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437A -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437A
KR20150073437A KR1020130161128A KR20130161128A KR20150073437A KR 20150073437 A KR20150073437 A KR 20150073437A KR 1020130161128 A KR1020130161128 A KR 1020130161128A KR 20130161128 A KR20130161128 A KR 20130161128A KR 20150073437 A KR20150073437 A KR 20150073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shing machine
curtain unit
wall surfac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586B1 (ko
Inventor
홍성보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586B1/ko
Priority to US14/145,795 priority patent/US9187859B2/en
Priority to CN201410035174.1A priority patent/CN104727081B/zh
Priority to EP14177161.8A priority patent/EP2886707A1/en
Publication of KR2015007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damping medium, e.g. biodegrad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되었을 때에, 프레임 에지보다 설치부 단면이 돌출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세탁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소음은 쿠션 패드에 의해 저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바디프레임이 프레임 에지에 커튼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세탁기와 벽면의 사이에 틈이 가려질 수 있어 벽면의 평탄도가 낮더라도 세탁기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MOUNTING UNIT FOR WALL-MOUNTED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되었을 때에, 세탁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세탁기와 벽면의 사이에 틈이 가려질 수 있도록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걸이형 세탁기는 외형적인 크기가 작게 제공되고, 벽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좁은 공간에서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벽걸이형 세탁기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에 따르면, 벽걸이형 세탁기는 캐비닛, 모터, 드럼, 히터, 도어, 배수 장치 등이 구비된다. 이하 벽걸이형 세탁기는 '세탁기'로 약칭한다.
종래의 세탁기의 설치장치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벽걸이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사시도면 및 배면사시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벽걸이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기(10)는 배면 쪽에 바디 프레임(20)이 구비되고, 바디 프레임(20)에 전방에는 캐비닛(30)이 배치되며, 캐비닛(30)의 전방에는 도어(40)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30)의 한쪽에는 조작부(50)가 구비된다. 캐비닛(30)의 내부에는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디 프레임(20)은 배면 모서리에 프레임 에지(21)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설치부 단면(22)이 형성된다. 설치부 단면(22)에는 쿠션 패드(60)가 구비된다.
한편, 모터(70)와 터브(80)는 벨트 전동요소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모터(70)에서 동력이 발생되면 그 동력은 벨트 전동요소에 의해 터브(80) 쪽으로 전달된다.
한편, 프레임 에지(21)의 표면 높이와 설치부 단면(22)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세탁기(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W)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벽면(w)에 앙카 볼트(90)가 설치되고, 그 앙카 볼트(90)에 바디 프레임(20)이 설치되며, 앙카 볼트(90)의 나사부에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벽면(w)에 바디 프레임(20)을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부 단면(22)에는 쿠션 패드(60)가 구비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앙카 볼트(90)에 너트를 조임으로써 쿠션 패드(60)는 압축된다. 결국, 벽면(W)에는 바디 프레임(20)의 프레임 에지(21)가 직접 닿게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벽면(w)에 세탁기(10)가 설치된 후에, 세탁기(10)를 작동시키면 모터(70)가 작동되면서 세탁기(10)는 진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이론적으로 쿠션 패드(60)에서 완충시켜야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프레임 에지(21)가 벽면에 직접 닿게 되므로 진동 소음이 벽면(w)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벽면(w)의 평탄도가 고르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를 벽면(w)에 설치하였을 때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한 부분에서 틈(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a)은 모터(70)와 터브(80)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더욱 쉽게 외부로 전달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틈(a)을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세탁기(10)의 배면 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세탁기(10)의 배면 쪽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70)의 구동풀리와 터브(80)의 종동풀리와 벨트 등의 구성요소가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이물질이나 수분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이로써 세탁기(1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3-0064624호(2013.06.1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벽면에 세탁기를 설치할 때에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이 벽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될 벽면의 평탄도가 고르지 않더라도 벽면에 세탁기를 설치하였을 때에 벽면과 세탁기간의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제1 프레임 에지(121)보다 설치부 단면(122)이 돌출(b참조)되게 형성된 바디 프레임(120); 및 상기 설치부 단면(122)에 배치되어 진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쿠션 패드(1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가 상기 벽면(w)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상기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바디 프레임(120)과 상기 벽면(w)의 틈이 메워지는 커튼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 포켓 그루브(124)가 형성되고, 상기 커튼 유닛(200)이 상기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서 상기 포켓 그루브(124)를 기준으로 바깥쪽에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보다 낮게 제2프레임 에지(123)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포켓 그루브(124)는 상기 바디 프레임(120)의 배면이 똑바로 보이는 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제1 프레임 에지(121)와 닮은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포켓 그루브(124)는, 폭(e)보다 깊이(d)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커튼 유닛(2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튼 유닛(200)의 폭(f)이 상기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05% 내지 140%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커튼 유닛(200)은, 인서트 파트(210)에 플랩 파트(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파트(220)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c참조)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제1 프레임 에지(121)에 포켓 그루브(124)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120); 및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커튼 유닛(200);을 포함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커튼 유닛(200)에 의해 상기 바디 프레임(120)과 상기 벽면(w)의 틈이 메워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상기 바디 프레임(120)은 상기 제1 프레임 에지(121)보다 돌출(b참조)되게 설치부 단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 단면(122)에 배치되어 진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쿠션 패드(1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가 상기 벽면(w)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바디 프레임의 프레임 에지보다 설치부 단면을 더 돌출되게 제공함으로써 설치부 단면에 구비되는 쿠션 패드에 의해 진동소음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되었을 때에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이 벽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바디 프레임의 배면에 커튼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벽면과 세탁기 사이에 틈이 형성되더라도 커튼 유닛에 의해 틈이 가려질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이나 수분이 세탁기의 배면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벽걸이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사시도면 및 배면사시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벽걸이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에서 쿠션과 커튼 유닛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에서 쿠션과 커튼 유닛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100)의 설치장치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20)에 쿠션 패드(160)를 설치하고, 제1 프레임에지(121)에 커튼 유닛(200)을 구비한다.
바디 프레임(120)은 배면에 설치부가 형성되고, 설치부 단면(122)은 제1 프레임 에지(121)보다 돌출(b참조)되게 형성된다. 또한, 설치부 단면(122)에는 마운팅 홀(125)이 형성된다. 마운팅 홀(125)은 세탁기(100)를 벽면(w)에 설치할 때에 앙카 볼트(190)가 관통된다.
설치부 단면(122)에 쿠션 패드(160)가 구비된다. 쿠션 패드(160)에는 홀(161)이 형성된다. 홀(161)은 세탁기(100)를 벽면(w)에 설치할 때에 앙카 볼트(190)가 관통된다.
쿠션 패드(160)는 세탁기(100)가 벽면(w)에 설치되었을 때에 세탁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저감시킨다.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제1프레임 에지(121)가 벽면(w)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설치부 단면(122)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설치부 단면(122)이 벽면(w)에 닿기 때문에, 제1 프레임 에지(121)는 벽면(w)과 소정의 거리가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커튼 유닛(200)은 제1프레임 에지(121)에 구비된다. 커튼 유닛(200)은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커튼 유닛(200)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이로써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바디 프레임(120)과 벽면(w)의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지만, 커튼 유닛(200)은 바디 프레임(120)과 벽면(w)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메워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1프레임 에지(121)에 포켓 그루브(124)가 형성될 수 있다. 커튼 유닛(200)은 상술한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커튼 유닛(200)을 바디 프레임(12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커튼 유닛(200)의 일부를 포켓 그루브(124)에 밀어 넣도록 함으로써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프레임 에지(121)에서 상기 포켓 그루브(124)를 기준으로 바깥쪽에는 제1프레임 에지(121)보다 낮게 제2프레임 에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커튼 유닛(200)은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데, 제2프레임 에지(123)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커튼 유닛(200)이 변형될 때에 변형되는 방향을 제2 프레임 에지(123) 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커튼 유닛(200)의 전체 구간에서 모두 바깥쪽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으로 일관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커튼 유닛(200)은 고무재질로 제공됨으로써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때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포켓 그루브(124)는 바디 프레임(120)의 배면이 똑바로 보이는 방향에서 볼 때에, 제1 프레임 에지(121)와 닮은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프레임 에지(121)는 바디 프레임(12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이고, 포켓 그루브(124)도 바디 프레임(12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포켓 그루브(124)는 폭(e)보다 깊이(d)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이로써 포켓 그루브(124)에 커튼 유닛(200)을 삽입하면 인위적인 외력을 작용하지 않은 한 삽입된 형태를 유지하는 데에 더 효과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커튼 유닛(200)의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커튼 유닛(200)이 포켓 그루브(124)에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커튼 유닛(2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튼 유닛(200)의 폭(f)이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05% 내지 140% 큰 것일 수 있다. 커튼 유닛(200)은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될 때에 커튼 유닛(200)의 폭(f)보다 좁은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됨으로써 압축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커튼 유닛(200)이 포켓 그루브(124)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커튼 유닛(200)의 폭(f)이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05%이상 크게 제공되면 커튼 유닛(200)과 포켓 그루브(124)간에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커튼 유닛(200)의 폭(f)이 105%보다 작은 경우에 헐거울 수 있고, 이렇게 헐거운 경우에는 세탁기(100)를 제조하는 과정, 또는 세탁기(100)를 설치하거나 옮기는 등 취급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이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커튼 유닛(200)의 폭(f)은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05%이상 크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커튼 유닛(200)의 폭(f)이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40%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커튼 유닛(200)이 폭(f)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커튼 유닛(200)을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할 때에 조립 작업이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커튼 유닛(200)의 폭(f)이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40% 이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 유닛(200)은, 인서트 파트(210)에 플랩 파트(220)가 형성되고, 플랩 파트(220)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c참조)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세탁기(100)가 벽면(w)에 설치되었을 때에 커튼 유닛(200)의 플랩 파트(220)가 압력을 받아 변형될 수 있는데 이때 커튼 유닛(200)이 변형되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변형되는 방향은 항상 바깥쪽이다. 즉 커튼 유닛(200)이 변형되는 방향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고 이로써 커튼 유닛(200)의 임의 구간에서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전체적인 외관을 볼 때에 일관된 형상처럼 보일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만약 커튼 유닛(200)의 변형에 방향성이 없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변형된다면 변형된 형태가 쉽게 눈에 띌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어느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하였는지 발견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유닛(200)은 일관되게 한 쪽 방향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세탁기(100)가 벽면(w)에 설치된 후에 외관이 미려한 것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벽면(w)에는 앙카 볼트(190)가 설치된다. 그 앙카 볼트(190)에는 쿠션 패드(160)의 홀(161)이 삽입되고, 바디 프레임(120)의 마운팅 홀(125)이 삽입된다. 마운팅 홀(125)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나사부에는 너트(191)가 체결된다. 즉, 너트(191)를 조임으로써 벽면(w)에 세탁기(100)를 고정설치가 된다.
쿠션 유닛(160)은 설치부 단면(122)과 벽면(w)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고 이로써 쿠션 유닛(160)은 세탁기(10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세탁기(100)의 제1 프레임 에지(121)는 벽면(w)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고 이로써 진동소음이 벽면(w)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커튼 유닛(200)은 세탁기(100)가 벽면(w)에 설치되었을 때에 벽면(w)과 밀착되면서 자연스럽게 벽면(w)의 형상을 따라 변형된다. 즉, 세탁기(100)와 벽면(w)의 사이에 공간은 커튼 유닛(200)에 의해 가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이물질이나 수분등이 세탁기(100)의 뒤쪽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튼 유닛(200)은 방음, 차음 효과를 가진다. 즉, 세탁기(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이 소리의 형태로 외부로 전달되겠지만, 커튼 유닛(200)에 의해 소리의 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므로,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에 소음으로부터 좀 더 쾌적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바디 프레임의 프레임 에지보다 설치부 단면을 더 돌출되게 제공함으로써 설치부 단면에 구비되는 쿠션 패드에 의해 진동소음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세탁기가 벽면에 설치되었을 때에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이 벽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바디 프레임의 배면에 커튼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벽면과 세탁기 사이에 틈이 형성되더라도 커튼 유닛에 의해 틈이 가려질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이나 수분이 세탁기의 배면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는 벽걸이 세탁기를 벽면에 설치할 때에 벽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더라도 양호하게 설치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벽걸이 세탁기 20: 바디 프레임
21: 프레임 에지 22: 설치부 단면
30: 캐비닛 40: 도어
50: 조작부 60: 쿠션 패드
70: 모터 80: 터브(Tub)
90: 앙카 볼트 w: 설치 벽면
100: 벽걸이 세탁기 120: 바디 프레임
121, 123: 제1, 2 프레임 에지 122: 설치부 단면
124: 포켓 그루브 125: 마운팅 홀
130: 캐비닛 160: 쿠션 패드
161: 홀 200: 커튼 유닛
210: 인서트 파트(insert part) 220: 플랩 파트(flap part)

Claims (10)

  1. 제1 프레임 에지(121)보다 설치부 단면(122)이 돌출(b참조)되게 형성된 바디 프레임(120); 및
    상기 설치부 단면(122)에 배치되어 진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쿠션 패드(1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가 상기 벽면(w)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상기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바디 프레임(120)과 상기 벽면(w)의 틈이 메워지는 커튼 유닛(200);
    을 더 포함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 포켓 그루브(124)가 형성되고, 상기 커튼 유닛(200)이 상기 포켓 그루브(124)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서 상기 포켓 그루브(124)를 기준으로 바깥쪽에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보다 낮게 제2프레임 에지(123)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그루브(124)는 상기 바디 프레임(120)의 배면이 똑바로 보이는 방향에서 볼 때에, 상기 제1 프레임 에지(121)와 닮은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그루브(124)는, 폭(e)보다 깊이(d)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유닛(2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커튼 유닛(200)의 폭(f)이 상기 포켓 그루브(124)의 폭(e)보다 105% 내지 140%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유닛(200)은,
    인서트 파트(210)에 플랩 파트(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파트(220)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진(c참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9. 제1 프레임 에지(121)에 포켓 그루브(124)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120); 및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커튼 유닛(200);을 포함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커튼 유닛(200)에 의해 상기 바디 프레임(120)과 상기 벽면(w)의 틈이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120)은 상기 제1 프레임 에지(121)보다 돌출(b참조)되게 설치부 단면(12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 단면(122)에 배치되어 진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쿠션 패드(1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프레임(120)이 벽면(w)에 고정되면, 상기 제1프레임 에지(121)가 상기 벽면(w)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KR1020130161128A 2013-12-23 2013-12-23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KR10161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128A KR101614586B1 (ko) 2013-12-23 2013-12-23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US14/145,795 US9187859B2 (en) 2013-12-23 2013-12-31 Mounting unit for wall-mounted washing machine
CN201410035174.1A CN104727081B (zh) 2013-12-23 2014-01-24 用于壁装式洗衣机的安装单元
EP14177161.8A EP2886707A1 (en) 2013-12-23 2014-07-15 Mounting unit for wall-mounted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128A KR101614586B1 (ko) 2013-12-23 2013-12-23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437A true KR20150073437A (ko) 2015-07-01
KR101614586B1 KR101614586B1 (ko) 2016-04-21

Family

ID=5121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128A KR101614586B1 (ko) 2013-12-23 2013-12-23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87859B2 (ko)
EP (1) EP2886707A1 (ko)
KR (1) KR101614586B1 (ko)
CN (1) CN104727081B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3811A (en) * 1967-01-06 1968-05-21 Anning Johnson Company Removable utility frame for suspended ceilings
US4213426A (en) * 1978-11-09 1980-07-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rouding for engine mounted cooling fan
US4568243A (en) * 1981-10-08 1986-02-04 Barry Wright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ng seal for mounting fans and blowers
US4807716A (en) * 1987-02-09 1989-02-28 Hawkins J F Motorized carrying car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US5126607A (en) * 1991-03-22 1992-06-30 Ncr Corporation Stepper motor vibration isolator
US5758861A (en) * 1996-09-18 1998-06-02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 Dock Company Compression mount for equipment
US6351380B1 (en) * 1999-11-12 2002-02-26 Dell Products, L.P. Cooling fan mounting arrangement
KR20020035985A (ko) 2000-11-07 2002-05-1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장착구조
BR0201397B1 (pt) * 2002-04-19 2011-10-18 arranjo de montagem para um ventilador de refrigerador.
DE20219814U1 (de) * 2002-12-20 2003-03-06 Thoma Peter Gummielastischer Montagerahmen für einen Axiallüfter
DE502004000201D1 (de) * 2003-07-15 2006-01-26 Ebm Papst St Georgen Gmbh & Co Mini filter zur befestigung in einer ausnehmung einer wand
KR20060125298A (ko) 2005-06-02 2006-12-06 추성엽 드럼 세탁기
ITTO20070271A1 (it) * 2007-04-17 2008-10-18 Indesit Co Spa Macchina per il lavaggio di biancheria
JP5035142B2 (ja) 2008-06-30 2012-09-26 サクサ株式会社 電子機器の壁掛け構造
US8205843B2 (en) 2009-09-02 2012-06-2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ollerball leveling leg
KR101453268B1 (ko) 2012-04-04 2014-10-2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KR101864844B1 (ko) 2011-12-08 2018-06-11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CN106087348B (zh) * 2011-12-08 2019-05-03 大宇电子株式会社 壁装式滚筒洗衣机
WO2013085298A1 (ko) * 2011-12-08 2013-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벽걸이형 드럼세탁기
CN106120234B (zh) * 2011-12-08 2020-07-03 大宇电子株式会社 壁装式滚筒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87859B2 (en) 2015-11-17
CN104727081A (zh) 2015-06-24
US20150176189A1 (en) 2015-06-25
EP2886707A1 (en) 2015-06-24
KR101614586B1 (ko) 2016-04-21
CN104727081B (zh)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665B2 (en) Appliance integrated noise attenuator with kick panel
KR101182926B1 (ko) 벽걸이형 기기의 벽면 고정 장치
US20120257965A1 (en) Cooling fan
JP6192961B2 (ja) 制震装置
TW201309922A (zh) 風扇模組
KR102446475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및 캐비닛 가구
KR101614586B1 (ko) 벽걸이 세탁기의 설치장치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1558993B1 (ko) 실내 방음벽 구조물
CN110573383A (zh) 车身隔板用隔音元件
CN208128029U (zh) 电动升降桌的电机安装结构
JP5608119B2 (ja) 配線ボックスの遮音装置及び遮音性配線ボックス
CN205421053U (zh) 一种尖劈式声屏障
KR200404873Y1 (ko) 층간진동 및 소음 방지장치
KR100754332B1 (ko) 진동저감용 스피커 결합 장치
JP6332972B2 (ja) 建具
KR20110006691U (ko) 파스너에 의한 패널의 결합구조
KR20100034234A (ko) 시공이 용이한 방진기
KR100651699B1 (ko) 아웃로터 타입 전동기의 영구자석 회전자 구조
KR100707277B1 (ko) 방음루버
JP2008237546A (ja) 家具
KR100743537B1 (ko) 영상장치의 전면패널 장착구조
KR100617369B1 (ko) 러기지 커버의 패널 홀더
KR20130088237A (ko) 벽걸이형 보일러의 방진구조
KR200283343Y1 (ko) 방음판의 방음막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