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384A - 이차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384A
KR20150074384A KR1020130162113A KR20130162113A KR20150074384A KR 20150074384 A KR20150074384 A KR 20150074384A KR 1020130162113 A KR1020130162113 A KR 1020130162113A KR 20130162113 A KR20130162113 A KR 20130162113A KR 20150074384 A KR20150074384 A KR 2015007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tube
heat
cogging
ben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394B1 (ko
Inventor
임종대
김정민
권택만
박종만
한상훈
김성제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천진인지기차배건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천진인지기차배건유한공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전지셀들이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고, 전지셀들 사이에 방열판이 개재되며, 방열판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절곡부가 냉각튜브를 감싸는 상태로 파지하여, 방열판의 테두리측에 용접을 이용하지 않고 냉각튜브를 구속시킬 수 있으며, 방열판의 테두리를 따라 냉각튜브가 배치되므로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냉각효율을 높인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전지셀들이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는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모듈은 다수의 판상형 전지셀들이 모듈 케이스에 내장되어 측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배열되며,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이차전지모듈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120) 내부에 전지셀(110)이 배열되어 있고, 전지셀(11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절연성 부재(130)가 전지셀(110)들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셀(110)들 계면에 냉각부재(140)가 장착되어 전지셀(110)들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냉각부재(140)는 전지셀(110)의 외면에 접하는 방열핀(141) 및 방열핀(141)의 하단에 위치하며 액상 냉매의 유동을 위한 냉매 도관(142)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냉매 도관(14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핀(141)의 하단부가 수직단면상 원형 형태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 자체가 냉매 도관(142)으로 형성되거나, 방열핀(141)의 하단부에 별도의 냉매 도관(142)이 브레이징과 같은 용접으로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이차전지모듈은 방열핀(141)의 하단부가 원형 형태로 절곡되어 도관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절곡된 부분이 따로 마감처리가 되어있지 않아 액상 냉매가 누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 방열핀(141)의 하단부에 별도의 냉매 도관(142)을 브레이징 결합으로 부착하는 경우에는 그 과정이 기술적으로 까다로워 제작이 용이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다른 용접을 이용할 경우라도 고온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냉매 도관(142)이나 방열핀(141)의 모재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방열핀(141)의 하단부에만 냉매 도관(142)이 접촉되므로 접촉면적이 협소하여 냉각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징과 같은 용접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고 냉각튜브를 방열판에 고정하는 구조로 마련되어 제작이 까다롭지 않고 용이한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용접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므로 열손상에 의한 냉각튜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방열판의 테두리의 외곽을 따라 냉각튜브가 배치되므로 냉각튜브와 방열판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은 다수개의 전지셀들이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는 이차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외곽에 배치되고, 냉매를 내부로 관류시켜 상기 방열판을 냉각시키는 냉각튜브 및 상기 방열판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거나 테두리에 인접되는 방열판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냉각튜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를 감싸는 상태로 방열판의 테두리측에 냉각튜브를 구속시켜 냉각튜브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방열판의 열기를 냉각튜브에 전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냉각튜브가 안착된 상태로 냉각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코깅되어 냉각튜브의 외경에 대해 절반 이상의 곡률로 절곡되며, 냉각튜브를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코깅슬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깅슬리브는 다수개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코깅슬리브가 절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정방향과 반대방향이 각각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방열판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냉각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가 안착되는 홈 형태의 그루브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은 상기 한 쌍의 방열판의 테두리 단부가 컬링되어, 상기 냉각튜브를 방열판에 고정하며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쌍의 방열판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컬링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은, 브레이징과 같은 용접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으며, 방열판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절곡부가 냉각튜브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를 감싸는 상태로 방열판의 테두리에 냉각튜브를 구속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열손상에 의한 냉각튜브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방열판 3면의 테두리를 따라 냉각튜브가 배치되므로 접촉면적이 넓어지게되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된 코깅슬리브가 냉각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며 감싸므로 별도의 결합장치 없이도 냉각튜브를 방열판에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이 까다롭지 않고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코깅슬리브가 절곡되는 방향이 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교대하며 형성되므로, 냉각튜브가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냉각튜브를 더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그루브가 대향하도록 방열판 한 쌍을 맞대고, 서로 마주하는 그루브들 사이에 냉각튜브가 안착되며 냉각튜브의 외주면을 모두 수용하므로, 방열판이 냉각튜브의 전면에 접촉되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부에 컬링부가 형성되어 냉각튜브를 방열판에 고정하여 냉각튜브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방열판이 서로 이격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방향 수직단면도.
도 4는 코깅슬리브의 실시예를 타나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코깅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타나낸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BB' 방향 수직단면도.
도 9은 도 8에서 컬링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이차전지모듈을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이차전지모듈의 방열핀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10,10'), 방열판(20,20'), 냉각튜브(30,30') 및 절곡부(2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지셀(10)은 전원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통상의 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며 서로 연결된다.
상기 방열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10)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전지셀(10)들의 열기를 가장자리로 분산시키며 방열한다.
상기 냉각튜브(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의 외곽에 배치되고 냉매를 내부로 관류시켜 방열판(20)을 냉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31은 상기 냉각튜브(30)에 관류되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31)고, 32는 상기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32)이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20)은 절곡부(21,2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1,21')는 상기 방열판(20,20')에 동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튜브(30,30')를 방열판(20,30')의 테두리측에 구속시키고 냉각튜브(30,3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방열판(20,20')의 열기를 냉각튜브(30,30')에 전이시키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인접되는 방열판(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튜브(30,3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30,30')를 감싸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깅슬리브(21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상기 냉각튜브(30)를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냉각튜브(30)의 외주면을 따라 코깅되어 냉각튜브(30)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냉각튜브(30)를 감싸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 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되는 대절곡부(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절곡부(a)는 도 2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튜브(30)의 변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냉각튜브(30) 외주면의 외경에 대해 절반 이상으로 절곡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절곡부(a)는 상기 냉각튜브(30)를 감싸는 상태로 절곡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냉각튜브(30)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상기 대절곡부(a)로 구성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절곡부(b)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절곡부(b)는 상기 대절곡부(a)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대절곡부(a) 보다 적은 곡률로 절곡되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대절곡부(a)와 상기 소절곡부(b)가 연속적으로 상기 냉각튜브(30)를 파지할 수 있으며, 냉각튜브(30)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절곡부(a)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슬리브(c)가 형성되고, 이와 이웃하는 위치에 상기 제1슬리브(c)가 절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곡률로 절곡되는 제2슬리브(d)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c)와 상기 제2슬리브(d)가 각각 교대하며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슬리브(c)나 상기 제2슬리브(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대절곡부(a)와 같이 상기 냉각튜브(30) 외주면의 외경에 대해 절반 이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나머지는 상기 소절곡부(b)와 마찬가지로 적은 곡률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전술한 바와 달리 단수개로 길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냉각튜브(30) 각 변의 길이를 갖는 길이절곡부(e)로 구성되어 냉각튜브(30)를 감싸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길이절곡부(e)는 단수개로 구성되므로 제조가 간편할 뿐만아니라, 상기 냉각튜브(30) 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거의 대부분을 감쌀 수 있으므로 접촉면적이 상당히 넓어지게 되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21)는 상기 냉각튜브(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엠보싱(f)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엠보싱(f)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21) 내경의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돌기로서, 절곡부(21)가 상기 냉각튜브(3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면 엠보싱(f)이 냉각튜브(30)와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므로 냉각튜브(30)가 유동하는 것을 잡아준다. 이러한 상기 엠보싱(f)은 샌드 블라스터와 같은 가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코깅슬리브(21a)나 후술되는 그루브(21b)의 형태 중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절곡부(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21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루브(21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내측에 상기 냉각튜브(30')를 수용하여 구속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내측에 상기 냉각튜브(30')의 외경의 일부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21b)는 한 쌍의 방열판(20')을 상반되게 맞대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그루브(21b)들 사이에 냉각튜브(30')를 수용하여 구속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루브(21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튜브(30')의 길이와 대응하여 상기 방열판(20')의 각 변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서 전술한 코깅슬리브(21a)가 다수개로 형성된 것과 마찬가지로, 도 7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이격되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방열판(20')들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것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에 볼트나 리벳을 이용하여 각기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롱볼트를 이용하여 방열판(20')들을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은 상기 방열판(20')을 고정하는 컬링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컬링부(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된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단부가 컬링되어 상기 냉각튜브(3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방열판(20')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지셀(1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배열되고, 서로 연결되어 차량에 전원을 제공하며,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됨에 따라 고열이 발생한다.
방열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지셀(10)들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전지셀(10)들의 열을 방열하고, 외곽에 배치되는 냉각튜브(30)로 관류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냉각튜브(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31)를 통해 냉매를 유입하고 배출구(32)를 통해 상기 냉매를 배출한다. 이렇게 배출된 냉매는 라디에이터와 같은 순환장치에 의해 상기 유입구(31)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열판(20)에 동일체로 형성된 절곡부(21)는 상기 냉각튜브(30)를 감싸 냉각튜브(3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방열판(20)의 열기를 냉각튜브(30)에 전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2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되는 코깅슬리브(21a)나,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홈형태로 형성되는 그루브(21b)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코깅슬리브(21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20)의 3면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튜브(30)를 감싸며 접촉되므로, 접촉면적을 높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깅슬리브(21a)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대절곡부(a)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열판(20)의 각 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각튜브(30) 외주면의 외경에 대해 절반 이상으로 절곡되어 냉각튜브(30)를 감싸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 냉각튜브(30)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깅슬리브(21a)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절곡부(a)와 소절곡부(b)로 함께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대절곡부(a)가 이격된 공간에 상기 소절곡부(b)가 인접되어 형성되므로, 대절곡부(a)와 소절곡부(b)가 연속적으로 상기 냉각튜브(30)를 감쌀 수 있으며, 대절곡부(a)만으로 구성되는 경우보다 냉각튜브(30)와 접촉되는 면적보다 넓어지게 되므로 냉각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코깅슬리브(21a)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리브(c)와 제2슬리브(d)가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절곡되는 방향이 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교대하며 형성되므로, 상기 냉각튜브(30)가 일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냉각튜브(30)를 더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코깅슬리브(21a)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절곡부(e)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변에 각기 단수개로 구성되므로 제조가 간편할 뿐만아니라, 상기 냉각튜브(30)가 갖는 길이의 길이 대부분을 감싸도록 절곡되므로 접촉면적이 상당히 넓어져 냉각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그루브(21b)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튜브(30')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거의 전면이 접촉되므로, 접촉면적을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부(22)가 더 포함된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상기 방열판(20')이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f)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곡부(21,21')가 상기 냉각튜브(30,3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면 상기 엠보싱(f)이 냉각튜브(30,30')와의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므로, 냉각튜브(30,30')가 유동하는 것을 잡아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모듈은, 브레이징과 같은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 방열판(20)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절곡부(21)가 냉각튜브(30)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30)를 감싸는 상태로 방열판(20)의 테두리에 냉각튜브(30)를 구속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열손상에 의한 냉각튜브(3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판(20) 3면의 테두리를 따라 냉각튜브(30)가 배치되므로 접촉면적이 넓어지게되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방열판(20)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된 코깅슬리브(21a)가 냉각튜브(30)의 외경에 대해 절반 이상의 곡률로 절곡되어 감싸므로 별도의 결합장치 없이도 냉각튜브(30)를 방열판(20)에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이 까다롭지 않고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코깅슬리브(21a)가 절곡되는 방향이 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각각 교대하며 형성되므로, 냉각튜브(30)가 일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냉각튜브(30)를 더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그루브(22)가 대향하도록 방열판(20) 한 쌍을 맞대고, 서로 마주하는 그루브(22)들 사이에 냉각튜브(30)가 안착되며 냉각튜브(30)의 외주면을 모두 수용하므로, 방열판(20)이 냉각튜브(30)의 전면에 접촉되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단부에 컬링부(22)가 형성되어 냉각튜브(30)를 방열판(20)에 고정하고 냉각튜브(3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방열판(20)이 서로 이격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10, 10' : 전지셀 20, 20' : 방열판
21, 21' : 절곡부 21a : 코깅슬리브
21b : 그루브 22 : 컬링부
30, 30' : 냉각튜브

Claims (5)

  1. 다수개의 전지셀들이 간격을 두고 적층 배열되는 이차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지셀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판;
    상기 방열판의 외곽에 배치되고, 냉매를 내부로 관류시켜 상기 방열판을 냉각시키는 냉각튜브; 및
    상기 방열판에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돌출상태로 마련되거나 테두리에 인접되는 방열판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냉각튜브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의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를 감싸는 상태로 방열판의 테두리측에 냉각튜브를 구속시켜 냉각튜브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방열판의 열기를 냉각튜브에 전이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냉각튜브가 안착된 상태로 냉각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코깅되어 냉각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며, 냉각튜브를 방열판의 테두리 외측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코깅슬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깅슬리브는,
    다수개가 형성되되, 이웃하는 상기 코깅슬리브가 절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정방향과 반대방향이 각각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방열판의 테두리에 인접하는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냉각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로 절곡되어 냉각튜브가 안착되는 홈 형태의 그루브;로 구성되며,
    상기 그루브가 대향하도록 상기 방열판 한 쌍을 맞대어 서로 마주하는 그루브들 사이에 상기 냉각튜브를 수용하여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방열판의 테두리 단부가 컬링되어, 상기 냉각튜브를 방열판에 고정하며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쌍의 방열판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컬링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모듈.
KR1020130162113A 2013-12-24 2013-12-24 이차전지모듈 KR10159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13A KR101590394B1 (ko) 2013-12-24 2013-12-24 이차전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113A KR101590394B1 (ko) 2013-12-24 2013-12-24 이차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84A true KR20150074384A (ko) 2015-07-02
KR101590394B1 KR101590394B1 (ko) 2016-02-15

Family

ID=5378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113A KR101590394B1 (ko) 2013-12-24 2013-12-24 이차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1200A (zh) * 2017-03-14 2017-07-11 深圳市丰顺泰和投资合伙企业(有限合伙) 软包电池散热水冷板及电池模组
CN107508011A (zh) * 2017-09-25 2017-12-22 杭州神驹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组的集成散热装置
CN107978713A (zh) * 2017-12-30 2018-05-01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软包电池模组及电源装置
KR20190006260A (ko) * 2017-07-10 2019-01-18 주식회사 제이와이 전기차량용 배터리의 냉각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9121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냉각 플레이트
KR20190069120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19198952A1 (ko) * 2018-04-09 2019-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냉매 분배기
KR20190139553A (ko) * 2018-06-08 2019-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1200A (zh) * 2017-03-14 2017-07-11 深圳市丰顺泰和投资合伙企业(有限合伙) 软包电池散热水冷板及电池模组
KR20190006260A (ko) * 2017-07-10 2019-01-18 주식회사 제이와이 전기차량용 배터리의 냉각핀 및 그 제조방법
CN107508011A (zh) * 2017-09-25 2017-12-22 杭州神驹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组的集成散热装置
WO2019117437A1 (ko) * 2017-12-11 2019-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90069121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냉각 플레이트
KR20190069120A (ko) * 2017-12-11 2019-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1357150A (zh) * 2017-12-11 2020-06-30 三星Sdi株式会社 电池模块
US11749856B2 (en) 2017-12-11 2023-09-05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N111357150B (zh) * 2017-12-11 2024-05-07 三星Sdi株式会社 电池模块
CN107978713A (zh) * 2017-12-30 2018-05-01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软包电池模组及电源装置
WO2019198952A1 (ko) * 2018-04-09 2019-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냉매 분배기
US11171372B2 (en) 2018-04-09 2021-11-09 Samsung Sdl Co., Ltd. Coolant distributor
KR20190139553A (ko) * 2018-06-08 2019-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냉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94B1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394B1 (ko) 이차전지모듈
US10326185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array of cooling fin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JP4504936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415050B1 (ko) 전지셀 어셈블리 및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용 냉각 핀의 제조방법
US20170176108A1 (en) Multi-sided heat exchangers with compliant heat transfer surfaces
JP670459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温度制御・給電システム
US20110217587A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heat dissipation and mount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065862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606456B1 (ko) 전지모듈
JP5725316B2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パック
CN104795608B (zh) 电池组件
JP6994303B2 (ja) 組電池用伝熱装置
US20150255836A1 (en) Heat pipe assembly having heating/cooling functions, battery module for eco-friendly vehicl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battery module
JP2012221801A (ja) 組電池
KR102029209B1 (ko) 전지모듈
CN104716397B (zh) 二次电池模块
JP2004227986A (ja) 蓄電池用ヒートシンクおよび蓄電池冷却装置
US10141818B2 (en) Winding frame structure for motors
CN105722370A (zh) 散热模块
JP2017153339A (ja) 機器ユニット
JP5942792B2 (ja) 電池パックの冷却構造
KR102333290B1 (ko) 탭 직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모듈
KR102622141B1 (ko)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KR101778756B1 (ko) 열전달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컨덕터 부재
JP2020202148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