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351A - 철강 합금 - Google Patents

철강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351A
KR20150076351A KR1020130164037A KR20130164037A KR20150076351A KR 20150076351 A KR20150076351 A KR 20150076351A KR 1020130164037 A KR1020130164037 A KR 1020130164037A KR 20130164037 A KR20130164037 A KR 20130164037A KR 20150076351 A KR20150076351 A KR 2015007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raction
steel alloy
fcc
auste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석
이영주
양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351A/ko
Publication of KR2015007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Abstract

철강 합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 합금은 중량%로서, Mn: 20 내지 30wt%, Al: 10 내지 20wt%, C: 0.9 내지 2.0wt%, 및 잔부인 Fe와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강 합금{STEEL ALLOY}
본 발명은 철강 합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을 15wt% 이상 포함하여 저 비중을 갖되, 결정구조 내의 FCC 분율을 높게 유지하여 연신율이 우수한 철강 합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저 비중 합금의 일례로서, Fe를 주성분으로 하고, Al: 10~20wt%, Mn: 5~20wt%, C: 0.5~1wt%, Cr: 1~3wt%, Si: 1~3wt%를 조성으로 하며, 불순물인 P: 0.02% 이하, S: 0.01% 이하를 제한하여 조성된 저 비중 합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저 비중 합금은 비중이 7g/㎤에 가까우나, Al이 고함량 첨가됨으로써 BCC 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Al이 15wt% 첨가될 경우, 전자밀도나 상태도 상에서 볼 때, FCC가 형성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FCC 구조의 경우, 상온 연신율이 우수한 데, 종래, FCC 구조를 갖는 철강 합금의 최대 Al 함량은 9wt% 수준이며, 9wt% 이상의 Al이 첨가될 경우, BCC 구조가 나타나 연신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온 연신율이 우수한 FCC 구조를 유지하고, 기존 철강 대비 15% 이상 비중이 낮은 철강 합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로서, Mn: 20 내지 30wt%, Al: 10 내지 20wt%, C: 0.9 내지 2.0wt%, 및 잔부인 Fe와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하는, 철강 합금이 제공된다.
이 때, 내부의 결정구조가 FCC 구조인 조직이 9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CC 구조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K-carbid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FCC 구조에서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이 5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전자밀도가 0.562 내지 0.6일 수 있다.
또한, Ni, Cu, 및 Cr 중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5w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철강 합금에 의하면, 기존 철강 대비 15% 이상 비중이 낮으며, FCC 구조를 유지하여 상온 연신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자밀도와 결정구조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C 함량에 따른 XRD(X-Ray Diffraction)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Fe-28Mn-9Al-0.9C의 미세조직 및 EBSD 사진이다.
도 3b는 Fe-28Mn-15Al-0.9C의 미세조직 및 EBSD 사진이다.
도 3c는 Fe-28Mn-15Al-1.5C의 미세조직 및 EBSD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철강 합금의 경량화를 위해서는 종래 최대 9wt% 수준이던 알루미늄(Al)의 함량을 약 15wt% 이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Al이 9wt% 이상 첨가되는 경우, 철강 합금 내의 결정구조에서 BCC 분율이 증가함으로써 기계적 특성, 예를 들면, 상온 연신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 이러한 기계적 특성, 즉, 연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을 오스테나이트(Austenite)화하여야 한다. 조직을 오스테나이트화하는 방법은 크게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를 첨가하거나 페라이트(ferrite) 조직에서 나타나는 금속간화합물(intermetallic compound)의 형성을 억제하는 두 가지의 것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오스테나이트화하는 방법을 실험을 통해 적절히 조절하여, 경량이면서도 연신율이 극대화된 철강 합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출되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 합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 합금은 중량%로서, Mn: 20 내지 30%, Al: 10 내지 20%, C: 0.9~2.0%, 및 잔부인 Fe와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한다.
먼저, 망간(Mn)은 20 내지 30wt% 함유되도록 한다.
하기 [표 1]은 Mn 함량 저감에 따른 Ferrite 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Fe Mn Al C 합계 Ferrite 분율
wt% 58.5 25.0 15.0 1.5 100 2 vol%
at% 48.0 20.8 25.5 5.7 100
wt% 60.5 23.0 15.0 1.5 100 11 vol%
at% 49.6 19.2 25.5 5.7 100
wt% 63.5 20.0 15.0 1.5 100 24 vol%
at% 52.1 16.7 25.5 5.7 100
[표 1]을 참조하면, Mn 함량이 줄어듦에 따라 페라이트 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n 함량이 20wt%로 감소될 경우 페라이트 분율은 24vol%로 증가하며, Mn 함량이 25wt%일 경우에는 페라이트 분율이 무시할 만한 양으로 줄어든다.
하기 [표 2]는 Mn 함량에 따른 FCC 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Fe Mn Al C Y(wt%) Fe/Mn
원자비
전자밀도(calc.) FCC
상분율
72.1 12.0 15.0 0.9 - 5.91 0.556 24
67.1 17.0 15.0 0.9 - 3.88 0.553 32
56.1 28.0 15.0 0.9 - 1.97 0.545 46
[표 2]를 참조하면, M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n 함량을 증가하되, 후술되는 알루미늄(Al)의 고용도를 고려한 조성의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n 함량을 20 내지 30wt% 로 설계하는 것이 최적의 조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루미늄(Al)은 10 내지 20wt% 함유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의 고용도는 Mn이나 후술되는 다른 합금의 함량 조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다만, Al 함량이 9wt%에서 15wt%로 증가할 경우, 경량 합금은 실현되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라이트 분율, 즉, BCC 분율이 증가하며, 전자밀도 또한 0.598에서 0.557로 감소하게 된다.
Fe Mn Al C Fe/Mn 원자비 전자밀도 Ferrite 분율 (vol%)
62.1 28.0 9.0 0.9 2.18 0.598 2
56.1 28.0 15.0 0.9 1.97 0.557 45
55.5 28.0 15.0 1.5 1.95 0.564 0
55.0 28.0 15.0 2.0 1.93 0.571 7
도 1은 전자밀도와 결정구조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d 전이원소(Sc~Cu)/4d 전이원소(Y~Ag)/5d 전이원소(La~Au)의 FCC 구조의 안정화, 즉, FCC 상분율이 90% 이상 및 100% 미만인 경우의 전자밀도 값은 0.580~0.600 정도이며, 페라이트가 없는 조직의 경우(FCC 상분율이 100%)의 전자밀도 값은 0.550~0.580 정도이다.
Al이 15wt% 첨가될 경우, 전자밀도나 상태도 상에서 볼 때 FCC가 형성될 가능성은 매우 낮으나, 급냉 등 공정제어를 통해 페라이트를 최소화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례로, 후술되는 탄소(C)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고Al강을 실현하면서도 페라이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탄소(C)는 0.9 내지 2.0wt% 함유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Al 함량이 9wt%에서 15wt%로 증가할 경우, 합금의 BCC 분율이 증가한다.
그러나, 15 wt%의 Al이 포함된 고Al강에 C를 1.5wt% 이상 첨가할 경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라이트 분율이 급격하게 감소된다.
이 때의 전자밀도는 0.564 이상으로서, FCC 안정화를 위한 전자밀도인 0.6보다는 낮으나, 열처리 후 급속응고 과정을 통해 상온에서 페라이트를 형성하지 않는다면, 페라이트가 없는 조직의 경우 전자밀도의 최소값은 0.562이기 때문에 FCC 안정화가 가능해진다.
도 2는 C 함량에 따른 XRD(X-Ray Diffraction)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Fe-28Mn-9Al-0.9C의 미세조직 및 EBSD 사진이다. 도 3b는 Fe-28Mn-15Al-0.9C의 미세조직 및 EBSD 사진이다. 도 3c는 Fe-28Mn-15Al-1.5C의 미세조직 및 EBSD 사진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Al 함량이 9wt%이고, C 함량이 0.9wt%인 Fe-28Mn-9Al-0.9C에서는 이차상은 관찰되지 않으며, 100% 오스테나이트로 구성된 FCC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면, Al 함량이 15wt%이고, C 함량이 0.9wt%인 Fe-28Mn-15Al-0.9C에서는 FCC 구조와 BCC 구조가 혼재된 조직 구성을 갖는다.
도 2 및 도 3c를 참조하면, Al 함량이 15wt%이고, C 함량이 1.5wt%인 Fe-28Mn-15Al-1.5C에서는 오스테나이트와 K-carbide가 합쳐진 FCC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K-carbide는 오스테나이트 구조와 격자(lattice) 구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 합금은 Ni, Cu, 및 Cr 중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5w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니켈(Ni)은,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함량이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감소한다.
Fe Mn Al Ni C 전자
밀도
Fe/Mn
원자비
Austenite분율(%)
55.5 28.0 15.0 0.0 1.5 0.564 1.94995 55
54.5 28.0 15.0 1.0 1.5 0.566 1.914816 48
52.5 28.0 15.0 3.0 1.5 0.568 1.844547 47
50.5 28.0 15.0 5.0 1.5 0.571 1.774279 45
55.0 28.0 15.0 0.0 2.0 0.571 1.932383 63
54.0 28.0 15.0 1.0 2.0 0.572 1.897249 58
52.0 28.0 15.0 3.0 2.0 0.575 1.82698 54
50.0 28.0 15.0 5.0 2.0 0.578 1.756712 62
그러나, 이는 Ni 첨가에 의한 전자밀도 효과보다 Ni에 의한 자화(magnetization) 증가로 인하여 FCC 상이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Ni의 경우, 30wt% 첨가 시까지는 자화가 감소한다.
구리(Cu)는,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0.9C, 1.5C 합금에서는 오스테나이트 분율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C 합금에서는 Cu가 오스테나이트 분율을 급격히 낮춘다.
Fe Mn Al C Y(wt.%) Fe/Mn 원자비 전자
밀도
Austenite분율
55.5 28.0 15.0 1.5 - 1.95 0.564 100
54.5 28.0 15.0 1.5 Cu(1.0) 1.91 0.566 99
52.5 28.0 15.0 1.5 Cu(3.0) 1.84 0.570 75
50.5 28.0 15.0 1.5 Cu(5.0) 1.77 0.573 -
55.0 28.0 15.0 2.0 - 1.93 0.571 93
54.0 28.0 15.0 2.0 Cu(1.0) 1.90 0.573 65
52.0 28.0 15.0 2.0 Cu(3.0) 1.83 0.576 32
50.0 28.0 15.0 2.0 Cu(5.0) 1.76 0.580 60
56.1 28.0 15.0 0.9 - 1.97 0.557 69
55.1 28.0 15.0 0.9 Cu(1.0) 1.94 0.558 58
53.1 28.0 15.0 0.9 Cu(3.0) 1.87 0.562 61
51.1 28.0 15.0 0.9 Cu(5.0) 1.79 0.566 42
62.1 28.0 9.0 0.9 - 2.18 0.598 98
따라서, Cu 첨가 시 Mn이나 C 등 자기특성과 구조인자에 영향을 주는 기타 원소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합금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크롬(Cr)은,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밀도를 낮춤에도 불구하고 1wt% 이내의 첨가는 오스테나이트 분율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3wt% 이상이 첨가되면 오스테나이트 분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Fe Mn Al C Y(wt.%) Fe/Mn 원자비 전자
밀도
Austenite
분율
54.5 28.0 15.0 1.5 Cr(1.0) 1.88 0.562 100
52.5 28.0 15.0 1.5 Cr(3.0) 1.73 0.556 67
50.5 28.0 15.0 1.5 Cr(5.0) 1.59 0.551 28
54.0 28.0 15.0 2.0 Cr(1.0) 1.86 0.568 97
52.0 28.0 15.0 2.0 Cr(3.0) 1.71 0.563 52
50.0 28.0 15.0 2.0 Cr(5.0) 1.57 0.557 38
55.1 28.0 15.0 0.9 Cr(1.0) 1.90 0.554 56
53.1 28.0 15.0 0.9 Cr(3.0) 1.75 0.549 26
51.1 28.0 15.0 0.9 Cr(5.0) 1.61 0.543 65
다만, 고농도의 Cr이 첨가된 경우, carbide 형성에 의해 C 효과 저하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강 합금에 의하면, 기존 철강 대비 15% 이상 비중이 낮으며, FCC 구조를 유지하여 상온 연신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6)

  1. 중량%로서, Mn: 20 내지 30wt%, Al: 10 내지 20wt%, C: 0.9 내지 2.0wt%, 및 잔부인 Fe와 불가피 불순물을 포함하는, 철강 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의 결정구조가 FCC 구조인 조직이 90% 이상인, 철강 합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FCC 구조를 안정화하기 위한 전자밀도 값은 0.550 내지 0.6인, 철강 합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CC 구조는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K-carbide를 포함하는 것인, 철강 합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FCC 구조에서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이 50% 이상인, 철강 합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i, Cu, 및 Cr 중 적어도 하나를 0.1 내지 5wt%를 더 포함하는, 철강 합금.
KR1020130164037A 2013-12-26 2013-12-26 철강 합금 KR20150076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37A KR20150076351A (ko) 2013-12-26 2013-12-26 철강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37A KR20150076351A (ko) 2013-12-26 2013-12-26 철강 합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51A true KR20150076351A (ko) 2015-07-07

Family

ID=5378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037A KR20150076351A (ko) 2013-12-26 2013-12-26 철강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63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6904A (zh) * 2019-04-29 2019-07-30 武钢集团昆明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韧性轻量化工具钢及其制备方法
KR20200123343A (ko) * 2019-04-19 2020-10-29 한국기계연구원 초경량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343A (ko) * 2019-04-19 2020-10-29 한국기계연구원 초경량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0066904A (zh) * 2019-04-29 2019-07-30 武钢集团昆明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韧性轻量化工具钢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510B1 (ko) 내식성이 우수한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303B1 (ko) 고강도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TWI595100B (zh) 奈米晶粒磁性合金及其熱處理方法
KR101783242B1 (ko) 침입형 고용강화 고 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302B1 (ko) 비자성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2014515436A5 (ko)
CN110300811B (zh) Ni基合金、燃气轮机材料和制造Ni基合金的方法
KR102299835B1 (ko) Fe-Si 베이스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45464A (ko) 800 MPa 등급의 핫 스탬프 액슬 하우징 스틸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6434A (ko) Al-Mg-Si계 경화성 알루미늄 합금
KR20150076351A (ko) 철강 합금
KR20160077523A (ko) 전자기 특성이 우수한 연자성 강재, 연자성 강 부품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0641577B1 (ko) 고망간 및 고질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US11651879B2 (en) Fe-based soft magnetic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215373A1 (en) Wear resistant alloy
JPS6130643A (ja) 加工性の良好な硬質形状記憶合金
KR20190038014A (ko) Fe계 나노결정립 합금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KR20200075656A (ko) 고강도 스테인리스강
KR101816439B1 (ko) 고강도 저탄소 경량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0738A (ko) 스테인리스강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815B1 (ko) 크롬(Cr) 저감을 통한 상온 및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JP2020035781A (ja) 永久磁石の製造方法
US11447843B2 (en) Resettable alloy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WO2023176791A1 (ja) 鉄鋳物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20200058639A (ko) 열간가공성 및 인장 특성이 우수한 보론 함유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