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974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974A
KR20150075974A KR1020130164463A KR20130164463A KR20150075974A KR 20150075974 A KR20150075974 A KR 20150075974A KR 1020130164463 A KR1020130164463 A KR 1020130164463A KR 20130164463 A KR20130164463 A KR 20130164463A KR 20150075974 A KR20150075974 A KR 2015007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housing
filling groove
widt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구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974A/ko
Publication of KR2015007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기 렌즈 배럴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충전홈;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상기 접착제충전홈의 내부에 충전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S}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복수의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및 렌즈 배럴을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과 회로기판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1436호(2011. 03. 04, 카메라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접착제가 충전될 수 있는 접착제충전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기 렌즈 배럴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충전홈;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상기 접착제충전홈의 내부에 충전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접착제충전홈의 내부 측면은 상기 접착제충전홈이 깊이에 따라 폭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충전홈은, 상기 하우징 하면의 내측 모서리와 외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제충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은 상기 하우징 하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하우징 하면의 외측 모서리 사이의 폭 및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하우징 하면의 내측 모서리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의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충전홈은, 상기 하우징 하면의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2 접착제충전홈; 및 상기 하우징 하면의 외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3 접착제충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제3 접착제충전홈은 상호간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제3 접착제충전홈 사이의 폭은 상기 제2 접착제충전홈의 폭과 상기 제3 접착제충전홈의 폭을 합한 수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착제충전홈에 의해 하우징의 접착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하우징과 회로기판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이 외부 충격에 의해 회로기판으로부터 탈락되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접착제충전홈에 충전됨으로써, 하우징과 회로기판 사이에 접착제가 과다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다 도포된 접착제가 이미지 센서 등으로 넘쳐 흘러 간섭을 일으키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하우징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일 예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하우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하우징의 다른 예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100), 렌즈 배럴(110), 이미지 센서(120), 회로기판(130) 및 하우징(140)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100)가 수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0)는 렌즈(100)를 통과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서(120)는 회로기판(130)의 상면에 실장됨으로써, 이미지 센서(120)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회로기판(1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은 외부 출력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기판(130)의 외부 출력단자는 이미지 센서(120)에서 전송된 전기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40)의 상부에는 렌즈 배럴(11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110)은 하우징(140)의 내부 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 배럴(110)의 외부 측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하우징(140)의 내부 측면에는 렌즈 배럴(110)의 수나사부에 치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이미지 센서(120)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회로기판(130)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 결과, 렌즈(100)를 통과한 광 신호는 이미지 센서(120)로 입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하우징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40)의 하면에는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은 하우징(140)의 하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은 하우징(140)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120)를 중심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40)의 하면과 마찬가지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은 하우징(140) 하면의 내측 모서리와 외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40) 하면은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을 기준으로 제1 접착제충전홈(141a)에서 하우징(140) 하면의 내측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제1 영역(143) 및 제1 접착제충전홈(141a)에서 하우징(140) 하면의 외측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제2 영역(145)으로 구분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의 상면과 하우징(140)의 하면 사이에는 제1 접착층(150)이 개재된다.
하지만, 하우징(140)의 하면 중 일부 영역에는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착층(150)이 하우징(140)의 하면에 실제 접착되는 영역은 제1 영역(143)과 제2 영역(145)으로 제한된다. 그 대신, 제1 접착제충전홈(141a)에는 제2 접착층(160)이 충전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60)은 제1 접착층(150)과 동일한 성분의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40)의 하면에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하우징(140)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 즉 접착 면적은 제1 영역(143),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내부 상면 및 제2 영역(145) 외에 추가적으로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내부 양 측면을 포함함으로써, 하우징(140)과 회로기판(13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기판(130) 또는 하우징(14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140)이 회로기판(130)으로부터 탈락되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제1 접착제충전홈(141a)에 충전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30)과 하우징(140)을 상호간에 접착함으로써, 회로기판(130)과 하우징(140)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접착제가 과다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다 도포된 접착제가 이미지 센서(120) 등으로 넘쳐 흘러 간섭을 일으키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은 하우징(140) 하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은 하우징(140) 하면의 중앙에 배치되면, 제1 영역(143)의 폭(w1) 및 제2 영역(145)의 폭(w3)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143)의 폭(w1) 및 제2 영역(145)의 폭(w3)이 동일하게 형성되면, 제1 영역(143)의 폭(w1) 또는 제2 영역(145)의 폭(w3) 중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영역(143) 또는 제2 영역(145)에서 하우징(140)의 강도가 낮아져 약한 충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영역(143)의 폭(w1)은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폭(w2)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2 영역(145)의 폭(w3)도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폭(w2)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영역(143) 또는 제2 영역(145)에서 하우징(140)의 강도가 낮아져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의 일 예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은 직사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도 2의 경우와 달리 사다리꼴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내부 측면은,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폭이 입구에서 내부 상면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내부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이 직사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140)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 즉 접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보여주기 위하여,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이 직사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경우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제1 접착제충전홈(141a)의 내부에 충전되는 제2 접착층(160)의 하중에 의해 경사진 내부 측면에 가해지는 수직항력이 발생함으로써, 제1 접착제충전홈(141a)과 제2 접착층(16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접착층(160)이 경화되기 전에 제1 접착제충전홈(14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하우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40)의 하면에는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은 하우징(140)의 하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은 하우징(140)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120)를 중심으로 고리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40)의 하면과 마찬가지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은 하우징(140) 하면의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은 하우징(140) 하면의 외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40) 하면은 제2 접착제충전홈(141b)에서 제3 접착제충전홈(141c)까지 연장되는 제3 영역(14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기판(130)의 상면과 하우징(140)의 하면 사이에는 제1 접착층(150)이 개재된다.
하지만, 하우징(140)의 하면 중 일부 영역에는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c)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착층(150)이 하우징(140)의 하면에 실제 접착되는 영역은 제3 영역(147)으로 제한된다. 그 대신,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에는 제2 접착층(160)이 충전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60)은 제1 접착층(150)과 동일한 성분의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40)의 하면에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하우징(140)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 즉 접착 면적은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내부 상면, 제3 영역(147)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내부 상면 외에 추가적으로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내부 측면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내부 측면을 포함함으로써, 하우징(140)과 회로기판(13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회로기판(130) 또는 하우징(14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140)이 회로기판(130)으로부터 탈락되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에 충전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30)과 하우징(140)을 상호간에 접착함으로써, 회로기판(130)과 하우징(140)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접착제가 과다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다 도포된 접착제가 이미지 센서(120) 등으로 넘쳐 흘러 간섭을 일으키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은 상호간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폭(w4)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폭(w6)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폭(w4)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폭(w6)이 동일하게 형성되면,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폭(w4) 또는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폭(w6) 중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또는 제3 접착제충전홈(141C)에 접착제가 과다 충전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3 영역(147)의 폭(w5)은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폭(w4)과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폭(w6)을 합한 수치(w4+w6)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 영역(147)에서 하우징(140)의 강도가 낮아져 약한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의 다른 예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은 직사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도 4의 경우와 달리 사다리꼴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내부 측면은, 제2 접착제충전홈(141b)의 폭이 입구에서 내부 상면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내부 측면은,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폭이 입구에서 내부 상면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내부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이 직사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하우징(140)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영역, 즉 접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보여주기 위하여,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이 직사각형의 수직 단면을 가지는 경우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의 내부에 충전되는 제2 접착층(160)의 하중에 의해 경사진 내부 측면에 가해지는 수직항력이 발생함으로써,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과 제2 접착층(16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접착층(160)이 경화되기 전에 제2 접착제충전홈(141b) 및 제3 접착제충전홈(141c)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이 소형화됨에 따라 하우징의 하면 폭이 좁아지는 경우에도 하우징의 접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하우징과 회로기판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과다 도포된 접착제는 접착제충전홈으로 스며들 수 있으므로, 과다 도포된 접착제가 이미지 센서 등으로 넘쳐 흘러 간섭을 일으키는 불량 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렌즈
110: 렌즈 배럴
120: 이미지 센서
130: 회로기판
140: 하우징
141a, 141b, 141c: 접착제충전홈
143: 제1 영역
145: 제2 영역
147: 제3 영역
150: 제1 접착층
160: 제2 접착층

Claims (8)

  1. 렌즈;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를 통과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상기 렌즈 배럴이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접착제충전홈;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상기 접착제충전홈의 내부에 충전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충전홈의 내부 측면은 상기 접착제충전홈이 깊이에 따라 폭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충전홈은,
    상기 하우징 하면의 내측 모서리와 외측 모서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제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은 상기 하우징 하면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하우징 하면의 외측 모서리 사이의 폭 및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하우징 하면의 내측 모서리 사이의 폭은 상기 제1 접착제충전홈의 폭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충전홈은,
    상기 하우징 하면의 내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2 접착제충전홈; 및
    상기 하우징 하면의 외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3 접착제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제3 접착제충전홈은 상호간에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6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제충전홈과 상기 제3 접착제충전홈 사이의 폭은 상기 제2 접착제충전홈의 폭과 상기 제3 접착제충전홈의 폭을 합한 수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30164463A 2013-12-26 2013-12-26 카메라 모듈 KR20150075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463A KR20150075974A (ko) 2013-12-26 2013-12-26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463A KR20150075974A (ko) 2013-12-26 2013-12-2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74A true KR20150075974A (ko) 2015-07-06

Family

ID=5378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463A KR20150075974A (ko) 2013-12-26 2013-12-2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9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7826A (zh) * 2017-01-04 2018-07-1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7826A (zh) * 2017-01-04 2018-07-1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299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80297645A1 (en) Camera module with compact packaging of image sensor ch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4114480B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设备
US20120268644A9 (en) Camera module
CN101771057A (zh) 相机模组
CN101285921A (zh) 成像模组
CN110233955A (zh) 一种影像模组及其感光芯片封装结构及方法
US11029482B2 (en) Pressing ring and lens module
TW201516494A (zh) 顯示裝置
KR20100009339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US20080075456A1 (en) Digital camera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with same
US10288834B2 (en) Lens module
KR20140002171U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수 구조
US20200049932A1 (en) Lens module
US20200092449A1 (en) Dual camera module
US20080252776A1 (en) Camera module
KR20220068970A (ko) 카메라 모듈
KR10263822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50075974A (ko) 카메라 모듈
KR102400658B1 (ko) 카메라 모듈
KR10266963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97867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mage capturing module thereof
US20220304145A1 (en) Lens module of reduced size and electronic device
US11543568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amera module
KR101795739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