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266A -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266A
KR20150074266A KR1020130161351A KR20130161351A KR20150074266A KR 20150074266 A KR20150074266 A KR 20150074266A KR 1020130161351 A KR1020130161351 A KR 1020130161351A KR 20130161351 A KR20130161351 A KR 20130161351A KR 20150074266 A KR20150074266 A KR 2015007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uxiliary
driven gear
rotates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국
Original Assignee
이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국 filed Critical 이한국
Priority to KR1020130161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4266A/ko
Publication of KR2015007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6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using pendul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은 프레임, 주축, 추운동대, 추운동수단, 제1구동기어, 제2구동기어, 제1피동기어, 제1동력전달축, 제2피동기어, 제2동력전달축, 제1동력전달기어, 제2동력전달기어, 증속기어박스 및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추운동대가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되면 진자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동력전달축을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증속기어박스를 통해 발전기로 공급하기 때문에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전장치{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축과 연결된 추운동대가 추 운동을 하면서 주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주축의 회전력이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발전기로 전달되어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발전장치 및 발전시스템은 수력, 화력, 원자력, 풍력, 조력 등 자연 환경 및 자원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전시스템의 여건에 맞는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는 데, 이로 인해 많은 설비 비용이 소요되고 환경 개발에 따른 주변 환경의 오염 및 생태계의 파괴 등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설비 비용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낮은 단점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920호에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는 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에 개시된 발전장치도 효율적인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는 있지만, 화석연료가 변함없이 지속적으로 소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8665호(공개일: 2006년01월27일), 발명의 명칭: "무게중심추를 이용한 소형발전기 및 그를 구비한 발광체"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6765호(공개일: 2012년03월20일), 발명의 명칭: "자가 발전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윙식 놀이기구"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2460호(공개일: 2011년09월16일), 발명의 명칭: "파동의 작용을 통한 에너지 생산 시스템"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920호(등록일: 2013년03월18일), 발명의 명칭: "발전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축에 연결된 추운동대를 구동모터가 일방향으로 들어올렸다 놓았다 하면서 효율적으로 추 운동을 시키면 추운동대와 함께 주축이 반복적으로 정회전과 역회전하면서 주축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해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상부에 설치대가 구비되고, 기본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설치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주축; 상기 주축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설치되며, 진자 운동을 하면서 상기 주축을 회전시켜 주축을 반복적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시키는 추운동대; 상기 추운동대를 진자 운동시키는 추운동수단; 상기 주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주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 상기 주축의 타단에 설치되어 주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에 이 맞물림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1구동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피동기어; 상기 제1피동기어에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제1피동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함께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제1피동기어만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동력전달축; 상기 제2구동기어에 이 맞물림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구동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피동기어; 상기 제2피동기어에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제2피동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제2피동기어만 회전하도록 하고 제2피동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동력전달축; 상기 제2동력전달축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동력전달축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에 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제2동력전달축이 제2피동기어와 함께 역회전할 때 이 동력을 전달받아 제1동력전달축을 정회전시키는 제2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동력전달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을 통해 제1동력전달축의 회전력을 증속시켜 출력하는 증속기어박스; 및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출력 부분에 연결되어 증속기어박스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전기에너지는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구동기어의 외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1피동기어의 일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에 이맞물림되게 설치되되,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는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제1동력전달축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이 함께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구동기어의 외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2피동기어의 일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에 이맞물림되게 설치되되,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는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제2동력전달축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만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가 회전하면서 동력이 제1동력전달축과 제2동력전달축으로 전달될 때 상기 일방향베어링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는 상기 추운동대의 이동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게 부착하되, 상기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는 한 개의 원형기어를 절단하여 여러 개의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로 사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추운동대는 닻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추운동대의 좌측 단부에는 주 중량체가 설치되며 우측 단부에는 보조 중량체가 설치되어 추운동대의 진자 운동을 돕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중량체 보다 주 중량체가 더 무겁게 구성되어, 상기 추운동수단을 통해 주 중량체 부분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보조 중량체가 하강하면서 주 중량체가 잘 들어 올려지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고, 들어 올려진 주 중량체 부분을 놓아서 주 중량체를 하강시키면 주 중량체 보다 보조 중량체가 가볍기 때문에 보조 중량체 부분이 상방향으로 잘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추운동대가 원활하게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추운동대가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되면 진자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제1동력전달축을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력을 증속기어박스를 통해 발전기로 공급하기 때문에 발전기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추운동대가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할 때 주 중량체와 조보 중량체가 추운동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추운동대의 진자 운동을 돕기 때문에 적은 힘을 갖는 구동모터를 이용해서도 추운동대를 원활하게 진자 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발전기에 항상 정확한 양의 회전 에너지를 제공하여 전기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수단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디는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가 적용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는 기본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10)을 구비하되,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설치대(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대(10) 상에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주축(100)이 설치되며, 이 주축(100)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추운동대(200)가 설치된다. 추운동대(200)는 주축(100)과 결합되어 주축(100)을 중심으로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추운동대(200)가 진자 운동을 하게 되면 주축(100)은 그 동력을 전달받아 반복적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추운동대(200)는 닻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추운동대(200)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면 어느 형상이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추운동대(200)의 좌측 단부에는 주 중량체(210)가 설치되며, 우측 단부에는 보조 중량체(220)가 설치되어 추운동대(200)의 진자 운동을 돕도록 구성된다.
이때, 보조 중량체(220) 보다 주 중량체(210)가 더 무겁게 구성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보조 중량체(220)가 주 중량체(210)의 절반 정도의 무게를 갖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는 추운동수단을 통해 주 중량체(210) 부분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보조 중량체(220)가 하강하면서 주 중량체(210)가 잘 들어 올려지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고, 들어 올려진 주 중량체(210) 부분을 놓아서 주 중량체를 하강시키면 주 중량체(210) 보다 보조 중량체(220)가 가볍기 때문에 보조 중량체(220) 부분이 상방향으로 잘 들어 올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보조 중량체(220)와 주 중량체(210)는 추운동대(200)가 원활하게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돕는 것이다.
그리고 추운동대(200)는 추운동수단을 통해 진자 운동하게 구성된다. 추운동수단은, 주 중량체(21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제1연결링(212)과, 주 중량체(210)의 하측 일부분에 형성된 제2연결링(214)과, 프레임(10)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할 수 있는 구동모터(300)와, 구동모터(300)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310)과, 주 중량체(210) 보다 하부에서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스프로킷(320)과, 일단에는 제1고리(332)가 형성되어 제1연결링(212)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고리(334)가 형성되어 제2연결링(214)에 연결되며,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을 연결하는 체인(3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의 사이에는 체인(330)이 처지는 것을 잡아주기 위해 보조스프로킷(340)이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300)가 정회전을 하면 체인(33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 중량체(210)를 들어올려 추운동대(200)가 좌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구동모터(300)가 역회전하면 체인(33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 중량체(210)가 하강하여 추운동대(200)가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모터(300)가 정회전하면서 주 중량체(210)를 들어올릴 때는 보조 중량체(220)가 하강하면서 구동모터(300)가 주 중량체(210)를 들어올리는 힘을 덜어주게 되고, 구동모터(300)가 주 중량체(210)를 하강시키기 위해 역회전하게 되면 주 중량체(210)의 무게에 의해 저절로 하강하는 힘을 갖게 되어 구동모터(300)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모터(300)는 주 중량체(210)를 들어올릴 때는 보조 중량체(220)의 도움을 받게 되고, 주 중량체(210)를 하강시킬 때는 주 중량체(210)가 천천히 하강하도록 잡아주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면 상에는 구동모터(300)가 프레임(10)의 좌측 상단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좌우로 자연스럽게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구동모터(300)의 힘으로 추운동대(200)을 들어올릴 때 들어올리는 힘의 방향에 따라 구동모터(300)가 자연스럽게 좌우로 이동하면서 추운동대(200)를 들어올리면 추운동대(200)를 당기는 힘이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힘을 갖게 되어 추운동대(200)를 효율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추운동수단을 통해 추운동대(200)가 좌우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주축(100)도 이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번갈아가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주축(10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발전기(600)로 전달되어 발전기(600)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게 구성된다.
즉, 동력전달수단은 주축(100)의 좌우 회전력을 한 방향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증속기어박스(500)로 전달하고, 증속기어박스(500)에서 이 회전력을 증속시켜 발전기(600)로 전달하여 발전기(600)를 작동시키게 구성된다.
동력전달수단을 설명하면, 주축(1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주축(100)과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400)와 제2구동기어(4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구동기어(400)에는 제1구동기어(40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피동기어(420)가 이 맞물림 되게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제2구동기어(410)에는 제2구동기어(4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피동기어(430)가 이 맞물림 되게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피동기어(420)에는 제1동력전달축(440)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제2피동기어(430)에는 제2동력전달축(450)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피동기어(420)와 제1동력전달축(440)은 결합될 때 일방향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420)가 정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440)이 함께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420)가 역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440)에 대해 제1피동기어(420)가 헛돌면서 제1피동기어(420)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피동기어(430)와 제2동력전달축(450)도 결합될 때 일방향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어 제2피동기어(430)가 정회전할 때는 제2동력전달축(450)에 대해 제2피동기어(430)가 헛돌면서 제2피동기어(430)만 회전하게 되고, 제2피동기어(430)가 역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440)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주축(100)이 회전하면 제1구동기어(400)와 제2구동기어(410)도 함께 회전하는 데, 주축(100)이 역회전을 하면 제1구동기어(400)가 역회전을 하면서 제1피동기어(420)와 제1동력전달축(440)이 정회전을 하게 되며, 주축(100)이 정회전을 하면 제2구동기어(410)가 정회전을 하면서 제2피동기어(430)와 제2동력전달축(450)이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주축(100)이 역회전을 하면 일방향베어링(B)의 특성상 제2피동기어(430)의 동력이 제2동력전달축(450)으로 전달되지 않아 제1동력전달축(440)만 정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주축(100)이 정회전을 하면 제1피동기어(420)의 동력이 제1동력전달축(440)으로 전달되지 않아 제2동력전달축(450)만 역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방향베어링(B)은 시판되는 제품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방향베어링(B)을 통해 동력이 전달 또는 차단되게 구성되어 있지만,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 및 차단할 수 있다면 일방향베어링(B) 대신 다른 방식으로 적용해도 될 것이다. 계속해서, 제2동력전달축(450)의 일부분에는 제1동력전달기어(460)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1동력전달축(440)의 일부분에는 제2동력전달기어(470)가 제1동력전달기어(460)에 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제2동력전달축(450)이 제2피동기어(430)와 함께 역회전할 때 이 동력을 전달받아 제1동력전달축(440)을 정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동력전달축(440)은 주축(100)이 정회전을 하던 역회전을 하던 항상 정회전하면서 회전 에너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일방향베어링(B)에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일방향베어링(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어의 수를 늘리고 다수개의 일방향베어링(B)이 설치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기어(400)의 외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400-1)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고, 제1피동기어(420)의 일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420-1)가 제1동력전달축(440)에 결합되어 대응되는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400-1)에 이맞물림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구동기어(410)의 외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410-1)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구성되고, 제2피동기어(430)의 일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430-1)가 제2동력전달축(450)에 결합되어 대응되는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410-1)에 이맞물림되게 설치된다. 물론,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420-1)가 제1동력전달축(440)에 결합될 때 일방향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고,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430-1)가 제2동력전달축(450)에 결합될 때 일방향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작동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면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일방향베어링(B)을 설치하여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장치가 작동될 때 일방향베어링(B)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일방향베어링(B)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400-1)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410-1)는 제1구동기어(400)나 제2구동기어(410)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추운동대(200)의 이동 각도를 고려하여 기어가 움직이는 부분만 형성되게 기어 일부분을 제1구동기어(400) 및 제2구동기어(410)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면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한 개의 원형 기어를 절단하여 여러개의 보조기어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400-1)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410-1)의 갯수는 도면처럼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이상의 갯수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부착하는 보조기어의 갯수에 따라 일방향베어링의 갯수가 늘기 때문에 힘은 더 분산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1동력전달축(440)의 회전력은 증속기어박스(500)에서 증속되어 발전기로 전달하게 구성되는 데, 이러한 증속기어박스(500)는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을 통해 제1동력전달축(440)의 회전력을 증속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증속기어박스(500)에서 출력되는 출력축(510)에는 구동풀리(700)가 설치되고 발전기(600)의 축에는 피동풀리(710)가 설치되며 구동풀리(700)와 피동풀리(710)는 밸트(720)를 통해 연결되어 출력축(510)의 동력이 발전기(600)로 전달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추운동대(200)가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할 때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운동제어수단이 더 구비된다. 즉, 추운동대(200)가 운동제어수단을 통해 항상 동일한 높이로 좌우 진자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운동제어수단은 보조 중량체(22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스토퍼(222)와, 주 중량체(21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스토퍼(216)와, 프레임(10)의 하부 일부분에 설치되되 주 중량체(21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보조 중량체(220)의 제1스토퍼(222)가 터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1스토퍼(222)가 터치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00)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게 신호를 송신하는 제1터치센서(800)와, 프레임(10)의 하부 일부분에 설치되되 주 중량체(21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보조 중량체(220)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주 중량체(210)의 제2스토퍼(216)가 터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제2스토퍼(216)가 터치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00)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게 신호를 송신하는 제2터치센서(810)로 구성된다. 물론, 제1터치센서(800)와 제2터치센서(810)의 신호를 구동모터(300)로 전달하여 구동모터(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별도의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운동대(2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주축(100)과 함께 제1구동기어(400)와 제2구동기어(410)가 정회전을 하게 되며, 제1피동기어(420)와 제2피동기어(430)는 이맞물림되면서 역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1피동기어(420)와 제1동력전달축(440)은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헛돌게 되며, 제2피동기어(430)와 제2동력전달축(450)은 동력이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동력전달축(450)의 동력이 제1동력전달기어(460)와 제2동력전달기어(470)를 통해 제1동력전달축(440)으로 전달되어 제1동력전달축(440)이 정회전하게 되며, 제1동력전달축(440)의 회전력이 증속기어박스(500)를 통해 발전기(600)를 작동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운동대(20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주축(100)과 함께 제1구동기어(400)와 제2구동기어(410)가 역회전을 하게 되며, 제1피동기어(420)와 제2피동기어(430)는 이맞물림되면서 정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2피동기어(430)와 제2동력전달축(450)은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헛돌게 되며, 제1피동기어(420)와 제1동력전달축(440)은 동력이 전달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동력전달축(440)의 회전력이 증속기어박스(500)를 통해 발전기(600)를 작동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추운동대(200)가 좌,우측으로 진자 운동을 하더라도 제1동력전달축(440)은 항상 정회전을 하기 때문에 증속기어박스(500)로 연속적인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며, 따라서 발전기(600)로 항상 동일한 회전력이 제공되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주축 200: 추운동대
210: 주 중량체 220: 보조 중량체
300: 구동모터 400: 제1구동기어
400-1: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 410: 제2구동기어
410-1: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 420: 제1피동기어
420-1: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 430: 제2피동기어
430-1: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 440: 제1동력전달축
450: 제2동력전달축 460: 제1동력전달기어
470: 제2동력전달기어 500: 증속기어박스
600: 발전기 B: 일방향 베어링

Claims (4)

  1. 상부에 설치대가 구비되고, 기본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설치대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주축;
    상기 주축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설치되며, 진자 운동을 하면서 상기 주축을 회전시켜 주축을 반복적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시키는 추운동대;
    상기 추운동대를 진자 운동시키는 추운동수단;
    상기 주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주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
    상기 주축의 타단에 설치되어 주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
    상기 제1구동기어에 이 맞물림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1구동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1피동기어;
    상기 제1피동기어에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제1피동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함께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제1피동기어만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동력전달축;
    상기 제2구동기어에 이 맞물림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제2구동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피동기어;
    상기 제2피동기어에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되, 제2피동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제2피동기어만 회전하도록 하고 제2피동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동력전달축;
    상기 제2동력전달축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동력전달축의 일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에 이 맞물림되게 결합되어, 제2동력전달축이 제2피동기어와 함께 역회전할 때 이 동력을 전달받아 제1동력전달축을 정회전시키는 제2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동력전달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을 통해 제1동력전달축의 회전력을 증속시켜 출력하는 증속기어박스; 및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출력 부분에 연결되어 증속기어박스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전기에너지는 생산하는 발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구동기어의 외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1피동기어의 일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에 이맞물림되게 설치되되,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는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제1동력전달축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이 함께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구동기어의 외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가 부착되어 함께 회전하게 설치되고, 제2피동기어의 일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에 이맞물림되게 설치되되, 제2피동기어용 보조기어는 일방향베어링을 통해 제2동력전달축에 결합되어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정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만 회전하고 제1피동기어용 보조기어가 역회전할 때는 제1동력전달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가 회전하면서 동력이 제1동력전달축과 제2동력전달축으로 전달될 때 상기 일방향베어링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는 상기 추운동대의 이동 각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게 부착하되,
    상기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는 한 개의 원형기어를 절단하여 여러 개의 제1구동기어용 보조기어와 제2구동기어용 보조기어로 사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운동대는 닻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추운동대의 좌측 단부에는 주 중량체가 설치되며 우측 단부에는 보조 중량체가 설치되어 추운동대의 진자 운동을 돕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중량체 보다 주 중량체가 더 무겁게 구성되어, 상기 추운동수단을 통해 주 중량체 부분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보조 중량체가 하강하면서 주 중량체가 잘 들어 올려지도록 밀어주는 역할을 하고, 들어 올려진 주 중량체 부분을 놓아서 주 중량체를 하강시키면 주 중량체 보다 보조 중량체가 가볍기 때문에 보조 중량체 부분이 상방향으로 잘 들어 올려지도록 하여, 추운동대가 원활하게 좌우로 진자 운동을 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운동수단은,
    상기 주 중량체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제1연결링과,
    상기 주 중량체의 하측 일부분에 형성된 제2연결링과,
    상기 프레임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정,역회전할 수 있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주 중량체 보다 하부에서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일단에는 제1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링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링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정회전을 하면 체인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 중량체를 들어올려 추운동대가 좌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구동모터가 역회전하면 체인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주 중량체가 하강하여 추운동대가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장치.
KR1020130161351A 2013-12-23 2013-12-23 발전장치 KR20150074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51A KR20150074266A (ko) 2013-12-23 2013-12-23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51A KR20150074266A (ko) 2013-12-23 2013-12-23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266A true KR20150074266A (ko) 2015-07-02

Family

ID=5378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51A KR20150074266A (ko) 2013-12-23 2013-12-23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42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87A (ko) * 2017-06-23 2019-0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너지 하비스터
CN113661647A (zh) * 2019-03-25 2021-11-16 吉格能源有限责任公司 能量转换装置和相关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87A (ko) * 2017-06-23 2019-0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너지 하비스터
CN113661647A (zh) * 2019-03-25 2021-11-16 吉格能源有限责任公司 能量转换装置和相关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8035B1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utilizing energy produced from ocean level fluctuation
CN105275725B (zh) 一种海浪海流复合发电装置
KR101551402B1 (ko) 파력 발전 시스템
EP3308018B1 (en) Drive assembly
KR101687815B1 (ko) 파력 발전 장치 및 이 파력 발전 장치를 복수 개 연결한 파력 발전 시스템
KR101405156B1 (ko) 발전장치
KR20080025278A (ko) 파력 발전시스템
JP5660606B2 (ja) 動力変換装置及び発電装置
KR20150074266A (ko) 발전장치
KR20160088452A (ko) 파력발전 시스템
JP5409879B2 (ja) 発電機
KR101630730B1 (ko) 발전장치
KR20150074267A (ko) 발전장치
KR101559329B1 (ko) 부력 발전장치
KR101287244B1 (ko) 파력 발전장치
KR20150075124A (ko) 발전장치
KR20130078949A (ko) 동물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30036496A (ko) 영구자석에 의한 회전력 발생장치
KR100768787B1 (ko) 지속 발전을 가능케 하는 구동드라이브유닛에 의한 파력 발전시스템형
KR101609981B1 (ko) 발전용 기어뭉치
KR101339319B1 (ko) 피치와 곡면 능동제어를 이용한 반복승강식 조류발전장치
JP3198740U (ja) 波力を連続回転運動に変換する装置
KR200490005Y1 (ko) 증속기능을 갖는 발전장치
CN2718254Y (zh) 惯性力变无燃料发电机
KR101017224B1 (ko) 다목적 궤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