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215A -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215A
KR20150077215A KR1020130166174A KR20130166174A KR20150077215A KR 20150077215 A KR20150077215 A KR 20150077215A KR 1020130166174 A KR1020130166174 A KR 1020130166174A KR 20130166174 A KR20130166174 A KR 20130166174A KR 20150077215 A KR20150077215 A KR 20150077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eceiver
transmitter
signal
hp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273B1 (ko
Inventor
문명국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복된 토글 신호를 형성한 HPD 신호를 이용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링크 트레이닝을 중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별도로 구비한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주기적인 HPD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HPD 신호가 초기에 깨지는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HPD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HPD 신호의 토글 생성 시 구간을 달리하여 수신기에 적용되는 송신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링크 트레이닝을 재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은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DISPLAYPORT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OF DISPLAYPOR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비디오 기기, 옥내 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표시장치들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셀들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영상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UHD 및 3D 디스플레이 등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의 고품위 표시 성능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액정표시장치는 높은 비디오 데이터의 채널 전송 대역폭 (bandwidth)와 높은 프레임 리프레쉬 레이트(frame refresh rate)로 고화질 영상을 구현하는 추세에 있다.
현재의 디스플레이에는 주로 LVDS, VGA, DVI, HDMI 인터페이스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텔레비젼 셋트 시스템(TV Set System)에서, 표시패널에 표시할 비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이하 "SoC"라 함)과, 표시패널의 구동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콘트롤러 사이의 비디오 데이터 전송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LVDS 인터페이스는 낮은 전압 스윙 레벨(Voltage Swing Level)과 차동신호쌍(Differential signal pair)를 사용함으로써 낮은 전력 소모와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데이터 전송 속도의 한계로 인하여 높은 해상도(Resolution)의 비디오 데이터 전송에 부적합하다.
디스플레이포트(DP; Display Port) 인터페이스는 비디오전자공학표준위원회(VESA)에 의해 정해진 인터페이스로서 기존 내부 인터페이스 표준인 LVDS와 외부 연결 표준인 디지털 비주얼 인터페이스(Digital Visual Interface, DVI)를 통합하여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디스플레이포트 인터페이스는 칩과 칩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연결은 물론 제품과 제품 사이를 연결하는 외부연결까지 모두 디지털로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두 개로 나눠져 있던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합치면서 데이터 대역 폭을 넓혀 더 높은 색 심도(color depth)와 해상도를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포트 인터페이스는 기존 DVI(최대 4.95Gbps)의 2배 이상인 최대 10.8Gbps의 대역폭을 가지며, 마이크로패킷(Micro-Packet) 아키텍처로 다중 스트림을 지원해 커넥터 하나의 연결로 최대 1080i 스트림 6개(1080p 3개)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1Mbps 대역폭의 양방향 보조채널을 탑재, 별도의 인터페이스 없이 화상채팅ㆍ인터넷전화(VoIP)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와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링크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HPD(hot plug detect)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가 연결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가 처음 연결될 때, 상기 송신기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HPD 신호를 인가 받아,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들을 최적화하는 링크 트레이닝(Rink Training)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완료되면, 비로소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로 스트림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포트의 경우 통신 특성 상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CDR(Clock Data Recovery)가 필요하다. 그러나 CDR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통신 timing이 맞지 않을 경우 정상 display가 되지 않는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의 초기 연결 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실패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을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파워 온(power on)시 송신기(Source)에서 초기의 일정 시간만 잘못된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서도 정상 디스플레이(display)가 되지 않는다.
또한 ESD같은 비정상적인(abnormal) 환경에서 HPD 신호가 깨짐에 따라 정상 display로 복원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초기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성공한 경우라도, 정전기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동기화가 깨져,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재 수행할 필요가 있었으나, 종래의 디스플레이포트는 초기 연결 시에만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복된 토글 신호를 형성한 HPD 신호를 이용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링크 트레이닝을 중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별도로 구비한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주기적인 HPD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HPD 신호가 초기에 깨지는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HPD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HPD 신호의 토글 생성 시 구간을 달리하여 수신기에 적용되는 송신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링크 트레이닝을 재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은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메인 링크, 보조 채널 및 HPD(Hot Plug Detect)로 구성된 링크와 송신기 및 수신기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써,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로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디바이스 서비스 단계 및 반복된 토글(toggle)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HPD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의 상태를 최적화 시키는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하는 링크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단계는, 링크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토글 신호는 발생되지 않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HPD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기와 수신기의 초기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기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 및 송신기 스트림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 및 수신기 스트림 소스,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하고, 상기 HPD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기와 수신기의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가 HPD 신호를 입력 받아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에 싱크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서비스 단계는, 상기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가 상기 EDID의 읽기 동작을 통하여 상기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와 상기 EDID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읽고, 메인 스트림 속성 데이터 및 인포-프레임 데이터 발생기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서비스 단계는,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가 상기 DPCD의 데이터를 읽어 링크 트레이닝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 미리 정해진 패턴을 전송하여 클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수신기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상기 DPCD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정보를 읽어 드려, 상기 HPD로부터 토글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HPD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결과를 상기 DPCD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DPCD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결과를 읽어 드리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HPD가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DPCD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결과를 읽어 드리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HPD가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HPD 신호는 로우(Low) 논리를 가진 토글(toggle) 신호인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면, 상기 HPD 신호는 하이(High) 신호를 유지하는 신호인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HPD 신호의 토글 발생 주기 신호인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HPD 신호의 토글 발생 주기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HPD 신호는 제1 내지 제N(N은 정수) 번째 토글 신호로 갈수록 인접한 토글 신호간의 시간 간격은 길어지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링크 서비스 단계는, 메인 링크 서비스 단계 및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는 등시성 전송을 수행하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송신기와 수신기 그리고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메인 링크, 보조 채널 및 HPD(Hot Plug Detect)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는 상기 HPD로부터 발생된 토글(toggle) 신호에 의하여 서로간에 링크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을 형성하는 링크 트레이닝이 실행되며, 상기 HPD는 반복된 토글 신호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상기 HPD 신호의 토글 발생 주기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상기 HPD 신호는 제1 내지 제N(N은 정수) 번째 토글 신호로 갈수록 인접한 토글 신호간의 시간 간격은 길어지는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상기 송신기는 상기 링크를 관리하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및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에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및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상기 수신기는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및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는 상기 수신기는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및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링크 클록 고정 또는 심볼 고정이 깨진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HPD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반복된 토글 신호를 생성하는 HPD 신호를 이용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송신기와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주기적인 HPD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HPD 신호가 초기에 깨지는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HPD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사이에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HPD 신호의 토글 생성 시 구간을 달리하여 수신기에 적용되는 송신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링크 트레이닝을 재 요청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이 높은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3은 디스플레이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HPDS와 링크 트레이닝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디스플레이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HPDS의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HPDS와 복수의 송신기와 단수의 수신기 간의 링크 트레이닝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 정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를 설명함에 있어서 등장하는 용어를 먼저 정리한다.
디스플레이포트 송신기(Transmitter)는 디스플레이포트 메인 링크 및 보조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포트 수신기(receiver)는 디스플레이포트 메인 링크 및 보조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등시성 전송 (Isochronous transmitter)은 데이터 전송 방식 중 하나로, 영상이나 음성 정보를 원래의 데이터 흐름과 같이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등시성 데이터 전송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받아 화면에 한결 같은 속도로 재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링크층(Link layer)은 등시성 전송 서비스(등시성 전송, 마이크로 패킷) 및 링크 및 장치 서비스(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제공을 위한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폴리시 메이커(Link Policy Maker)는 메인 링크를 관리하고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으로서 송신기인 소스 장치와 수신기인 싱크 장치 모두 가질 수 있다.
물리층(Physical layer)은 논리적 하위 블록(데이터 스크램블링/스크램블링 해제, ANSI8B/10B, Manchester II))과 전기적 하위 블록(SERDES, 차동 전류 가동/수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맨체스터 전송모드는 보조채널을 통해 1Mbps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맨체스터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전송모드를 의미한다.
메인 링크(Main link)는 스트림 데이터의 주 전송 채널로서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위한 단 방향 고속 채널로써, 1,2 또는 4개의 레인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동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인당 5.4Gpbs, 2.7Gbps, 1.62Gbps의 비트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스트림 속성(Main stream attributes)은 메인 비디오 스트림 포맷이나 칼라 포맷으로 표현된 속성 데이터 값으로 비디오 블랭킹 구간에 삽입되어 전송되며 리시버에서 스트림을 재구성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채널(Auxiliary Channel)은 반 이중 양방향 채널로서 1쌍의 차동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맨체스터 코딩을 사용하여 1Mbps의 대역폭을 가지며 고속 보조채널 포맷으로 720Mbps의 대역폭을 가진다.
보조 채널의 트랜잭션의 시작은 상위 장치에 해당하는 송신기에서 시작되고, 수신기는 하위 장치에 해당하여 송신기에 응답할 수 있다.
보조 채널은 링크를 초기화 및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소스 장치(Source device)는 디스플레이 포트에서 데이터를 시작하는 장치, 디스플레이포트 트리 토폴로지의 뿌리에 해당할 수 있다.
싱크 장치(Sink device)는 디스플레이 포트에서 데이터가 도착하는 장치, 디스플레이포트 트리 토폴로지의 잎에 해당할 수 있다.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Stream Policy Maker)는 등시성 스트림 전송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록이다.
인포-프레임 데이터(Info-Frame data)는 오디오 채널, 코딩 타입, 샘플링 주파수 등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CEA-861 프로파일에 정의 될 수 있다.
핫 플러그 검출(HPD)은 송신기에 수신기의 연결을 알려주기 위한 신호라인이고, HPD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HPDS(Hot Plug Dectect Signal)이라고 부를 수 있다.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는 싱크 디바이스에 위치하는 메모리로서 리시버의 성능 및 디스플레이포트 링크의 상태 정보를 담고 있다.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 제조 년 월 일, 시리얼번호, 지원 해상도 등을 담고 있는 메모리를 말한다.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한 경우 링크 트레이닝이 재 수행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고속 전송 모드는 보조채널을 통해 720Mbps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8B/10B 인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전송모드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포트의 링크에 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10)의 링크를 살펴본다.
디스플레이포트의 링크는 메인 링크(Main Link), 보조채널(AUX CH)과 HPD(Hot Plug Detect)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링크는 단 방향 채널로서, 대역폭이 높고 호출시간이 짧은 채널로 비압축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와 같은 등시성 스트림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보조 채널은 반 이중 양방향 채널로서 링크의 관리 및 장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채널은 링크의 관리 및 장치 제어 후 고속으로 기타 장치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고속 양방향 버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HPD 신호 라인은 싱크 장치에 의한 연결 및 차단신호로써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신기(200)에서 송신기(100)로 HPDS(Hot Plug Detect Signal)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10)의 메인 링크와 보조 채널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메인 링크에 관한 설명>
메인 링크는 AC연결의 이중 단말 차동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연결을 통해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는 서로 다른 공통 모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포트 1.2 표준을 기준으로 메인 링크는 총 4개의 Lane으로 구성되며, 한 개의 Lane은 5.4Gbps, 2.7Gbps, 1.62Gbps의 대역폭으로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의 기능 및 채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메인 링크의 레인 수는 1, 2, 4개의Lane을 영상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저 절전의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5.4Gbps의 대역폭으로 4 Lane을 사용할 경우, 21.6Gbps의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ANSI 8B/10B 코딩 규정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 자체에서 추출하여 클록 전송을 위한 고유 채널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보조 채널에 관한 설명>
보조 채널은 반 이중 양방향(Half-duplex, bidirectional) 채널로 AC연결의 이중 차동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링크 관리 및 장치 제어에 사용되며, 장치관리 제어 이후에는 보조채널을 통한, USB, CAM(Camera Module), 제어 데이터 등의 고 대역폭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일 예로 맨체스터 II(Manchester II)코딩과 ANSI 8B/10B 코딩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저속 및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메인 링크와 마찬가지로 클록(CLK)은 데이터 스트림에서 추출되며, 영상 데이터가 발생하는 송신기인 소스 장치(100)가 마스터(Master)에 해당하고 데이터를 받는 싱크 장치(200)가 슬래이브(Slave)에 해당하며, 모든 보조 채널의 트랜잭션은 송신기인 소스 장치에서 시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포트의 구조에 관한 설명>
도 2는 디스플레이포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10)의 구조를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포트(10)는 크게 링크 층(link Layer)과 물리 층(Physic Layer; PHY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층은 등시 전송 서비스, 보조 채널(AUX CH) 디바이스 서비스 및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리 층은 HPD 신호 전송부, 보조 채널부 및 메인 링크 부로 구성될 수 있고, 다시 논리적 하위 블록과 전기적 하위 블록으로 다시 구성될 수 있다.
논리적 하위 블록은 데이터 스크램블링(Scrambling) 및 암호화(ANSI 8B/10B, Manchester encoding)를 할 수 있는 블록이며, 전기적 하위 블록은 직렬화기, 차동 전류 가동기, 등화기가 속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100)인 소스 디바이스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20) 및 송신기 스트림 소스(130)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200)인 싱크 디바이스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220) 및 수신기 스트림 소스(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기(200)는 DPCD(300) 와 EDID(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10, 210)는 메인 링크의 데이터 스트림을 관리하는 블록으로서, 메인 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초기화하고 장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링크 폴리시 메이커(120, 220)로부터 링크의 정보를 읽어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20, 220)는 메인 링크를 관리하는 블록으로서 링크의 발견 및 초기화와 유지를 하며 링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20, 220)는 펌웨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상태 머신으로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DPCD(300)는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HPD는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가는 토글 신호을 주기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토글 신호는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동작한 경우에는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HPD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하이(High) 신호를 유지할 수 있다.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는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결과를 읽어드릴 수 있다.
상기 DPCD(300)에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면 그 결과가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는 상기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결과를 읽어 드리고,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에 HPD를 제어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는 HPD로 하여금 더 이상 토글 신호가 형성되지 않는, 즉 하이(High) 신호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더 이상의 링크 트레이닝은 수행되지 않고, 송신기(100)로부터 수신기(200)로 스트림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 수신기(200)는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를 별도로 더 구비할 수 있다.
DPCD(300)는 링크 트레이닝 결과를 저장하여,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이러한 정보를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에 제공하여,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가 HPD에게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는 상기 DPCD(300)로부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리드(Read)하여 현재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간에 링크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이 실패한 경우로 판단한 경우 HPD로부터 토글 신호인 HPDS(Hot Plug Detec Signal)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링크 트레이닝은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HPDS는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10)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 송신기와 수신기의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
둘째, 디바이스 서비스 단계
셋째, 메인 링크 서비스 단계
넷째,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 단계
위 과정을 통해서 송신기(100)와 수신기(200)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 링크 서비스 단계 또는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 단계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 각 단계를 반복 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고, 이 경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와 HPD 그리고 DPCD(300)가 서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링크 트레이닝이 재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첫째,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송신기(100)가 수신기(200)의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는 단계로써,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HPD 신호(HPDS)를 입력 받아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20)에 싱크 장치인 수신기(200)가 연결되었음을 알려준다.
또한 상기 HPDS는 링크 트레이닝 요청 토글(toggle) 신호로써,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정보가 리드된 경우, 상기 HPD 신호(HPDS)가 다시 발생되어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HPDS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 중에는 1의 논리 신호를 유지하고, 링크 트레이닝을 요청하는 경우 0의 논리 신호인 토글 신호가 될 수 있다.
반복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HPDS를 이용하여 링크 트레이닝을 재 수행하는 기술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후술할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도록 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디바이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디바이스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20)가 수신기(200)의 EDID(400)의 읽기 동작을 통하여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220)와 수신기(200)의 EDID(4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읽는다. 그리고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20)가 읽어온 EDID(400) 정보와 메인 스트림 속성 데이터 및 인포-프레임 데이터 발생기의 정보를 비교하는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스트림 전송을 초기화하는 단계로써,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20)는 메인 링크를 통하여 전송될 스트림 전송을 초기화하기 위하여 수신기(200)의 EDID(400)로부터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정보를 읽어오고, 메인 스트림 속성 데이터와 인포-프레임 발생기를 이용하여 전송될 스트림 속성을 설정하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로부터 링크의 대역폭, 수신기(200)의 수신 가능한 포트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메인 링크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는 전술한 디바이스 서비스 이후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동작하며,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는 수신기(200)의 DPCD(300)의 데이터를 읽어 링크 트레이닝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트레이닝을 통하여 메인 링크의 상태를 최적화시키는 메인 링크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서비스 단계와 메인 링크 서비스 단계를 거치면, 송신기(100)에서 수신기(200)로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될 수 있다.
스트림이 전송을 위해 준비되면,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120)는 스트림 속성 데이터와 함께 스트림의 등시성 전송을 시작한다.
수신기(200)는 안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한해서, 수신된 스트림 속성 데이터를 해석하고 등시성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220)는 스트림 소스 관리를 위해, 링크 성능 정보를 통합할 수 있다.
스트림이 링크 대역폭을 초과하게 되면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220)는 스트림 소스에 에러 정정 신호를 보내 전송되는 이미지의 해상도나 색상 깊이를 낮추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메인 링크 서비스를 진행하는 단계에서 메인 링크의 상태를 최적화 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한다.
디스플레이포트(10)의 메인 링크를 통해 송신기(100)로부터 수신기(200)로 등시성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링크 서비스라는 과정을 거쳐 링크를 구성해야 한다.
메인 링크를 구성하기 위해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는 보조 채널을 통해 수신기(200)의 최대 대역폭, 최대 사용 레인 수 등 수신기(200)의 성능 정보를 담고 있는 DPCD(300)의 링크 성능 정보를 읽어 링크 구성을 초기화 한다.
링크 트레이닝은 메인 링크를 통해 트레이닝 패턴(Training Pattern)을 전송함으로써 시작되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는 트레이닝 상태와 결과를 DPCD(300)에 저장을 하여,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DPCD(300)의 읽기 과정을 거쳐 보조 채널을 통해 링크 트레이닝의 결과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링크 트레이닝을 실패하면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20)는 설정된 만큼의 차동 전압폭 수정 및 프리 엠파시스 재설정 작업을 수행한다.
메인 링크 서비스를 진행하여 메인 링크를 최적화 시키는 단계는 클록 복원 상태(Clock-Recovery,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고정 단계), 채널 복원 상태(Channel Equalization), 메인 링크 정지 상태 또는 정상 동작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 링크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마무리되면 보조 채널의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클록 복원 상태에서는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의 빠른 고정(Lock)을 위하여 연속적인 D10.2 패턴을 보내줄 수 있다.
상기 D10.2 패턴은 클록과 같은 모양의 데이터로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의 빠른 고정을 유도할 수 있다.
채널 보상 상태에서는 K28.5와 D11.6, D10.2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200)는 이러한 트레이닝 패턴을 인지하여 채널 보상 상태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클록 복원 상태에 관한 설명>
상기 클록 복원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클록 복원 상태는 메인 링크의 수신단의 클록 및 데이터 복원 회로(Clock and Data Recovery)의 고정(lock)여부를 판단하는 상태이다.
상기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는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클록을 추출하고 리타임을 통한 데이터를 복원하는 회로로서, optical communication, backplane routing, chip-to-chip interconnect와 같은 고속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200)에서 디지털 신호의 재생에 필요한 클록을 제공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된다.
송신기(100)에서 수신기(200)로 데이터 전송을 할 때, 수신기(200)에서 수신된 데이터 신호는 동기가 맞지 않고, 노이즈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랜덤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이후의 신호처리를 위해서는 NRZ(Non-Return Zero) 데이터로부터 동기화시킬 수 있는 클록을 추출해야 한다.
클록 복원 상태에서는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가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클록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복원하는지를 판단한다,
링크 트레이닝 과정 후, 클록이 정상적으로 복원되지 않으면, 차동 전압 폭을 조정하거나 비트 레이트를 조정함으로써 클록이 정상적으로 복원되도록 유도한다.
클록 복원 상태는 수신기(200)의 DPCD(300)의 데이터를 송신기(100)가 읽어옴으로써 시작되며, 송신기(100)는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를 중지시키고 최소 차동 전압폭(0.4V diff_pp)에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송신기(100)는 링크 트레이닝 구간 동안 메인 링크를 통하여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D10.2심볼 데이터를 수신기(200)로 전송하며 약 100us의 링크트레이닝 구간이 끝나면, 수신기(200)의 DPCD(300)로부터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의 고정(lock) 여부를 읽어올 수 있다.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가 고정(lock)이 되었으면 다음 상태인 채널 보상 상태로 이동하며,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가 고정(lock)이 되지 않았다면 차동 전압 폭 상승을 요청한다.
차동 전압 폭 수정 후 다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반복되며, 다수 회 링크 트레이닝을 반복하여도 클록 및 데이터 복원회로가 고정(lock)이 되지 않으면, 전송 대역폭을 낮추고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최대 차동 전압 폭 설정 값 및 최소 감소된 비트 레이트 값을 만나면 링크를 구성할 수 없고 링크 트레이닝이 중단된다.
<채널 보상 상태에 관한 설명>
채널 보상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채널 보상 상태는 클록 복원 상태가 끝난 후 시작되며, 채널 보상 상태의 링크 트레이닝 구간에는 K28.5, D11.6, D10.2패턴을 반복해서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20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받게 될 트레이닝 패턴을 알려주기 위해 보조 채널을 통해 메인 링크 송신기(100)에서 수신기(100)로 전송될 심볼 패턴의 종류를 송신기(100)에서 수신기(200)로 알려주면서 채널 보상 상태가 시작될 수 있다.
메인 링크의 송신기(100)는 프리 앰파시스(pre-emphasis) level을 0에서 시작하고, V diff레벨이1.2V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3.5dB(1.5x), 6dB(2x)순으로 조정 가능하다.
링크 트레이닝 과정 동안 메인 링크를 통하여 송신기(10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수신기(200)에서 비교 되며, 약 1E-9의 비트 에러 율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 과정 동안에 비트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 심볼 고정(symbol lock)상태가 되어 정상적인 채널 구동 상태로 넘어간다.
반대로 심볼 고정(symbol lock)이 되지 않으면, 프리 앰파시스(pre-emphasis)의 설정을 바꿔 채널 보상 상태 과정을 다수 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심볼 고정(symbol lock)이 되지 않으면 송신기(100)는 비트 레이트를 낮춰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한다.
비트 레이트를 낮춰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해도 심볼 고정을 되지 않으면,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중단된다.
<정상 구동 상태에 관한 설명>
클록 고정과 심볼 고정이 이루어지면 영상 및 음성 데이터가 맵핑(패킹 및 언 패킹, 스터핑 및 언스터핑, 프레밍 및 언프레밍, 인터레인 스큐및 디스큐)의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가 패킷화되고 메인링크의 레인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기(200)에서 패킷이 언 맵핑되어 영상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포트(10)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메인 링크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메인 링크 서비스가 완료되면 네 번째 단계인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가 진행된다.
이하 네 번째 단계인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조 채널도 메인 링크과 같이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필요하다.
보조 채널 링크 트레이닝 제어를 위한 핸드쉐이크 과정은 메인 링크 트레이닝과 마찬가지로 멘체스터 인코딩 방식을 통한 저속 인터페스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 구간 동안에 8B/10B encoding된 데이터가 보조채널을 통하여 전송되어 보조채널에서의 고속 데이터 전송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조 채널의 링크 트레이닝 과정은 정방향, 역방향의 링크 트레이닝이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포트(10)의 송신기(100)는 보조 채널의 링크트레이닝을 시작하기 전, 보조 채널을 수신기(20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속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각 방향의 고속 보조 채널의 링크 트레이닝은 클록 복원 상태, 채널 보상 상태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고속 보조 채널의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의 파라미터 값과 등화기가 최적화 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 패턴으로 K28.1+, K27.7-, K28.1-, K27.7+제어신호가 사용되고 링크 트레이닝 구간 동안 반복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 시퀀스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에 의해 초기화 되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는 보조채널을 통하여 링크의 상태 정보 읽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고속 보조 채널의 상태를 결정하면,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시작된다.
우선, 보조 채널을 통한 송신기(source)에서 수신기(sink)로 정 방향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시작된다.
정 방향 트레이닝이 성공하면, 수신기(sink)에서 송신기(source)로의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수행된다.
링크 트레이닝 과정 동안 DPCD(300)에 대한 읽기 쓰기 과정은 맨체스터 전송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정 방향 링크 트레이닝에 관한 설명>
이하 정 방향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상술한다.
고속 보조채널 정 방향 채널 트레이닝 과정은 송신기(100)가 링크 트레이닝 패턴, 링크 트레이닝 시간, 수신기(20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속 보조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DPCD(300)의 특정 번지의 읽기 과정을 통해 시작된다.
모든 읽기 쓰기 과정의 제어신호 전송을 위해 맨체스터 인코딩이 사용될 수 있으며, 링크 트레이닝 구간에서는 8B/10B인코딩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속 보조 채널을 지원한다면, 현재의 송신기(100)의 상태를 수신기(200)에 알려주기 위하여 송신기(100)의 Voltage swing level, pre-emphasis level을 DPCD(30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는 고속 보조 채널을 통해 전송될 패턴 정보를 알려주기 위하여 DPCD(300)에 전송될 데이터의 패턴 정보를 저장하며, 스크램블러(scrambler)의 정지 여부도 수신기(200)에 알려준다.
수신기(200)는 읽고 쓰는 명령을 받을 때마다 ACK 신호를 송신기(100)로 전송을 할 수 있으며, DPCD(300)의 FAUX_MODE_CTRL영역에 0Dh 쓰기 명령 후 수신기(200)는 ACK신호를 송신기(100)에게 전달해준 후 링크 트레이닝 상태가 된다.
송신기(100)가 수신기(200)로부터 ACK신호를 받으면 8B/10B에 의해 인코딩된 데이터가 전송되는 링크 트레이닝 상태가 되어 8B/10B인코딩된 트레이닝 패턴이 고속 보조 채널을 통하여 송신기(100)에서 수신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 구간이 끝나면 송신기(100)가 수신기(200)의 CDR의 고정(lock)여부, 데이터의 심볼 고정(symbol lock)여부를 판단하여 고정(lock)이 되었으면 역방향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하고, 고정이 되지 않았으면 pre-emphasis의 레벨 혹은 voltage swing 레벨을 증가시킨 후 다시 링크트레이닝 과정을 반복하며, 다수 회 이상 링크트레이닝 과정을 반복하고, 다수 회의 링크 트레이닝이 진행에도 불구하고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하면, 고속 보조채널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링크 트레이닝이 재 수행되도록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는 HPD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역 방향 링크 트레이닝에 관한 설명>
이하 역 방향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상술한다.
역방향 링크 트레이닝의 모든 제어는 디스플레이포트(10)의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포트(10)의 하위 장치(sink)에서 상위 장치(source)로 역방향 전송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포트(10) 메인 링크의 송신기(100)에 해당하는 보조 채널의 상위 장치는 수신기(200)의 역할을 메인 링크의 수신기(200)에 해당하는 하위 장치는 송신기(1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트레이닝 과정의 순서는, 상위 장치(source)의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하위 장치(sink)의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에 DPCD(300) 읽기 명령을 내린다.
읽는 정보는 역방향 전송 시 고속 보조채널의 송신기 역할을 하는 하위 장치(sink)의 차동 전압 폭과 프리 앰파시스(pre-emphasis)상태를 읽어온다.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20)에게 0Dh을 DPCD(300)의 FAUX_MODE_CTRL번지에 전송하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ACK)신호를 받은 후 고속 보조 채널을 통한 8B/10B 인코딩된 링크 트레이닝 패턴이 수신기(200)에서 송신기(100) 방향으로 전송된다.
링크 트레이닝이 끝난 후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가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에 DPCD(300) 쓰기 명령을 내린다.
이때 제어 신호는 Manchester 인코딩된 데이터가 보조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송신기(100)의 CDR의 고정(lock)여부, 심볼 고정(symbol lock)여부를 수신기(200)에 알려준다.
정 방향 링크 트레이닝과 마찬가지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은 다수 회 반복될 수 있으며, 다수 회의 반복 실행에도 불구하고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하면 고속 보조 채널은 사용될 수 없게 된다.
<링크 트레이닝 복구 과정 설명>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100)와 수신기(200)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중요하다.
링크 트레이닝 과정은 메인 링크와 보조 채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링크 트레이닝은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초기 연결 시 수행되는 것으로써, 메인 링크의 링크 트레이닝이 진행되고, 다음에 보조 채널에 관한 링크 트레이닝이 진행될 수 있다.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초기 연결 시 HPD로부터 HPDS가 발생할 때, 첫번 째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한 경우를 살펴본다.
도 3은 HPDS와 링크 트레이닝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PD로부터 발생되는 HPDS는 주기 신호이다.
HPDS의 주기(PH; Periodic HPDS)는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는데 걸리는 최대 시간(LTTmax; Link Training Time maximum)보다 길 수 있다.
첫번 째 HPDS의 토글 신호(toggle 1)에 의하여 첫 번째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 1)이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 1)이 실패한 경우, 두 번째 HPDS의 토글 신호(toggle 2)에 의하여 두 번째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 2)이 수행될 수 있다.
두 번째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 2)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 성공하면, HPDS는 하이(High) 신호가 되고, 정상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초기 연결 시 HPD로부터 HPDS가 발생할 때, 상기 HPDS가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깨진 경우를 살펴본다.
HPDS가 깨진 경우 정상적인 토글 신호가 송신기(200)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송신기(200)와 수신기(100)는 서로 연결된 것으로 인지되지 않는다.
이 또한 상기 HPDS가 주기적인 신호가 되도록 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HPDS와 링크 트레이닝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HPD로부터 발생되는 HPDS는 주기 신호이다.
HPDS의 주기(PH; Periodic HPDS)는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는데 걸리는 최대 시간(LTTmax; Link Training Time maximum)보다 길 수 있다.
만약 첫 번째 HPDS의 토글(toggle 1)이 깨진 경우, 송신기(100)와 수신기(200) 사이에는 정상적인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걸리는 최대 시간(LTT)이 지난 이후, DPCD(300)에는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결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HPD는 다시 한번 토글을 가진 HPDS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다음 차례의 정상적인 토글 신호(toggle 2)에 의하여 비로소 상기 송신기(100)와 수신기(200)는 서로 연결되었음을 인지하고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써, HPD에서 주기성을 가진 HPDS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디스플레이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HPD에서 주기성을 가진 HPDS가 발생되므로, 첫 번째 토글(toggle 1)이 깨져 있으므로, 링크 트레이닝은 수행되지 않고, 정상적인 파형을 나타내는 두 번째 토글(toggle 2)에 의하여 링크 트레이닝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00)는 수신기(200)의 DPCD(300)로부터 정보를 읽어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정보를 읽어 드리고, 상기 HPDS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0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00)는 HPD가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상기 HPD가 하이 논리 신호를 유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른 방법으로써,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DPCD(300)와 HPD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시키고, 상기 HPD가 DPCD(300)로부터 정상적인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된 결과를 인가 받은 경우, 더 이상 HPDS 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또 다른 방법으로써,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에 대한 결과를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 읽어 드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가 상기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결과를 리드하지 못한 경우, 주기적인 HPDS를 발생하는 HPD에 어떠한 제어 신호도 제공하지 않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가 상기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결과를 리드한 경우에는, 상기 HPD에게 HPDS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초기 연결 시 발생될 수 있는 연결 오류를 해결하여 최종적으로는 상기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연결되어 서로간에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초기 연결되고, 정상적인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상기 수신기(200)에 스트림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중에 내부 또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간에 동기화가 깨질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110)는 DPCD(300)로부터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이 형성되지 않음을 읽어 드리고, 이를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에 제공하여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가 HPD에서 HPDS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HPDS는 주기적으로 토글을 형성하는 신호이므로,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할 때까지 링크 트레이닝을 반복 수행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한 결과를 상기 DPCD(300)에 저장하고,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는 상기 DPCD(300)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결과를 읽어 드리며,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210)는 상기 HPD가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에 요청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과정 중에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간에 동기화가 깨지는 경우, 상기 DPCD(300)와 HPD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HPD가 DPCD(300)로부터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이 형성되지 않음을 읽어 드리고, 주기성을 가진 HPDS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적인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된 결과를 인가 받은 경우에는, 더 이상 HPDS 신호를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 과정 중에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간에 동기화가 깨지는 경우, DPCD(300)는 상기 송신기(100)와 상기 수신기(200)간의 링크 클럭 고정 및 심볼 고정이 형성되지 못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는 이를 읽어드려, 상기 HPD가 HPDS를 출력하도록 상기 HPD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HPDS는 주기적인 신호가 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 중 송신기와 수신기의 동기화가 깨지고, 그에 따라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간의 링크 트레이닝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링크 트레이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8은 HPDS의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앞서 상기 HPDS는 주기적인 신호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HPDS에서 첫 번째 토글에서부터 N(N은 정수) 번째 토글에 이르면서 인접한 토글간의 시간 간격이 점점 더 길어 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토글(toggle 1)과 두 번째 토글(toggle 2)간의 시간 간격은 PH1이고, 두 번째 토글(toggle 2)과 세 번째 토글(toggle 3)간의 시간 간격은 PH2이며, 세 번째 토글(toggle 3)과 네 번째 토글(toggle 4)간의 시간 간격은 PH3인 경우 PH1<PH2<PH3인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도 9는 HPDS와 복수의 송신기와 단수의 수신기 간의 링크 트레이닝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송신기(Device 1, 2) 중 어느 하나를 수신기(200)에 연결한 경우, 정상적인 링크 트레이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택되는 송신기(100)에 따라서 수신기(200)와의 링크 트레이닝 시간이 다를 수 있다.
HPDS가 신호가 도 8와 같이 구성되도록 하여, 어떠한 송신기(Device 1, 2)를 수신기(200)와 연결한 경우라고 하여도, 최종적으로는 링크 트레이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송신기(Device 1)의 경우 HPDS의 주기(PH)가 첫 번째 송신기의 링크 트레이닝 최대 시간(LTT1)보다 길기 때문에, 초기 링크 트레이닝(LT1)이 실패한 경우, 일정 시간 후 두 번째 링크 트레이닝(LT2)이 재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두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링크 트레이닝(LT2, LT3)도 실패한 경우 성공할 때까지 토글 신호(Toggle 4, 5)가 발생하고 반복해서 링크 트레이닝(LT4, LT5)이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두 번째 송신기(Device 2)의 경우 HPDS의 주기(PH)가 두 번째 송신기(Device 2)와 수신기(200)와의 링크 트레이닝 최대 시간(LTT2)보다 짧기 때문에, 두 번째 송신기(Device 2)와 수신기(200)의 링크 트레이닝 과정 중 다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하라는 요청, 즉 두 번째 링크 트레이닝(LT2)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다시 두 번째 링크 트레이닝(LT2) 과정이 이루어지고, 두 번째 링크 트레이닝(LT2) 과정 중에 세 번째 링크 트레이닝(LT3)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toggle 3) 신호가 형성되어, 세 번째 링크 트레이닝(LT3) 과정이 이루어지지만, HPDS의 토글 간의 시간 간격이 시간이 흐를수록 길어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네 번째 토글 신호(Toggle 4) 신호에 의하여 두번째 송신기(Device 2)와 수신기(200)간에 정상적으로 링크 트레이닝 과정(LT4)을 수행하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네 번째 링크 트레이닝 과정(LT4)이 실패한 경우에도 일정 시간 후 다섯 번째 링크 트레이닝 과정(LT5)이 수행되도록 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신기(200)의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고속 보조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 실행해도 실패하는 경우, DPCD(300)로부터 실패한 정보를 읽어 드려, HPD에서 HPDS를 다시 생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속 보조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500)는, 메인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실패한 경우, 이를 재 수행하기 위하여 토글의 HPD 신호(HPDS)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메인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끝나고 고속 보조 채널을 위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필요한 경우, 고속 보초 채널을 위한 링크 트레이닝 과정이 수행되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속 보초 채널을 위한 링크 트레이닝이 실패한 경우 고속 보초 채널을 위한 링크 트레이닝을 처음부터 다시 재 수행할 수 있도록 토글의 HPD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포트
100 송신기, 소스 장치, Source
110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120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
130 스트림 소스
200 수신기, 싱크 장치, Sink
210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220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
230 스트림 싱크
300 DPCD
400 EDID
500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

Claims (20)

  1. 메인 링크, 보조 채널 및 HPD(Hot Plug Detect)로 구성된 링크와 송신기 및 수신기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써,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수신기로 스트림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디바이스 서비스 단계 및
    반복된 토글(toggle)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HPD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링크의 상태를 최적화 시키는 링크 트레이닝 과정을 수행하는 링크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단계는,
    링크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토글 신호는 발생되지 않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기와 수신기의 초기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 및 송신기 스트림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 및 수신기 스트림 소스,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하고,
    상기 HPD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기와 수신기의 연결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가 HPD 신호를 입력 받아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에 싱크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서비스 단계는,
    상기 송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가 상기 EDID의 읽기 동작을 통하여 상기 수신기 스트림 폴리시 메이커와 상기 EDID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정보를 읽고, 메인 스트림 속성 데이터 및 인포-프레임 데이터 발생기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서비스 단계는,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가 상기 DPCD의 데이터를 읽어 링크 트레이닝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에서 상기 수신기로 미리 정해진 패턴을 전송하여 클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상기 DPCD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정보를 읽어 드려, 상기 HPD로부터 토글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HPD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결과를 상기 DPCD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DPCD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결과를 읽어 드리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HPD가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DPCD로부터 링크 트레이닝 성공 결과를 읽어 드리는 단계 및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HPD가 토글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4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는 로우(Low) 논리를 가진 토글(toggle) 신호인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면, 상기 HPD 신호는 하이(High) 신호를 유지하는 신호인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의 토글 발생 주기 신호인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의 토글 발생 주기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는 제1 내지 제N(N은 정수) 번째 토글 신호로 갈수록 인접한 토글 신호간의 시간 간격은 길어지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서비스 단계는,
    메인 링크 서비스 단계 및 보조 채널 링크 서비스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는 등시성 전송을 수행하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14. 송신기와 수신기 그리고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메인 링크, 보조 채널 및 HPD(Hot Plug Detect)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는 상기 HPD로부터 발생된 토글(toggle) 신호에 의하여 서로간에 링크 클록 고정 및 심볼 고정을 형성하는 링크 트레이닝이 실행되며, 상기 HPD는 반복된 토글 신호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의 토글 발생 주기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긴 디스플레이 포트.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HPD 신호는 제1 내지 제N(N은 정수) 번째 토글 신호로 갈수록 인접한 토글 신호간의 시간 간격은 길어지는 디스플레이 포트.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링크를 관리하는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및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에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 및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링크 폴리시 메이커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및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상기 링크 트레이닝의 성공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HPD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링크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DPCD(DisplayPort Configuration Data) 및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트레이닝 요청부는 상기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링크 클록 고정 또는 심볼 고정이 깨진 결과를 상기 DPCD로부터 리드(Read)하여 HPD 신호가 토글 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HPD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KR1020130166174A 2013-12-27 2013-12-27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14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174A KR102142273B1 (ko) 2013-12-27 2013-12-27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174A KR102142273B1 (ko) 2013-12-27 2013-12-27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215A true KR20150077215A (ko) 2015-07-07
KR102142273B1 KR102142273B1 (ko) 2020-08-07

Family

ID=5379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174A KR102142273B1 (ko) 2013-12-27 2013-12-27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283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80131281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방식의 리피터 장치 및 그의 링크 트레이닝 방법
KR20180131286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광 통신 커넥터 및 그의 링크 트레이닝 방법
CN109949734A (zh) * 2017-12-21 2019-06-28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数据驱动设备、数据处理设备以及驱动系统
WO2023013822A1 (ko) * 2021-08-03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US11942019B2 (en) 2021-08-03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for processing EDID 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7670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608A (ko) * 2003-05-01 2004-11-10 제네시스 마이크로칩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모니터 트레이닝을 위한 보조 채널의 이용
US8370554B2 (en) * 2009-05-18 2013-02-05 Stmicroelectronics, Inc. Operation of video source and sink with hot plug detection not asserted
US20130207942A1 (en) * 2012-02-14 2013-08-15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30229221A1 (en) * 2012-03-05 2013-09-05 Ching-Gu Pan Control chip for communicating with wired connection interface by using one configurable pin selectively serving as input pin or output pi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608A (ko) * 2003-05-01 2004-11-10 제네시스 마이크로칩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모니터 트레이닝을 위한 보조 채널의 이용
US8370554B2 (en) * 2009-05-18 2013-02-05 Stmicroelectronics, Inc. Operation of video source and sink with hot plug detection not asserted
US20130207942A1 (en) * 2012-02-14 2013-08-15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JP2013167699A (ja) * 2012-02-14 2013-08-29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130229221A1 (en) * 2012-03-05 2013-09-05 Ching-Gu Pan Control chip for communicating with wired connection interface by using one configurable pin selectively serving as input pin or output pi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283A (ko) * 2016-08-29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80131281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디스플레이포트 방식의 리피터 장치 및 그의 링크 트레이닝 방법
KR20180131286A (ko) * 2017-05-31 2018-12-10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광 통신 커넥터 및 그의 링크 트레이닝 방법
CN109949734A (zh) * 2017-12-21 2019-06-28 硅工厂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数据驱动设备、数据处理设备以及驱动系统
WO2023013822A1 (ko) * 2021-08-03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US11942019B2 (en) 2021-08-03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for processing EDI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273B1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273B1 (ko) 디스플레이포트 및 디스플레이포트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1295493B (zh) 基于压缩包的多媒体接口以及用于耦合便携式多媒体源和多媒体显示器的方法
US8559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al communication using clock-embedded signals
JP3218074U (ja) マルチメディア信号伝送装置
US695449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nding side-channel data during data inactive period
CN103854617B (zh) 检测数据位深度的方法和用该方法的显示设备的接口设备
US201203176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figuring a serial data link in a display device
US69898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hrough a video interface
US9575917B1 (en) Protocol for digital audio-video interface
EP3427475A1 (en) Link training in multimedia interfaces
US105238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lane mapping, link training and lower power modes for a high speed bus interface
JP2004336775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パケットを効率良く伝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299183A (zh) 基于数据包的视频显示接口计数方法
US20140340579A1 (en) Encoding Guard Band Data For Transmission Via A Communications Interface Utilizing Transition-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Tmds) Coding
CN104954723A (zh) Lvds视频信号转换为1lane dp视频信号的方法及系统
CN105049773A (zh) Lvds视频信号转换为dp视频信号的方法及系统
CN104967808A (zh) Lvds视频信号转换为2lane dp视频信号的方法及系统
CN105025291A (zh) 一种ttl视频信号的生成方法及生成装置
CN104853133A (zh) LVDS视频信号转换为适用于8LaneV-BY-ONE视频信号的方法及系统
US20120050462A1 (en) 3d display control through aux channel in video display devices
CN104902210A (zh) LVDS视频信号转换为适用于16LaneV-BY-ONE视频信号的方法及系统
TW201801534A (zh) 影像信號發送裝置、影像信號接收裝置、及影像信號傳送系統
CN104883529A (zh) Lvds视频信号转换为适用于v-by-one视频信号的方法及系统
JP6742635B2 (ja) シンク装置、及び制御方法
CN204669515U (zh) 用于将LVDS转换为4LaneV-BY-ONE视频信号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