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675A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675A
KR20150076675A KR1020130165170A KR20130165170A KR20150076675A KR 20150076675 A KR20150076675 A KR 20150076675A KR 1020130165170 A KR1020130165170 A KR 1020130165170A KR 20130165170 A KR20130165170 A KR 20130165170A KR 20150076675 A KR20150076675 A KR 2015007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t
information
unit
rental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165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675A/ko
Publication of KR2015007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사 등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이나 동산 등의 다양한 자산들을 지속적으로 등록하고 관리하여 해당 자산의 대여나 수리 등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등록 갱신함으로써, 회사 등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자산관리 앱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회사의 자산 상황을 편리하게 파악하고 수정 및 갱신할 수 있게 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RESOURCE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APPLICATION}
본 발명은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사 등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이나 동산 등의 다양한 자산들을 지속적으로 등록하고 관리하여 해당 자산의 대여나 수리 등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등록 갱신함으로써, 회사 등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자산관리 앱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회사의 자산 상황을 편리하게 파악하고 수정 및 갱신할 수 있게 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사업을 운영하는 회사는 금전이나 회사부지 등의 부동산뿐만 아니라, 영위하는 사업의 종류에 따라 다수의 직원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장비와 같은 동산들도 함께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게 된다.
이처럼 회사가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보유하는 여러 종류의 자산 중 금전은 외부결제나 투자 또는 직원 급여 등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회사 내에서도 그 현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게 되며, 공장 부지나 사무실 임대 내역과 같은 경우에도 금액이 크고 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회사 내에서도 그 현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직원들이 사용하는 PC나 개별장비, 또는 도서 등 다양한 동산이나, 복사용지나 프린터용 토너 등 소비재들의 경우에는 그 현황을 자세하게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드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동산이나 소비재들의 경우 처음 구입시에는 지출결의서 등의 형태로 금전 사용내역과 함께 등록하여 놓게 되지만, 시간이 흐르며 수리나 대여 등이 반복됨에 따라 과거의 구입내역 말고는 현재 누구의 관리 하에 있으며 현 상황이 어떠한지 등에 대한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회사의 자산 중 부동산뿐만 아니라, 동산이나 소비재들의 보유 현황과, 관리현황 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새로운 자산관리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하다.
또한, 최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업무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회사 내의 고정적인 위치에서 그 동산 등 회사 자산의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을 넘어, 외부에 있을 때에도 동산 등의 현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사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자산관리 앱을 이용하여 변경된 사항을 즉시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회사 내 자산들의 과거 이력뿐만 아니라 현재 상황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 새로운 자산관리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58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사 등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이나 동산 등의 다양한 자산들을 지속적으로 등록하고 관리하여 해당 자산의 대여나 수리 등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등록 갱신함으로써, 회사 등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자산관리 앱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회사의 자산 상황을 편리하게 파악하고 수정 및 갱신할 수 있게 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은,
자산의 등록과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하며, 자산리스트를 탐색하여 자산정보를 확인하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통신망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자산의 등록과 수정 및 갱신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망상에서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로 갱신된 자산정보를 송출하여 표출시키는 관리시스템; 및 통신망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한 후, 상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자산리스트와 같은 자산정보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자산관리 앱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리시스템은,
회사의 자산들을 일정한 카테고리별로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산등록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된 자산들의 상세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시켜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자산에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갱신정보를 수신하여 자산의 현황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자산관리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자산들의 대여 상황을 나타내는 대여정보를 표출하고, 갱신된 대여정보를 저장하는 대여관리부; 및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자산들의 수리내역을 표출하고, 갱신된 수리내역을 저장하는 수리내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통신망 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 받은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리스트를 상기 자산관리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켜 자산의 현황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자산현황탐색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리내역 리스트를 상기 수리내역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새로운 수리정보를 입력하여 수리내역을 갱신하는 자산수리등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여내역 리스트를 상기 대여관리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새로운 대여정보를 입력하여 대여내역을 갱신하는 자산대여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새로이 추가되는 자산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등록부는 RFID 리더기로 자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부여되어 있는 시리얼 넘버를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것만으로 해당 자산의 등록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해당 자산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사 등이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작은 동산들을 포함하는 모든 자산들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자산관리 앱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회사의 자산 상황을 편리하게 파악하고 수정 및 갱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자산품목을 카테고리별로 등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자산품목별 상세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자산품목별 위치와 담당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자산품목의 대여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자산품목의 수리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자산관리 앱의 초기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자산현황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자산의 수리등록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자산의 대여등록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RFID를 이용하여 자산을 등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화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은, 자산의 등록과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하며 자산리스트를 탐색하여 자산정보를 확인하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통신망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자산의 등록과 수정 및 갱신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망상에서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로 갱신된 자산정보를 송출하여 표출시키는 관리시스템(200)과, 통신망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한 후 상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자산리스트와 같은 자산정보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자산관리 앱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이나 인트라넷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관리시스템에 연결되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관리시스템에의 접근권한을 인증받기 위해 상기 관리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사원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아이디나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등록하고자 하는 자산정보나 자산의 현황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관리시스템에서 표출되는 자산리스트와 각 자산의 현황정보를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하여 회사에서 근무하는 각 사원들이 자신 또는 그 사원이 속한 팀이나 부서에서 사용하거나 관리하고 있는 회사자산들에 대한 현황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자산들에 대하여 갱신되는 정보들을 직접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산파악의 용이성과 함께 자산의 현황에 대한 갱신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시스템(200)은, 회사의 자산들을 일정한 카테고리별로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산등록부(210)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된 자산들의 상세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시켜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자산에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갱신정보를 수신하여 자산의 현황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자산관리부(220)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자산들의 대여 상황을 나타내는 대여정보를 표출하고 갱신된 대여정보를 저장하는 대여관리부(230)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자산들의 수리내역을 표출하고 갱신된 수리내역을 저장하는 수리내역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산등록부(210)는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나 인증 받은 사원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하고자 등록하는 자산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산등록부(210)는 인트라넷과 같은 내부 네트워크나 인터넷과 같은 외부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망상에서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자산등록부(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하고자 하는 자산의 품목을 다양한 코드의 트리 구조로 카테고리화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2 및 도 3에서는 코드분류를 부동산과 동산의 상위 카테고리로 크게 분류한 후, 부동산에는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본관빌딩과 주차장을 등록하고, 동산에는 사무실에 비치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물품을 다시 분류할 수 있도록 가구와 전자제품 및 휴대폰 등의 중위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각 중위 카테고리는 다시 상세한 하위 카테코리로 분류하여 각 자산을 등록함으로써, 각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들의 품목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고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는 동산의 중위 카테고리로 가구와 전자제품 및 휴대폰을 생성하고, 그 하위 카테고리로 가구에는 책상과 의자를 등록하고, 전자제품에는 전자렌지와 컴퓨터를 등록하고, 휴대폰에는 개발용으로 구매한 자산을 등록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사에서 운영하는 업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중위 카테고리 또는 하위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와 같이 자산을 다수의 카테고리에 맞게 등록하는 상기 자산등록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카테고리 추가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관리시스템의 운영자 등이 하위 카테고리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회사가 업무를 영위하면서 구매하게 되는 새로운 물품이나 장비 등의 자산을 적절하게 추가 등록할 수 있게 되어 추후 자산관리의 통일성과 용이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카테고리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자산등록부(210)는 단순히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종류와 명칭만을 등록하는 것을 넘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산의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등록한 후, 그 자산이 위치하는 장소를 명확하게 등록하는 위치등록과, 그 자산을 사용하는 부서를 등록하는 부서등록, 및 일부 사원의 책임 하에 사용될 경우에는 해당 사원을 등록하는 사원등록도 함께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자산의 파손이나 분실에 대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산관리부(220)는 상기 자산등록부에서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들의 상세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자산관리시스템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에 자산리스트의 형태로 표출시킴과 아울러, 자산리스트를 본 운영자나 사원들이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자산의 현황에 대한 변동사항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자산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산리스트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자산이 속해 있는 코드분류를 나타내는 구분항목과, 각 자산의 명칭과, 시리얼 넘버와, 취득일자와 사용상태가 함께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산리스트를 본 운영자나 사원(이하, 운영자 등이라 함)이 각 자산의 현황에 대하여 수정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관리항목이 함께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나 스마트 단말기(300)에 표출되는 자산리스트를 본 운영자 등이 자산정보를 수정하여 갱신하기 위해 관리항목에 있는 수정버튼을 선택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자 등이 선택한 특정 자산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출됨과 아울러, 운영자 등이 위치항목을 선택할 경우 변경할 수 있는 위치인 부서들이 트리구조의 카테고리로 표출되게 하고, 특정 위치 또는 부서를 선택할 경우에는 해당 위치나 부서에서 근무하는 사원들의 정보가 표출되게 하여 부서등록과 사원등록을 용이하게 수정하여 갱신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산에 대한 부서등록이나 사원등록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 무분별하게 수정됨으로 인하여 해당 자산을 사용하거나 관리하는 담당자의 파악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산에 대한 대여내역이나 수리내역과는 달리 그 수정권한을 소수의 운영자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상기 대여관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들의 대여 상황을 나타내는 대여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망상에서 접속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나 스마트 단말기(300)에 대여내역 리스트를 표출시킴으로써 운영자 등이 자산들의 대여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여내역 리스트를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품목명과, 자산명칭과, 시리얼 넘버와, 대여기간, 및 반납일 등의 정보와 함께 표출시킴과 아울러, 관리항목에서 각 자산에 대한 대여정보를 변경하거나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정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정버튼을 선택한 후 대여기간과, 반납일, 반납내역 등을 수정 입력함으로써 갱신된 최근의 대여정보를 대여내역 리스트에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리내역부(24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들의 수리정보를 수리내역 리스트의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나 스마트 단말기(300)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운영자 등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새로운 수리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존의 수리내역 리스트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리내역 리스트를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품목명과, 자산명칭과, 시리얼 넘버와, 수리 요청일, 및 수리일 등의 정보와 함께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나 스마트 단말기(300)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관리항목에서 각 자산에 대한 수리내역을 변경하거나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정버튼이 활성화되어 표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정버튼을 선택한 후 수리 요청일과, 요청내역, 수리일, 수리내역 및 수리금액 등을 수정 입력함으로써 갱신된 최근의 수리내역을 수리내역 리스트에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는 통신망 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시스템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과, 상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자산리스트와 대여내역 리스트와 수리내역 리스트 등을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로 구성되며, 휴대가 용이하고 데이터 처리 능력이 우수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300)는, 통신망 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 받은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리스트를 상기 자산관리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켜 자산의 현황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자산현황탐색부(31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리내역 리스트를 상기 수리내역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새로운 수리정보를 입력하여 수리내역을 갱신하는 자산수리등록부(3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여내역 리스트를 상기 대여관리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새로운 대여정보를 입력하여 대여내역을 갱신하는 자산대여등록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300)는 새로이 추가되거나 갱신되는 자산정보를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는 스마트등록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등록부(340)는 상기 관리시스템에 구비된 자산등록부와 동일하게 설정된 트리구조의 카테고리에 맞게 등록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면서도 자산관리의 통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등록부(340)는 등록하고자 하는 자산의 명칭과 시리얼 번호를 일일이 입력하여 자산을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산에 미리 부착된 RFID 태그에 부여되어 있는 시리얼 넘버를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것만으로 해당 자산의 기본적인 자산정보가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RFID 리더기로 RFID 태그를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자산의 등록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해당 자산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게 하여 자산등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산현황탐색부(3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에서 자산현황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처럼 자산리스트가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작게 제조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특성상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카테고리와 중위 카테고리 등 하나의 화면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출된 후 각 중위 카테고리를 선택할 경우 그 다음 페이지에서 하위 카테고리나 각 자산의 상세한 자산정보가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산수리등록부(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에서 자산수리등록 또는 자산수리관리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들의 수리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처럼 수리내역 리스트 자체가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작은 화면을 통하여 인식해야 하는 불편함을 고려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산들의 수리내역이 순차적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산의 수리내역을 새로이 등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산명칭과, 수리를 요청하는 요청일자와 요청내용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자산의 수리를 요청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산대여등록부(3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에서 자산대여등록 또는 자산대여관리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관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들의 대여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대여내역 리스트 자체가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표출되는 것처럼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보다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산들의 대여내역이 순차적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또한, 자산의 대여를 요청하기 위하여 등록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산명칭과 대여시작일과 대여종료일 및 대여내용을 등록함으로써 자산의 대여현황이 관리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갱신등록되어 자산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하고 자산리스트 등을 전송받기 위해, 상기 스마트등록부와 자산현황탐색부와 자산수리등록부와 자산대여등록부는 활성화되면서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시스템에 접속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인 자산관리 앱의 형태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산관리 앱은 스마트 단말기를 사용하는 운영자 등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시스템에의 접근 권한 인증을 요청하는 로그인 화면이 표출되고, 인증 받은 후에는 상기 관리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리스트와 대여내역 리스트와 수리내역 리스트 등을 수신하여 표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 들이 표출되어 격지에서도 자산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 관리시스템 210 - 자산등록부
220 - 자산관리부 230 - 대여관리부
240 - 수리내역부
300 - 스마트 단말기 310 - 자산현황탐색부
320 - 자산수리등록부 330 - 자산대여등록부
340 - 스마트등록부

Claims (5)

  1. 자산의 등록과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하며, 자산리스트를 탐색하여 자산정보를 확인하도록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통신망상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자산의 등록과 수정 및 갱신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신망상에서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로 갱신된 자산정보를 송출하여 표출시키는 관리시스템; 및
    통신망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한 후, 상기 관리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자산리스트와 같은 자산정보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자산관리 앱이 탑재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은,
    회사의 자산들을 일정한 카테고리별로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산등록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된 자산들의 상세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시켜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자산에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갱신정보를 수신하여 자산의 현황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자산관리부;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자산들의 대여 상황을 나타내는 대여정보를 표출하고, 갱신된 대여정보를 저장하는 대여관리부; 및
    상기 자산등록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자산들의 수리내역을 표출하고, 갱신된 수리내역을 저장하는 수리내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등록부는 자산이 위치하는 장소를 명확하게 등록하는 위치등록과, 그 자산을 사용하는 부서를 등록하는 부서등록, 및 일부 사원의 책임 하에 사용될 경우에는 해당 사원을 등록하는 사원등록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통신망 상에서 상기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인증 받은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자산리스트를 상기 자산관리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켜 자산의 현황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자산현황탐색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리내역 리스트를 상기 수리내역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새로운 수리정보를 입력하여 수리내역을 갱신하는 자산수리등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여내역 리스트를 상기 대여관리부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출시킴과 아울러, 새로운 대여정보를 입력하여 대여내역을 갱신하는 자산대여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새로이 추가되는 자산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등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등록부는 RFID 리더기로 자산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부여되어 있는 시리얼 넘버를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것만으로 해당 자산의 등록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해당 자산이 속하는 카테고리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KR1020130165170A 2013-12-27 2013-12-2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KR20150076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70A KR20150076675A (ko) 2013-12-27 2013-12-2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170A KR20150076675A (ko) 2013-12-27 2013-12-2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675A true KR20150076675A (ko) 2015-07-07

Family

ID=5378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170A KR20150076675A (ko) 2013-12-27 2013-12-27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66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0906A (zh) * 2022-03-04 2022-06-03 浙江卢苏库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资产设备信息管理方法及系统
KR20220072908A (ko) * 2020-11-25 2022-06-03 (주)소프트체인 자산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908A (ko) * 2020-11-25 2022-06-03 (주)소프트체인 자산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N114580906A (zh) * 2022-03-04 2022-06-03 浙江卢苏库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资产设备信息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2865B (zh) 标签管理方法及系统、信息提供方法及系统以及所使用的装置和标签
US10078805B2 (en) Operations manage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04641362B (zh) 管理一批电子装置
CN104737192B (zh) 用于处理产品和服务数据的促销方系统及方法
CN103493083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20130311892A1 (en) Digital business card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devices
JP2016024758A (ja) ポイント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13250934A (ja) 管理サーバ、情報配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登録端末
CN103886470A (zh) 基于云服务器的商品防伪实现方法及系统
JP2009129080A (ja) 匿名オンライン通販システム
US201800471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ly propagating an inventory of possessions and automating insurance claims
CN103067618A (zh) 来电显示方法及系统
JP2016206783A (ja) 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装置
KR101485813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39286A (ko) 검도 실시서 관리 시스템
KR20150076675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산관리시스템
JP6887153B2 (ja) 買物支援システム
US20150242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information across a plurality of information repositories
JP2015176310A (ja) 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
Chauhan et al. Food Ordering website “Cooked with care” developed using MERN stack
KR101632700B1 (ko) 재능 공유 시스템 장치 및 재능 공유 방법
CN101321076A (zh) 无线盘点系统与方法
KR20190058740A (ko) 사용자 별 확장 가능 관리 테이블을 이용한 erp 펑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erp 펑션 제공 시스템
CN103237095A (zh) 一种信息处理装置、系统和方法
JP202103374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