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25B1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25B1
KR102638225B1 KR1020160038653A KR20160038653A KR102638225B1 KR 102638225 B1 KR102638225 B1 KR 102638225B1 KR 1020160038653 A KR1020160038653 A KR 1020160038653A KR 20160038653 A KR20160038653 A KR 20160038653A KR 102638225 B1 KR102638225 B1 KR 10263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ircuit board
imaging unit
adhesive member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098A (ko
Inventor
이철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25B1/ko
Priority to PCT/KR2017/003396 priority patent/WO2017171388A1/ko
Priority to US16/089,549 priority patent/US10962733B2/en
Priority to CN201780022425.4A priority patent/CN108885324B/zh
Priority to CN202111463449.8A priority patent/CN114114480B/zh
Publication of KR2017011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098A/ko
Priority to US17/193,424 priority patent/US118679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75Arrays characterized by non-optical structures, e.g. having integrated holding or alignmen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제1 촬상부, 제2 촬상부, 및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결합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은 하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홀더, 상기 돌출부 주위의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과 상기 관통홀 주위의 상기 홀더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관통홀 아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은 상기 제1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은 상기 제2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컴퓨터, 노트북 또는 차량 등에는 주변의 영상 정보를 보여주거나 촬영 등을 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슬림화,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의 소형화됨에 따라 소형이고 경량이면서 고화질의 카메라가 요구된다.
특히 자동차나 감시 카메라(CCTV)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경우, 주위의 영상 정보를 광범위하게 얻기 위한 광각의 광학계가 요구되며, 어두운 환경에서도 촬상 대상의 구분이 용이하게 밝은 광학계의 설계가 요구된다.
실시 예는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간의 광축의 틀어짐을 억제하고,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촬상부; 제2 촬상부; 및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결합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은 하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홀더; 상기 돌출부 주위의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과 상기 관통홀 주위의 상기 홀더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관통홀 아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은 상기 제1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은 상기 제2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과 결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회로 기판 및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접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몸체의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몸체의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감싸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회로 기판의 측면 및 홀더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홀더의 하면에는 결합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으로 개방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상부의 홀더의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촬상부의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의 제1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촬상부의 홀더의 결합 돌기는 상기 제2 촬상부의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의 제2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은 절연판 및 동박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촬상부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촬상부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과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 또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열 전도성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상기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간의 광축의 틀어짐을 억제하고,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I-I'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도 1의 렌즈 어레이, 렌즈 배럴, 및 고정부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의 Ⅱ-Ⅱ'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a의 렌즈 배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d는 도 3a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홀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홀더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홀더의 수용홈에 배치된 필터를 나타낸다.
도 5는 홀더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은 렌즈 배럴을 홀더의 지지부에 부착 또는 고정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접착 부재를 나타낸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 기판, 이미지 센서, 필터, 제3 접착 부재, 및 커넥터의 제1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회로 기판, 이미지 센서, 필터, 제3 접착 부재, 및 커넥터의 제2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홀더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홀더의 CD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홀더의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를 나타낸다.
도 18a는 홀더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강 접착 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8b는 홀더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강 접착 부재 및 제2 보강 접착 부재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a는 도 20에 도시된 받침부의 제1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b는 도 20에 도시된 받침부의 제2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회로 기판의 다른 실시 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성 테이프를 나타낸다.
도 24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광축(OA)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00)의 I-I'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a는 도 1의 렌즈 어레이(110), 렌즈 배럴(120), 및 고정부(125)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b는 도 3a의 Ⅱ-Ⅱ'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c는 도 3a의 렌즈 배럴(1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d는 도 3a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Lens Barrel, 110), 렌즈 어레이(Lens Array, 120), 고정부(retainer, 125), 홀더(Holder, 130), 제1 접착 부재(140), 회로 기판(150),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160), 필터(Filter, 170), 및 커넥터(Connector, 180)를 포함한다.
렌즈 어레이(120)는 렌즈 배럴(110) 내에 배치 또는 장착되며, 외부의 광을 이미지 센서(160)로 집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렌즈 어레이(120)는 복수의 렌즈들(120-1 내지 12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들(120-1 내지 120-5)은 렌즈 배럴(120) 내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렌즈 배럴(110)은 광이 입사되는 제1 개구(301), 제1 개구(301)로 입사된 광이 통과하는 관통구(302), 및 관통구(302)를 통과한 광이 이미지 센서(160)로 출사되는 제2 개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구(301) 및 제2 개구(302) 각각의 형상을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렌즈 배럴(110)의 관통구(302)는 제1 개구(301)에서 제2 개구(302) 방향으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렌즈 안착부들(P1 내지 P3)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렌즈 안착부들(P1 내지 P3)의 직경은 제1 개구(301)에서 제2 개구(302)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배럴(110)은 일단에 제1 개구(301)가 마련되고 제1 직경을 갖는 관통부를 갖는 제1 렌즈 안착부(P1), 일단이 제1 렌즈 안착부(P1)와 연결되고 제2 직경을 갖는 관통부를 갖는 제2 렌즈 안착부(P2), 및 일단이 제2 렌즈 안착부(P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 단에 제2 개구(302)가 마련되는 제3 렌즈 안착부(P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렌즈들(120-1 내지 120-5)은 렌즈 배럴(110)의 제1 내지 제3 렌즈 안착부들(P1 내지 P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안착부들(P1 내지 P3)에는 제1 내지 제5 렌즈들을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들(111 내지 114)이 마련될 수 있다.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는 제1 안착부(P1)의 하면(32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며, 제3 안착부(P3)는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으로부터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는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으로부터 돌출된 렌즈 배럴(110)의 하단에 위치하는 돌출부일 수 있다.
렌즈 배럴(110)은 플라스틱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110)의 안착부(P1 내지 P3)와 렌즈들(120-1 내지 120-5)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O-Ring, 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안착부(P1)와 제1 렌즈(120-1) 사이에 오링(31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오링(310)은 외부와 대면하는 렌즈 배럴(110)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양자 간의 틈을 막아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0)는 기설정된 광각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120-1 내지 120-5)은 광각(wide angle)을 구현할 수 있도록 렌즈들의 곡률, 렌즈들 사이의 이격 거리 등이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120-1)의 입사면 및 출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고, 제2 렌즈(120-2)의 입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고, 출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오목할 수 있고, 제3 렌즈(120-3)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모두 상측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고, 제4 렌즈(120-4)의 입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고, 출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고, 제5 렌즈(120-5)의 입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고, 출사면은 상측 방향으로 오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광각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방향은 렌즈 배럴(11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표준 렌즈의 초점 거리(예컨대, 40mm ~ 60mm)보다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며, 표준 렌즈의 화각보다 더 넓은 화각(예컨대, 180°이상)을 제공하는 광각 렌즈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미지 센서(16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는 제1 렌즈(120-1)는 다른 나머지 렌즈들(예컨대, 120-2 내지 120-5)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측 방향으로 볼록한 출사면을 갖는 렌즈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광각 렌즈인 렌즈 어레이(120)의 무게는 표준 렌즈보다 무겁고, 렌즈 배럴(120)의 제1 안착부(P1)로부터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고정부(125)는 렌즈 배럴(110)의 상단에 결합하며, 렌즈 배럴(110)에 배치되는 렌즈 어레이(120)가 렌즈 배럴(11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렌즈 어레이(120)를 고정시키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렌즈 어레이를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125)는 최상단의 제1 안착부(P1)에 배치되는 제1 렌즈(120-1)와 접촉하며, 제1 렌즈(120-1)가 렌즈 배럴(11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 렌즈(120-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125)는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높은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고정부(125)는 렌즈 배럴(110)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 예컨대, 중공을 갖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고정부(125)는 렌즈 배럴(11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 안착부(P1)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결합부(125a) 및 렌즈 어레이(120)의 렌즈(예컨대, 120-1)의 가장 자리를 지지하도록 결합부(125a)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배럴(110)의 제1 안착부(P1)의 외주면에는 나사선(321)이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부(125)의 결합부(125a)는 내주면에 렌즈 배럴(110)의 제1 안착부(P1)의 나사선(321)과 결합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절곡부(125b)의 최상단은 렌즈 배럴(110)의 최상단, 예컨대, 제1 안착부(P1)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렌즈(120)의 출사면은 절곡부(125b)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25)의 외주면에는 오링(210)이 결합되는 링 형상의 홈(212)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는 고정부(125)와 렌즈 배럴(110)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d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129)는 서로 결합된 렌즈 배럴(110)의 제1 안착부(P1)의 나사선(321)의 하단과 고정부(125)의 결합부(125a)의 나사선의 하단에 접하도록 렌즈 배럴(110)의 제1 안착부(P1)의 하면(322)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부재(129)는 고정부(125)와 렌즈 배럴(110)이 나사선 결합된 후에, 나사선 결합 부위에 에폭시 등의 접합 물질을 에어 밴트 실링(seal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129)는 서로 결합된 고정부(125)와 렌즈 배럴(110)이 분리되거나 또는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125)의 절곡부(125b)는 결합부(125a)의 일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될 수 있고, 절곡부(125b)의 일단은 제1 렌즈(120-1)의 가장 자리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20)의 제1 렌즈(120-1)는 제1 안착부(P1) 및 고정부(125)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제1 렌즈(120-1)는 제1 안착부(P1)의 일단과 고정부(125)의 지지부(125b)로부터 밖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180° 이상의 광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홀더(13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홀더(130)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홀더(130)는 렌즈 배럴(110)을 지지 및 고정하며, 회로 기판(150),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160), 및 필터(Filter, 170)를 수용한다.
홀더(130)는 계단 구조를 갖는 렌즈 배럴(110) 하단의 돌출부(예컨대, P3)가 삽입되는 관통 홀(131)을 가지며, 관통 홀(131) 주변의 홀더(130) 상면의 일 영역은 돌출부 주위의 홀더(130)의 하면의 일 영역을 지지한다.
예컨대, 홀더(130)는 몸체부(130a), 몸체부(130a) 상에 위치하는 지지부(130b), 및 몸체부(130a)와 지지부(130b)를 관통하는 관통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0a)는 회로 기판(50), 이미지 센서(160), 필터(170)를 수용한다.
지지부(130b)는 몸체부(130a)의 상면에 배치되며, 렌즈 배럴(110)을 지지한다. 지지부(130b)는 몸체부(130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원통형, 타원형 또는 다면체의 형상의 가질 수 있다.
홀더(130)의 관통홀(131)에는 렌즈 배럴(110)의 하단의 돌출부, 또는 렌즈 배럴(110)의 안착부들(P1 내지 P3)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3 안착부(P3)가 삽입된다.
관통홀(131)은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가 삽입되는 제1 개구(131a), 및 필터(170)에 인접하고 필터(170)를 노출하는 제2 개구(131b)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31)은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의 외주면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예컨대, 관통홀(131)은 원통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홀(131)의 직경(d2)은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의 외주면의 직경(d1)보다 크다(d2>d1). 이는 후술하는 렌즈 어레이(120)의 초점을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하기 위하여, 관통홀(131)에 삽입된 제3 안착부(P3)의 외주면이 관통홀(131)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부(130b)에 해당하는 관통홀(131)의 깊이(H2)는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의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H1)보다 클 수 있다. 이는 관통홀(131)에 삽입된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가 필터(17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통홀(131)에 삽입된 렌즈 배럴(110)의 돌출부, 예컨대, 제3 안착부(P3)의 하면은 필터(170)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홀더(130)의 몸체부(130a)와 지지부(130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130)의 몸체부(130a)의 하면에는 필터(170)를 수용하는 수용홈(13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홈(132)은 지지부(130b)의 관통홀(131)의 제2 개구에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홀더(130)의 수용홈(132)에 배치된 필터(170)를 나타낸다. 도 4c를 참조하면, 필터(170)는 수용홈(132)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 등을 통하여 수용홈(13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130a)의 하면에는 회로 기판(150)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35a, 135b)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c에는 2개의 결합 돌기(135a,135b)를 도시하지만,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40)는 렌즈 배럴(110)과 홀더(130)를 서로 결합, 고정시킨다.
제1 접착 부재(140)는 관통홀(131)에 삽입된 렌즈 배럴(110)의 돌출부(131) 주위의 하면(324)과 홀더의 상부면, 예컨대, 지지부(130b)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홀더(130)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140)를 나타낸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접착 부재(140)는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는 관통홀(131) 주위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는 관통홀(131) 주위를 감싸도록 지지부(130b)의 상면(410) 상에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에는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부가 채워지는 제1 홈(410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홈(410a)은 관통홀(131) 주위의 지지부(130b)의 상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31) 주위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부가 제1 홈(410a) 내에 채워지고, 제1 홈(410a) 내에 일부가 채워진 제1 접착 부재(140)와 홀더(130)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140)는 경화성 접착 부재, 예컨대, UV 및 열에 의하여 완전 경화되는 듀얼 경화성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는 UV 및 열 경화성 에폭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접착 부재(140)는 UV 경화성 접착 부재, 또는 열 경화성 접착 부재일 수도 있다.
제1 접착 부재(140)는 경화 이전에는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물질을 UV에 의하여 제1차 경화하면 유동성을 갖는 상태로 가경화될 수 있고, 후술하는 액티브 얼라인을 완료한 후에 열 경화에 의하여 접착 물질을 제2차 경화하면, 유동성이 없는 상태로 완전 경화되어 제1 접착 부재(14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 홈(410a)은 이러한 경화 이전의 유동성을 갖는 제1 접착 부재(140)가 지지부(130b) 밖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제1 홈(410a)은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과 일치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140)가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도 3d 참조)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경화되도록 하여 홀더(130)와 렌즈 배럴(110)의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에도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부가 채워지는 홈(324a, 도 3d 참조)이 마련될 수 있으며, 렌즈 배럴(110)의 홈(324a)은 지지부(130b)의 제1 홈(410a)과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렌즈 배럴(110)을 홀더(130)의 지지부(130b)에 부착 또는 고정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홀더(130)의 하면과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회로 기판의 상면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홀더(130)의 상면, 예컨대, 홀더의 지지부(130b)의 상면에 제1 접착 부재(140)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제1 접착 부재(140)를 UV 경화한다.
다음으로 UV 경화된 상기 제1 접착 부재(140)에 렌즈 배럴(100)의 하면이 접촉하도록 렌즈 배럴(110)을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렌즈 배럴(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액티브 얼라인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액티브 얼라인이 완료된 후에, 렌즈 배럴(110)이 안착된 상태에서 제1 접착 부재(140)를 열 경화한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는 도 5의 실시 예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140-1)이거나, 또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140-1a)일 수도 있다.
제1 접착 부재가 도 8 또는 도 11의 실시 예인 경우, 제1 접착 부재 도포 단계에서, 제1 접착 부재(140-1, 140-1a)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이격할 수 있고, 제1 접착 부재(140-1, 140-1a)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140-1, 140-1a)에 대한 UV 경화 또는 열 경화시에 발생하는 가스가 배출되는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접착 부재(140-1, 140-1a)에 대한 경화가 완료된 후 홀더(130)의 상면, 예컨대,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하면, 예컨대,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501)에 제2 접착 부재(145, 145a)를 도포 또는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접착 부재(145, 145a)를 UV 경화한다.
후술하는 제1 접착 부재(140-1, 140-1a), 및 제2 접착 부재(145, 145a)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렌즈 배럴(110)을 홀더(130)의 지지부(130b)에 부착 또는 고정시키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에 접착 물질(140'), 예컨대, 열 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경화성 에폭시를 도포한다. 예컨대, 접착 물질(140')이 제1 홈(410a) 내에 채워지도록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에 접착 물질(140')을 도포할 수 있다.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에 접착 물질(140')을 도포하기 이전에, 필터(170) 및 이미지 센서(160)가 실장된 회로 기판(150)은 홀더(130)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를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관통홀(131)에 삽입하고,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이 접착 물질(140')에 접하도록 렌즈 배럴(110)을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접착 물질(140')은 경화 이전에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경화 이전의 접착 물질 상에 안착된 렌즈 배럴(110)은 관통홀(131)에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가 삽입된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배럴(110)이 접착 물질(140')에 접촉된 상태에서 렌즈 배럴(110)을 움직여 렌즈 배럴(110)에 장착된 렌즈 어레이(120)의 이미지 센서(160)에 대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배럴(11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렌즈 배럴(110)에 장착된 렌즈 어레이(120)의 초점을 제1 초점(f1)에서 원하는 타겟 초점인 제2 초점(f2)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10)을 직접 움직여 렌즈 어레이(120)의 초점을 조정하는 것을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라고 한다.
액티브 얼라인을 하기 위해서 관통홀(131)에 삽입된 렌즈 배럴(110)의 돌출부, 예컨대, 제3 안착부(P3)의 외주면(139)은 관통홀(131)의 내주면(119)으로부터 이격된다.
관통홀(131)에 삽입된 렌즈 배럴(110)의 제3 안착부(P3)의 외주면(139)이 관통홀(131)의 내주면(119)에 접촉하거나, 또는 나사선 등에 의하여 제3 안착부(P3)의 외주면(139)이 관통홀(131)의 내주면(119)에 나사선 등에 의하여 결합된 경우에는 렌즈 배럴(110)을 이동시켜 액티브 얼라인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얼라인을 통하여 렌즈 어레이(120)의 초점을 타겟 초점으로 맞춘 후 열 경화 또는 UV 경화에 의하여 접착 물질을 경화시켜 제1 접착 부재(1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접착 부재(140-1)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제1 접착 부재(140)는 링 형상이지만, 도 8의 접착 부재(140-1)는 링 형상의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부가 제거된 개구(Opening, 50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40)는 관통홀(13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일단(11a)과 타단(11b)을 포함하며,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은 서로 이격된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는 서로 이격하는 일단(11a)과 타단(11b) 사이에 위치하고 측면 방향으로 개구(501)를 갖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방향은 제1 접착 부재(14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및 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컨대, 개구(501)의 일단은 제1 접착 부재(140)의 내주면으로 개방될 수 있고, 개구(501)의 타단은 제1 접착 부재(140)의 외주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가스 배출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 간의 거리는 제1 접착 부재(14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점차 증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 간의 이격 거리는 제1 접착 부재(14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일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 간의 이격 거리는 도 8에서 개구(501)의 폭인 W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40)의 전체 길이는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 간의 이격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 간의 이격 거리는 제1 접착 부재(140)의 전체 길이의 1/4 이하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40)의 일단(11a)과 타단(11b) 간의 이격 거리가 제1 접착 부재(140)의 전체 길이의 1/4을 초과할 경우, 제1 접착 부재(140)의 접착 성능이 저하되어 렌즈 배럴(110)과 홀더(130)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접착 물질(140')을 열 경화 또는 UV 경화할 때, 접착 물질(140')로부터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회로 기판(150) 및 홀더(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130)의 관통홀(131)에 렌즈 배럴(110)의 돌출부를 삽입한 후, 제1 접착 부재(140)에 의하여 렌즈 배럴(110)과 홀더(130)를 접합시키기 때문에, 렌즈 배럴(110)의 돌출부, 홀더(130), 및 회로 기판(150)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은 밀폐된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5의 경우, 제1 접착 부재(140)의 열 경화 또는 UV 경화 시에 발생한 가스(gas)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가 없는 밀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접착 물질(140')이 부풀어 올라 렌즈 배럴(110)을 밀어올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렌즈 배럴(110)에 장착된 렌즈 어레이(120)의 초점이 틀어지게 될 수 있어 카메라 모듈(100)의 해상력이 나빠지게 될 수 있다.
도 8의 제1 접착 부재(140-1)는 접착 물질(140')에 대한 열 경화 또는 UV 경화 시에 발생한 가스(gas)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개구(501)를 구비한다.
열 경화 또는 UV 경화 시에 발생한 가스(gas)가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를 통하여 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실시 예는 접착 물질의 경화시에 발생한 가스에 의하여 렌즈 어레이(120)의 초점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해상력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140-1, 145)을 나타낸다. 도 8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는 도 8에 도시된 제1 접착 부재(140-1)와 더불어 제2 접착 부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145)는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501)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501)는 서로 이격하는 제1 접착 부재(140-1)의 일단(11a)과 타단(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145)는 개구(501)에 인접한 제1 접착 부재(140-1)의 일단(11a)의 외측면과 타단(11b)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140-1)의 일단(11a)의 내측면과 타단(11b)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45)는 제1 접착 부재(140-1)의 일단(11a) 및 타단(11b)의 외측면에 인접하는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501)에 의하여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에 생기는 틈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45)는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의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50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제1 접착 부재(140-1)에 대한 경화가 완료된 이후에,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501)에 의하여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의 틈을 덮도록 접착 물질을 에어 밴트 실링(air vent sealing)하여 제2 접착 부재(145)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 부재(14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 부재(140-1)의 일단(11a) 및 타단(11b) 각각의 외측면들만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접착 부재(140-1)의 일단(11a) 및 타단(11b)의 내측면들을 덮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45)는 UV 경화성 접착 부재, 예컨대, UV 에폭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145)는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의 개구(501)가 밖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만 되기 때문에, 제2 접착 부재(145)의 제1 방향으로의 폭은 제1 접착 부재(140-1))의 제1 방향으로의 폭보다 짧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향의 폭은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1)의 폭은 제1 접착 부재(140-1)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고, 제2 접착 부재(145)의 폭은 제2 접착 부재(145)의 서로 마주보는 제1면으로부터 제2면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면은 관통홀(131)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145)에 의하여 개구(501)에 의하여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에 생기는 틈이 실링(sealing)되기 때문에, 실시 예는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개구를 통하여 렌즈 배럴(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더(130-1)를 나타내며,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착 부재들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홀더(130-1)의 지지부(130b1)의 상부면에는 제1 홈(410a)과 더불어 제2 홈(41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410a)은 지지부(130b)의 관통홀(131)의 제1 개구(131a)와 지지부(130b)의 상부면(410)의 가장 자리 사이에 위치하고, 관통홀(131)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제2 홈(410b)은 지지부(130b)의 상부면(410)의 가장 자리에서 관통홀(13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홈(410b)의 일단은 관통홀(131)로 노출 또는 개방될 수 있고, 제2 홈(410b)의 타단은 지지부(130b)의 측면 밖으로 노출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제2 홈(410b)은 제1 홈(410a)과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으며, 제2 홈(410b)의 깊이는 제1 홈(410a)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제1 및 제2 홈들(410a, 410b) 각각의 깊이는 지지부(130b)의 상부면(410)으로부터 제1 및 제2 홈들(410a,410b)의 바닥까지의 깊이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접착 부재(140-1a)는 제2 홈(410b)을 제외한 제1 홈(410a)을 채우도록 지지부(130b1)의 상부면(4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1a)는 측면 방향으로 개구(501a)를 갖는 링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140-1a)의 개구(501a)는 제2 홈(410a)에 대응 또는 정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방향은 제1 접착 부재(140-1a)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및 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 부재(140-1a)의 일단 및 타단은 제2 홈(410a)에 접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제2 접착 부재(145a)는 제1 접착 부재(140-1a)의 경화가 완료된 후 에어 밴트 실링(air vent sealing)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145a)는 개구(501a) 및 제2 홈(410a)에 의하여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45a)는 홀더(130)의 지지부(130b)의 상면(410)과 렌즈 배럴(110)의 제2 안착부(P2)의 하면(324) 사이의 개구(501a) 및 제2 홈(410a)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45a)는 지지부(130b)의 측면 밖으로 개방되는 제2 홈(410b)의 타단에 배치되고, 관통홀(131)로 개방되는 제2 홈(410b)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145a)는 제1 접착 부재(140-1a)의 일단(11a)의 외주면과 타단(11b)의 외주면에 접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140-1a)의 일단(11a)의 내주면과 타단(11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45a)는 제2 홈(410b)의 일단보다 타단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와 비교할 때,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는 홀더(130-1)의 제2 홈(410b)을 통하여 제1 접착 부재(140-1a) 경화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접착 부재(140-1a)의 개구(501a)의 폭(W2)을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501)의 폭(W1)보다 작게 하더라도 제1 접착 부재(140-1a) 경화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140-1a)의 개구(501a)의 폭(W2)이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501)의 폭(W1)보다 작기 때문에, 제1 접착 부재(140-1a)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140-1a)의 개구(501a)의 폭(W2)이 제1 접착 부재(140-1)의 개구(501)의 폭(W1)보다 작기 때문에, 수분 및 이물질 투입 방지를 위한 제2 접착 부재(145a)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으며,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 도 8, 및 도 10에서는 홀더(130, 130-1)의 지지부(130b)의 상부면(410)에 제1 홈(410a)이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홈(410a)이 생략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140, 140-1, 140-1a)는 제1 홈(410a)이 생략된 홀더(130,130-1)의 지지부(130b)의 상부면(4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 기판(150), 이미지 센서(160), 필터(170), 제3 접착 부재(147), 및 커넥터(180)의 제1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회로 기판(150), 이미지 센서(160), 필터(170), 제3 접착 부재(147) 및 커넥터(180)의 제2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필터(170)는 렌즈 배럴(110)의 렌즈 어레이(120)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홀더(130)의 수용홈(132)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70)는 렌즈 배럴(110)을 통과하는 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81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필터(17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지 센서(160)는 회로 기판(150) 상에 실장 또는 배치되고, 홀더(130) 아래에 위치하며, 필터(170)를 통과한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렌즈 어레이(120), 필터(170), 및 이미지 센서(160)는 서로 정렬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0)은 홀더(130)의 몸체부(130a)와 결합된다.
예컨대, 회로 기판(150)은 홀더(130)의 몸체부(130a)의 하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135a,135b)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52,154)이 마련될 수 있다.
회로 기판(150)과 홀더(130)의 몸체부(130a)의 결합을 위하여 회로 기판(150)의 몸체부(130a) 하면과 회로 기판(150)의 상부면 사이에는 제4 접착 부재(632, 도 17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632)에 대해서는 도 17에서 설명한다.
이미지 센서(16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150)에는 각종 소자들, 또는 회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180)는 회로 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 180a)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는 회로 기판(150)은 이미지 센서(160)와 커넥터(180)를 연결하는 연성 기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회로 기판(150)의 연성 기판(151)의 일단을 홀더(130)의 몸체부(130a)의 측면에 접착시키는 제3 접착 부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147)는 커넥터(180)와 연결되는 연성 기판(151)을 홀더(1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홀더(130-2)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홀더(130-2)의 A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홀더(130-2)의 CD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홀더(130-2)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 예에 보강 지지부들(610a 및 61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은 홀더(130-2)의 몸체부(130a)의 상부면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은 홀더(130-2)의 몸체부(130a)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일단이 홀더(130-2)의 지지부(130b)의 측면에 접한다.
몸체부(130a)의 상부면으로부터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는 지지부(130b)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30a)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보강 지지부와 지지부(130b)의 AB 방향 단면은 계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이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홀더(130-2)의 지지부(130b)의 측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보강 지지부들이 지지부(130b)의 주위에 지지부(130b)와 연결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4의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은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장변과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보강 지지부들은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단변과 평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는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장변과 평행한 보강 지지부들 및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단변과 평행한 보강 지지부들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장변과 평행한 보강 지지부들의 길이는 몸체부(130a)의 상부면의 단변과 평행한 보강 지지부들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은 광축(OA)과 수직한 방향, 예컨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홀더(130-2)가 받는 충격 또는 응력으로부터 홀더(130-2)가 파손되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각을 구현하기 위한 렌즈 어레이는 협각의 구현용 렌즈보다 일반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렌즈 어레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 또는 응력에 의하여 홀더가 파손되거나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와 같이 액티브 얼라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에폭시와 같은 접착 부재들(140)로 렌즈 배럴(110)과 홀더(130)를 고정시키는 구조에서는 외부의 충격 또는 응력에 의하여 홀더의 강도가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에 의하여 외부 충격 및 응력에 의하여 홀더(130)가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강 지지부(620)를 포함하는 홀더(130-3)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이 서로 이격되어 몸체부(130a)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반면에, 도 16의 실시 예에서의 보강 지지부(620)는 지지부(130b)의 측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단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30a)의 상부면으로 보강 지지부(620)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는 지지부의 상부면까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도 14의 보강 지지부들(610a, 610b)은 X축 방향으로의 충격 보강에 적합할 수 있으나, 도 16에 도시된 보강 지지부(620)는 XY 평면의 360° 어느 방향으로도 충격 보강, 및 휨 방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7은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몸체(130a)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632)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4 접착 부재(632)는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몸체부(130a)의 하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필터(170)와 이격되도록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몸체부(130a)의 하면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150)과 홀더(130)의 몸체부(130a)를 본딩시킨다.
또한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결합 돌기들(135a, 135b)과 회로 기판(150)의 통공들(152,154)을 고정 또는 부착하기 위하여 제4 접착 부재(632)는 결합 돌기 및 결합 돌기들(135a,135b) 주위의 몸체부(130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632)는 에어 밴트(air vent sealing) 접착 부재, 예컨대, 에폭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는 제4 접착 부재(632) 이외에 홀더(130, 130-1 내지 130-3)와 회로 기판(150)의 접착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홀더의 휨 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a는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는 일단이 제4 접착 부재(632)의 제1 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몸체부(130a)의 하면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몸체부(130a)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는 일단이 결합 돌기(135a, 135b)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몸체부(130a)의 하면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의 폭(W1)은 제4 접착 부재(632)의 폭(W2)보다 넓거나 동일할 수 있다(W1≥W2). W1과 W2 각각은 몸체부(130a)의 하면의 장변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도 18a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 보강 접착 부재들(634,636)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보강 접착 부재의 수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는 에어 밴트(air vent sealing) 접착 부재, 예컨대, 에폭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8b는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 및 제2 보강 접착 부재(642,644)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실시 예는 도 18a에 도시된 제1 보강 접착 부재(634,636)와 더불어 제2 보강 접착 부재(644,6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력 및 휨 방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보강 접착 부재(642, 644)는 일단이 제4 접착 부재(632)의 제2 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몸체부(130a)의 하면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 접착 부재(632)의 제3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632)의 제1 내지 제3 영역들은 서로 이격된 다른 영역들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강 접착 부재들(634, 636, 642,644)는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하면에 배치되는 필터(170)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보강력 및 휨 방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2 보강 접착 부재(642,644)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 영역이 제1 보강 접착 부재(634, 636)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강 접착 부재(642, 644)의 폭은 제4 접착 부재(632)의 폭보다 짧거나 동일할 수 있다. 제2 보강 접착 부재(642, 644)의 폭은 몸체부(130a)의 하면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도 18b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 보강 접착 부재들(642,644)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보강 접착 부재의 수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제2 보강 접착 부재(644, 646)는 에어 밴트(air vent sealing) 접착 부재, 예컨대, 에폭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는 제1 보강 접착 부재(634,636)를 제외하고, 제4 접착 부재(632) 및 제2 보강 접착 부재(644, 646)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보강 접착 부재들(634와 636, 642와 644)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견디는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한 홀더(130, 130-1 내지 130-3)의 휨을 방지할 수 있어, 실시 예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1)은 전술한 카메라 모듈(100)에서 고정부(125), 및 오링(210)이 생략된 실시 예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1)의 렌즈 배럴(110)에서는 고정부(125)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선(321)이 생략된다.
고정부(125) 및 오링(210)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내용이 도 1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00-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제1 촬상부(100A), 및 제2 활상부(100B), 및 받침부(bracket, 300)을 포함한다.
도 20에는 제1 활상부(100A) 및 제2 촬상부(110B) 각각은 도 14에 도시된 홀더(130-2)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을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활상부(100A) 및 제2 촬상부(110B) 각각은 도 1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또는 도 19의 카메라 모듈(100-1)일 수 있다.
실시 예는 광각을 갖는 제1 촬상부(100A) 및 광각을 갖는 제2 촬상부(100B)를 이용하여 360°의 뷰(view)를 구현할 수 있다.
받침부(300)는 제1 활상부(100A)와 제2 촬상부(110B)를 서로 결합시킨다.
예컨대, 받침부(300)는 제1 촬상부(100A)의 회로 기판(150)과 결합할 수 있고, 제2 촬상부(110B)의 회로 기판(15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21a는 도 20에 도시된 받침부(300)의 제1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1b는 도 20에 도시된 받침부(300)의 제2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받침부(300)는 몸체(20) 및 가이드부(20-1 내지 20-4)를 포함한다.
몸체(20)는 제1 활상부(100A)와 결합하는 상부면(20a) 및 제2 촬상부(110B)와 결합하는 하부면(20b), 및 상부면(20a)과 하부면(20b)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20c)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의 상부면(20a)은 제1 촬상부(100A)의 회로 기판(150)과 마주보고, 제1 촬상부(100A)의 회로 기판(150)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몸체(20)의 하부면(20b)은 제2 촬상부(100B)의 회로 기판(150)과 마주보고, 제2 촬상부(100A)의 회로 기판(150)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몸체(20)는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 각각의 회로 기판(150)의 하면과 대응되는 제1 영역(S1) 및 제1 영역(S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제2 영역(S21, S2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의 제1 영역(S1)에는 제1 촬상부(100A)의 홀더(예컨대, 130-2)의 하면에 마련된 결합 돌기(135a, 135b) 및 제2 촬상부(100B)의 홀더(130-2)의 하면에 마련된 결합 돌기(135a, 135b)가 삽입되는 통공(21, 22)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통공(21,22)은 몸체(20)의 제1 영역(S1)의 상부면(20a)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 및 몸체(20)의 제1 영역(S1)의 하부면(20b)으로 개방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00A)의 홀더(예컨대, 130-2)의 결합 돌기(135a, 135b)는 회로 기판(150)의 통공(152,154)을 관통하여 받침부(300)의 통공(21,22)의 제1 개구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촬상부(100B)의 홀더(예컨대, 130-2)의 결합 돌기(135a, 135b)는 회로 기판(150)의 통공(152,154)을 관통하여 받침부(300)의 통공(21,22)의 제2 개구로 삽입될 수 있다.
받침부(300)에 마련된 하나의 통공(21,22)에 제1 및 제2 촬상부들(110A, 100B) 각각의 홀더(예컨대, 130-2)의 결합 돌기(135a, 1)가 삽입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촬상부들(110A, 100B)의 광축들(도 1의 OA) 또는 광학적 중심들(optical center)이 서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360°뷰(view) 구현시 얼라인이 틀어짐으로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20-1 내지 20-4)는 몸체(20)에 연결되고, 몸체(20)의 제1 영역(S1)에 안착된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100B)의 회로 기판(150) 및 홀더(예컨대, 130-2)를 지지 또는 가이드(guide)한다.
예컨대, 가이드부(20-1 내지 20-4)는 몸체(20)의 측면에 접하고, 가이드부(20-1 내지 20-4)의 일단은 몸체(20)의 상부면(20a)을 기준으로 돌출될 수 있고, 가이드부(20-1 내지 20-4)의 타단은 몸체(20)의 하부면(20b)을 기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20-1 내지 20-4)는 몸체(20)의 제1 영역(S1)의 모서리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영역(S1)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된 절곡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20-1 내지 20-4)의 수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부들(20-1 내지 20-4) 각각은 제1 영역(S1)의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를 감싸는 절곡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 각각의 회로 기판(150)의 측면은 복수의 가이드부들(20-1 내지 20-4)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 각각의 홀더(예컨대, 130-2)의 몸체부(130a)의 측면은 복수의 가이드부들(20-1 내지 20-4)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부들(20-1 내지 20-4)은 회로 기판(150)의 측면 및/또는 홀더(예컨대, 130-2)의 몸체부(130a)의 측면을 지지 또는 가이드함으로서, 제1 및 제2 촬상부(100A, 100B)들이 받침부(300)로부터 이탈하거나, 제1 및 제2 촬상부(100A, 100B)들의 광축 또는 초점 거리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300)의 몸체(20)의 제2 영역(S21, S22)은 제1 영역(S1)의 일단으로부터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몸체(20)의 제2 영역(S21, S22)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핸드폰 등의 광학 기기와 결합하기 위한 통공(23, 24)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300)의 몸체(20)의 제2 영역(S21, S22)은 인접하는 어느 2개의 가이드들부(20-2,20-3)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20)의 제1 영역(S1)의 일 측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영역(S21), 및 인접하는 다른 어느 2개의 가이드들부(20-1,20-4)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20)의 제1 영역(S1)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영역(S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영역(S21) 및 제2-2 영역(S22)은 제1 영역(S1)과 평행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부(330)는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의 무게를 잘 견디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160) 또는 각종 소자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회로 기판의 다른 실시 예(150-1)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 각각의 회로 기판(150-1)은 절연판 및 동박 또는 동박선을 포함하는 양면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제1 영역(158) 및 제2 영역(159)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50-1)의 제1 영역(158)은 이미지 센서(160) 및 각종 소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 또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회로 기판(150-2)의 제2 영역(159)은 이미지 센서(160) 및 각종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또는 이미지 센서(160) 및 각종 소자들의 공통 접지(Common ground)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회로 기판(150-1)의 영역(159)의 동박은 절연판인 회로 기판(150-1)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1 촬상부(100A)의 회로 기판(150-1)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된 회로 기판(150-1)의 제2 영역(159)의 동박은 받침부(300)의 상면에 접할 수 있고, 제2 촬상부(100B)의 회로 기판(150-1)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된 회로 기판(150-1)의 제2 영역(159)의 동박은 받침부(300)의 하면(20b)에 접할 수 있다.
회로 기판(150-1)의 제1 영역(158)의 동박은 회로 기판(150-1)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는다. 회로 기판(150-1)의 제1 영역(158)의 동박이 노출될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160) 및 각종 소자들 간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100B)의 이미지 센서들(160)은 인접하여 위치하고, 양자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받침부(300)가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100B)의 이미지 센서들(16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하지 못할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들 및 각종 소자들이 열 손상을 받거나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의 이미지 센서들(160)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회로 기판(150-1)의 제2 영역(159)의 노출된 동박을 통하여 받침부(300)로 전달되기 때문에, 실시 예는 열 전도성 및 열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의 회로 기판(150-1)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100-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들(160)로부터 받침부(300)로의 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로 기판(150-1)의 제2 영역(159)의 노출된 동박과 받침부(300)의 상면 또는 하면 사이에 열 전도성 패드 또는 열 전도성 테이프를 추가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23은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성 테이프(320)를 나타낸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각각의 회로 기판(150-1)의 제2 영역(159)의 노출된 동박과 받침부(300)의 상면(20a) 또는 하면(20b) 사이에 열 전도성 테이프(3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열 전도성 테이프(320)는 제1 및 제2 촬상부들(100A, 100B) 각각의 회로 기판(150-1)과 받침부(300)의 상면(20a) 또는 하면(20b)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미지 센서(160)로부터 받침부(300)로의 열 전도성 및 열 방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전도성 테이프(320)는 회로 기판(150-1)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된 회로 기판(150-1)의 제2 영역(159)과 받침부(300) 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전기 절연체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100-1)은 빛의 특성인 반사, 굴절, 흡수, 간섭, 회절 등을 이용하여 공간에 있는 물체의 상을 형성시키고, 눈의 시각력 증대를 목표로 하거나, 렌즈에 의한 상의 기록과 그 재현을 목적으로 하거나, 광학적인 측정, 상의 전파나 전송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광학 기기(optical instru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 따른 광학 기기는 스마트폰 및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A)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100-1)일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렌즈 배럴 120: 렌즈 어레이
125: 고정부 130: 홀더
140: 제1 접착 부재 150: 회로 기판
160: 이미지 센서 170: 필터
180: 커넥터 300: 받침대.

Claims (10)

  1. 제1 촬상부;
    제2 촬상부; 및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결합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은,
    하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홀더;
    상기 돌출부 주위의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과 상기 관통홀 주위의 상기 홀더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관통홀 아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은 상기 제1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은 상기 제2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과 결합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접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가이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몸체의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은,
    상기 몸체의 모서리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감싸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회로 기판의 측면 및 홀더의 측면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들 각각의 내측면에 접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홀더의 하면에는 결합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몸체의 하부면으로 개방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촬상부의 홀더의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촬상부의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의 제1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촬상부의 홀더의 결합 돌기는 상기 제2 촬상부의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부의 제2 개구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절연판 및 동박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촬상부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촬상부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 접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과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 또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열 전도성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 촬상부;
    제2 촬상부; 및
    상기 제1 촬상부와 상기 제2 촬상부를 결합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촬상부들 각각은,
    하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어레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홀더;
    상기 돌출부 주위의 상기 렌즈 배럴의 하면과 상기 관통홀 주위의 상기 홀더의 상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관통홀 아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실장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돌출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하고,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은 상기 제1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은 상기 제2 촬상부의 회로 기판의 하면과 결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절연판 및 동박으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촬상부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받침부의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촬상부의 상기 절연판의 하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 영역의 동박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 접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0160038653A 2016-03-30 2016-03-30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638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53A KR102638225B1 (ko) 2016-03-30 2016-03-30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PCT/KR2017/003396 WO2017171388A1 (ko) 2016-03-30 2017-03-29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16/089,549 US10962733B2 (en) 2016-03-30 2017-03-29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omprising same
CN201780022425.4A CN108885324B (zh) 2016-03-30 2017-03-29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设备
CN202111463449.8A CN114114480B (zh) 2016-03-30 2017-03-29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设备
US17/193,424 US11867967B2 (en) 2016-03-30 2021-03-05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53A KR102638225B1 (ko) 2016-03-30 2016-03-30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098A KR20170112098A (ko) 2017-10-12
KR102638225B1 true KR102638225B1 (ko) 2024-02-19

Family

ID=6014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653A KR102638225B1 (ko) 2016-03-30 2016-03-30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913B1 (ko) * 2017-11-02 2022-02-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1908658B1 (ko) 2017-11-02 2018-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652992B1 (ko) * 2018-04-11 2024-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15B1 (ko) * 2005-10-06 2011-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0916581B1 (ko) * 2008-02-13 2009-09-11 옵틱스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184906B1 (ko) * 2010-12-09 2012-09-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77367A (ko) * 2011-12-29 2013-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3d 카메라 모듈
KR20160015880A (ko) *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수 및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098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7967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49262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2022028653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63822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EP4064661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2028654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4064662A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551188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109920B1 (ko) 휴대형 전자장치 및 그 이미지 캡처 모듈과 캐리어 어셈블리
EP4054159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10018818A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0433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7011208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9011148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7011208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500654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US20240121492A1 (en)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230300437A1 (en) Camera module
US20230314663A1 (en) Protective sheet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20220286540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221511B1 (ko) 카메라 모듈
US2022028654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230000361A (ko)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5256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09355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