을 하는 내측 베리어와,
    상기 권선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선과 주위와의 절연역할을 하는 외측 베리어와,
    상기 권선의 층 사이에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권선과 상기 내측 베리어, 상기 권선과 외측 베리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권선의 층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몸체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권선과 내측 베리어 상기 권선과 외측 베리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간격단으로 구성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몸체는 상기 권선의 폭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단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단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단은 상기 스페이서 몸체의 양단부에서 스페이서 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베리어의 외측에는 적어도 한 세트 이상의 권선이 더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권선을 평면도로 볼 때,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각각의 층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KR1020130167888A 2013-12-30 2013-12-30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KR20150078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888A KR20150078493A (ko) 2013-12-30 2013-12-30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888A KR20150078493A (ko) 2013-12-30 2013-12-30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93A true KR20150078493A (ko) 2015-07-08

Family

ID=5379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888A KR20150078493A (ko) 2013-12-30 2013-12-30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4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181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0373753B2 (en) Multi-phase reactor capable of obtaining constant inductance for each phase
TWI433177B (zh) 變壓器結構
KR20140007497A (ko) 커패시터
US20170352466A1 (en) Laminated Iron Core Structure and Transformer Including the Same
JP2013062399A (ja) トランス
US9601255B2 (en) Amorphous core transformer
JP2015050451A (ja) 変圧器
US8508323B2 (en) Transformer
KR200488717Y1 (ko) 변압기 철심
TWI423277B (zh) 組合式變壓器
JP5795663B2 (ja) 電気機器及び/又は電子機器のための装置及びコイル、及び、そのコイルを形成する方法
KR20160081493A (ko) 변압기의 철심
US8547193B2 (e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US20140240073A1 (en) Magnetic element and bobbin thereof
JP2014075535A (ja) 誘導機器
KR20150078493A (ko) 일체형 스페이서를 구비한 변압기
US20190139697A1 (en) Magnetic element, metal annular wi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04373B2 (ja) 静止誘導機器
JP2013162009A (ja) モールド変圧器
KR101853794B1 (ko) 고효율 콤팩트형 변압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4423A (ko) 트랜스포머
TWM480152U (zh) 模組化平面線圈及包含該平面線圈的平面變壓器
TW201526044A (zh) 模組化線圈板、其線圈板組件及包含該線圈板或線圈組件的平面變壓器
US20220093315A1 (en)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