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605A -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605A
KR20150072605A KR1020130159921A KR20130159921A KR20150072605A KR 20150072605 A KR20150072605 A KR 20150072605A KR 1020130159921 A KR1020130159921 A KR 1020130159921A KR 20130159921 A KR20130159921 A KR 20130159921A KR 20150072605 A KR20150072605 A KR 20150072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gas
flash drum
end flash
cool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720B1 (ko
Inventor
윤상득
김종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05Parameters
    • F17C2250/0626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6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arameters as output values
    • F17C2250/0689Method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은 가스 정에서 생산한 가스를 액화가스장치를 이용하여 액화하고, 그 액화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보일 가스를 분리하고 배기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가압용 가스를 공급하여 액화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으로 상승했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으로 상승했을 경우,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가압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COOL DOWN SYSTEM AND METHOD OF CARGO TANK IN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액화가스 로딩 전에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액화가스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고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할 수 있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나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의 상태로 액화된 후 LNG 수송선이나 LP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LNG)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 재기화선(RV, Regasification Vessel)은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기 위해 사용되고,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LNG)를 하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카고 탱크(저장탱크)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도 LNG 수송선이나 LNG RV에 설치되는 카고 탱크가 포함된다.
LNG FPSO는 가스 정에서 추출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카고 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 카고 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 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카고 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수송선, LNG RV, LNG FPSO, LNG FSRU 등의 해상 구조물 내에는 LNG와 같은 액화가스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카고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액화천연가스의 액화 온도는 상압에서 약 -163℃의 극저온이므로, LNG는 그 온도가 상압에서 -163℃ 보다 약간만 높아도 증발이 발생하게 되는데, LNG 운반선의 LNG 카고 탱크는 외부의 열이 LNG 카고 탱크 내에 수용된 LNG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가스 정에서 추출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내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온의 탱크 및 파이프 라인에 극저온의 LNG를 바로 선적하면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서 누설 및 파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예냉 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 작업은 LNG를 기화시켜 기화할 때 기화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카고 탱크 및 파이프 라인을 쿨 다운 하며, 카고 탱크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증발 때문에 많은 양의 가스가 발생한다.
FLNG의 경우, 정상 운전(Normal Operation) 중에 스프레이 펌프(Spray Pump)를 이용한 쿨 다운(Cooling Down)을 염두 해 두고 적용하고 있는바, 최초의 LNG 생산(Production) 시에는 각 LNG 카고 탱크에 생산한 LNG를 저장하기 위해서 LNG 카고 탱크의 쿨 다운 운전이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모든 카고 탱크에 LNG가 없으므로, LNG 캐리어를 용선하여 쿨 다운 운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그 비용과 리버스 운전(Reverse Operation)의 위험 부담을 고려하면 아주 비효율적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화가스 캐리어를 용선하지 않고, 액화가스 로딩 전에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액화가스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고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함으로써, 해상 구조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초기 쿨 다운 운전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수반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리버스 운전(Reverse Operation)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은 가스 정에서 추출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액화시키는 액화가스장치; 상기 액화가스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보일 가스를 분리 배기하고 액화가스만을 카고 탱크 안에 로딩하기 위한 엔드 플래시 드럼; 상기 카고 탱크 안에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과 상기 카고 탱크를 연결하는 액화가스 로딩 라인; 상기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기 위하여 상기 카고 탱크에 연결되며, 끝단에 스프레이 펌프가 설치되는 제1 쿨 다운 라인;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할 수 있도록 상기 액화가스 로딩 라인과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을 연결하는 제2 쿨 다운 라인;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쿨 다운용의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라인;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가스 공급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가스 압력 제어부; 및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제어부는 상기 액화가스장치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에 따라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가스 배기 라인과 상기 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는 상기 액화가스장치로부터 로딩되는 액화가스로부터 분리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라인이 연결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은 가스 정에서 생산한 가스를 액화가스장치를 이용하여 액화하고, 그 액화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보일 가스를 분리하고 배기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가압용 가스를 공급하여 액화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으로 상승했는 지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으로 상승했을 경우,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가압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이 완료하면, 상기 쿨 다운 라인을 차단하고,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내부 압력을 0.2-0.3 bar로 일정하게 유지한다.
가스 정에서 생산한 가스를 액화가스장치를 이용하여 액화하고, 그 액화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제어부가 상기 액화가스장치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가압용 가스를 공급하여 액화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을 3-4 bar로 유지한다.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가압 액화가스를 제2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3-4 bar로 상승하면,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가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화가스 캐리어를 용선하지 않고, 액화가스 로딩 전에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액화가스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고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함으로써, 해상 구조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초기 쿨 다운 운전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수반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리버스 운전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카고 탱크 내의 액화가스 로딩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카고 탱크 내의 액화가스 로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은 액화가스장치(10)로부터 로딩하는 액화가스를 카고 탱크(1) 안에 저장하기 전에, 액화가스 로딩 라인(50)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 쿨 다운 라인(60)으로 연결된 제2 쿨 다운 라인(70)을 통해서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가압하고 카고 탱크(1) 안에 분사하여 상기 카고 탱크(1)를 쿨 다운한다. 여기서, 엔드 플래시 드럼(20)은 액상 혹은 기액상 혼합 유체를 감압하여 기상을 발생시켜 액상과 분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은 가스 정(gas well)에서 추출하여 생산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액화시키는 액화가스장치(10)를 구비한다.
상기 액화가스장치(10)로부터 공급받은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보일 가스(boiled of gas)를 분리 배기하고 액화가스만을 카고 탱크(1) 안에 로딩하기 위한 엔드 플래시 드럼(20)을 구비한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에는 상기 액화가스장치(10)로부터 로딩되는 액화가스로부터 분리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라인(30)이 연결된다.
상기 배기 라인(30)은 액화가스 로딩시 발생하는 보일 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20)의 외부로 배기하는 역할을 뿐만 아니라 보일 가스 배출을 메우기 위해서 네추럴 가스(natural gas)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에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제어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제어부(40)는 상기 액화가스장치(10)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11)에 설치된 개폐 밸브(12)를 제어한다.
상기 카고 탱크(1) 안에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과 상기 카고 탱크(1)를 연결하는 위치에 액화가스 로딩 라인(50)이 설치된다. 상기 액화가스 로딩 라인(50)은 카고 탱크(1)의 쿨 다운 완료 후, 액화가스를 카고 탱크(1) 안으로 로딩하기 위한 라인이다.
상기 카고 탱크(1)에는 상기 카고 탱크(1)를 쿨 다운하기 위하여 상기 카고 탱크(1)에 연결되는 제1 쿨 다운 라인(6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60)의 끝단에는 스프레이 펌프(61) 및 스트리핑 펌프(미도시)가 설치된다.
초기에 엔드 플래시 드럼(20)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고 탱크(1)를 쿨 다운할 수 있도록 상기 액화가스 로딩 라인(50)과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60)을 연결하는 위치에는 제2 쿨 다운 라인(7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70)에는 개폐 밸브(71)가 설치된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에 쿨 다운용 가스(네추럴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에는 쿨 다운용의 가스 공급라인(80)이 설치된다. 여기서, 쿨 다운용 가스의 종류는 네추럴 가스(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고 탱크(1)의 쿨 다운을 위해서 쿨 다운용의 가스 공급라인(80)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도록 가스 압력 제어부(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90)와 연결되는 위치에는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95)가 설치된다.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95)는 상기 카고 탱크(1)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60)을 통해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90)는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95)에서 감지한 압력 값에 따라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의 가스 배기 라인(30)과 상기 가스 공급라인(80)에 설치된 개폐 밸브(31)(81)를 조절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단계(S 110)에서는, 액화가스장치(10)가 가스 정에서 생산한 가스를 액화하고, 그 액화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에 공급한다.
이때,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에서 발생하는 보일 가스는 배기 라인(30)을 통해서 엔드 플래시 드럼(20)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보일 가스를 메우기 위하여 배기 라인(30)을 통해서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으로 네추럴 가스가 충전(充塡)된다.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에 설치된 상기 압력 제어부(40)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액화가스장치(10)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11)에 설치된 개폐 밸브(12)를 제어한다.
제2 단계(S 120)에서는, 카고 탱크(1)의 쿨 다운을 위하여, 쿨 다운용의 가스 공급라인(80)을 통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20) 안에 가압용 가스, 즉 네추럴 가스를 공급하여 액화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때, 가스 압력 제어부(90)는 개폐 밸브(31)(81)를 제어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의 압력을 약 3-4 bar로 유지(설정)한다.
제3 단계(S 130)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 즉 3-4 bar로 상승했는 지를 감지하고,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 즉 3-4 bar로 설정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가스를 계속 공급한다.
제4 단계(S 140)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했을 경우, 가스 압력 제어부(90)는 제2 쿨 다운 라인(70)의 개폐 밸브(71)를 개방하고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 안의 가압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60)으로 공급하며, 액화가스는 스프레이 펌프(61)를 통해서 분사되어 카고 탱크(1)를 쿨 다운한다.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90)에는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95)가 연결되며,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95)는 상기 카고 탱크(1)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60)을 통해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카고 탱크(1)의 쿨 다운이 완료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70)의 개폐 밸브(71)를 차단하고,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의 내부 압력을 일정압력, 예들 들어 0.2-0.3 bar로 일정하게 유지(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20)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액화가스 로딩 라인(50)을 통해서 상기 카고 탱크(1) 안으로 로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화가스 캐리어를 용선하지 않고, 액화가스 로딩 전에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액화가스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고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함으로써, 해상 구조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초기 쿨 다운 운전을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수반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리버스 운전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액화가스장치
11: 액화가스장치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
12: 개폐 밸브
20: 엔드 플래시 드럼
30: 배기 라인
40: 압력 제어부
50: 액화가스 로딩 라인
60: 제1 쿨 다운 라인
61: 스프레이 펌프
70: 제2 쿨 다운 라인
71: 개폐 밸브
80: 가스 공급라인
90: 가스 압력 제어부
95: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

Claims (19)

  1. 가스 정에서 추출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액화시키는 액화가스장치;
    상기 액화가스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보일 가스를 분리 배기하고 액화가스만을 카고 탱크 안에 로딩하기 위한 엔드 플래시 드럼;
    상기 카고 탱크 안에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과 상기 카고 탱크를 연결하는 액화가스 로딩 라인;
    상기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기 위하여 상기 카고 탱크에 연결되며, 끝단에 스프레이 펌프가 설치되는 제1 쿨 다운 라인;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할 수 있도록 상기 액화가스 로딩 라인과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을 연결하는 제2 쿨 다운 라인;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쿨 다운용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라인;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가스 공급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가스 압력 제어부; 및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 제어부는 상기 액화가스장치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에 따라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가스 배기 라인과 상기 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는 상기 액화가스장치로부터 로딩되는 액화가스로부터 분리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6. 액화가스장치로부터 로딩하는 액화가스를 카고 탱크 안에 저장하기 전에, 액화가스 로딩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연결된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가압하고 상기 카고 탱크 안에 분사하여 상기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화가스 로딩 라인은 상기 카고 탱크 안에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과 상기 카고 탱크를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은 상기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기 위하여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의 끝단에는 스프레이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가압용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된 액화가스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 가스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가스 공급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며,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에는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가 연결되며,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을 위해서 상기 제1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는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 제어부는 상기 액화가스장치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에서 감지한 압력 값에 따라 상기 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가스 배기 라인과 상기 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제어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는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에는 상기 액화가스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화가스로부터 분리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15. 가스 정에서 생산한 가스를 액화가스장치를 이용하여 액화하고, 그 액화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보일 가스를 분리하고 배기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가압용 가스를 공급하여 액화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으로 상승했는 지를 감지하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기 설정 압력으로 상승했을 경우,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가압한 액화가스를 제1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의 쿨 다운이 완료하면, 상기 쿨 다운 라인을 차단하고,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내부 압력을 0.2-0.3 bar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스 정에서 생산한 가스를 액화가스장치를 이용하여 액화하고, 그 액화가스를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공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제어부가 상기 액화가스장치의 토출측 액화가스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에 가압용 가스를 공급하여 액화가스를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을 3-4 bar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2 쿨 다운 라인을 통해서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가압 액화가스를 제2 쿨 다운 라인으로 공급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엔드 플래시 드럼 안의 압력이 3-4 bar로 상승하면, 상기 쿨 다운 액화가스 압력 제어부가 상기 제2 쿨 다운 라인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카고 탱크를 쿨 다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방법.
KR1020130159921A 2013-12-20 2013-12-20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KR10213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921A KR102130720B1 (ko) 2013-12-20 2013-12-20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921A KR102130720B1 (ko) 2013-12-20 2013-12-20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605A true KR20150072605A (ko) 2015-06-30
KR102130720B1 KR102130720B1 (ko) 2020-07-06

Family

ID=5351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921A KR102130720B1 (ko) 2013-12-20 2013-12-20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95A (ja) * 1995-06-29 1997-01-17 Chiyoda Corp 液化ガス貯槽の内圧上昇抑制装置
JP2001254898A (ja) * 2000-03-08 2001-09-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Lng受入基地におけるbog中のミスト分離装置
KR20120056415A (ko) * 2010-11-25 2012-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고탱크용 하부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플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95A (ja) * 1995-06-29 1997-01-17 Chiyoda Corp 液化ガス貯槽の内圧上昇抑制装置
JP2001254898A (ja) * 2000-03-08 2001-09-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Lng受入基地におけるbog中のミスト分離装置
KR20120056415A (ko) * 2010-11-25 2012-06-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카고탱크용 하부이송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720B1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750B1 (ko) 해양 구조물 및 적하역 방법, lng 저장탱크의 쿨 다운 방법
KR20130062006A (ko) Lng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방법
KR101826687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탱크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5092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1788744B1 (ko) 저온 가스 액화물 운반선의 기화식 하역장치 및 방법
KR20190060743A (ko) 가압식 액체 화물 이송 장치 및 방법
KR101864150B1 (ko) 액화천연가스 이송 시스템
CN110945277B (zh) 用于将液化气体储存在容器中并将蒸发气体从容器中抽出的方法和设备
KR20150109789A (ko) Lngc 언로딩 시스템의 안전 장치
KR20130064194A (ko) 선박용 lng 및 lpg 저장탱크의 유지보수 시스템
KR20150072605A (ko) 해상 구조물의 카고 탱크 쿨 다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1859A (ko) Lng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2372752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의 선외 전기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230047304A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87174B1 (ko) 익스펜더를 활용한 bog 관리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435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3077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2789A (ko) 저장탱크 단열공간의 불활성 가스 주입 시스템
KR102674448B1 (ko) 선박용 재액화 시스템의 냉매 시스템
KR101310320B1 (ko) 액체화물 저장탱크에서의 플래쉬 가스 저감장치
KR102057786B1 (ko) 해양 구조물
KR20220004866A (ko) 엘엔지 탱크의 압력조절장치 및 압력조절방법
KR20180078584A (ko) 선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압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84713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5634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