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669A -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 Google Patents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669A
KR20150075669A KR1020130163860A KR20130163860A KR20150075669A KR 20150075669 A KR20150075669 A KR 20150075669A KR 1020130163860 A KR1020130163860 A KR 1020130163860A KR 20130163860 A KR20130163860 A KR 20130163860A KR 20150075669 A KR20150075669 A KR 20150075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data
module
commun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출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669A/ko
Publication of KR20150075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Abstract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들 간 통신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의 주행 데이터 및 차량의 소유주, 운전자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의 보안을 수행하는 보안 모듈; 상기 보안모듈을 통해 보안된 상기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유저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응용 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상기 보안모듈, 상기 응용모듈 간의 연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유저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VEHICLE TERMINAL HAVING USER DATA SECURITY MODULE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도심 지역의 효율적인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의 기술 개발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도시교통정보 시스템은 유선 자가망과 UTIS 무선망을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경로, 이동속도 등을 수집하고, 이를 가공하여 도시 도로 교통 정책의 기반 자료로 사용하며, 아울러 가공된 자료는 다시 무선으로 차량에 전송하여 효율적인 차량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시교통정보 시스템은 각 차량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 차량간 통신을 제공 하기 때문에 각 차량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대한 보안이 필수적이나 디지털 서명과 같은 인증 방안이 부족하여 차량간 통신에 큰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현재 도시교통정보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추돌, 전복, 화재, 침수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차량 이벤트의 발생을 단순히 제공할 뿐 차량 이벤트의 종류, 차량의 소유주, 차량 운전자의 신원 차량의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차량간 통신에 보안 없이 개인 정보를 제공할 경우 개인 정보의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8036호 차량 애드 훅 네트워크에서 적응적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여 도시교통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때 획득 한 주행 데이터의 익명성을 보안 모듈을 통해 확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ABS(Anti-lock Brake System), 에어백 등과 연계하여 차량 고장, 차량 추돌, 전복, 화재, 침수 등과 같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 되었을 때 차량의 소유주, 차량 운전자의 정보, 차량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보안된 유저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차량 이벤트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여 차량 이벤트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기 설정된 단말장치로 제공된 데이터를 차량간 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에 제공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차량단말장치들 및 차량과 인프라 간에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의 주행 데이터 및 차량의 소유주, 운전자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의 보안을 수행하는 보안 모듈; 상기 보안모듈을 통해 보안된 상기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유저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응용 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상기 보안모듈, 상기 응용모듈 간의 연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유저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주행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를 서명하는 주행 데이터 처리기, 상기 주행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주행 데이터 인증 처리기, 운전자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유저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상기 유저 데이터를 서명하는 유저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유저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유저 데이터 인증 처리기를 포함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중앙처리장치(ECU), 에어백 및 ABS로부터 발생된 작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차량 이벤트를 인식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상기 응용 모듈은 상기 차량의 소유주 또는 운전자의 수락에 의하여 상기 유저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상기 유저 데이터는 차량의 식별 데이터, 유저 신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는 차량의 ECU, 차량의 에어백 작동 신호, 차량의 ABS등과 연계하여 차량 고장, 차량 추돌, 전복, 화재, 침수 등과 같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며, 차량 이벤트가 발생 되었을 때 차량의 차량 운전자의 정보, 차량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보안된 유저 데이터를 교통 센터의 기 설정된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차량 이벤트를 신속하게 파악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간 실시간 무선통신을 통해 앞 차의 사고 등 돌발 상황을 뒤따라오는 차에 직접 전달해 연쇄 추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 시 교통 정체 없는 빠른 길 안내, 차량 고장 원격 점검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보안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를 적용한 교통안전 지원 방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시교통정보시스템용 차량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안 모듈(20)을 포함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는 WAVE/UTIS 연동 통신 융합 기술을 통해 차량 간(Vehicle-to-Nomadic), 차량간(Vehicle-to-Vehicle) 및 차량과 인프라간(Vehicle-to-Infra)의 정보 전달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는 WAVE/UTIS 연동 통신 융합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콘텐츠 기반의 신규 서비스 발굴 및 적용이 다능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는, 예를 들어,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네비게이션(Navigation), 하이패스(High-pass)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는 통신모듈(10), 차량간 통신을 위한 디지털 보안을 수행하는 보안모듈(20), 응용모듈(30) 및 제어모듈(40)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0)은 도심 지역에 설치 및 서비스되는 WAVE/UTIS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안전지원 서비스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WAVE/UTIS 통신 기지국과 통신하여 교통안전지원 서비스를 위한 교통정보, 차량정보에 대한 주행 데이터 또는 유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통신모듈(10)은 다른 차량단말장치 또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인프라와 통신하여 차량통신 보안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보안모듈(20)은 WAVE/UTIS 통신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교통안전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간, 차량-인프라간에 송수신되는 교통정보와 같은 주행 데이터 및 유저 데이터, 차량 이벤트에 대한 보안 및 인증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모듈(20)은 주행 데이터 처리기(21), 주행 데이터 인증 처리기(22), 유저 데이터 처리기(25) 및 유저 데이터 인증 처리기(26)를 포함한다.
주행 데이터 처리기(21)는 통신모듈(20)을 통해 송수신되는 주행 데이터를 분석하고, 주행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주행 데이터를 서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행 데이터 인증 처리기(22)는 주행 데이터의 디지털 보안을 위한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주행 데이터 처리기(21) 및 주행 데이터 인증 처리기(22)에 의하여 디지털 보안되는 주행 데이터는 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각 차량의 속도, 차량의 방향 등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데이터 처리기(25)는 차량의 식별 데이터, 유저 신상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user data)를 분석하여 유저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유저 데이터를 서명한다.
유저 데이터 인증 처리기(26)는 유저 데이터의 디지털 보안을 위한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유저 데이터 처리기(25) 및 유저 데이터 인증 처리기(26)는 차량간 통신을 수행할 때 유저 데이터의 익명성을 확보한다.
응용모듈(30)은 보안모듈(20)을 통해 분석된 주행 데이터 및 유저 데이터를 도시교통정보시스템용 차량단말장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여 운전자가 주행 데이터 및 유저 데이터를 쉽게 인식 및 쉽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응용모듈(30)은 WAVE/UTIS 연동 통신 기술 기술, 주행 데이터 및 유저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다양한 컨텐츠 기반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응용모듈(30)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에는 실시간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서비스, 소통정보 기반 교통신호제어 서비스,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제어 서비스 등의 V2I(Vehicle-to-Infra) 기반 TIS 교통안전서비스와, 전방 차량 급제동 경고(ESS, Emergency Stop Signal)서비스, 전방 차량 충돌 경고(FCW, Forward Collision Warning) 서비스, 측후방 사각지대 차량 경고(LCA, lane Change Assist) 서비스 등의 V2V(Vehicle-to-Vehicle)기반 안전 차량지원 서비스와, 대기오염 관리구역 설정 안내 및 경고 서비스에 대한 V2N(Vehicle-to-Nomadic) 기반 녹색교통지원 응용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응용 모듈(30)은 운전자, 차량의 정보가 포함된 유저 데이터를 운전자의 수락에 의해서만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한다.
반대로 운전자가 유저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 응용 모듈(30)은 유저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지 않는다.
제어모듈(40)은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의 동작 수행을 위해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모듈(40)은 통신모듈(10), 보안모듈(20), 응용모듈(30) 간의 연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관리한다. 여기서, 제어모듈(40)은 UTIS 교통안전지원 서비스용 WAVE/UTIS 다른 단말기 및 기지국 연동, 다중 채널 지원 고성능 안테나 및 RF 최적화 지원, WAVE 및 버전 기반 위치 추정, 실시간 차량통신 보안, 차량 정보의 고속 정보 보호 기술, 유저 데이터의 생성, 편집, 삭제, 차량 이벤트의 발생 여부 등을 판단한다.
제어모듈(40)은 UTIS 교통안전지원 서비스용 WAVE/UTIS 다른 단말기와 연동을 위하여 교통정보, 신호제어에 대한 단말기용 다채널 지원 기술, 차내 망 연동 실시간 게이트웨이 기술, 이기종 네트워크간(V2V, V2I, V2N) 게이트웨이 기술,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프로토콜 지원, 단말과 단말 간 통신 프로토콜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40)은 UTIS 교통안전지원 서비스용 WAVE/UTIS 기지국과 연동을 위하여 교통정보, 신호제어에 대한 기지국용 다채널 지원 기술, 차내 망 연동 실시간 게이트웨이 기술, 기지국과 단말간 통신 프로토콜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40)은 다중 채널 고성능 안테나 및 RF 최적화를 위하여 도심 환경에서 채널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지원, 다중 채널 지원 고성능 차량용 통합 안테나 및 RF 최적화 지원, 채널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전력 제어 기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40)은 WAVE 및 버전 기반 위치 추정을 위하여 차선 구분이 가능하고, 가용성이 높은 실시간 차량 위치 보정 기술, 차량간 통신과 비전 융합 위치 보정 기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40)은 실시간 차량통신 보안을 위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msec(Millimeter second)급 디지털 서명 기술과, 차량 정보의 고속 정보 보호 기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모듈(40)은 익명성을 보장하는 msec 급 디지털 서명 기술에서 차량 통신 인증에 필요한 요구사항 및 환경 분석, 차량 통신 인증 프로파일링 및 발급/검증/규격 관리, 차량 통신용 msec급 알고리즘이 적용된 디지털 서명 생성/암호화/검증 등의 보안 기술 등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모듈(40)은 차량 정보의 고속 정보 보호 기술에서 보안 알고리즘 분석(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CCM; Counter with Cipher block chaining Message integrity check, ECC;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DSA; 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ECIES; Elliptic Curve Integrated Encryption scheme, MIC; Message Integrity Check, SHA; Secure Hash Algorithm), 차량 정보 고속 정보 보안 기술, UTIS와 WAVE의 접속 인증 및 보안 방안 기술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제어모듈(40)은 차량의 고장, 차량의 추돌, 차량의 화재, 전복, 침수 등과 같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차량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 인식부(45)를 포함한다.
이벤트 인식부(45)는 차량의 중앙처리장치(ECU), 에어 백(air bag) 및 ABS(Anti-lock Brake System) 등으로부터 충돌 감지 신호, 에어백 작동 신호 및 ABS 작동 신호, 엔진 꺼짐 신호 등 다양한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고, 이벤트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차량 이벤트의 발생 데이터, 차량 이벤트의 종류 데이터, 차량 이벤트 발생 시간 데이터 등을 생성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며, 도시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는 저장 장치에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실시예로서, 저장 장치는 컴퓨터를 이용해 데이터를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저장 장치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저장 장치는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보안모듈(20)에서 디지털 보안된 유저 데이터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의 저장 장치에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며, 유저 데이터는 이벤트 인식부(45)에서 차량 이벤트의 발생이 인식되었을 때 제어부(40) 및 통신 모듈(10)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50)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 설정된 단말기(50)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유저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희망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기 설정된 단말기(50)는, 예를 들어, 경찰서, 병원, 교통 센터, 보험회사, 가정 등에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단말기(50)는 컴퓨터, 휴대폰, 노트북,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데이터는 보안모듈(20)에 의하여 디지털 보안된 상태로 기 설정된 단말기(50)로만 제공되며, 허용되지 않은 단말기에서 유저 데이터를 확인, 편집 및 삭제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를 적용한 교통안전 지원 방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TIS 연동 통신 기술을 적용한 교통안전 지원 방안을 위한 시스템은 다수의 차량, 다수의 차량에 각각 구축된 차량단말장치, 교차로 또는 주요 도로 중간에 설치된 WAVE/UTIS 통신 기지국 및 UTIS 센터, 신호 제어기, 신호제어센터, 위치추적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단말장치는 주행 데이터를 디지털 보안 및 유저 데이터를 디지털 보안하는 보안모듈(20)을 포함한다.
각종 차량정보와 교통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행 데이터는 다른 차량 또는 인프라 간에 통신하여 송수신된다.
한편,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의 제어 모듈(40)은 이벤트 인식부(45)를 통해 차량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지털 보안된 유저 데이터 및 차량 이벤트 데이터를 기 설정된 단말기(50)로 제공하여 차량 이벤트 및 운전자 정보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100)의 보안모듈(20)은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는 msec급 디지털 서명 기술을 제공하고, 차량 정보의 고속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안전지원 서비스에서는 각종 신호제어기를 제어하여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차량의 ECU, 차량의에어백 작동 신호, 차량의 ABS등과 연계하여 차량 고장, 차량 추돌, 전복, 화재, 침수 등과 같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며, 차량 이벤트가 발생 되었을 때 차량의 차량 운전자의 정보, 차량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보안된 유저 데이터를 교통 센터의 기 설정된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차량 이벤트를 신속하게 파악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10... 통신모듈 20... 보안모듈
30... 응용모듈 40... 제어모듈
50...기 설정 단말기

Claims (5)

  1. 차량들 간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의 주행 데이터 및 차량의 소유주, 운전자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의 보안을 수행하는 보안 모듈;
    상기 보안모듈을 통해 보안된 상기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유저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응용 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 상기 보안모듈, 상기 응용모듈 간의 연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관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유저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주행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를 서명하는 주행 데이터 처리기, 상기 주행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주행 데이터 인증 처리기, 운전자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유저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상기 유저 데이터를 서명하는 유저 데이터 처리기 및 상기 유저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인증을 수행하는 유저 데이터 인증 처리기를 포함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 중앙처리장치(ECU), 에어백 및 ABS로부터 발생된 작동 신호에 의하여 상기 차량 이벤트를 인식하는 이벤트 인식부를 포함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모듈은 상기 차량의 소유주 또는 운전자의 수락에 의하여 상기 유저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데이터는 차량의 식별 데이터, 유저 신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KR1020130163860A 2013-12-26 2013-12-26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KR20150075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60A KR20150075669A (ko) 2013-12-26 2013-12-26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60A KR20150075669A (ko) 2013-12-26 2013-12-26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669A true KR20150075669A (ko) 2015-07-06

Family

ID=5378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860A KR20150075669A (ko) 2013-12-26 2013-12-26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6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45A1 (ko) * 2019-07-24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일 대 일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210078381A (ko) * 2019-12-18 2021-06-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인프라 통신에서 세션 연속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US11436683B1 (en) 2015-10-20 2022-09-06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driving characteristics by monitoring operational data and providing feedba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6683B1 (en) 2015-10-20 2022-09-06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driving characteristics by monitoring operational data and providing feedback
WO2021015345A1 (ko) * 2019-07-24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일 대 일 사이드링크 연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20210078381A (ko) * 2019-12-18 2021-06-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인프라 통신에서 세션 연속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Cars talk to phones: A DSRC based vehicle-pedestrian safety system
CN110176152B (zh) 使用停放车辆中的传感器的方法和系统
KR102304709B1 (ko) V2x 통신 메시지에 대하여 적응적 보안 레벨을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16681B2 (en) Vehicle correlation system for cyber attacks detection and method thereof
JP7437892B2 (ja) レンジ外ビークルのための中間ビークルリピータ
US20190296426A1 (en) Hybrid on board unit and roadside unit supporting wave-v2x and c-v2x
KR20090024264A (ko) 차량 내외로 차량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Napolitano et al. Implementation of a MEC-based vulnerable road user warning system
Dai Nguyen et al. The current security challenges of vehicle communication in the future transportation system
US10056681B2 (en) Vehicle ubiquitous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antenna integration
Al-Sabaawi et al. Addressing malware attacks on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s: recent techniques and challenges
CN107409117A (zh) 用于机器类通信的灵活安全评级和决策机构
KR20150075669A (ko)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유저 데이터 보안 모듈을 갖는 차량 단말기
Da Silva et al. Examining privacy in vehicular ad-hoc networks
JP516319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iran et al. Cyber security and risk analysis on connected autonomous vehicles
Ullmann et al. Technical limitations, and privacy shortcomings of th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US117165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vehicle-to-everything (V2X) information
JP4996999B2 (ja) 広域通信・直接通信切り替えシステム及び広域通信・直接通信切り替え方法
Bharat et al. Authentication solution for security attacks in VANETs
Cincilla et al. Security of C-ITS messages: A practical solution the ISE project demonstrator
Kargl Vehicular communications and VANETs
Shaikh et al. Vehicle communication systems: technology and review
KR102077529B1 (ko) 다중 스택을 구비한 차량 긴급 구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75670A (ko) 이미지 보안 모듈을 이용하여 차량간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