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580A -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580A
KR20150076580A KR1020130164956A KR20130164956A KR20150076580A KR 20150076580 A KR20150076580 A KR 20150076580A KR 1020130164956 A KR1020130164956 A KR 1020130164956A KR 20130164956 A KR20130164956 A KR 20130164956A KR 20150076580 A KR20150076580 A KR 20150076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ngle
foot
walk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117B1 (ko
Inventor
이응혁
엄수홍
장문석
이원영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4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117B1/ko
Priority to PCT/KR2014/011114 priority patent/WO2015099292A1/ko
Priority to US15/103,573 priority patent/US10456317B2/en
Publication of KR2015007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hand, wrist, gri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0Robotics, robotics mapping to robotics vision
    • G05B2219/40202Human robot coexist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0Robotics, robotics mapping to robotics vision
    • G05B2219/40305Exoskeleton, human robot interaction, extend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08Aid, robot for aid to, assist human disabl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09Excercise, coordination, therapy, rehabillitation robot for disabled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Ge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보행 재활자의 보행 단계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행 단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바닥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장치 및 상기 압력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발바닥의 압력을 기초로 보행의 이동시간과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길이를 추출하여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JOINT ANGLES VALUE OF KNEE JOINT REHABILITATION ROBOT}
본 발명은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 재활자의 보행 단계(gait phase)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행 단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개선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노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노인일수록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남은 생애동안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거동이 자유로운 노인의 경우, 매일 새벽에 가까운 약수터에 가거나 동네 어귀를 거닐면서 규칙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령이거나 질환을 가져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 야외에서 운동을 하는 것은 위험하고 어려운 일이다.
또한, 각종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중풍 등의 질환으로 신체를 잘 움직이지 못하는 재활환자에게는 가정에서라도 매일 정해진 시간 동안 규칙적으로 재활운동을 하는 것이 이전의 건강한 몸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몸체를 고정하여 직립보행운동을 하게 하는 로봇형 보행운동기구가 출시되어 있지만, 고가이다 보니 구입하기가 어렵다. 또한, 노약자나 재활환자 등이 손쉽게 몸체를 고정하여 안전하게 보행 및 주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운동기구가 필요하다.
고령자는 신체기능의 노화로 인하여 젊은 사람에 비해 기능적 차이가 발생한다. 기능적 차이는 신체 반응시간, 지연, 인지 기능의 감퇴, 평형감각 감소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고령자의 보행은 속도와 보장(step length), 보행 빈도, 관절 가동범위 및 각속도의 감소, 평형 감각 등이 제한적이게 된다.
고령자의 비정상적인 보행은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을 방해하는 큰 요인이며, 또한 낙상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이동의 불안함으로 사회참여에 수동적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고령자의 QOL(quality of life)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령자의 보행 재활이 필요하다.
고령자의 보행기능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통해 근력을 유지 및 증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보행자의 보행의 특성을 파악하여 적합한 재활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통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재활훈련을 수행하여야 한다. 재활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고령자가 의지할 수 있는 보조기구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보조기구는 반복 작업을 쉽게 구현할 수 있고, 환자의 자세를 대신 지탱하여 출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이고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제로 보조기구를 이용한 재활은 상완 재활 치료와 신경 재활치료에서 효과를 보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재활의학계에서는 보조 기구를 이용한 치료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및 비특허문헌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좌우 양측 전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다리와, 후방이 개방된 채널형으로 굴곡되면서 상기 다리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가진 하부 몸체;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하단이 착탈 및 높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로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수직프레임, 좌우로 서로 대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전방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프레임을 가진 상부 몸체; 및 보행자가 착용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에 연결되는 안전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고정구는 4개 이상의 고정대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보조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입력되는 근전도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는 센서부, 상기 분석된 근전도 신호를 통해서 근육 수축의 변화 정도에 따라 보행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생성된 보행신호를 이용하여 보행보조로봇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로봇을 이용한 재활은 상완 재활 치료와 신경 재활치료에서 효과적인 사례가 증가 하고 있어, 재활 의학계에서는 로봇을 이용한 치료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비특허문헌 1에는 로봇을 활용한 보행 재활로서 사용자의 보행에 맞게 작동하도록 제어기를 설계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3417호(2006.09.06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4571호(2012.06.19 공개)
J. Perry and J. Burnfield,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nd Edition, SLACK Incorporated, 2010.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행자의 보폭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어려워, 보행자의 보행에 맞게 보행보조기를 구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즉, 보행 재활은 보행자의 보행에 맞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데, 종래기술은 보행보조기를 보행자의 보행에 맞게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슬관절의 관절각 추정은 족저부에 압력센서(FSR : Force Sensing Resistor)를 활용한 방법, 각도 또는 각속도 센서(기울기, 가속도 또는 자이로 센서 등)를 활용한 방법, 비젼 시스템을 활용한 방법 등이 제시되었지만, 보행의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추정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추정대상 다리에서 압력센서를 활용하여 관절각을 추정할 수 있는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5개의 압력센서의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나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행의 이동시간,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길이 추정하고, 추정된 값은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추정하는데 사용되어 보행 시, 슬관절의 관절각을 유추하여 로봇의 제어변수로 사용하는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은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바닥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장치 및 상기 압력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발바닥의 압력을 기초로 보행의 이동시간과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길이를 추출하여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장치는 발바닥에 대응하여 마련된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각의 압력 값을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는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된 압력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압력 값에 대해 보행의 단계를 추정하는 압력 추출부, 상기 압력 추출부에서 추출된 추출 값에 따라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추정하여 보행 시,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력 추출부는 보행의 단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압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는 보행시 족압의 이동에 대응하여 발뒤꿈치에서 엄지 발가락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은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다수의 압력 센서를 적용하여 보행 중에 발바닥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감지된 압력 값을 압력 추출부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압력 추출부에서 보행 속도 및 보장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추출된 추출값에 따라 발바닥과 지면과의 각도를 유추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유추된 보행 시, 슬관절의 관절각에 따라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보행시 족압의 이동에 대응하여 발뒤꿈치에서 엄지 발가락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압력 센서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time는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FSR 센서이고, Timermax는 타이머 주기, FSRthreshold는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1'로 정의한 값, Dtime은 센서 측정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슬관절의 관절각은 슬관절의 각도 ≒ Footangle × 1.5로 설정되며, Footangle는 발과 지면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과 지면 사이의 각도 Footangle
Footangle = tan-1(S1_MD/(Foot_length × α))
에 의해 설정되며, S1_MD는 압력 센서 S1의 이동거리이고, Foot_length는 보행자의 발 길이(단위 : ㎝)이며, α는 각각의 압력 센서의 위치 상수(S1: 0, S2: 0.4, S3: 0.7, S4: 0.8, S5: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발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현하여 보행단계를 추정하고 보행의 단계와 슬관절의 상관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을 통해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보행 재활자의 보행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보행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를 위해 적용된 압력 센서의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인간의 보행을 단계적으로 구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다수의 일반인 보행을 동영상으로 찍어 프레임별로 분석한 도면,
도 7은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슬관절의 각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의족에 의한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압력 센서를 신발 깔창에 장착하여 보행단계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측정된 압력센서의 측정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발의 지지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측정된 슬관절의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보행은 크게 입각기(stance phase)와 유각기(swing phase)로 나뉜다. 입각기는 보행단계 중 60%를 차지하며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구간이다. 유각기는 보행단계 중 40%를 차지하며 발이 지면에서 떨어져 나가 스윙하고 다시 발이 지면에 붙는 구간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력센서의 배치에 따라 보행의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쉽게 추정 가능하므로, 보행단계의 구분은 압력센서(족압)를 이용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이고, 도 2는 보행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를 위해 적용된 압력 센서의 배치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은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바닥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장치(100) 및 상기 압력 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한 발바닥의 압력을 기초로 보행의 이동시간과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길이를 추출하여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측정장치(100)는 발바닥에 대응하여 마련된 압력 측정부(110) 및 상기 압력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각각의 압력 값을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200)로 전송하는 전송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측정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족압의 이동에 대응하여 발뒤꿈치부터 엄지 발가락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압력 센서(S1,S2,S3,S4,S5)는 예를 들어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전기 용량성 압력 센서를 신발의 깔창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S1,S2,S3,S4,S5)는 센서에 가해지는 힘의 변화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각각의 센서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보행단계의 순차적인 추정이 가능하다. 보행의 단계는 도 2와 같다. 통상 발이 지면에 닿는 시기는 입각기라 지칭하며 발의 뒷발 착지(Heel Strike)부터 앞발 착지(Forefoot Strike)로 순차적으로 족압이 이동되기 때문에 순차적인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족압 분포를 바탕으로 하여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압력 센서의 구성의 일 예로서, 5개의 압력 센서를 마련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족압이 이동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압력 센서의 수를 증가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부(120)는 상기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200)로 감지된 압력값을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전송부(120)는 보행자의 족압을 받지 않도록 보행자가 착용하는 신발의 측면 부분 등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된 압력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압력 값에 따라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수단(220)을 포함한다.
상기 관절각 추정수단(220)은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압력 값에 대해 보행의 단계를 추정하는 압력 추출부(221) 및 상기 압력 추출부(221)에서 추출된 추출 값에 따라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추정하여 보행 시,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 추출부(221)는 보행의 단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의 값을 시분할로 측정하여 보행단계를 추정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인간의 보행을 단계적으로 구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다수의 일반인 보행을 동영상으로 찍어 프레임별로 분석한 도면이고, 도 7은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와 슬관절의 각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의족에 의한 보행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압력 센서를 신발 깔창에 장착하여 보행단계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가 유연한 기판의 기능을 구비한 신발 깔창에 마련된다. 이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에 의해 보행 중에 발바닥의 압력이 감지된다(S10). 상기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는 각각 전송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송부(120)는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에서 각각 감지된 압력 값을 수신부(120)로 전송한다(S20).
본 발명에서는 족압의 압력 변화 시간 검출을 위해 5개의 압력센서(S1,S2,S3,S4,S5)의 값을 시분할로 측정하여 보행단계를 추정하였다(S30). 보행 속도(walking velocity) 및 보장(step length)의 추정 방법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이 같은 방법으로 5개의 압력 센서(S1,S2,S3,S4,S5)의 각각의 압력변화시간을 측정하면, 보행의 단계를 추정가능하며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시간(t)과 발의 길이(length)를 알기 때문에 보행 속도 및 보장(step length)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 수학식 1 ]
Figure pat00002
여기서, Fitime는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FSR 센서이고, Timermax는 타이머 주기, FSRthreshold는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1'로 정의한 값, Dtime은 센서 측정 주기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추정된 보행단계를 바탕으로 슬관절형 보행보조로봇의 관절각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인간의 보행 중 입각기는 동물에 빗대어 볼 때 4단계로 볼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틴어로 'calcaneograde'→'plantugrade'→'digigrade'→'unguligrade'으로 구분된다.
인간의 골격구조는 기구학적으로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근육으로 불안정한 골격구조를 보완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보행의 단계와 슬관절의 상관관계를 정량적 해석에 앞서 정성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정성적 해석은 도 6과 같이 다수의 일반인 보행을 동영상으로 찍어 프레임별 분석 방법과 'Perry'가 분석한 인간의 보행을 결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결과 입각기 중 'digigrade'의 단계가 시작될 때,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관절의 각도에 약 2배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의 입각기의 정보를 바탕으로 슬관절의 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식 2 내지 식 5에 의해 나타낸다.
[ 수학식 2 ]
W_S = Foot_length/(F5time - F1time)
여기서, 상기 W_S는 보행 속도이고, 상기 F5time은 도 3 및 도 7에서 압력 센서 S5가 지면에 접촉되는 시간이고, F1time은 도 3 및 도 7에서 압력 센서 S1가 지면에 접촉되는 시간이며, Foot_length는 보행자의 발 길이(단위 : ㎝)이다.
[ 수학식 3 ]
S1_MD = W_S × (F?'time - F1'time)
여기서, S1_MD은 압력 센서 S1의 이동거리이고, W_S는 보행 속도이고, F?'time는 도 3 및 도 7에서 압력 센서 S2~S5가 지면에서 이탈되는 시간이며, F1'time는 도 3 및 도 7에서 압력 센서 S1가 지면에서 이탈되는 시간이다.
[ 수학식 4 ]
Footangle = tan-1(S1_MD/(Foot_length × α))
여기서, Footangle는 발과 지면 사이의 각도이고, S1_MD는 압력 센서 S1의 이동거리이고, Foot_length는 보행자의 발 길이(단위 : ㎝)이며, α는 각각의 압력 센서의 위치 상수(S1: 0, S2: 0.4, S3: 0.7, S4: 0.8, S5: 1)이다.
[ 수학식 5 ]
슬관절의 각도 ≒ Footangle × 1.5
상기 수학식 2 내지 5에서 전제조건은 발목과 발은 수직 9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의 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가능한 이유는 'calcaneograde'→'plantugrade'으로 보행이 진행되면서 도 3에 도시된 압력 센서 S1와 S5의 압력변화의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자의 발 길이를 통해 이동거리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보행의 속도를 추측할 수 있다. 또, 'plantugrade'→'digigrade'으로 진행됨에 따라 발바닥이 지면과 떨어진 시간을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추측된 보행 속도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발바닥과 지면과의 각도를 유추한다(S40).
상기 단계 S40에서 유추된 각도는 슬관절의 각도 추정을 위해 수학식 5에 대입한다.
유추된 관절각을 바탕으로 보행을 하면 발목과 발이 항시 90°라는 전제조건이 있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 절단환자가 의족을 차고 걷는 것과 유사한 보행형태가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보행훈련로봇이 발목으로 유연하게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보행 훈련을 통해 정상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할 수 있다(S50).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측정된 압력센서의 측정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1은 발의 지지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측정된 슬관절의 각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력 센서 배치를 신발 깔창에 재현하여 보행의 단계를 추정하였다. 또한 수학식 2-5를 통하여 추정한 슬관절 로봇의 관절각도가 실제 슬관절의 각도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에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관성 센서를 부착하여 비교 검증 하였다.
도 9의 (a)는 도 3을 바탕으로 신발 깔창에 재현한 압력 측정장치이다.
도 10은 실제 측정한 보행단계 그래프이다. 'perry'가 선행 연구한 인간의 족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굴곡에 따라 압력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도 10과 도 11을 비교해보면 본 발명에서 측정한 족압은 바르게 측정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 로봇의 관절각과 실제 슬관절 관절각의 일치율을 확인하였다.
슬관절의 관절각을 측정하기 위해 도 9의 (b)와 같이 무릎에 관성센서를 부착하여 관절각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와 본 발명에서 제안한 관절각 추정과의 일치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3
도 9의 (b)와 같은 관성센서로 측정한 관절각과 본 발명에 따라 추정한 관절각과의 오차는 ±2.80°이고, 일치율은 89%을 보였다. 이와 같은 오차는 사람마다 보행패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제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의미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의 단계를 바탕으로 슬관절 로봇의 관절각 제어를 위해 관절각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발의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현하여 보행단계를 추정하고 보행의 단계와 슬관절의 상관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plantugrade>digigrade 구간에서 발바닥과 지면과의 각도가 슬관절의 관절각에 비해 약 2배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가정은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실제 관절각 대비 ±89% 일치율을 보였다. 이 수치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이 의미 있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을 증명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100 : 압력 측정장치
110 : 압력 측정부
200 : 관절각 추정장치
221 : 압력 추출부
222 ; 관절각 추정부

Claims (10)

  1.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의 발바닥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장치 및
    상기 압력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발바닥의 압력을 기초로 보행의 이동시간과 발바닥이 지면에 닿는 길이를 추출하여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장치는 발바닥에 대응하여 마련된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각의 압력 값을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각 추정장치는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된 압력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압력 값에 대해 보행의 단계를 추정하는 압력 추출부,
    상기 압력 추출부에서 추출된 추출 값에 따라 발바닥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추정하여 보행 시, 슬관절의 관절각을 추정하는 관절각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추출부는 보행의 단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압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는 보행시 족압의 이동에 대응하여 발뒤꿈치에서 엄지 발가락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6.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다수의 압력 센서를 적용하여 보행 중에 발바닥의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감지된 압력 값을 압력 추출부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압력 추출부에서 보행 속도 및 보장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추출된 추출값에 따라 발바닥과 지면과의 각도를 유추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유추된 보행 시, 슬관절의 관절각에 따라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보행시 족압의 이동에 대응하여 발뒤꿈치에서 엄지 발가락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압력 센서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하기 식 1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
    [식 1]
    Figure pat00004

    여기서, Fitime는 시간 임계치를 초과하는 FSR 센서이고, Timermax는 타이머 주기, FSRthreshold는 측정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면 '1'로 정의한 값, Dtime은 센서 측정 주기이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슬관절의 관절각은
    슬관절의 각도 ≒ Footangle × 1.5
    로 설정되며, Footangle는 발과 지면 사이의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과 지면 사이의 각도 Footangle
    Footangle = tan-1(S1_MD/(Foot_length × α))
    에 의해 설정되며, S1_MD는 압력 센서 S1의 이동거리이고, Foot_length는 보행자의 발 길이(단위 : ㎝)이며, α는 각각의 압력 센서의 위치 상수(S1: 0, S2: 0.4, S3: 0.7, S4: 0.8, S5: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방법.
KR1020130164956A 2013-12-27 2013-12-27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556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56A KR101556117B1 (ko) 2013-12-27 2013-12-27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CT/KR2014/011114 WO2015099292A1 (ko) 2013-12-27 2014-11-19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15/103,573 US10456317B2 (en) 2013-12-27 2014-11-1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ngle of knee-joint type walking training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56A KR101556117B1 (ko) 2013-12-27 2013-12-27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80A true KR20150076580A (ko) 2015-07-07
KR101556117B1 KR101556117B1 (ko) 2015-09-30

Family

ID=5347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56A KR101556117B1 (ko) 2013-12-27 2013-12-27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56317B2 (ko)
KR (1) KR101556117B1 (ko)
WO (1) WO201509929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332A (ko)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케이티 회복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회복상태 모니터링 방법
KR20190046509A (ko) * 2017-10-26 2019-05-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압을 이용한 보행보조장치의 제어방법
CN112959365A (zh) * 2021-03-18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机器人的状态检测方法及装置
KR20210093410A (ko) * 2020-01-17 2021-07-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KR20230018556A (ko) * 2021-07-30 2023-02-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각도 추정장치 및 그 추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18A (ko) * 2014-12-19 2016-06-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재활 로봇의 무게 중심 추정 시스템 및 방법
CN107998609A (zh) * 2018-01-04 2018-05-08 浙江大学城市学院 一种基于多传感器融合的辅助行走外骨骼机器人系统
KR102546547B1 (ko) * 2018-01-11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행 보조 방법 및 장치
CN108903947B (zh) * 2018-05-18 2020-07-17 深圳市丞辉威世智能科技有限公司 步态分析方法、步态分析装置以及可读存储介质
CN110755078B (zh) * 2019-10-29 2022-08-09 福建农林大学 基于置信度加权的膝关节运动疲劳评估预测系统及方法
KR102352537B1 (ko) * 2020-02-18 2022-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 시스템
CN111000568B (zh) * 2020-03-06 2021-07-30 深圳市丞辉威世智能科技有限公司 步态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920654A (zh) * 2020-09-02 2020-11-13 天津科技大学 一种可穿戴康复助行机器人自调节系统
CN112621770A (zh) * 2020-11-30 2021-04-09 宋承杰 一种智能仿生健身机器人
CN112947149A (zh) * 2021-01-28 2021-06-11 深圳市中医院 一种基于红外传感的智能膝关节状态监测系统及方法
CN113208583B (zh) * 2021-04-12 2022-05-27 华南理工大学 外骨骼辅助下的步态识别方法、介质和设备
CN113768760B (zh) * 2021-09-08 2022-12-2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助行器的控制方法、系统和驱动设备
CN117204993B (zh) * 2023-11-09 2024-02-27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智能假肢运动模式识别方法、装置、智能假肢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081A (ja) 2001-09-12 2003-03-25 Sharp Corp 歩行ロボット
KR100623417B1 (ko) 2006-02-21 2006-09-13 박홍재 노인 및 재활환자의 보행 보조 장치
KR100843311B1 (ko) 2007-03-30 2008-07-03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보행패턴을 이용한 보행로봇 제어용 연산데이터 생성방법
JP2010099418A (ja) * 2008-10-27 2010-05-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歩行パターン生成装置、歩行パターン生成方法、及び歩行パターン生成プログラム
EP2448540B1 (en) 2009-07-01 2019-04-24 Rex Bionics Limited Control system for a mobility aid
KR101171225B1 (ko) 2009-12-29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의도 추종형 보행보조 로봇용 센서 시스템
JP5494093B2 (ja) * 2010-03-25 2014-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補助装置
KR20120064571A (ko) 2010-12-09 2012-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보행보조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3075042A (ja) 2011-09-30 2013-04-25 Equos Research Co Ltd 脚部関節角度測定装置、歩行補助装置及び脚部関節角度測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332A (ko)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케이티 회복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회복상태 모니터링 방법
KR20190046509A (ko) * 2017-10-26 2019-05-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압을 이용한 보행보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93410A (ko) * 2020-01-17 2021-07-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형 자극부재를 이용하는 운동 보조 시스템
CN112959365A (zh) * 2021-03-18 2021-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机器人的状态检测方法及装置
KR20230018556A (ko) * 2021-07-30 2023-02-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관절 각도 추정장치 및 그 추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0342A1 (en) 2016-10-27
WO2015099292A1 (ko) 2015-07-02
KR101556117B1 (ko) 2015-09-30
US10456317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117B1 (ko) 슬관절형 보행훈련로봇의 관절각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80754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limb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weight load and joint angle as variables
Maffiuletti et al. Concurrent validity and intrasession reliability of the IDEEA accelerometry system for the quantification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da Costa et al. Single leg balancing in ballet: effects of shoe conditions and poses
WO2015164456A2 (en) Gait analysis devices, methods, and systems
Laudanski et al. Measurement of lower limb joint kinematics using inertial sensors during stair ascent and descent in healthy older adults and stroke survivors
US10052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unctional gait re-trainer for lower extremity pathology
US105246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errain and gait and predicting upcoming terrain
KR102010361B1 (ko) 사용자 보행 피드백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210153775A1 (en) Wearable gait start intention detection device
JP4390129B2 (ja) 足底圧を用いた下肢関節モーメント及び下肢筋張力の推定システム
Leporace et al. Prediction of 3D ground reaction forces during gait based on accelerometer data
Hughes et al. The value of tibial mounted inertial measurement units to quantify running kinetics in elite football (soccer) players. A reliability and agreement study using a research orientated and a clinically orientated system
Dinovitzer et al. Accurate real-time joint torque estimation for dynamic prediction of human locomotion
Park et 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gait pattern during stair walk for improvement of robotic locomotion rehabilitation system
KR20180031176A (ko) 근육의 특성에 대한 파라미터 식별 방법, 이를 이용한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10722149B2 (en) Real-time biofeedback rehabilitation tool guiding and illustrating foot placement for gait training
KR101968407B1 (ko) 저주파 자극 발보조기 장치
Thelen et al. Empirical assessment of dynamic hamstring function during human walking
KR101775480B1 (ko) 보행주기를 기반으로 하는 모션 캡쳐 장치 및 그 방법
Pergolini et al. Assessment of Sensorized Insoles in Balance and Gait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Fulk et al. Characterizing walking activity in people with stroke
Bergmann et al. A novel method for determining ground-referenced contacts during stair ascent: Comparing relative hip position to quiet standing hip height
Sayeed Methods and models in signal processing for gait analysis using waist-worn accelerometer: A contribution to Parkinson’s disease
KR102533785B1 (ko) 발-발목 생체되먹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