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170A -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170A
KR20150077170A KR1020130166085A KR20130166085A KR20150077170A KR 20150077170 A KR20150077170 A KR 20150077170A KR 1020130166085 A KR1020130166085 A KR 1020130166085A KR 20130166085 A KR20130166085 A KR 20130166085A KR 20150077170 A KR20150077170 A KR 2015007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touch screen
ba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787B1 (ko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7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이 정의된 제 1 기판 상의 상기 표시영역에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된 다수의 Tx 전극과; 상기 다수의 Tx 전극 위로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위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표시영역의 최좌측 및 최우측에 각각 구비된 곧은 바(bar) 형태의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나란한 제 1 부분과 상기 각 제 1 부분의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다수의 Tx전극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앙부 Rx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시영역 외곽부에서 터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센서의 신호가 약한 부분에서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는 것을 억제하여 터치 감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전계 발광 표시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등의 표시장치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표시장치의 화상 표시부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즉, LCD, PDP, OLED,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등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부 상부 전면에 터치스크린을 부착하여 터치스크린이 보조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입력 수단의 하나로, 사람이 손가락 또는 펜 등의 도구를 사용해서 스크린의 특정 지점을 누르면 그 지점에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스크린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스크린 상의 2차원의 터치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갖는 터치스크린은 주로 사람의 손가락 또는 전용펜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 서로 구별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스크린의 크기가 제한되는 경우에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는 부분의 크기와 개수가 한정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터치스크린(10)은 2차원 평면 상에서 터치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곧은 바(bar) 형태의 다수의 Tx 전극(15)이 상기 x축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곧은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의 Rx 전극(20)이 상기 x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Tx 전극(15)과 Rx 전극(20)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층(미도시)을 개재하여 일정간격 이격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이러한 구성을 갖는 터치스크린(10)은 서로 이웃한 Tx 전극(15) 및 Rx 전극(20)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유무를 판별하고, 터치된 부분에 따른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더욱 정확히는 상기 Tx 전극(15)은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되며, 상기 Rx 전극(20)은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sensing)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상기 Tx 전극(15)이 순차적으로 스캐닝되며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Rx 전극(20)은 어떠한 Tx 전극(15)에 신호가 인가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있는지 판별함으로서 터치가 발생된 부분 즉, 터치 포인트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터치스크린(10)에 있어서 대부분(표시영역 중앙부)의 경우, 하나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터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다수의 Tx 전극(15)과 Rx 전극(20)에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된다.
따라서 다수의 Tx 전극(15) 및 Rx 전극(20)에 의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보간법(Interpolation)이나 또는 알고리듬(Algorithm) 처리를 통해 정확한 터치 포인트를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터치스크린(10)은 도 2(종래의 터치스크린에 있어 표시영역의 에지부와 코너부 및 중앙부에 대해 터치된 터치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도 2에 도시된 각 터치 포인트에서의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Rx 및 Tx 전극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터치가 발생한 위치별로 터치 감도가 달라 터치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 터치 불량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터치스크린(10)의 대부분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여러 개의 Tx 전극(15)과 Rx 전극(20)에서 정전용량 변화에 따른 반응이 나타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10)의 에지부 및 코너부에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Tx 전극(15) 및 Rx 전극(20)이 반응하는 영역이 좁기 때문에 보간법(Interpolation)이나 또는 알고리듬(Algorithm) 처리를 위한 충분한 데이터 확보가 어렵다.
이는 곧 터치 감도 저하 및 터치 센싱의 정확도의 저하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표시영역의 코너부의 경우, 극히 제한적인 정전용량의 변화만이 발생하됨으로서 터치 감도 저하의 폭이 더 심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8 터치 포인트(#1 내지 #8) 중 주변에 Tx 및 Rx 전극(15, 20)이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4 터치 포인트(#1 내지 #4)는 적어도 4부분 이상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됨으로서 터치 감도가 우수하여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정확히 실시하게 되지만, 표시영역 에지부에 위치하는 제 5 내지 제 6 터치 포인트(#5, #6)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터치 포인트(#1 내지 #4) 대비 저하되어 3부분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됨으로서 터치 감도가 상대적으로 저감되므로 이에 의해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표시영역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 7 내지 제 8 터치 포인트(#7, #8)의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터치 포인트(#1 내지 #4) 대비 현저히 저하되어 단지 1부분에서만이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됨으로서 터치 감도가 현저히 저감되므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정확한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서 이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터치 시의 동작 대응력이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표시영역의 에지부 및 코너부에 있어서도 터치 감도가 우수한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표시영역이 정의된 제 1 기판 상의 상기 표시영역에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된 다수의 Tx 전극과; 상기 다수의 Tx 전극 위로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위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표시영역의 최좌측 및 최우측에 각각 구비된 곧은 바(bar) 형태의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나란한 제 1 부분과 상기 각 제 1 부분의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다수의 Tx전극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앙부 Rx 전극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Tx 전극의 양끝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2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3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절곡된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1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3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Rx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2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Rx 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각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상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각 제 3 부분과 상기 제 2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하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2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3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절곡된 것이 특징이며, 이때,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1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2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Rx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3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Rx 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각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상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각 제 3 부분과 상기 제 2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하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다수의 중앙부 Rx 전극 위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 하부에 구비된 표시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소자는 액정패널, 유기전계 발광소자, 플라즈마 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 인 것이 특징이다. 이때, 액정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이 정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상부에 각 화소영역별로 구비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2 기판과 마주하는 제 3 기판과; 상기 제 3 기판의 내측면에 구비된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제 3 기판의 상기 컬러필터층 상부에 공통전극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화소전극의 상부로 제 2 절연층을 개재하여 각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바(bar) 형태의 다수의 제 1 개구를 갖는 공통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화소전극은 각 화소영역 내에 바(bar) 형태를 가지며 다수 구비되며, 상기 제 2 기판에는 상기 화소전극과 교대하며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의 공통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표시영역의 에지부에 Tx 전극의 측단을 감싸는 형태로 Rx 전극이 구비됨으로서 표시영역의 에지부 및 코너부에서의 터치 인식 감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나아가 이러한 표시영역 에지부 및 코너부에서의 터치 인식 향상에 의해 터치 동작에 의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터치스크린에 있어 표시영역의 에지부와 코너부 및 중앙부에 대해 터치된 터치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터치 포인트에서의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Rx 및 Tx 전극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표시영역의 중앙부와 에지부 및 코너부에 대해 터치된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각 터치 포인트에서의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Rx 및 Tx 전극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4를 절단선 Ⅷ-Ⅷ을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일부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Tx 전극(190)에 대해 표시영역(A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1 내지 n의 순번을 부여하였으며, Rx 전극(196)에 대해 표시영역(AA)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1 내지 m의 순번을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Rx 전극(Rx1)의 좌측 즉, 표시영역(AA) 최좌측에 형성되는 Rx전극은 RxA, 제 m Rx 전극(Rxm)의 우측 즉, 표시영역(AA)의 최우측에 형성되는 Rx 전극은 RxB라 정의하였으며, Tx 전극은 190의 도면 부호를, Rx 전극은 196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은 2차원 평면 상에서 터치가 발생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Tx 전극(190)이 상기 x축 방향과 수직한 y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다수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x축과 수직한 y축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Rx 전극(196)이 일정간격 이격하며 다수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Tx 전극(190)과 Rx 전극(196)의 쇼트를 방지하며 상기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간의 정전용량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Tx 전극(190)과 상기 다수의 Rx 전극(196) 사이에는 절연층(미도시)이 구비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표시영역(AA)의 상측 및 하측의 에지부에는 각 Rx 전극(196)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표시영역(AA)의 좌우측의 에지부에 대해서는 Rx 전극(196)이 구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은 표시영역(AA)에 있어 최 좌측 에지부에 있어서는 상기 Tx 전극(190)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 0 Rx 전극(RxA(196d))이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절곡부 없이 곧은 바(bar) 형태를 가지며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표시영역(AA)에 있어 최 우측 에지부에 있어서도 상기 Tx 전극(190)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 (m+1) Rx 전극(RxB(196e))이 y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절곡부 없이 곧은 바(bar) 형태를 가지며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제 0 Rx 전극(RxA(196d))과 상기 제 (m+1) Rx 전극(RxB(196e)) 사이에는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부분(196a)과 상기 제 1 부분(196a)의 양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및 제 3 부분(196b, 196c)의 구성을 가지며 순차적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는 제 1 내지 제 m Rx 전극(Rx1 내지 Rxm)이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이러한 2곳의 절곡부를 갖는 제 1 내지 제 m Rx 전극(Rx1 내지 Rxm) 각각의 상기 제 2 부분(196b)은 그 끝단이 바로 좌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각 Rx 전극(196)의 제 1 부분(196a)과 쇼트를 방지할 있는 정도로 이격하며 형성됨으로서 마치 제 1 Tx 전극(Tx1)의 외측 소정폭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 1 내지 제 m Rx 전극(196(Rx1 내지 Rxm)) 각각의 제 3 부분(196c)은 그 끝단이 바로 우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각 Rx 전극(196)의 제 1 부분(196a)과 쇼트를 방지할 있는 정도로 이격하며 형성됨으로서 마치 제 n Tx 전극(Txn)의 외측 소정폭을 둘러싸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변형예로서 도 5(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표시영역에 대한 평면도)를 참조하며, 상기 제 2 부분(196b)과 제 3 부분(196c)은 서로 그 절곡부위가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Rx 전극(196)의 구성적 특징에 의해 표시영역(AA)의 좌하측에 있어서 제 0 Rx 전극(RxA)과 제 1 Rx 전극(Rx1) 사이에 위치하는 제 n Tx 전극(Txn)의 측단은 상기 Rx 전극(196)에 의해 노출되며, 표시영역(AA)의 우상측에 있어서 제 m Rx 전극(Rxm)과 제 m+1 Rx 전극(RxB)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Tx 전극(Tx1)의 측단은 상기 Rx 전극(196)에 의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영역(AA)의 에지부에서 Tx 전극(190)이 상기 Rx 전극(196)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 n Tx 전극(Txn)의 측단 외측으로 상기 제 0 Rx 전극(RxA)과 제 1 Rx 전극(Rx1) 사이에는 상기 제 1 내지 m Rx 전극(Rx1 내지 Rxm)의 제 3 부분(196c)과 동일한 형태로 즉, 아일랜드 형태로 제 1 보조 Rx 전극(RxC1(196f))이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제 1 Tx 전극(Tx1)의 측단 외측으로 상기 제 m Rx 전극(Rxm)과 제 m+1 Rx 전극(RxB) 사이에는 상기 제 1 내지 m Rx 전극(Rx1 내지 Rxm)의 제 2 부분(196b)과 동일한 형태로 즉, 아일랜드 형태로 제 2 보조 Rx 전극(RxC2(196g))이 구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변형예의 경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영역(AA)의 좌상측 및 우하측에 대해 Tx 전극(190)의 측면이 노출되며, 이 경우도 상기 좌상측 및 우하측에 대해 제 1 및 제 2 보조 Rx 전극(RxC1(196f), RxR2(196g))이 구비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에 있어 상기 표시영역(AA)에는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Rx 전극(196)과 교차하는 형태로서 x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y축 방향으로 곧은 바(bar) 형태를 갖는 제 1 내지 n Tx 전극(190(Tx1 내지 Txn))이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n Tx 전극(190(Tx1 내지 Txn)) 각각의 양 끝단은 각각 상기 제 0 Rx 전극(RxA)과 제 m+1 Rx 전극(RxB)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각 Tx 전극(190)은 표시영역(AA)에 있어 x축 방향으로 모두 연결되며 연장하는 동일 폭을 갖는 곧은 바(bar) 형태를 이루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상기 각 Tx 전극(190)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Rx 전극(196) 사이에서 아일랜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x축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Tx 전극 간에는 내부적으로 연결패턴(미도시)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거나, 또는 상기 Rx 전극(196)이 연장하는 Y방향으로 연결배선(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배선과 각 아일랜드 형태의 Tx 전극(미도시)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배선(미도시) 중 동일한 x축 방향에 연장하는 Tx 전극과 연결된 연결배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널배선(미도시)이 구비됨으로서 동일한 행에 구비된 Tx 전극에 대해 행별로 구동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터치스크린(100)은 서로 이웃한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유무를 판별하고, 터치된 부분에 따른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각 Tx 전극(190)은 터치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되며, 상기 각 Rx 전극(196)은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상기 Tx 전극(190)이 순차적으로 스캐닝되며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Rx 전극(196)은 어떠한 Tx 전극(190)에 신호가 인가될 때 정전용량의 변화가 있는지 판별함으로서 터치가 발생된 부분 즉, 터치 포인트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는 이와 같은 구성적 특징에 의해 표시영역(AA)의 최외각 즉 에지부와 코너부에 대해서도 다수의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에 의해 다수의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될 수 있으므로 표시영역(AA)의 에지부 및 코너부에서의 터치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에 있어서는 표시영역(AA)의 중앙부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영역(AA)의 에지부 및 코너부에 대해서 하나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터치된 부분에 있어서는 다수의 Tx 전극(190)과 Rx 전극(196)에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다수의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에 의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를 보간법( Interpolation)이나 또는 알고리듬(Algorithm) 처리를 통해 정확한 터치 포인트를 읽어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러한 다수의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은 상기 각 Tx 전극(190) 일 끝단에는 다수의 제 1 링크 배선(미도시) 등을 개재하여 x방향 센싱회로(미도시)가 실장되고 있으며, 상기 각 Rx 전극(195)의 일 끝단에는 다수의 제 2 링크 배선(미도시)을 개재하여 y방향 센싱회로(미도시)가 실장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표시영역(AA)의 중앙부와 에지부 및 코너부에 대해 터치된 포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각 터치 포인트에서의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Rx 및 Tx 전극에 의한 정전용량 변화 강도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경우 표시영역(AA)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제 1 내지 제 8 터치 포인트(#1 내지 #8)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4 터치 포인트(#1 내지 #4)는 종래의 터치스크린(도 1의 1)과 동일하게 4부분 내지 6부분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됨으로서 터치 감도가 우수하여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정확히 실시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에 있어 표시영역(AA) 에지부에 위치하는 제 5 및 제 6 터치 포인트(#5, #6)에 대해서도 3 내지 4 부분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됨으로서 중앙부 대비 터치 감도가 중앙부 소정량 저감되지만 되지만, 종래의 터치스크린(도 1의 1)과 대비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부분이 최소 1곳 이상 증가됨으로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은 표시영역(AA)의 코너부에 위치하는 제 7 및 제 8 터치 포인트(#7, #8)의 경우에 있어서도, 최소 2부분에서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됨으로서 종래의 터치스크린(도 1의 1)과 대비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부분이 최소 1곳 이상 증가됨으로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동작의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단면 구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4를 절단선 Ⅷ-Ⅷ을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투명한 절연기판(189) 예를들면 유리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이나 또는 투명한 필름 상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곧은 바(bar) 형태 또는 아일랜드 형태의 제 1 내지 제 n Tx 전극(190)이 y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다수 구비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Tx 전극(190) 위로 무기절연물질인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유기절연물질인 포토아크릴(photo acryl)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CB)으로 이루어진 절연층(192)이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192) 위로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곧은 바(bar) 형태를 갖는 제 0 및 제 m+1 Rx 전극(RxA(196d), 미도시)이 상기 표시영역(AA) 양 측단에 각각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제 0 및 제 m+1 Rx 전극(RxA(196d), 미도시) 사이의 이격영역에 일정간격 이격하며 제 0 및 제 m+1 Rx 전극(RxA(196d), 미도시)과 나란한 제 1 부분(196a)과 상기 제 1 부분(196a)의 그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기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및 제 3 부분(196b, 미도시)을 구비한 제 1 내지 제 m Rx 전극(Rx1, Rx2, 미도시)이 구비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m Rx 전극(Rx1, Rx2, 미도시) 각각의 제 2 및 제 3 부분(196b, 미도시)은 상기 제 1 부분(196a)간의 이격간격의 폭보다 작은 길이를 가져 서로 이웃하는 Rx 전극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나아가 상기 절연층(192) 하부에 구비된 제 1 Tx 전극(Tx1) 및 제 n Tx 전극(미도시)의 측단을 포획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192) 상부에는 상기 제 0 Rx 전극(RxA)과 상기 제 1 Rx 전극(Rx1)의 제 1 부분(196a) 사이에 상기 제 3 부분(미도시)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Rx 전극(미도시)이 구비되며, 제 m Rx 전극(미도시)의 제 1 부분(미도시)과 상기 제 m+1 Rx 전극(미도시) 사이에 상기 제 1 부분(196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Rx 전극(미도시)이 구비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Rx 전극(196) 상부에는 보호층(197)을 개재하여 보호필름 또는 대향기판(198)이 구비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을 이루고 있다.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러한 다수의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은 상기 절연기판(198)의 표시영역(AA) 외측의 비표시영역(미도시)에 상기 각 Tx 전극(190) 일 끝단에 대해 다수의 제 1 링크 배선(미도시) 등을 개재하여 x방향 센싱회로(미도시)가 실장되고 있으며, 상기 각 Rx 전극(196)의 일 끝단에는 다수의 제 2 링크 배선(미도시)을 개재하여 y방향 센싱회로(미도시)가 실장되고 있다.
이후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의 터치 동작에 의한 터치 인식에 대해 도 4를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Tx 전극의 제 1 행을 T1, 제 2 행을 T2, n번째 행을 Tn이라 정의하고, 상기 Rx 전극의 제 1 열(제 0 Rx 전극)을 R1, 제 2 열(제 1 Rx 전극)을 R2, 제 m 번째 열을 Rm, 제 (m+1) 번째 열을 R(m+1), 제 (m+2) 번째 열을 R(m+2) 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은 Tx 전극(190)의 제 1 행(T1)을 온(on)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 순차적으로 상기 Rx 전극(195)을 제 1 열(R1)부터 제 (m+2) 열(R(m+2))까지 펄스 형태로 온(on)-오프(off)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즉, 제 1 열(R1)부터 (m+2) 열(R(M+2))까지 일정 시간동안 온(on) 상태를 이룬 후 오프(off)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Tx 전극(190)의 제 1 행(T1)과의 Rx 전극(196)이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된 부분을 체크한다.
이후, Tx 전극의 제 1 행(T1)을 오프(off)시키고 제 2 행(T2)을 온(on) 상태로 한 후, 또 다시 Rx 전극의 제 1 열(R1)부터 (m+2) 열(R(M+2))까지 순차적으로 온(on)-오프(off) 동작을 실시하며, 이러한 과정을 Tx 전극(190)의 제 n 행(Tn)까지 반복함으로서 정전용량이 변화된 부분의 위치 즉, 2차원 좌표를 얻게 되며, 이러한 정정용량의 변화가 발생된 부분은 터치가 발생된 부분 즉 터치 포인트라 판단하여 이러한 2차원 좌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의 표시영역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을 구비한 표시장치(200)는 어레이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81) 및 이들 두 기판(101, 181)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75)을 포함하는 패널(188)과, 제 3 기판(189) 상에 절연층(192)을 재재하여 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구비된 Tx 전극(190) 및 Rx 전극(196)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100)으로 구성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을 구비한 표시장치(200)의 상기 어레이 기판(101)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어레이 기판(101) 상에는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다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130)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각 화소영역(P) 내에 상기 각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130)과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105)과, 게이트 절연막(110)과,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120a)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콘택층(120b)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120)과, 서로 이격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3, 136)이 순차 적층되어 구성된 박막트랜지스터(Tr)가 구비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전술한 적층 구조 이외에 다양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을 구비한 박막트랜지스터의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층 콘택홀이 구비됨 층간절연막과,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상기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과 각각 접촉하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구성을 이룰 수도 있으며, 또는 또 다른 일례로 산화물 반도체층이 구비되는 경우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과, 산화물 반도체층과, 에치스토퍼와, 상기 에치스토퍼 상에서 서로 이격하며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부에는 전면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136)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43)을 갖는 제 1 보호층(140)이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제 1 보호층(140) 위로 상기 각 화소영역(P)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136)과 상기 드레인 콘택홀(143)을 통해 연결되는 판 형태의 화소전극(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판 형태의 화소전극(150) 상부로 제 2 보호층(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보호층(160) 상부로 상기 각 판 형태의 화소전극(150)에 대응하여 일정간격 이격하는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제 1 개구(op1)를 구비한 공통전극(17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통전극(170)은 표시영역(AA)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대응하여 제 2 개구(op2)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레이 기판(101)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101)이 되며, 상기 다수의 제 1 개구(op1)가 각 화소영역(P)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꺾인 구성을 갖도록 하여 각 화소영역(P)이 이중 도메인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화소전극(150)과 공통전극(170)은 그 위치를 바뀌어 형성됨으로서 화소전극(150)이 상기 공통전극(170)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제 1 개구(op1)는 상기 화소전극(150)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어레이 기판(101)은 프린지 필드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101)이 되고 있지만, 이러한 어레이 기판(101)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어레이 기판(101)이 횡전계형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을 이룰 경우, 상기 각 화소영역(P)에 형성된 화소전극(150)은 판 형태가 아닌 바(bar) 형태로서 일정간격 이격하며 다수 형성되며, 이러한 다수의 바(bar) 형태의 화소전극(미도시)과 나란하게 일정간격 이격하여 교대하며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의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바(bar) 형태의 공통전극(미도시)은 상기 공통 콘택홀(미도시)을 통해 게이트 배선과 나란하게 형성된 공통배선(미도시)과 접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바(bar) 형태를 갖는 공통전극(미도시)과 화소전극(미도시)은 각 화소영역(P)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꺾인 형태를 이룸으로써 각 화소영역(P)이 상하부로 이중 도메인 영역을 이룰 수도 있다. 이렇게 화소영역(P)이 이중 도메인 영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가 표시영역(AA)을 바라보는 시야각에 변화에 따른 색차를 억제하여 표시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어레이 기판(101)이 트위스트 네마틱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미도시)을 이룰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보호층(160)과 다수의 제 1 및 제 2 개구(op1, op2)를 갖는 공통전극(170)이 생략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구성을 갖는 어레이 기판(101)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컬러필터 기판(181)의 내측면에는 각 화소영역(P)의 경계와 상기 각 박막트랜지스터(Tr)에 대응하여 블랙매트릭스(183)가 구비되고 있다.
또한, 상기 블랙매트릭스(183)로 둘러싸인 각 화소영역(P)에 대응하여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186a, 186b, 186c)이 순차 반복하는 형태의 컬러필터층(18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컬러필터층(186) 상부로 상기 컬러필터층(186)을 덮으며 평탄한 표면을 갖는 오버코트층(187)이 형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101)이 트위스트 네마틱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미도시)인 경우, 상기 컬러필터 기판(181)에 구비되는 상기 오버코트층(187)을 대신하여 투명한 공통전극(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어레이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81) 사이에는 액정층(175)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P)으로 이루어진 표시영역(AA)을 두르며 상기 액정층(175)이 새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어레이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81)이 합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씰패턴(미도시)이 구비됨으로써 패널(188)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어레이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81) 사이의 액정층(175)이 표시영역(AA) 전면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유지시키기 위해 화소영역(P)의 경계에 상기 어레이 기판(101)과 컬러필터 기판(181)과 동시에 접촉하는 기둥 형태의 패턴드 스페이서(미도시)가 일정간격 이격하며 다수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패널(188)에 대응하여 상기 컬러필터 기판(181)의 외측면에 전술한 구성을 갖는 터치스크린(100)이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200)가 완성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을 구비한 표시장치(200)의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00)의 터치 성능의 향상으로 더욱 우수한 터치 기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터치스크린과 더불어 일례로 액정층을 구비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일례로 나타내었지만, 상기 터치스크린을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적용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이루게 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플라즈마 표시패널에 적용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플라즈마 표시장치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터치스크린
190 : Tx 전극
196 : Rx 전극
196a, 196b, 196c : (제 1 내지 m Rx 전극의)제 1, 2, 3 부분
196d : 최좌측의 Rx 전극(RxA)
196e: 최우측의 Rx 전극(RxB)
196f, 196g : 제 1 및 제 2 Rx 보조전극
AA : 표시영역
R1 내지 R(m+2) : (Rx전극의)제 1 열 내지 제 (m+2) 열
Rx1 내지 Rxm : 제 1 내지 m 번째 Rx 전극
T1 내지 Tn : (Tx전극의)제 1 행 내지 제 n 행
Tx1 내지 Txn : 제 1 내지 n 번째 Tx 전극

Claims (14)

  1. 표시영역이 정의된 제 1 기판 상의 상기 표시영역에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된 다수의 Tx 전극과;
    상기 다수의 Tx 전극 위로 상기 제 1 기판의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된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위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표시영역의 최좌측 및 최우측에 각각 구비된 곧은 바(bar) 형태의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나란한 제 1 부분과 상기 각 제 1 부분의 양끝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상기 다수의 Tx전극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중앙부 Rx 전극
    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Tx 전극의 양끝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2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3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절곡된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1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3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Rx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2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Rx 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각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상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각 제 3 부분과 상기 제 2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하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2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중앙부 Rx 전극의 각 제 3 부분은 이와 연결된 각 제 1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절곡된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1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2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Rx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이와 최인접한 상기 중앙부 Rx 전극 사이에는 상기 제 3 부분과 나란하게 일선상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Rx 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각 제 2 부분과 상기 제 1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상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각 제 3 부분과 상기 제 2 Rx 보조전극은 상기 표시영역 내에 최하측에 구비된 Tx 전극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터치스크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바 타입 Rx 전극과 다수의 중앙부 Rx 전극 위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10.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 하부에 구비된 표시소자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액정패널, 유기전계 발광소자, 플라즈마 표시소자 중 어느 하나 인 것이 특징인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액정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이 정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상부에 각 화소영역별로 구비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2 기판과 마주하는 제 3 기판과;
    상기 제 3 기판의 내측면에 구비된 컬러필터층
    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판의 상기 컬러필터층 상부에 공통전극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기판의 상기 화소전극의 상부로 제 2 절연층을 개재하여 각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바(bar) 형태의 다수의 제 1 개구를 갖는 공통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인 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각 화소영역 내에 바(bar) 형태를 가지며 다수 구비되며, 상기 제 2 기판에는 상기 화소전극과 교대하며 바(bar) 형태를 갖는 다수의 공통전극이 구비된 것이 특징인 표시장치.
KR1020130166085A 2013-12-27 2013-12-27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17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085A KR102175787B1 (ko) 2013-12-27 2013-12-27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085A KR102175787B1 (ko) 2013-12-27 2013-12-27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170A true KR20150077170A (ko) 2015-07-07
KR102175787B1 KR102175787B1 (ko) 2020-11-06

Family

ID=5378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085A KR102175787B1 (ko) 2013-12-27 2013-12-27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0009A (zh) * 2016-05-11 2016-09-07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电容式压力传感器及电子设备
CN106354309A (zh) * 2016-08-29 2017-01-25 贵州晟华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CN113467643A (zh) * 2020-08-03 2021-10-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70A (ko) * 2002-01-10 2003-07-18 주식회사 에이터치 터치 패널의 전극 구조
KR20130009466A (ko) * 2011-07-15 2013-01-23 이현재 Esd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
KR20130073128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87691A (ko) * 2012-01-30 2013-08-0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070A (ko) * 2002-01-10 2003-07-18 주식회사 에이터치 터치 패널의 전극 구조
KR20130009466A (ko) * 2011-07-15 2013-01-23 이현재 Esd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
KR20130073128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30087691A (ko) * 2012-01-30 2013-08-0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0009A (zh) * 2016-05-11 2016-09-07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电容式压力传感器及电子设备
CN105930009B (zh) * 2016-05-11 2019-04-09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电容式压力传感器及电子设备
CN106354309A (zh) * 2016-08-29 2017-01-25 贵州晟华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CN106354309B (zh) * 2016-08-29 2023-10-20 漳州中科智谷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显示装置
CN113467643A (zh) * 2020-08-03 2021-10-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CN113467643B (zh) * 2020-08-03 2023-09-1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787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1708B2 (ja) タッチパネル内蔵型表示装置
US10496223B2 (en) Touch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TWI476666B (zh) 內嵌式觸控面板
US9317166B2 (en)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panel
KR102047727B1 (ko) 터치센서 인셀 타입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US9785270B2 (en) Touch substrate, touch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2804043B1 (en)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378486A1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270271B1 (en) In-cell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KR20160145121A (ko) 어레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 구동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40023232A (ko) 인셀 터치 패널
US9213433B2 (en) Display panel for display device
KR20110137988A (ko)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JPWO2014045601A1 (ja) 液晶表示装置
US9665196B2 (en) Touch sensor-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20170026107A (ko) 비대칭 블랙 매트릭스 패턴을 갖는 터치 인식 가능 표시 패널
KR20120097628A (ko) 터치센서 내장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7819A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75787B1 (ko) 터치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CN107402671B (zh) 一种内嵌式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20180036326A (ko) 터치 패널 액정표시장치
CN108513653B (zh) 触摸屏及具有触摸屏的终端设备
KR101147086B1 (ko) 터치 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6652901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0759B1 (ko)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