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701A -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701A
KR20150072701A KR1020130160148A KR20130160148A KR20150072701A KR 20150072701 A KR20150072701 A KR 20150072701A KR 1020130160148 A KR1020130160148 A KR 1020130160148A KR 20130160148 A KR20130160148 A KR 20130160148A KR 20150072701 A KR20150072701 A KR 2015007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hore wind
wind power
power generator
illumin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242B1 (ko
Inventor
이기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2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야간에 발전기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야 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로컬 스위치에 도달하지 않고서도 특정 조명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의 해당 로컬에 대한 작업자의 조작이 없어도 특정 상황에 부합하는 조명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해상 풍력발전기 주변의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해 신속하게 조명 지원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LIGHTING CONTTOLLER FOR MARINE AEROGENERATOR}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야간에 발전기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야 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로컬 스위치에 도달하지 않고서도 특정 조명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상 풍력발전기에는 나셀 내부를 위한 조명, 타워 내부를 위한 조명, 플랫폼을 비추기 위한 조명, 배가 접안하여 상부 플랫폼으로 작업자가 오를 수 있도록 계단 부분을 비추는 조명 등과 같이 여러 목적의 조명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조명은 로컬에 설치된 해당 로컬 스위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제어 가능하다.
이에, 해상 풍력발전기의 각 로컬에 다가가서 해당 로컬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바, 야간에 해상 풍력발전기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 해상 풍력발전기에 접근하는 작업선 또는 작업자의 조명에 의지하여야 한다. 작업선으로부터 비춰 지는 조명 또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조명에 의지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해당 로컬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해상 풍력발전기 주변에 사고가 발생하여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야 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고 발생 지점에 구조선이 도착할 때까지 어떠한 구명 지원을 위한 조치를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을 개선하여 위에서 언급된 단점 또는 한계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148058(2013.08.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야간에 발전기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야 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로컬 스위치에 도달하지 않고서도 특정 조명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 및 웹 기반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사고 발생 지점 또는 작업 지점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하여 기 정해진 반경 내의 특정 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칭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전원 스위칭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관리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전송 처리되거나, 상기 관리 서버로 입력되는 제어 요청에 대한 응답 처리 결과로서 생성된 후 전송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는 사고 발생 또는 작업의 이벤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반경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모듈이 상기 특정 영역을 지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모듈이 다수인 경우 다수의 조명 중 상기 특정 영역과 대응하는 특정 조명을 선택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 및 웹 기반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조명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사고 발생 지점 또는 작업 지점인 특정 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특정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조명을 제어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모듈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특정 영역 내에서의 통신 내역을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은 상기 관리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칭하는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 및 상기 전원 스위칭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는 상기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주기별로 수신되어야 할 제어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조명 온 상태로 설정된 조명을 조명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특성상 야간에 발전기에 접근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사고가 발생하여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야 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로컬 스위치에 도달하지 않고서도 특정 조명을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상 풍력발전기의 해당 로컬에 대한 작업자의 조작이 없어도 특정 상황에 부합하는 조명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해상 풍력발전기 주변의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해 신속하게 조명 지원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또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러의 배치를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장치의 적용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적용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장치의 적용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용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명 제어장치의 적용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적용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특정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적어도 1 이상의 조명을 통합하여 제어하거나, 다수의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조명들을 특정 이벤트에 따라 통합 제어하는 구성을 갖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웹 기반의 원격제어 방식으로 특정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적어도 1 이상의 조명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즉,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관리자로 하여금 웹 기반을 기초로 다수의 조명을 원격 제어하게 하는 관리 서버(100), 관리 서버(100)와 웹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해상 풍력발전기 내 콘트롤러(200), 및 관리 서버(100)로부터 전달되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른 콘트롤러(200)의 전원 스위칭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경우 조명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다수의 조명부 중 제1 조명부는 나셀 내에 위치한 조명,제2 조명부는 타워 내부를 위한 조명, 제3 조명부는 플랫폼을 비추기 위한 조명, 제4 조명부는 상부 플랫폼으로 작업자가 오를 수 있도록 비추는 계단 위치의 조명 및 제N 조명부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러(200)의 배치를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되는 콘트롤러(200)는 콘트롤 케비넷(400)으로부터 메인 전원 케이블 및 제어신호 케이블을 통해 회로 연결되어 있고,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다수의 조명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100)에서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의 제2 조명부(320)를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콘트롤 캐비넷(400)이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제어신호 케이블로 연결된 콘트롤러(200)로 제공한다. 이후, 콘트롤러(200)는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스위칭을 수행하여 제2 조명부(320)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고, 제2 조명부(320)는 공급되는 전원으로 인해 '조명 온' 상태가 된다.
여기서, 관리 서버(100)에서 제어신호를 콘트롤러(200)로 전송하는 것은 관리 서버(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전송 처리되거나, 관리 서버(100)로 입력되는 제어요청에 대한 응답 처리 결과로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콘트롤러(200)로 전송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로 입력되는 제어요청이라 함은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본인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100)에 접속한 후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의 제2 조명부의 '조명 온' 상태를 요청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0)로 입력되는 제어요청은 작업자의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생성된 후 통신망을 거쳐 관리 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콘트롤러(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200)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특정 위치에 구비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직접 조명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로컬 모드 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하는 원격 모드를 제공한다. 이때, 로컬 모드 또는 원격 모드의 선택은 콘트롤러(200)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장치의 적용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장치는 해상 풍력발전기가 설비된 영역 근처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발생 지점에 대한 입력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반경 내의 발전기 조명을 온 상태로 제어하여 사고발생 지점에서의 사고 처리 및 구조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서버(100)로 사고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정보 및 사고발생 지점을 알리는 위치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제공받은 이벤트 정보 및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정해진 반경 내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특정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사고 발생 또는 작업의 이벤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반경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사고발생 지점으로부터 기 정해진 반경을 의미하는 특정 영역(즉, K 영역) 내에 속하는 해상 풍력발전기가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 및 제4 해상 풍력발전기(700)인 경우, 관리 서버(100)는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 및 제4 해상 풍력발전기(700)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콘트롤러(200)로 발전기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각 콘트롤러(200)가 응답하여 제어신호와 대응하는 발전기 조명을 '조명 온' 상태로 전환한다.
더 나아가, 관리 서버(100)로부터 각 콘트롤러(200)로 전송되는 각 제어신호는 발전기 주변을 비추는 조명이 다수인 경우, 사고발생 지점을 향하는 조명을 특정한 후 특정된 조명의 '조명 온' 상태 전환을 지시하는 신호로 구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적용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해상 안전 시스템을 통한 조난 신호를 사고 발생 메시지로서 수신하거나, 이동통신 또는 웹 통신에 의해 사고 접수된 내역인 사고 발생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이후,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사고 발생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사고 발생 지점을 특정하고, 특정된 사고 발생 지점에서 발생한 사고의 종류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판정한다(S102).
S102 단계에서 판정한 사고 발생 지점의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하여 기 정해진 반경 내를 의미하는 특정 영역(즉, K 영역)을 지정한다(S104).
이후, 관리 서버(100)는 특정 영역(즉, K 영역) 내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해상 풍력발전기로 사고 발생 지점을 비출 수 있는 조명의 온(ON) 상태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106).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사고 발생 지점에 대한 상황 종료 여부를 알리는 상황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106 단계에서 전송한 제어 신호에 의해 발전기 조명을 비추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조명 해제를 위한 제어 신호를 해당 해상 풍력발전기로 전송하여 관련 조명의 오프상태 제어를 수행한다(S108).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장치의 적용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장치는 특정 해상 풍력발전기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특정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동원할 수 있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서버(100)는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이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를 기준으로 3시 방향에 위치한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의 주변을 비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 방향의 조절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1 해상 풍력발전기(300)에 전송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제3 해상 풍력발전기(600)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이 제3 해상 풍력발전기(600)를 기준으로 9시 방향에 위치한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의 주변을 비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 방향의 조절에 대한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제3 해상 풍력발전기(600)에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제4 해상 풍력발전기(700) 및 제5 해상 풍력발전기(800)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도 유사하게 진행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용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00)는 소정의 메시지 발생수단으로부터 제2 해상 풍력발전기(500)에 대한 작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0).
이후,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작업 요청 메시지를 기초로 하여 작업 지점을 특정하고, 특정된 작업 지점에서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에 대한 이벤트 정보 및 작업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판정한다(S202).
S202 단계에서 판정한 작업 지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조명 제어를 위한 작업 지점을 의미하는 특정 영역(즉, M 영역)을 정확히 지정한다(S204).
이후, 관리 서버(100)는 특정 영역(즉, M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판정하고, 판정된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로 특정 영역(즉, M 영역)의 주변을 향하는 조명 조절 및 조명 온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206).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작업 지점에 대한 상황 종료 여부를 알리는 상황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206 단계에서 전송한 제어 신호에 의해 발전기 조명을 비추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조명 해제를 위한 제어 신호를 해당 해상 풍력발전기로 전송하여 관련 조명의 오프 상태 제어를 수행한다(S208).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근거리 통신 기반의 제어 방식으로 특정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즉,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는 작업자로 하여금 근거리 통신 기반을 기초로 다수의 조명을 원격 제어하게 하는 관리모듈(100-1), 관리모듈(100-1)과 근거리 통신 기반의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해상 풍력발전기 내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 및 관리모듈(100-1)로부터 전달되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른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의 전원 스위칭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경우 온 상태의 조명이 되는 다수의 조명부(300-1)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모듈(100-1)은 작업자의 설정에 의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하거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와 통신한 내역을 기초로 하여 근거리 영역 내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명 제어장치의 적용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모듈(100-1)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와 통신한 내역을 기초로 하여 근거리 영역 내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면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로 진입하는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와 자동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근거리 영역 내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을 온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관리모듈(100-1)과 바로 이전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 위치하였던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는 관리모듈(100-1)로부터 주기적으로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기초로 하여 담당하고 있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온 상태를 지속하는 제어를 한다.
즉, 전술한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는 관리모듈(100-1)로부터 재차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적인 제어신호의 미 수신으로 인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온 상태를 해제하는 스위칭을 수행함에 따라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적용 예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 이동수단 내에 위치하는 관리모듈(100-1)이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으로 인하여 소정의 근거리 영역 내에 접근하는 경우, 접근한 근거리 영역 내에 위치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와 통신을 수행한다(S300).
이후, 관리모듈(100-1)은 근거리 영역에 위치한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 결과, 근거리 통신 중인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를 통한 조명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근거리 통신 중인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를 통해 제어 가능한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을 타겟 조명으로 설정한다(S302).
이후, 관리모듈(100-1)은 타겟 조명을 이동 중인 해상 이동수단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경우, 타켓 조명의 방향을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속성 정보를 생성하거나, 타겟 조명이 다수일 때에는 해상 이동수단의 이동 방향을 지향하는 다수의 타겟 조명 중 특정 조명을 지정하는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S306).
이후, 관리모듈(100-1)은 S306 단계에서 생성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타겟 조명의 스위칭을 관장하는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로 전송하고,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는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타겟 조명이 된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방향 조절 및 온 상태를 위한 제어를 한다(S308).
그리고,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200-1)는 관리모듈(100-1)로부터 재차 조명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적인 제어신호의 미 수신으로 인하여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온 상태를 해제하는 스위칭을 수행함에 따라 해상 풍력발전기의 주변을 비추는 조명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S310 및 S312).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관리 서버 100-1: 관리 모듈
200: 콘트롤러 200-1: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
300, 300-1: 제1 해상 풍력발전기 400, 400-1: 콘트롤 캐비넷
500, 500-1: 제2 해상 풍력발전기 600, 600-1: 제3 해상 풍력발전기
700, 700-1: 제4 해상 풍력발전기 800, 800-1: 제5 해상 풍력발전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 및
    웹 기반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사고 발생 지점 또는 작업 지점의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하여 기 정해진 반경 내의 특정 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칭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전원 스위칭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관리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전송 처리되거나, 상기 관리 서버로 입력되는 제어 요청에 대한 응답 처리 결과로서 생성된 후 전송 처리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사고 발생 또는 작업의 이벤트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반경을 결정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모듈이 상기 특정 영역을 지향하도록 제어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영역에 포함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모듈이 다수인 경우 다수의 조명 중 상기 특정 영역과 대응하는 특정 조명을 선택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7.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 및
    웹 기반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조명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는 사고 발생 지점 또는 작업 지점인 특정 영역을 판정하고, 상기 특정 영역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8.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에 구비된 조명을 제어하는 관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모듈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특정 영역 내에서의 통신 내역을 기초로 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의 조명을 제어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모듈은 상기 관리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스위칭하는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 및
    상기 전원 스위칭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용 콘트롤러는 상기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며, 주기별로 수신되어야 할 제어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 조명 온 상태로 설정된 조명을 조명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KR1020130160148A 2013-12-20 2013-12-20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KR10165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148A KR101652242B1 (ko) 2013-12-20 2013-12-20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148A KR101652242B1 (ko) 2013-12-20 2013-12-20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701A true KR20150072701A (ko) 2015-06-30
KR101652242B1 KR101652242B1 (ko) 2016-08-30

Family

ID=5351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148A KR101652242B1 (ko) 2013-12-20 2013-12-20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805A (ko) * 2011-05-02 2012-11-12 노이환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JP2013148058A (ja) 2012-01-23 2013-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805A (ko) * 2011-05-02 2012-11-12 노이환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JP2013148058A (ja) 2012-01-23 2013-08-01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242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588B2 (en) Robot system including plurality of robot control devices
AU2012352571B2 (en) Wireless control and coordination of light bar and siren
US20120146518A1 (en) Predicative lighting control system
CN101749197B (zh) 风力设备及其障碍物灯标或危险灯标的运行方法
KR101175996B1 (ko)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057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cross arm on a utility pole
EP2643825B1 (en) Emergency guidance display
CN114698203A (zh) 一种基于云服务的舞台灯光控制系统
KR101652242B1 (ko) 해상 풍력발전기용 조명 제어장치
EP3001777A1 (en) Luminous intensity regulating device for led light towers
KR20190070639A (ko) 스마트 신호등 및 그 동작 방법
CN209914151U (zh) 一种船舶应急照明控制器
CN111010779A (zh) 多功能照明设备和多功能照明系统
CN104137009A (zh) 用来控制系统的方法
KR101568486B1 (ko) 잠수함의 장비 상태 표시등 제어시스템
KR100587550B1 (ko) 유도등부표
CN113820977B (zh) 一种用于信号灯的双链路远程冗余控制系统及方法
CN108093516B (zh) 基于手机控制的无线电磁感应式照明灯控制系统及方法
KR101019187B1 (ko) 무선 조명제어장치
KR101853087B1 (ko) San을 지원하는 선박용 라이트 컨트롤 시스템
JP2015133265A (ja) トンネル照明システム
KR20190122383A (ko) 선박의 시각적인 알람 장치를 구비한 전장시스템
KR101733685B1 (ko) 해상용 충방전조절기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027785A (ja) 負荷制御システム
EP3730441B1 (en) A solution for generating inspec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signalization elements of a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