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745A -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 Google Patents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745A
KR20150075745A KR1020130163985A KR20130163985A KR20150075745A KR 20150075745 A KR20150075745 A KR 20150075745A KR 1020130163985 A KR1020130163985 A KR 1020130163985A KR 20130163985 A KR20130163985 A KR 20130163985A KR 20150075745 A KR20150075745 A KR 2015007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nnector
charging connector
state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7324B1 (en
Inventor
윤형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324B1/en
Publication of KR2015007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a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performing a user authentication; a step of supplying charging power to a battery when a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a charging socket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user authentication; a step of stopp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power when an ending event for the charging action is detected; a step of detecting a sett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a step of ending the charging action when the detected sett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a normal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an prevent damage to the charging connector occurring according to poor set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in advance by informing a manager or a user of information about the sett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forms the user of the right directions of using the charger.

Description

충전기 및 이의 충전 커넥터 관리 방법{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 A CHAGRAGE CONNECTOR OF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기에 구비된 커넥터의 거치 여부에 따른 알람 기능을 구비한 충전기 및 이의 커넥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er having an alarm 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a connector provided in a charger is stowed or not, and a connector management method thereof.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전기자동차는 1873년도에 최초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시간 등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했다.Electric vehicles are cars that use batteries and electric motors without petroleum fuels and engines. Electric vehicles were first produced in 1873, but they were not put to practical use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heavy weight of batteries and charging time.

한편, 전기자동차는 간단한 구조와 내구성이 크며 운전이 쉬운 점 등의 장점으로 미국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소량 생산되었다.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오염(공해) 문제로 인해 차량의 배기가스 규제가 높아지고 있으며, 유가가 급등하고 있어 전기자동차가 차세대 차량으로 주목되고 있다. 즉, 공해 없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는, 대기오염 요인의 70% 내외를 차지한다고 하는 내연식 엔진 자동차의 유해한 배기가스나 소음 등 환경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또 석유 등 화석 연료의 자원수명을 배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lectric vehicles were produced in small quantities from the United States until the mid-1920s with advantages such as simple structure, durability, and easy operation. In recent years, regulations on exhaust emissions from vehicles have been rising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pollution) problem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oil prices are soaring that electric vehicl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vehicles. In other words, electric vehicles using pollution-free electric energy are able to fundamentally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harmful exhaust gas and nois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at occupy about 70% of air pollution factors, The resource life can be extended more than twice.

그에 따라, 1990년부터 전기자동차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즉, 자동차 생산 업체에서는 전기자동차의 기술적 문제인 상대적으로 낮은 배터리 용량, 긴 충전시간, 짧은 운행거리, 늦은 운행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electric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since 1990. In other words, automobile manufacturers are developing a variety of technologies to improve the relatively low battery capacity, long charge time, short travel distance, and slow running speed, which are technical problems of electric vehicles.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문제점 중 하나인 긴 충전시간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 인프라용 인터페이스 부품이 개발되었다.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용 인터페이스 부품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외부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차량과 외부 전력계통 사이를 연결하는 충전 인터페이스 모듈과 충전스탠드가 있다. 충전스탠드는 기존 주유기에 해당하는 장치로, 전기자동차와 상용 교류전력계통을 연계하기 위한 전력제어 장치 및 충전 모니터링 장치 등이 포함되어 있다. 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 long charging time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of electric vehicles, an interface part for a charging infrastructur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has been developed. The interface component f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includes a charging interface module and a charging stand that connect the vehicle to an external power system and supply electric energy to the vehicle using electric power as an electric power source. The charging stand is a device that corresponds to the existing lubrication equipment, and includes a power control device and a charge monitoring device for linking the electric automobile with the commercial AC power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10) 및 상기 충전기의 충전 케이블(30)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기 자동차(20)를 포함한다.1, the charging system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20 connected to a charger 10 and a charging cable 30 of the charger, and receives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charger 10 to charge the battery .

전기 자동차(20)는 배터리(BATTERY)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인버터(INVERTER)로 대표되는 전동기 제어장치(MOTER CONTROLLER)에 의해 전동기를 제어하여 최적의 효율을 달성하고, 엔진을 전동기로 대체함으로써 유해가스의 배출이 전혀 없는 완전한 친환경 자동차이다.The electric vehicle 2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BATTERY and controls the electric motor by a motor controller represented by an inverter INVERTER to achieve an optimum efficiency and replaces the engine with an electric motor It is a completely eco-friendly automobile with no emissions of gas.

충전기(10)는 상기 전기 자동차(20)와 연결되고, 상기 전기 자동차(2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 자동차(20)에 구비된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한다.The charger 1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20 and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20 at the request of the electric vehicle 20.

충전기(10)는 충전 케이블에 상기 전기 자동차(20)가 연결됨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기 자동차(20)의 운전자로부터 요청되는 충전 요청에 따라 상기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20)로 전력을 공급한다.The charger 10 senses that the electric vehicle 2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and accordingly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20 through the charging cable in response to a charging request requested from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20 .

충전기(10)는 상기 충전 케이블의 타입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류 전력 또는 직류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로 공급한다.The charger 10 selectively supplies AC power or D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arging cable.

이때, 상기 충전기(10)는 상기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완속 충전기와,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급속 충전기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charger 10 includes a slow charger for supplying the AC power and a rapid charger for supplying DC power.

전기 자동차(20)는 자신이 원하는 충전 타입에 따라 완속 충전기 및 급속 충전기 중 어느 하나의 충전기에 연결된다.The electric vehicle 20 is connected to a charger of either a slow charger or a rapid charger according to a desired charging type.

상기와 같은 충전기(10)는 충전되는 전력량 및 시간 등을 이용하여 비용을 청구하고, 이에 대한 결제는 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The charger 10 charges money by us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be charged and time, and payment is made through the card reader.

충전 케이블(30)은 전력 케이블이 아닌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나 연결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충전기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조건이 구성되도록 한다.The charging cable 3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battery state or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signal cable, not the electric power cable, so that the charging condi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nfigured by the charging device.

상기와 같은 충전기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 본체에 구비된 거치대에 상기 충전 케이블에 연결된 충전 커넥터를 거치하게끔 구성되어 있다.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charged, the charger is configured to receive a charg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charging cable on a base provided in the charger main body.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전기는 충전 동작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충전 커넥터를 분리시키면, 상기 충전 커넥터를 상기 거치대에 거치하지 않더라도 충전 종료가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However, when the user disconnects the charging connector from the electric vehicle after the charg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charging terminal is configured such that charging is completed even if the charging connector is not placed on the charging stand.

이에 따라,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커넥터가 방치되어도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상기 충전 커넥터가 손상되거나 이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harging connector may be left in a state where it is not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re is no way to recognize the charging connector even if the charging connector is left in place, .

(특허문헌 1) KR 10-2009-0130273 A (Patent Document 1) KR 10-2009-0130273 A

(특허문헌 2) KR 10-2008-0029466 A (Patent Document 2) KR 10-2008-0029466 A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충전 커넥터의 거치 여부에 따른 알림 기능을 제공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로 방치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tification 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harging connector is stowed so that the charging connec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eft in a stowed state in advance.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objective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that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propos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belong, It can be understood.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충전 커넥터가 배터리의 충전 소켓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충전 동작에 대한 종료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충전 전력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충전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ocket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result; Stopp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power when an ending event for the charging operation is sensed; Sensing a mount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terminating the charging operation when the sens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normal state.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충전 동작의 종료를 대기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의 정상 거치를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the charging operation when the detect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bad state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questing a normal moun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수행한 사용자 인증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if the detect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bad state,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ed user authentic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is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충전 커넥터의 관리자 및 상기 충전 커넥터를 사용한 사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충전 커넥터가 불량 거치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at least one of the manager of the charge connector and the user using the charge connector to inform the charge connector that the charge connector is in a poor stat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충전 커넥터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이 불가하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changing a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to a locked state when the sens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bad state, and in the locked state, charging of the battery using the charging connector is impossible.

또한, 상기 충전 커넥터를 사용한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충전 커넥터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력 정보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력 정보는, 추후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에 반영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charge connector a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charge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user, wherein th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charge connector, The information is later reflected in the user authentication performan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 상기 충전기 본체의 연결된 충전 커넥터;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설치되며, 상기 충전 커넥터가 정상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Meanwhile,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r main body; A charging connector connected to said charger body; A receptacle on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is mounted; And a sensing sensor installed on the cradle, for sensing whether the charging connector is normally mounted.

또한, 상기 충전기 본체에는,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충전 커넥터가 불량 거치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충전 커넥터의 정상 거치를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for requesting a normal moun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formed in the charging main body,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detected as a poor charging state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충전기 본체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거치대에 정상 거치되는 시점까지 상기 충전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락 장치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harger mai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 device for restricting use of the charger until the charging connector is normally mounted on the cradle.

또한, 상기 출력부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거치대에 정상 거치되는 시점까지 이전 수행한 충전 동작이 종료되지 않음을 알리는 정보가 추가 출력된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evious charging operation is not terminated until the charging connector is normally mounted on the cradle.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불량에 따라 발생하는 충전 커넥터 손상 및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충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are informed of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but al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charging connector damage and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poor moun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 You can tell the user how to use the charger correc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에 있으면 충전 완료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charging connector can not be completed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the improperly mount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proper use of the charger,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로 있으면, 충전기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상기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poorly mounted state, the use of the charger is disabled so that the manager can efficiently manage the charg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충전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의 충전 커넥터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harger of FIG.
4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teps of a method for managing a charge connector 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면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도면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the steps of each block and flowchar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edd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creating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step.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manufacturing items that contain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illustration in each step of the drawing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and flowchart of the drawings.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충전 시스템은 충전기(100), 관리 서버(200), 상위 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harging system includes a charger 100, a management server 200, and an upper server 300.

충전기(100)는 전기 자동차가 진입함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충전이 요청되면, 상기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The charger 100 supplies the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when charging is requested by the user as the electric vehicle enters.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를 관리한다.The management server 200 manages the charger 100.

충전기(100)와 관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는다.The charger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periodic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예를 들어, 충전기(100)는 현재 자신의 상태에 대한 정보(충전 중, 또는 충전 대기, 또는 충전 완료)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er 100 may transmit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information about its current state (during charging, waiting for charging, or completion of charging).

또한, 충전기(100)는 충전을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charger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ser who has performed the charging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충전기(1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harger 100 and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charger 100 to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charger 100 accordingly.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 수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기(100)에 충전 시작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인증 수행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충전기(100)의 사용이 중지되도록 하는 신호를 상기 충전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authenticates the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harger 100,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ransmits a signal notifying the charger 100 of the start of charging On the contrary, if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bnormally, a signal for stopping the use of the charger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harger 100.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위 서버(300)와도 통신을 수행하여, 충전기(100)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다.The management server 200 also communicates with the upper server 300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charger 100.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상위 서버(300)로부터 상기 충전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ceiv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user using the charger 100 from the upper server 300.

이에 따라, 상위 서버(300)는 사용자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stores user detailed information.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은 도 2의 충전기의 상세 구성도이다.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harger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충전 커넥터(110),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 충전 커넥터 잠금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40), 전력량 산출부(150), 충전 스위칭부(160), 과금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3, the charger 100 includes a charging connector 110, a charging connector stationary state detecting unit 120, a charging connector locking unit 130,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a power calculating unit 150, A charging unit 160, a charging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8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충전기(100)는 전기 구동 이동체(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와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기 구동 이동체 내에 구비된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The charg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an electric driving vehicle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thereby supplying charging electric power to a battery provided in the electric driving vehicle.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충전 커넥터(110)는 케이블을 통해 충전기(100)의 본체와 연결되며, 그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 본체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사이의 전력 공급 라인을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through a cable, thereby forming a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and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able do.

상기 충전 커넥터(110)는 케이블을 통해 일단이 충전기(100)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100) 본체로부터 충전 전력을 수신하며, 다른 일단은 상기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한 충전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배터리로 공급한다.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through a cable to receive charging power from the main body of the charger 10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charging socket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And supplies a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 커넥터(110)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전기 자동차의 위치에 맞게 충분히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버튼을 눌러 다시 원 상태로 감기도록 할 수도 있다.The cable connected to the charging connector 110 may have a length that can be sufficiently extend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may be wound in a circular state again by pressing the button after use.

사용자는, 상기 충전기(100)에 구비된 충전 커넥터(110)를 전기 자동차의 측부 또는 전/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켓에 삽입하여,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전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user inserts the charge connector 110 provided in the charger 100 into a socket provided on a side portion or a front / rear portion of the electric vehicle, receives power from the charger 100, The battery can be charged.

상기와 같은 충전 커넥터(110)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핀과, 상기 전기 자동차와 통신을 수행하여 배터리 정보(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이나 잔존 용량 등)을 전달받기 위한 통신 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or 110 may include a power supply pin for supplying charging electric power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able, and a power supply pin for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ic vehicle and storing battery information (for example, And the like.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를 검출한다.The charging connector stationary state detecting unit 120 detects the stationary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충전기(100)에 구비된 거치대(추후 설명)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harging connector stationary state detecting unit 120 may be constituted by a sensing sensor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cradle (to be described later) provided in the charger 100. [

그리고,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는 상기 거치대에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거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른 거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거치 상태에 대한 검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or stationary state detecting unit 120 may detect a stationary state depending on whether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stationary or not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for the detected stationary state to the control unit 180 .

충전 커넥터 잠금부(130)는 락 장치이며,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잠금 상태로 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거나,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잠금 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charging connector locking portion 130 is a locking device that locks the charging connector 110 to make the charging connector 110 unusable by the user or to unlock the charging connector 110 So that the charging connector 110 can be used by the user.

상기 충전 커넥터 잠금부(130)에 의해 충전 커넥터(110)의 잠금이 설정되면, 사용자가 상기 충전기(100)를 조작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에서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게 된다.When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locked by the charging connector locking part 130, the user can not operate the charging device 100, so that the battery can not be charged in the locked state.

한편, 충전기(100)의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창을 통해 상기 충전기(100)의 다양한 동작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 display window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charger 100, and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er 100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window.

이때, 상기 다양한 동작 정보는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수 도 있다.At this time, the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display window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provided through a speaker.

상기 제공되는 다양한 동작 정보에는 충전중인 선로, 유휴 충전 스테이션, 충전 예상 시간, 충전 진행 경과, 충전 금액, 고객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charging line, an idle charging station, an expected charging time, a charging progress progress, a charging amount, customer information, and the like.

네트워크 통신부(140)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서버는, 충전소 내에 설치된 다수의 충전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충전 요금 결제 등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 서버나, 충전된 전기 자동차의 점검을 통한 A/S를 제공하는 서비스 센터일 수도 있다.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in a network environment. Here, the server may be a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a plurality of chargers installed in a charging station, and may alternativel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server for charging a charging charge or an A / S through checking a charged electric car Service center.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토대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을 토대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network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

전력량 산출부(15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한다. 즉, 전력량 산출부(150)는 전원단에서 부하단으로 충전에 의해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를 계량한다.The electric power calculating unit 150 calculate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110. That is, the electric energy calculation unit 150 measures the electric energy consumed by charging from the power supply end to the lower end.

충전 스위칭부(16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통해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한다. 다시 말해서, 충전 스위칭부(160)는 상기 배터리로 전력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The charge switching unit 160 interrupts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the charge connector 110. In other words, the charge switching unit 160 continuously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or cuts off the supplied power.

과금부(170)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시작 및 충전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전력량 산출부(150)를 통해 산출된 전력량에 따른 요금을 부과한다.The charging unit 170 includes a user authentication unit, thereby starting charging and terminating charging through user authentication, and charges a char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wer calculated through the power-amount calculating unit 150. [

제어부(180)는 충전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harger 100.

특히,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한 충전 개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충전 커넥터 잠금부(130)를 통해 충전 커넥터(110)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통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request to start charging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e control unit 180 causes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to be in the unlocked state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locking unit 130, So tha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is performed.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 스위칭부(16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단속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harge switching unit 160 to control the charge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한편, 제어부(180)는 충전의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면(배터리의 완충이나 사용자로부터 충전 완료 명령 입력),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상태에 따라 충전 동작의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terminates the charg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when a charging completion event occurs (buffering of the battery or input of a charging completion command from the user).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를 통해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거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 동작의 종료 여부를 결정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80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state-of-state detecting unit 12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rging operation is completed using the received state- .

즉,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거치 상태 정보가 정상 거치에 대응하는 정보이면, 상기 충전 동작을 종료시킨다.That is, if the received docking cond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docking, the control unit 180 terminates the charging operation.

이와 반대로,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거치 상태 정보가 불량 거치에 대응하는 정보이면, 상기 충전 동작을 종료시키기 않고,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정상 거치가 되는 시점까지 대기한다.Conversely, if the received docking condi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fective docking condition, the control unit 180 waits until the charging connector 110 becomes a normal docking condition without ending the charging operation.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거치 상태 정보가 불량 거치에 대응하는 정보이면,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거치대에 거치할 것을 요구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정상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f the received docking status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ad docking, the control unit 180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requesting the docking station 110 to be placed on the docking station, Let the mount be done.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한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불량 거치이면,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거치대에 정상 거치 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신호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If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stationary state is a bad station,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informing that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not normally mounted on the station.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정상 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충전 커넥터 잠금부(130)를 통해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정상 거치가 이루어질 시점까지 상기 충전기(100)를 통한 충전 동작을 제한한다.At this time, if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not properly mounted, the control unit 180 locks the charging connector 110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locking unit 130, The charging operation through the charger 100 is limited.

한편,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불량 거치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위 서버(300)로부터 상기 충전기(100)를 사용한 사용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한다.On receiving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badly mounted, the management server 200 request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ing the charger 100 from the upper server 300.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상기 상위 서버(300)로부터 상기 요청한 사용자의 상세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상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quested user is received from the upper server 300,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he user's terminal to hold the charging connector 110 using the received detailed information .

한편, 관리 서버(200)는 관리자에게도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불량 거치 상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하게 상기 충전기(100)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also transmits information informing the manager of the failur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so that the management of the charger 100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관리 서버(200)는 상기 관리자에게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전화 번호나 차량 번호)를 추가적으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additionally transmits information (phone number or car number) about the user to the manager, and manages the information on the user accordingly.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충전 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불량에 따라 발생하는 충전 커넥터 손상 및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충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are informed of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but al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charging connector damage and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poor moun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 You can tell the user how to use the charger correc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에 있으면 충전 완료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charging connector can not be completed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the improperly mount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proper use of the charger,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로 있으면, 충전기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상기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poorly mounted state, the use of the charger is disabled so that the manager can efficiently manage the charg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기(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har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본체(190)와, 상기 본체(190)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대(12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charger 100 includes a main body 190 and a holder 125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90.

충전 커넥터(110)는 상기 거치대(125)에 거치된다.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mounted on the cradle (125).

이때, 상기 거치대(125)에는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rging connector fixing state detecting unit 120 may be formed on the mounting base 125. FIG.

이에 따라,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120)는 상기 거치대(125)에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정상 거치되었는지, 아니면 비정상적으로 거치되었는지에 대한 거치 상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거치 상태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달한다.Accordingly, the charging connector mounting state detecting unit 120 detects mounting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normally or unstably mounted on the mounting base 125, and detects the mounting st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80.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의 충전 커넥터 관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to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steps of a method for managing a charge connector 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충전기(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101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의 신용카드나, 주민등록증과 같은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harger 10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step 101). The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an authentication mean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user's credit card or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충전기(100)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아니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2단계). The charg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authentication has been normally performed or has been performed abnormally (operation 102).

즉, 충전기(100)는 상기 인증 수단이 정상적인 인증 수단인지, 아니면 불법적인 인증 수단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인증 수단이 정상적인 인증 수단이라도, 상기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가 관리 대상에 포함되는 사용자이면, 상기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관리 대상은, 추후 설명하는 충전 커넥터를 정상 거치하지 않고, 충전을 종료한 사용자일 수 있다.That is, the charger 100 confirms whether the authentication means is a normal authentication means or an illegal authentication means. In addition, the charger 100 can determine that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bnormally if the user who performs the authentication is a user included in the management subject, even if the authentication means is normal authentication means. Here, the object to be managed may be a user who has completed charging without normally mounting the charging connector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판단결과(102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면, 충전기(100)는 상기 사용자 인증의 오류를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이 재수행되도록 한다(103단계).If the user authentication has been performed abnormally, the charger 100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authentication error, so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again in operation 103.

한편, 상기 판단결과(102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면, 충전기(100)는 충전 커넥터(104)의 잠금을 해제한다(104단계).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charger 100 cancels the lock of the charge connector 104 (step 104).

이후,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배터리의 소켓에 연결되면(105단계),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통해 상기 연결된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한다(106단계).Thereafter, the charger 100 supplies the charging power to the connected battery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110 (step 106)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socket of the battery (step 105).

충전기(100)는 충전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07단계). 상기 충전 완료 이벤트는 배터리가 완충된 경우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한 경우에 해당될 수도 있다.The charger 100 determines whether a charge completion event has occurred (step 107). The charge completion event may correspond to a case where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or may correspond to a case where the user arbitrarily stops charging the battery.

상기 판단결과(107단계), 상기 충전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충전기(100)는 상기 배터리 소켓으로부터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108단계), 이후 상기 분리된 충전 커넥터(110)가 정상 거치 상태인지를 확인한다(109단계).When the charging completion event occurs, the charger 100 separates the charging connector 110 from the battery socket in step 108, and then the separated charging connector 110 (Step 109).

즉,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완료 이후에,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충전기 본체의 거치대에 정상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That is, after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charger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properly mounted on the holder of the charger main body.

그리고,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가 정상 거치 상태이면, 충전 동작 종료하고(111단계), 아니면 상기 충전 동작을 종료시키지 않고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정상 거치해달라는 알림 정보를 제공한다(110단계).When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in the stationary state, the charging operation is terminated (step 111). Otherwise,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is terminated without ending the charging operation. And provides notification information (Step 110).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를 검출한다(201단계).Next, referring to FIG. 6, the charger 100 detects the state of load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step 201).

이후, 충전기(100)는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거치 상태이면, 이전에 수행중이었던 충전 동작의 종료를 잠시 대기하고(204단계), 그에 따라 상기 충전기(100)를 사용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205단계).Thereafter,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00 is in a poor state, the charger 100 waits for a while to terminate the charging operation that was being performed (step 204), and thereby acquires information on the user using the charger 100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step 205).

이때,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가 불량 거치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와,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했을 때에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in a poor state, and user information acquired when performing the user authentication.

한편,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가 정상 거치 상태이면, 상기 충전 동작을 종료한다(203단계).Meanwhile,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in the stationary state,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device 100 is terminated (operation 203).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301단계).Referring to FIG. 7, 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load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device 100 (step 301).

이후,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수신한 거치 상태 정보가 불량 거치 상태 정보인지, 아니면 정상 거치 상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302단계0.Thereafter, the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docking status information is bad docking status information or normal docking status information (Step 302, Step 302).

상기 확인한 거치 상태 정보가 정상 거치 상태 정보이면,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충전기(100)를 통해 수행했던 충전 동작에 대한 이력을 저장한다(303단계).If the determined storage status information is the normal storage status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history of the charging operation performed through the charger 100 (operation 303).

그리고, 상기 확인한 거치 상태 정보가 불량 거치 상태 정보이면, 상기 관리 서버(200)는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불량 거치 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305단계).If the checked state information is bad state informa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harge connector 110 is badly installed to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step 305).

이때,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정상 거치해줄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may be a message requesting that the charging connector 110 be normally mounted.

또한, 상기 관리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가 정상 거치 되지 않았음에 따라 상기 충전기(100)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정상적으로 거치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administrator may be information that management of the charger 100 is required due to the fact that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not normally mounted, May also be included.

또한,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이력을 저장한다(306단계).Also, the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charging history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step 306).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충전기(100)는 충전 커넥터(110)의 상태를 검출한다(401단계).Next, referring to FIG. 8, the charger 100 detects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step 401).

그리고, 충전기(100)는 상기 검출한 충전 커넥터(110)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아니면 불량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402단계).Then, the charg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a normal state or a defective state (step 402).

상기 판단결과(402단계),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가 불량 거치 상태이면,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충전기(100)의 사용이 중지되도록 한다(403단계).If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in a bad state, the charger 100 changes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to a locked state and the use of the charger 100 is stopped (Step 403).

또한, 상기 판단결과(402단계), 상기 충전 커넥터(110)의 거치 상태가 정상 거치 상태이면, 상기 충전기(100)는 상기 충전 커넥터(110)를 잠금 해제 상태로 하여, 언제든지 상기 충전기(100)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f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10 is in a normal state, the charging device 100 may unlock the charging connector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er 100 at any time, Is us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불량에 따라 발생하는 충전 커넥터 손상 및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충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dministrator and the user are informed of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but al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charging connector damage and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poor moun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 You can tell the user how to use the charger correc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에 있으면 충전 완료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기의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charging connector can not be completed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the improperly mounted state,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proper use of the charger,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충전 커넥터가 거치 불량 상태로 있으면, 충전기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상기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poorly mounted state, the use of the charger is disabled so that the manager can efficiently manage the charg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충전기
110: 충전 커넥터
120: 충전 커넥터 거치 상태 검출부
130: 충전 커넥터 잠금부
140: 네트워크 통신부
150: 전력량 산출부
160: 충전 스위칭부
170: 과금부
180: 제어부
200: 관리 서버
300: 상위 서버
100: Charger
110: Charging connector
120: Charging connector mounting status detector
130: Charging connector locking part
140: Network communication section
150:
160: Charge switching section
170: Charging part
180:
200: management server
300: parent server

Claims (6)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 결과에 따라, 충전 커넥터가 배터리의 충전 소켓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충전 동작에 대한 종료 이벤트가 감지되면, 상기 충전 전력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충전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when the charg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ocket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user authentication result;
Stopp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power when an ending event for the charging operation is sensed;
Sensing a mount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terminating the charging operation when the sens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normal state
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충전 동작의 종료를 대기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의 정상 거치를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aiting for the end of the charging operation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questing a normal mounting of the charging connector if the detect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bad state
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수행한 사용자 인증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formed user authentic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when the sens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bad state
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충전 커넥터의 관리자 및 상기 충전 커넥터를 사용한 사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충전 커넥터가 불량 거치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at least one of the manager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the user using the charging connector to inform the charging connector that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poorly mounted state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가 불량 상태이면, 상기 충전 커넥터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 커넥터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전이 불가한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to the locked state when the sensed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a bad state,
In the locked state, when the battery can not be charged using the charging connector
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커넥터를 사용한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충전 커넥터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력 정보에는,
상기 충전 커넥터의 거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이력 정보는, 추후 상기 사용자 인증 수행에 반영되는
충전 커넥터의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storing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charge connector a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charge connector for the user,
In the history information,
Wherein the charging connector includes information on a mounting st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The history information is later reflected in the user authentication
A method of managing a charge connector.
KR1020130163985A 2013-12-26 2013-12-26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KR101717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85A KR101717324B1 (en) 2013-12-26 2013-12-26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85A KR101717324B1 (en) 2013-12-26 2013-12-26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45A true KR20150075745A (en) 2015-07-06
KR101717324B1 KR101717324B1 (en) 2017-03-16

Family

ID=5378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85A KR101717324B1 (en) 2013-12-26 2013-12-26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324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3727A (en) * 2018-08-11 2018-11-23 深圳市百创网络科技有限公司 Wired home electric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20166625A (en)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디비아이엔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electric refrigerated truck
WO2023192385A1 (en) * 2022-03-31 2023-10-05 Volta Charging, Llc Customiz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ervice based on sentiment analysis
KR102696099B1 (en) * 2023-02-14 2024-08-19 주식회사 크로커스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with front door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0127A (en) * 2012-05-11 2013-11-28 Takaoka Electric Mfg Co Ltd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0127A (en) * 2012-05-11 2013-11-28 Takaoka Electric Mfg Co Ltd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3727A (en) * 2018-08-11 2018-11-23 深圳市百创网络科技有限公司 Wired home electric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20166625A (en)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디비아이엔씨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electric refrigerated truck
WO2023192385A1 (en) * 2022-03-31 2023-10-05 Volta Charging, Llc Customiz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ervice based on sentiment analysis
KR102696099B1 (en) * 2023-02-14 2024-08-19 주식회사 크로커스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with front door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324B1 (en)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6648B (en) Intelligent charging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 automobile
US8025526B1 (en) Self powered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locking system
CN104518533B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US8680813B2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unexpec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disconnections
CN104517366B (en) A kind of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corresponding vehicle-mounted charging equipment, equipment manager
US20100194529A1 (en) Management system for charging plug-in vehicle
KR101717324B1 (en) Charger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a chagrge connector of the same
US20190210545A1 (en) Erase-replace ota smart power strategy
WO2014180259A1 (en) Method of interacting with service network by in-vehicle charging device, and related device
CN108394294B (en) Vehicle with a steering wheel
US11989070B2 (en) Energy storage pack authentication method, energy storage pack, charging device, electric mobile object, and control device for electric mobile object
JP2013115929A (en) Charging auxiliary device
US108952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in-vehicle power source
CN112311071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battery pack of hybrid vehicle
CN112428822A (en) Diagnosis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ic automobile
US103435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N109823225B (en) Charging management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017396B (en) Portable off-board charger control method, adaptive controller and electric vehicle
KR20140117878A (en) Charger for electric driven moving bod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KR101481215B1 (en)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N111845442B (en) Discharging control method, system and equipment and electric automobile
KR20120076611A (en) Remote vehicl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JP2014155400A (en) Charging system and charger for battery-mounted vehicle
KR101252965B1 (en)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JP20221140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CU,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