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822A -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822A
KR20150072822A KR1020130160400A KR20130160400A KR20150072822A KR 20150072822 A KR20150072822 A KR 20150072822A KR 1020130160400 A KR1020130160400 A KR 1020130160400A KR 20130160400 A KR20130160400 A KR 20130160400A KR 20150072822 A KR20150072822 A KR 20150072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us bar
current
sensor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893B1 (ko
Inventor
안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Priority to KR102013016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07Frequency selective voltage or current level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력측정장치로서, 전력 측정대상 분전반과 직렬로 체결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부스바; 상측에 제2케이스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상기 부스바가 관통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된 부스바관통공을 포함하는 부스바결합부; 및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부분에 삽입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모듈부;를 포함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인접 부스바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자기장차단부재를 통해 막아 전류측정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current sensor capable of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for power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 부스바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자기장차단부재를 통해 막아 전류측정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전반용 전류센서에 관한 것이다.
전력은, 단위시간동안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또는 단위시간동안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되는 전기에너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Power의 첫 글자인 P로 표시하며, 전력(P)과 전압(V), 전류(I)의 관계는 P=VI를 만족한다. 교류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는 전류와 전압이 계속 변하므로, 보통 1주기 동안에 공급되는 전력을 주기로 나눈 평균전력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전력, 전압, 전류량은, 실생활에서 전기 사용량 측정뿐만 아니라, 전기 장치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측정되며, 측정 장비로 다양한 전력 측정 장치가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력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 전선이나 부스바 등이 관통되도록 구성되고, 부스바 등이 관통 결합되는 기구에 고정형으로 전력 또는 전압 측정 센서 등이 구비되며, 측정 센서로는 CT(Current Transformer) 코일, 홀센서 또는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되는 것(특허출원 제10-2004-0051360호, 제10-2007-0095919호 참조)이 일반적이다.
전력 측정 장치에 있어서, 측정 센서나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연구 개발된 바가 없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전력 측정 장치는 단상 혹은 삼상의 상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측정하고자 하는 전선이나 부스바를 모두 하나의 기구에 연결하여, 측정 센서 등 측정모듈부와 부스바가 고정 결합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정격 혹은 회로 형태 (단상, 3상 3선식, 3상 4선식)에 따라 기구물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활선 상태에서는 모듈의 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현재 홀센서나 로고스키 코일을 사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전력 측정 장치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인접 전선이나 부스바에 흐르는 전류 혹은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함께 측정하기 때문에 그 정확성에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 부스바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자기장차단부재를 통해 차단하여 전류측정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스바와 각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정홈에 전류측정센서를 삽입하기 때문에 부스바와 전류측정센서간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전류의 정격에 대해 별도의 기구물을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전류측정센서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만 변경해주면 정격의 변경이 가능한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력측정장치로서, 전력 측정대상 분전반과 직렬로 체결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부스바; 상측에 제2케이스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상기 부스바가 관통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된 부스바관통공을 포함하는 부스바결합부; 및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부분에 삽입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모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스바결합부는, 상기 부스바관통공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되 상기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 밀착연장되어 형성된 자기장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측정센서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제1케이스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자기장차단부재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기장차단부재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차단부재는,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류측정센서가 설치된 부분만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는, 일측면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위치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2케이스가 완전히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는, 상기 제2케이스의 상측과 결합되고, 양측면에 커넥터고정홈이 형성된 제3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부스바와 각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력측정센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부는, 상기 부스바결합부의 통공된 내부에 장착된 상기 전류측정센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가능형으로 결합되어 활선 교체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자기장차단부재가 상기 부스바관통공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부스바관통공 아랫부분에 차단부재고정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 부스바 및 외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자기장차단부재를 통해 막아 전류측정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스바와 각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정홈에 전류측정센서를 삽입하기 때문에 부스바와 전류측정센서간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전류의 정격에 대해 별도의 기구물을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전류측정센서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위치만 변경해주면 정격의 변경이 가능한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가 분전반과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에서 부스바가 이탈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결합부에서 측정모듈부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부에서 제3케이스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결합부의 투과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가 분전반과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에서 부스바가 이탈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결합부에서 측정모듈부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부에서 제3케이스가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바결합부의 투과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10)는, 부스바(1000), 부스바결합부(100), 측정모듈부(200) 및 제3케이스(300)를 포함한다.
부스바결합부(100)는, 제1케이스(110), 부스바관통공(120), 자기장차단부재(130), 차단부재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부스바(1000)는, 전력 측정대상 분전반(20)과 직렬로 체결되어 전류가 도통된다.
제1케이스(110)는, 상측에 제2케이스(210,2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부스바관통공(120)은, 상기 제1케이스(110)에 상기 부스바(1000)가 관통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된다.
자기장차단부재(130)는, 상기 부스바관통공(120)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되 상기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 밀착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기장차단부재(130)는, 강자성체 재질로 구성되되, 퍼멀로이(permalloy)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기장차단부재(130)는,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류측정센서가 설치된 부분을 감싸 외부로부터의 자기장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자기장차단부재(130)는, 부스바(10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폐쇄하고 다른 자기장의 침입을 차단하여 전류측정센서가 전류측정시 대상되는 부스바(1000)에서만 발생되는 자기장만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정확성을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10)는, 상기 자기장차단부재(130)가 상기 부스바관통공(120)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부스바관통공(120) 아랫부분에 차단부재고정부(140)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정모듈부(200)는, 제2케이스(210,210'),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한다.
제2케이스(210,210')는, 상기 제1케이스(110)의 상측부분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210,210')는, 일측면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위치고정부재(214,2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110)는, 상기 제2케이스(210,210')가 완전히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위치고정부재(214,214')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2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210,210')는, 상기 부스바와 각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정홈(212)이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류측정센서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홈(212)은, 전류측정장치의 오차를 고려하여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3단으로 상기 고정홈(212)이 형성되게 된다면, 30A정도의 전류측정시 제일 하측에 위치한 제3고정홈(212c)에 전류측정센서를 삽입하고, 60A정도의 전류 측정시 중간에 위치한 제2고정홈(212b)에 전류측정센서를 삽입하며, 120A이상의 전류 측정시 제일 상측에 위치한 제3고정홈(212c)에 전류측정장치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고정홈(21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측정센서는, 상기 부스바(10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제2케이스(210,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케이스(210,210')가 상기 제1케이스(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자기장차단부재(130)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전류측정센서는 부스바와 각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정홈에 삽입되기 때문에 부스바와 전류측정센서간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전류의 정격에 대해 별도의 기구물을 따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삽입되는 위치만 변경해주면 정격의 변경이 가능하다.
제3케이스(300)는, 상기 제2케이스(210,210')의 상측과 결합되고, 양측면에 커넥터고정홈(310)(212)이 형성된 제3케이스(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고정홈(212)을 커넥터를 제3케이스(300)의 내부로 감춰주기 때문에 커넥터 연결 시 복잡하게 선들을 늘여놓지 않고 깔끔한 정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정모듈부(200)는, 상기 부스바결합부(100)의 통공된 내부에 장착된 상기 전류측정센서의 일부 또 전부가 분리가능형으로 결합되어 활선 교체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부스바결합부(100)는 부스바(1000)를 고정하고, 부스바(1000)가 측정모듈부(200)의 전류측정센서(미도시)와 접촉(예: 전압 측정 시) 또는 비접촉(예: 전류 측정 시)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류측정센서(미도시)는, 상기 전류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정보를 도출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외부 모듈 또는 다른 전력 측정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측정센서는, 측정모듈부(200)가 부스바결합부(100)에 결합 시 부스바(1000)와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구비되는 홀센서(전류 측정) 및 측정모듈부(200)가 부스바결합부(100)에 결합 시 부스바(1000)에 미리 정해진 부분만큼 접촉되어 고정 구비되는 금속편(전압 측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센서는 비 접촉형으로 전류 측정이 가능하고, 금속편의 일부를 접속시키는 것으로 전압 측정이 가능하므로, 홀센서와 금속편을 측정모듈부(200)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시켜 구성하여 측정 센서 자체도 함께 분리 및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부스바결합부(100) 및 측정모듈부(20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 모듈 분리형 전력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정모듈부(2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부스바결합부(100)의 통공된 내부에 분리 가능형으로 결합되어 활선 교체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종래 제품들과는 다르게 정격과 무관하게 동일한 모듈을 사용하여, 단상, 3상 3선식, 3상 4선식 회로를 측정할 수 있고, 활선 상태에서 바로 해당 측정모듈부(200)의 교체가 가능해진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측정 장치는 일반적으로 복수개가 연달아 구비될 수 있으며, 부스바결합부(100)는 내부가 통공된 사각 기둥 형태이고 측정모듈부(200)는 티(T)자 형태로서 티자 형태의 다리부가 내부가 통공된 사각 기둥 상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 형태는 일실시예에 한하는 것으로서, 부스바(1000)가 부스바결합부(100)에 결합되고, 부스바 결합부(100)의 통공된 내부에 측정모듈부(200) 일부(또는 전부)가 삽입되어 결합된 부스바(1000)와 일부 접촉(금속편 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외부 형태에 있어서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 모듈은 전압 및 전류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 및 전력 품질 정보를 도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측정모듈부(200) 내 온도 또는 다른 인접한 전력 측정 장치와 결합된 부스바(1000)의 자기장 영향에 대한 간섭 제거 등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모듈을 통하여 인접한 다른 전력 측정 장치로부터 해당 장치가 측정한 전압 및 전류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본 장치가 측정한 전압 및 전류 측정 데이터와 연산하여 전력 측정에 필요한 상전압 및 상전류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 및 전력 품질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측정모듈부(200)는, 단상 혹은 3상 3선식, 3상 4선식 등 회로 연결에 따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측정모듈부(200) 내에 설치된 스위치나 혹은 전적으로 컨트롤 보드의 펌웨어에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측정 장치는 배전반의 내부에 복수개가 연달아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인접한 전력 측정 장치와 결합된 부스바(1000)에 흐르는 전류 등으로 인해 자기장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 문제를 자기장차단부재(130)가 차단하고, 데이터 처리 모듈에서 전류센서를 캘리브레이션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데이터 도출이 가능해진다.
통신 모듈은, 외부 모듈 또는 다른 전력 측정 장치 내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데, 다른 전력 측정 장치 내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통하여 전류 간섭 제거 등이 용이해진다.
또한, 외부 모듈이란, 배전반 또는 분전반에 구비되고 전력 측정 장치와 연결되며,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호스트에 전력 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하는 컨트롤 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100: 부스바결합부
110: 제1케이스 120: 부스바관통공
130: 자기장차단부재 140: 차단부재고정부
200: 측정모듈부 210,210': 제2케이스
212: 고정홈 212a: 제1고정홈
212b: 제2고정홈 212c: 제3고정홈
214,214': 위치고정부재 300: 제3케이스
310: 커넥터고정홈 20: 분전반
1000: 부스바

Claims (8)

  1. 전력측정장치로서,
    전력 측정대상 분전반과 직렬로 체결되어 전류가 도통되는 부스바;
    상측에 제2케이스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에 상기 부스바가 관통삽입되도록 양측면이 관통된 부스바관통공을 포함하는 부스바결합부; 및
    상기 제1케이스의 상측부분에 삽입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부스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모듈부;를 포함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결합부는,
    상기 부스바관통공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되 상기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서 상측으로 일정길이 밀착연장되어 형성된 자기장차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측정센서는,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제1케이스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자기장차단부재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기장차단부재는,
    강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차단부재는,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류측정센서가 설치된 부분만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일측면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위치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2케이스가 완전히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위치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의 상측과 결합되고, 양측면에 커넥터고정홈이 형성된 제3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부스바와 각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력측정센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부는,
    상기 부스바결합부의 통공된 내부에 장착된 상기 전류측정센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가능형으로 결합되어 활선 교체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자기장차단부재가 상기 부스바관통공의 아랫부분에 설치되고 타 부스바와 인접한 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부스바관통공 아랫부분에 차단부재고정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KR1020130160400A 2013-12-20 2013-12-20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KR10156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00A KR101565893B1 (ko) 2013-12-20 2013-12-20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00A KR101565893B1 (ko) 2013-12-20 2013-12-20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61A Division KR20150117233A (ko) 2015-09-25 2015-09-25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22A true KR20150072822A (ko) 2015-06-30
KR101565893B1 KR101565893B1 (ko) 2015-11-04

Family

ID=5351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00A KR101565893B1 (ko) 2013-12-20 2013-12-20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659378B1 (ko) * 2015-07-01 2016-09-23 주식회사 비엠티 모듈형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시스템
KR20200104508A (ko) * 2019-02-27 2020-09-04 홍준기 클램프 장착방식의 전력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227B1 (ko) * 2016-04-29 2016-09-01 (주)지디일렉스 전력 측정모듈을 구비한 연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분전반
KR101887348B1 (ko) * 2017-03-08 2018-09-06 (주)솔루윈스 단일극 연결형 전력계측장치와 전력계측장치의 통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378B1 (ko) * 2015-07-01 2016-09-23 주식회사 비엠티 모듈형 부스바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제어시스템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20200104508A (ko) * 2019-02-27 2020-09-04 홍준기 클램프 장착방식의 전력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93B1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93B1 (ko)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US90810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power using contactless voltage waveform shape sensor
US10274572B2 (en) Calibration system for a power meter
RU2730412C2 (ru) Узел датчика то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шины
US20180246150A1 (en) Phase aligned branch energy meter
US10877096B2 (en) Test switch signal analyzer
WO2008144308A1 (en) Modular power monitoring system
KR20130114709A (ko) 테이블 탭 및 전력 측정 방법
JP6921637B2 (ja) 電気アセンブリの回路遮断器と接触器との相互接続モジュール
KR101773398B1 (ko) 전류센서와 전압센서가 분리된 전자식 전력량계
US11137421B1 (en) Non-contact voltage sensing system
JP5994973B2 (ja) 分電盤
US20120217964A1 (en) Current sensor, table tap with current sensor, and magnetic substance cover for current sensor
KR20150117233A (ko) 탈착이 용이한 분전반용 전류센서
GB2571450A (en) Apparatus for electrical measurement
US20190162758A1 (en) Current-measuring apparatus, series of current-measuring apparatuses, and method for measuring current
JP6083018B2 (ja) 電流計測部材
JP2013183581A (ja) 分電盤
JP2013192393A (ja) 電力計測機能付き分電盤
US11444444B2 (en) Arc detection antenna in electric meter systems
KR20150123199A (ko) 다수의 자기전류센서를 이용한 풀 레인지 전류센서
JP5871132B2 (ja) 電力計測ユニットおよび分電盤
US10746799B2 (en) Breaker measurement structure for power distribution unit
KR101565894B1 (ko) 다수의 자기전류센서를 이용한 풀 레인지 전류센서
GB2559391A (en) Bus ba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