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643A - An combined facility - Google Patents

An combined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643A
KR20150070643A KR1020130157110A KR20130157110A KR20150070643A KR 20150070643 A KR20150070643 A KR 20150070643A KR 1020130157110 A KR1020130157110 A KR 1020130157110A KR 20130157110 A KR20130157110 A KR 20130157110A KR 20150070643 A KR20150070643 A KR 20150070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exhaust
greenhouse
fa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0621B1 (en
Inventor
박유진
박덕풍
박민철
박기철
Original Assignee
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102013015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21B1/en
Publication of KR2015007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facility. The complex facility includes: a base construction structure built on the ground; a greenhouse construction structure which is arranged on top of the base construction structure to form a crop cultivation space and ha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using the sunlight and wind power to generate electricity; and a barn construction structure which is arranged on the underground floor of the base construction structure to form a livestock storing space and uses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Description

복합 시설물{AN COMBINED FACILITY}{AN COMBINED FACILITY}

본 발명은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시설물 자체에서 생산되는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농축산 복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faci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gricultural and mountain complex facility capable of producing and operating energy by itself, and recycling the waste produced in the facility itself.

일반적으로 축사라 함은 닭, 오리, 돼지 소와 같은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하며, 온실은 과실 및 채소류를 재배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 이러한 축사 및 온실은 자연의 기상(氣象)으로부터 가축 및 재배 작물을 보호하는 동시에, 품질 및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the term "barn" means a facility for raising livestock such as chickens, ducks, and pigs, and a greenhouse means a facility for cultivating fruit and vegetables. Such housing and greenhouses are designed to protect livestock and cultivated crops from natural weather, while improving quality and production efficiency.

최근 들어 농업 시설물의 현대화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이러한 축사 및 온실 시설물 또한 대규모로 건축되어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축사 및 온실 운영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2007-0026984호에도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modernization of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 housing and greenhouse facilities have also been installed on a large scale and operated by using automated facilities. Therefore, studies for reducing the energy required for such housing and greenhouse operatio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ese techniques are specifically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26984.

다만, 축사, 온실 또는 양식장과 같은 종래의 농, 축, 수산 분야의 시설물은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운영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정전 등의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이러한 시설물 내부의 환경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 또는 도서 지방에는 이러한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나아가, 소비자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 지역 또한 도시 지역의 전력 부족의 문제와 더불어 이러한 농, 축, 수산 분야의 시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오수 및 악취로 인해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facilities such as farmhouses, greenhouses or fish farms are mostly supplied with electric energy from the outside. Therefor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normally maintain the environment inside such a facility in which an emergency such as a power failure occurs. In addition, it was impossible to install such facilities in mountainous areas or island areas where no electric energy was supplied from outside.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of power shortages in the urban areas, which are crowded with consumers, and difficulties in installing the facilities due to the sewage and odors generated from the facilities of agriculture, industry and fisheries.

한국공개특허 2007-0026984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7-002698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및 수력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운영할 수 있고, 시설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을 재활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운영 자립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nd operate energy by itself using sunlight, wind and hydraulic power, reduce food waste by reusing food waste generated in facilities, This is to provide a complex facility that can be improv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상에 축조된 기본 건조물, 상기 건조물의 상측에 배치되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시설이 설치된 온실 건조물 및 상기 기본 건조물의 지하층에 배치되어 가축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발전 시설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이용하는 축사 건조물을 포함하는 복합시설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generating facility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by using sunlight and wind power, forming a space for cultivating crop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material, A green house drying structure and a housing structure disposed in a basement layer of the basic structure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livestock and receiving and using electrical energy produced by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여기서, 상기 발전설비는 상기 온실 건조물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기본 건조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과 외부의 자연풍에 의해 회전하는 풍력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may include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greenhouse, an exhaust wind exhausted from the basic building, and a wind power fan rotated by an external natural wind.

그리고, 상기 온실 건조물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물 및 상기 지붕 구조물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지붕 구조물의 경사면 방향과 무관하게 정남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greenhouse is provided with a roof structure for forming a slope and a support frame horizontally disposed above the roof structure. The solar panel forms a plurality of rows having the same height on the support frame . Therefore, the solar panel can be installed in the south-south direction regardless of the inclined plane direction of the roof structure.

상기 풍력팬은 상기 기본 건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기부의 상측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상기 배기풍 및 외부의 상기 자연풍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풍력팬은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wind power fan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r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ic building material and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the exhaust wind which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exhaust part and the natural wind outside . Here, the wind-driven fan may have a curved surface shape formed to surround the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기본 건조물은 다층 구조의 건조물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부는 각 층으로부터 각각 배기되는 배기구와 연결되어, 각 층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은 상기 배기부로 합류하여 배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층에 설치되는 배기구는 상기 배기부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을 향해 배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asic structure may be constructed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the exhaus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exhaust ports exhausted from the respective layers, and the exhaust wind exhausted from each layer may be joined and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ion. Here, the exhaust ports provided in the respective layers may be configured to exhaust from the inside to the top of the exhaust unit.

나아가, 상기 풍력팬의 인접한 위치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풍력팬의 초기 회전을 유도하는 보조팬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an auxiliary fan, which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a motor and is capable of inducing initial rotation of the wind fan, may be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wind fan.

한편, 상기 축사 건조물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사료를 가공하는 사료 가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료 가공부는 상기 기본 건조물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기본 건조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사료로 가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rcass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fee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feed using food waste. Here, the feed proces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 food waste outlet of the basic dried product, and processed into food us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basic dried product.

그리고, 상기 축사 건조물은 상기 사료 가공부에서 가공된 사료를 가축이 수용된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arcass structure includes a first conveyor belt for feeding the feed processed in the feed processing section to a receiving space containing livestock, and a second conveyor belt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space for discharging sewage and dirt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And a second conveyor belt.

나아가, 상기 기본 건조물 또는 상기 축사 건조물로 유입되는 급수로 및 상기 기본 건조물 또는 상기 축사 건조물로부터 배수되는 배수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급수 또는 배수시 유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수력 발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on the main building or the main building or a pipeline of the main building to drain the main building or the main building, and to generate electric energy using the flow rate during water supply or drainage .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자체적으로 농, 축, 수산물 식량을 생산하고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이용할 뿐 아니라, 시설 간 연계성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어, 전력이 제공되지 않는 산간 도서 지방이나 전력이 부족한 도시 지역에도 이러한 시설물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by improving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facilities as well as by producing the agriculture, the shaft and the aquatic food and using the electric energy, There is an advantage that such facilities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urban areas where power is insufficient.

또한, 자동화 방식으로 시설물을 운영함으로써 지리적 위치 및 기후 특성 등의 외부 환경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농, 축, 수산물 및 작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성장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optimal growth environment according to kinds of agriculture, fisheries, aquatic products and crop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geographical position and climate characteristics by operating facilities by an automatic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배기부 및 풍력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온실 건조물의 길이 방향(지붕 구조물 기준) 단면을 종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온실 건조물의 폭 방향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온실 건조물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3의 온실 건조물에서 다른 적용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3의 온실 건조물에서 다른 적용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도 3의 온실 건조물에서 다른 적용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3의 온실 건조물의 급수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축사 건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복합시설물의 에너지 흐름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2는 도 1의 복합시설물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shows a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haust part and a wind-driven fa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longitudinally show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roof structure) of the greenhouse dried material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eenhouse in Fig. 1,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olar panel of the greenhouse is installe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application example in the greenhouse of FIG. 3;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application example in the greenhouse of FIG. 3;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application example in the greenhouse construction of FIG. 3;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member of the greenhouse in FIG. 3,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ecal plant of FIG. 1,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flow diagram of the complex facility of FIG. 1,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mplex facility of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 또는 생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a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is principally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rawings may be simplified or omitted, if necessary,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devices may be added, changed or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시설물은 기본 건조물(2000), 그리고 기본 건조물(2000)의 상층에 배치되는 무창구조의 온실 건조물(1000) 및 기본 건조물(20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축사 건조물(30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omplex facility includes a basic building 2000, a greenhouse 1000 having a non-window structure disposed on an upper layer of the basic building 2000, and a pillar house 3000 disposed under the basic building 2000 ). ≪ / RTI >

기본 건조물(2000)은 복합 시설물의 주요 골격을 이루는 건조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또는 오피스 빌딩과 같이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집합 건물을 이용하여 기본 건조물(20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 이외에도 공장 건조물, 농축산물 복합 건물 등 일반적으로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는 다양한 건조물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층이 아닌 단층의 건조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The basic building (2000) forms the main skeleton of the complex facilit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a basic building 2000 can be formed by using an aggregate build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various structures that are installed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such as factory buildings, farm buildings, and mixed buildings,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m as a single layer rather than a multi-layer.

한편, 기본 건조물(2000)의 상측에는 온실 건조물(1000)이 형성될 수 있다. 온실 건조물(1000)은 과수 및 채소 등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온실 건조물(1000)은 기본 건조물(2000)의 최상층에 구비되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의 벽체로 구성되어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수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eenhouse 100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ic structure 2000. The greenhouse drying material 1000 forms a space for cultivating crops such as fruit trees and vegetables. The greenhouse drying material 1000 is provid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basic dried material 2000 and is composed of a wall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한편, 기본 건조물(2000)의 하측에는 축사 건조물(3000)이 형성될 수 있다. 축사 건조물(3000)은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1에서는 이러한 축사 건조물(3000)이 지하층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지상층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축사 건조물(3000)은 무창(無窓) 구조로 구성되어, 외부의 기상 등의 상황과 독립적으로 가축의 사육 환경을 조성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ic structure 2000, the dried building material 3000 can be formed. The pod structure (3000) forms a space where the livestock is kept. In FIG. 1, it is shown that the pod structure 3000 is provided in the basement layer, but it may be configured in the ground layer. The pod structure 3000 has a non-window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control the environment for raising livestock independently of external weather conditions.

한편, 이러한 복합 시설물은 자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태양광, 풍력 그리고 수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설비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태양광, 풍력 그리고 수력 모두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complex facility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produce and use electric energy by itself. A power generation facility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using at least one of solar, wind, and hydroelectric power can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electric energy is produced by using solar light, wind power, and hydraulic power as one example .

이하에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건조물의 구체적인 구성 및 발전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 separate drawing, the specific structure and development structure of each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에서 배기부 및 풍력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건조물의 내부에는 배기부(170)이 형성된다. 배기부(170)은 수직 방향으로 기본 건조물(20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부(170)의 하단은 축사 건조물(3000)의 상측과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상단은 온실 건조물(1000)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haust part and the wind-driven fan in Fig. 1. Fig. As shown in FIG. 2, an exhaust part 170 is formed inside the basic structure. The exhaust part 170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ase material 2000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part 17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ide of the dried house material 3000, and the upper end thereof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the greenhouse 1000.

그리고, 기본 건조물(2000)의 각 층은 온도 제어 또는 환기를 위한 공조(空造)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시스템의 운전에 의해 내부의 공기는 각 층별로 구비된 배기구(2010)를 통해 배기된다. 각각의 배기구(2010)는 배기부(170) 내측에 설치되어, 각 층별로 배기되는 배기풍들은 배기부(170)에서 합류하여 배기부(170)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배기구(2010)는 배기부(170)의 내측에서 상향으로 배기풍을 배기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각 층에서 배기풍이 합류되는 지점에서 가속이 이루어지면서 배기부(170)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풍의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Each layer of the basic structure 200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temperature control or ventilation. By operat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inside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2010 provided for each floor. Each of the exhaust ports 2010 is installed inside the exhaust portion 170 so that the exhaust winds exhausted by each layer can join together at the exhaust portion 170 and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ortion 170. At this time, each of the exhaust ports 2010 is configured to exhaust the exhaust air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exhaust portion 170. In this case, the flow velocity of the exhaust wind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art 170 increases as acceleration is per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exhaust winds are merged in each layer.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부(170)의 하단은 기본 건조물(2000)의 하측에 구비되는 축사 건조물(3000)까지 연장되며, 축사 건조물(3000)에 구비되는 축사 배기구(3220)와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사 배기구(3220)에는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는 팬(미도시)이 구비되어, 팬의 회전에 의해 축사 건조물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팬의 구동에 의해 배기부의 내측에 능동적으로 상승 기류가 발생하게 되며, 배기부의 배기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exhaust unit 170 extends to the dried house material 3000 provided below the basic dried house 2000, and communicates with the housing exhaust hole 3220 provided in the dried house material 3000 Lt; / RTI > Here, a fan (not shown) rotatable by using a motor is provided in the housing exhaust port 3220, so that air inside the dried house can be exhausted by rotation of the fan. At this time, an upward air flow is actively generated inside the exhaust part by driving the fan, and the exhaust of the exhaust part can smoothly proceed.

또한, 축사 건조물(3000)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은 가축 사육으로 인해 일부 악취가 포함될 수 있으나, 배기부(170)을 통해 다른 층의 배기풍과 합류하여 배기시킴으로서 악취를 희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축사 배기구(3220)와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필터를 설치하여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haust air exhausted from the carcass dried material 3000 may contain some odor due to livestock breeding, but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dilute the odor by exhausting it by joining with the exhaust air of another layer through the exhaust part 170 . 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filte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ousing exhaust port 3220 to prevent the offensive odor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배기부(170)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풍은 기본 건조물(2000) 및 온실 건조물(1000)을 관통하여 복합 시설물의 상측으로 배기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부(170)의 상단에는 풍력팬(150)이 설치되며, 풍력팬(150)은 이러한 배기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Thus, the exhaust wind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unit 170 can be exhaus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mplex facility through the basic structure 2000 and the greenhouse 1000. Here, a wind power fan 15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part 170, and the wind power fan 150 can produce electrical energy using such exhaust win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팬(150)은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회전축을 나선 형태로 둘러싸는 형상의 곡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풍력팬(150)은 배기부(170)의 상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풍력팬(150)은 수직 방향으로 배기되는 배기풍 및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불어오는 자연풍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온실 건조물(1000)의 지붕 구조물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측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구조로, 풍력팬(150)은 경사면을 따라 유로가 좁아지면서 유속이 증가하는 자연풍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1, the wind power fan 15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rotation axis, and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having a shape that surrounds the rotation axis in a spiral shape. The wind fan 15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exhaust unit 170 and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wind-driven fan 150 can rotate by the exhaust wind exha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natural wind blowing in the relatively horizont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of structure of the greenhouse 1000 has a sloped surface, and a solar panel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 wind fan 150 can rotate using a natural wind whose flow rate increases along the slope, . ≪ / RTI >

이러한 풍력팬(150)의 하단은 배기부(170)의 상단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지붕 구조물 상측의 지지 프레임(12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풍력팬(150)의 상단은 지지 프레임 상측의 별도의 상부 프레임(140)에 고정설치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풍력팬(150)은 상단 및 하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기풍 및 자연풍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wind power fan 150 may be fixed to a fram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xhaust unit 170 or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on the upper side of the roof structure. The upper end of the wind power fan 150 may be fixed to a separate upper frame 140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frame. In this manner, the wind fan 150 can rotate using the exhaust wind and the natural wind while maintaining the upper and lower ends stably fixed.

이때, 지붕의 급경사로 생긴 자연풍을 원뿔형 형태의 기구로 바람을 모아 풍력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도움을 주고, 지붕의 원뿔형 형태의 공기 흐름 기구 장치 설비를 이용하여 풍력팬(150)이 동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풍력팬(150)은 최초 회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큰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연풍의 경우에는 최초 회전을 유도할 정도로 풍력팬에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우나, 원뿔형 형태의 기구를 이용할 경우 풍력 에너지를 보다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엔진을 돌려 자연풍과 혼합하여 전기 에너지를 더 많이 생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atural wind generated from the steep roof of the roof is used as a conical type device to help wind power to produce wind energy, and the wind pans 150 can be operated by using a conical air condition device of the roof . Since a large load is applied at the start of the initial rotation of the wind power fan 150, it is difficult to provide enough energy to the wind power fan to induce the first rotation in the case of general natural wind. However, when a c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ntensively. Therefore, by using this, the engine can be turned and mixed with natural wind to produce more electric energy.

종래의 풍력 발전 설비는 설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자연을 훼손하고, 발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팬의 움직임으로 인해 자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비해, 시설물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기의 경우 소음이 적고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 wind turbines can damage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the large size of the installed wind turbines and adversely affect the natural ecosystem due to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and the movement of the fan. On the other hand, the wind turbine installed in the facility is advantageous in that it does not destroy the ecosystem without damaging the natural environment.

또한 종래의 복합건물은 배출구 입구를 막아 강제 배기하고 있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배출구 입구를 개봉하여 굴뚝의 원리를 이용하여 각 층에서 배출되는 폐공기와 지하에서 밀어 올리는 굴뚝의 원리의 바람과 각 층에서 올라오는 폐 공기와 옥상의 자연풍을 혼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굴뚝형 풍력 발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contrast to the prior art complex building which is forcedly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exhaust port and uses the principle of the chimney to extract the waste air from each layer and the wind of the principle of the chimne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imney-type wind power generation structure that produces electric energy by mixing waste air coming from the floor and natural wind on the roof.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풍력팬(150)은 배기풍 뿐 아니라 자연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풍력 발전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바람이 불지 않는 기상 상황에서도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nd power fan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duce electric energy using natural wind as well as exhaust wind.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energy can be produced by using the wind power even in the windy weather condition whil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한편, 풍력팬(150)과 인접한 위치 또는 풍력팬에 직접 설치되는 별도의 보조팬(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팬(160)은 태양광 패널(110)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팬(160)은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시 풍력팬(150)으로 소정의 풍력을 제공한다. 풍력팬(150)은 상대적으로 대형 모듈로서 초기 정지 상태에서 회전이 시작되는데 일정 크기 이상의 동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풍력팬(150)의 회전 시작 단계에서 보조팬(160)이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소정의 풍력을 제공함으로서 풍력팬(150)이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구성이다. 풍력팬(150)에 직접 동력을 주입시켜 바람의 강도에 따라 자동센서로 원활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auxiliary fan 160 installed directly at the wind power fan 150 o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ind power fan 150. As shown in FIG. 1, the auxiliary fan 160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solar panel 11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using a separate drawing). The auxiliary fan 160 is rotatably installed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and provides a predetermined wind force to the wind power fan 150 when driven. The wind turbine fan 150 is a relatively large module and starts rotating in an initial stop state, requiring a powe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Accordingly, the auxiliary fan 160 is selectively driven to provide the predetermined wind force at the start of the rotation of the wind power fan 150, thereby allowing the wind power fan 150 to induce smooth rotation. The power can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wind power fan 150 to induce smooth rotation by the automatic senso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wind.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 시설물 내부에서 배기되는 배기풍 및 외부의 자연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팬(150)을 구비하여, 폐풍 및 자연풍을 활용하여 전기 자급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풍력팬(150)은 복수개로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기본 건조물(2000)과 축사 건조물(3000)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만을 이용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온실 건조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 또한 배기부로 합류되어 배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nd power fan 150 that generates electric energy using the exhaust wind exhausted from inside the complex facility and the natural wind of the outside can be provided, so that electricity can be supplied by utilizing the wind and the natural wind. A plurality of such wind power fans 150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only the air that is exhausted from the basic structure 2000 and the pod structure 3000 i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exhaust wind exhausted from the greenhouse can also be combined and exhausted to the exhaust part.

도 3은 도 1에서 온실 건조물의 길이 방향(지붕 구조물 기준) 단면을 종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온실 건조물의 폭 방향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는 온실 건조물을 관통하는 배기부와 풍력팬의 구비되지 않은 위치의 단면을 중심으로 도시함을 알려둔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longitudinally showing a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a roof structure) of the greenhouse in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thwise section of the greenhouse in FIG.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3 and FIG. 4 illustrate the center of a cross section of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the greenhouse is dried and a position where the wind fan is not provid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건조물(1000)은 지붕 구조물(103) 및 벽체 구조물(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벽체 구조물(101)은 재배 공간의 측면을 구획하도록 구성되고, 벽체 구조물(101)의 상측에는 골격을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104)이 구비되며, 지붕 구조물(103)은 지붕 프레임(104)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greenhouse 1000 includes a roof structure 103 and a wall structure 101. Here, the wall structure 101 is configured to partition a side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and a roof frame 104 that forms a skeleton is provided above the wall structure 101. The roof structure 103 includes a roof frame 104, As shown in Fig.

지붕 구조물(103)과 태양광 패널(110)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20)이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20)은 강우 또는 바람 등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격자형 메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면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120) 상에는 태양광 패널(110)이 배치될 수 있다.A support frame 120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between the roof structure 103 and the solar panel 110. The support frame 120 may be formed in a lattice-like mesh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rainfall, wind, or the like. The solar panel 11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frame 120 forming the horizontal plan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10)은 지붕 프레임(104)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110)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잦은 유지 보수가 요구되나, 종래의 경우 태양광 패널이 지붕 경사면에 대형 구조물로 밀착 설치되어 특정 구역을 유지 보수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광 패널(110)이 복수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열 사이를 통해 태양광 패널(110) 및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풍력팬(15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태양광 패널(110)이 설치된 지지 프레임(120)이 작업자의 보행 통로 기능을 수행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태양광 패널(110)이 온실로 조사되는 태양광의 일부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태양광의 입사량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lurality of solar panels 110 are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having the same height on the roof frame 104. Since the solar panel 110 is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frequent maintenance is required. However, in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pecific area by installing the solar panel closely on the roof slope with a large structure. In contras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lar panel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ws, 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solar panel 110 and the wind-turbine fan 150 installed adjacent thereto proceeds between the respective columns It is possible. In particular, since the support frame 120 on which the solar panel 110 is installed performs the walker path function of the operator, the maintenance work can be facilitated. In this case, the solar panel 110 can shield a part of the sunlight irradiated to the greenhouse, so that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incident amount of sunlight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hielding film.

이러한 태양광 패널(110) 및 지지 프레임(120)은 복수개의 패널 지지부에 의해 지붕 구조물 상측에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는 지붕 구조물과 지지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1 부재(131) 및 지지 프레임(120)과 태양광 패널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 부재(132)를 포함한다.The solar panel 110 and the support frame 120 are installed on the roof structure by a plurality of panel supports. 4, the panel suppo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131 connecting the roof structure and the support frame 120, and a plurality of second members 132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solar panel ).

복수개의 제1 부재(131) 중, 지붕 구조물(103)의 경사면에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1 부재(131)은 경사면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1 부재(131)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제1 부재(131)의 상단이 동일한 높이를 형성함에 따라, 지지 프레임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 상에 태양광 패널이 동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member 131 installed at a lower position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of structure 103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members 131 is longer than the first member 131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on the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as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bers 131 form the same height, the support frame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e solar panels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on the support frame.

구체적으로, 제1 부재(131)의 상단은 지지 프레임(120)을 고정시키도록 체결되고, 하단에는 지붕 구조물(103)의 상면과 밀착되어 설치되는 플랜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 때, 플랜지에 설치되는 체결구는 지붕 구조물을 관통하여 지붕 구조물(103)을 지지하는 지붕 프레임(104)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132)의 상단은 태양광 패널(11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은 지지 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태양광 패널(110)은 지지 프레임(120) 및 패널 지지부에 의해 지붕 프레임(104)과 건축물에 일체로 고정 설치됨으로서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first member 131 is fastened to fix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flange (not shown)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structure 103. At this time, the fasteners provided on the flange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oof frame 104 that supports the roof structure 103 through the roof structur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ember 132 is installed to support the solar panel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ember 132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20. As described above, the solar panel 110 is integrally fixed to the roof frame 104 and the building by the support frame 120 and the panel support portion, so that the solar panel 110 can be maintained in a more firmly coupled stat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태양광 패널의 설치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olar pan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20)은 지붕 구조물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격자형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20) 상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2 부재(132)의 상단에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10)과 풍력팬(150)을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120 is formed in a grid-like structu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roof structure. A plurality of solar panels 110 and a wind fan 15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ember 132 fixedly installed above the support frame 120.

도 5는 도 3의 온실 건조물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서 태양광 패널(110)은 지붕 구조물 상측에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110)이 형성하는 열은 온실 건조물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온실 건조물(상층 시설물이 온실 건조물 이외의 다른 농축수산 건조물로 구성된 경우, 해당 건조물)의 방향과 무관하게 태양광 패널의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olar panel of the greenhouse of FIG. 3 is installed. In FIG. 5, the solar panel 110 is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on the roof structure. The heat formed by the solar panel 110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eenhouse. Howe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irrespective of the direction of the greenhouse drying material (when the upper-layer facilities are composed of the concentrated greenhouse products other than the greenhouse drying material).

도 6은 도 3의 온실 건조물에서 다른 적용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에서는 태양광 패널(110)의 열(列)이 온실 건조물(상층 시설물이 온실 건조물 이외의 다른 농축수산 건조물로 구성된 경우, 해당 건조물)의 길이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제2 부재(132)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태양광 패널(110)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application example in the greenhouse structure of FIG. 3. FIG. 6, a row of the solar panel 110 is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eenhouse (the upper layer is composed of dried concentrated matter other than the greenhou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11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member 132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일반적으로 지붕 위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110)은 지붕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건물의 방향에 따라 설치되므로 건물의 방향, 즉 지붕 구조물의 형성 방향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설치 방향이 결정되었다. 따라서, 지붕의 경사면이 남향으로부터 비껴난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 발전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the solar panel 110 installed on the roof is install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of, so that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of structure is form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low wh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oof is installed in a building deviated from the south.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지붕 구조물(103)의 상측에 수평면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120)을 설치하고, 태양광 패널(110)을 지지 프레임(120) 상에 설치하기 때문에 태양광 패널(110)을 고정시키는 제2 부재(132)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의 설치방향을 자유롭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온실 건조물의 지붕 구조물 형성 방향과 무관하게 태양광 패널을 남향으로 설치함으로서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이미 건축된 공장, 농축산수산 시설물, 아파트 등의 기타 복합 건물에도 태양광 패널을 정남향으로 설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미 설치된 태양광 패널 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풍력팬을 설치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pporting frame 120, which forms a horizontal plane, is provided above the roof structure 103 and the solar panel 110 is installed on the supporting frame 120, the solar panel 110 It is possible to freely determin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solar panel 11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member 132 that fixes the solar panel 11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installing the solar panel to the south regardless of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roof structure of the greenhouse, and by using this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electric energy by installing solar panels in other complex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Furthermore, a wind turbine can be installed by using the already installed solar panel support frame to produce energy.

도 7은 도 3의 온실 건조물에서 다른 적용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전술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태양광 패널이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에 비해, 도 7에서는 태양광 패널이 지지 프레임 상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application example in the greenhouse of FIG. 3. FIG.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S. 5 and 6, the solar panel is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ort frame, whereas the solar panel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support frame in FIG. 7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110)의 일단은 지지 프레임(120) 상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20) 상에 설치되는 제2 부재(132)가 태양광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여, 태양광 패널(110)이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설치가 단순하고, 태양광 패널(110)이 지지 프레임(120) 상에 직접 고정됨으로서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태양광 패널(110)이 설치되는 방향은 지붕 구조물의 방향과 무관하게 지지 프레임(120) 상에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태양광 패널(110)을 지지 프레임(120) 상측에 설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As shown in FIG. 7, one end of the solar pane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The second member 132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20 ma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panel so that the solar panel 110 forms an inclined surface. In this case, compar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S. 5 and 6, the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solar panel 110 is fixed directly on the support frame 120, so that a more rigid connection state can be maintained. Also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lar panel 110 is installed can be freely determined on the support frame 120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of the roof structure.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solar panel 110 can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by applying various methods.

도 8은 도 3의 온실 건조물에서 다른 적용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의 설치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비교하여, 태양광 패널(110)의 유지 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는 작업용 플레이트(190)가 지지 프레임(120) 상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application example in the greenhouse construction of FIG. 3. FIG. 8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work plate 190 on which a worker can be positione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120 i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solar panel 110,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이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작업자가 태양광 패널 사이를 이동하면서 일부 위치의 태양광 패널 또는 풍력팬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지지 프레임을 따라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별도의 작업용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olar panel is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maintenance work on the solar panel or the wind fan in some positions while moving between the solar panels.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the maintenance work while the operator moves along the support frame shown in FIG. 5, but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work plate can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operator.

이러한 작업용 플레이트(190)는 지지 프레임(120) 상에 직접 설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용 플레이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용 플레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191)을 지지 프레임 상에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은 태양광 패널(110)이 형성하는 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용 플레이트(190)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일(191)을 따라 이동하면서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 work plate 190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support frame 120 so that the worker can move the work plate while moving the work plate. As shown in FIG. 8, 19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Here, the rails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w formed by the solar panel 110. 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work while moving along the rail 191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work plate 190.

이와 같이, 지붕 구조물(103)과 태양광 패널(110) 사이에 별도의 지지 프레임(120)이 구비된 구조는 최상층부의 방향과 관계없이 태양광, 풍력 설비를 정 남향으로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미 건축된 공장, 농축산물 건물, 복합 건물, 아파트, 창고, 상가 등에도 태양광 설비를 정남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태양광, 풍력을 지붕위에 설치했을 때 교체 및 수리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roof structure 103 and the solar panel 110 are provided with the separate support frame 120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solar and wind power facilities in the south-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photovoltaic facilities in the Jeollanam-do, such as factories, agricultural and livestock buildings, complex buildings, apartments, warehouses, and shop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and repair in the case of replacing and repairing when the sunlight and the wind are installed on the roof.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유리 온실 지붕 위에 5m 간격으로 태양광 패널 및 풍력팬을 정남향으로 설치하면 직사광선을 막을 수 있고, 유리온실에 차광막을 설치하지 않는 경제적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solar panel and a wind power fan are installed in the south-south direction at intervals of 5 m on the roof of a glasshouse, there is an economical advantage in that direct sunlight can be blocked and no shielding film is installed in the glasshouse.

이하에서는 다시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붕 구조물의 상측에는 보조팬(1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팬(160)은 지붕 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부재(131), 제2 부재(132) 또는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구동시 전술한 풍력팬 방향으로 풍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3 and Fig. 4 will be described below.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fan 160 may be provided on the roof structure. The auxiliary fan 16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structur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member 131, the second member 132, or the support frame 120,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한편, 지붕 구조물(103)과 벽체 구조물(101)은 투명한 재질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환경에서 재배되는 과수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태양광이 제공되는 재배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온실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oof structure 103 and the wall structure 10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greenhouse function while forming a cultivation environment in which sufficient sunlight is provided as in the case of fruit trees grown in an external environment.

이러한 무창 구조의 첨단 유리온실은 가뭄, 홍수, 폭염, 태풍 등의 자연재해와 이상기온으로 인한 병충해에 대항성을 갖는다. 중국 매미, 메뚜기떼, 쥐, 새, 들짐승의 습격 등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장마철 강한 비바람과 변덕스런 날씨로 인한 낙과 피해와 과일의 당도가 떨어지는 등 식물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피해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고, 장마철, 햇빛과 병해충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열매에 봉지를 씌우고 벗기는 노동의 강도를 낮추어 높은 생산성과 경쟁력이 생긴다.The advanced glass greenhouses of this kind have a resistance against natural hazards such as droughts, floods, heat waves, typhoons and pests caused by abnormal temperatures. Prevent and prevent damages of falling value of plant products such as damages caused by rainy seasonal rainstorms and fierce weather, falling sugar content of fruits, and prevent damage to Chinese cicadas, grasshoppers, mice, birds and wild animals. In order to prevent damages caused by the rainy season, sunshine and pests, it puts a bag in the fruit and lowers the intensity of labor to peel off, resulting in high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지붕 구조물(103)의 하측에는 내부 공간으로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광 조사부(1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부(1100)는 복수개의 LED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조사부(1100)는 외부의 기상 환경과 무관하게 재배 공간의 조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재배 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조도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 조사부(1100)는 재배 작물의 종류에 따라(온실 이외의 다른 농, 축산, 수산 시설물인 경우 해당 농, 축, 수산물의 종류에 따라) 성장을 유도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과수의 성장을 유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광 조사부(1100)는 빛의 조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일조량이 적은 지역에서도 충분한 시간동안 광을 조사하여 동식물의 성장을 돕고 과실을 당도를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irradiating units 11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of structure 103 to illuminate the interior space with illumination. The light irradiation unit 1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 modules. The light irradiating unit 110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rrespective of the external weather environmen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um illuminance condition depending on the kind of cultivated crop. The light irradiating unit 1100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of a wavelength band that induces growth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cultivated crop (depending on the type of cultivated land, livestock, marine products, etc.) So as to induce the growth of the fruit trees. In addition, the light irradiating unit 1100 can keep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light constant, and can irradiate the light for a sufficient time even in the region where the amount of sunshine is small, thereby helping the growth of plants and animals and increasing the sugar content.

도 9는 도 3의 온실 건조물의 급수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지붕 구조물(103)의 하측에는 급수 부재(1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 부재(1200)는 과수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과수에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 부재(1200)는 이동 프레임(1210), 가이드부(1220), 구동부(1230) 및 이송부(1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member of the greenhouse in FIG. 3; FIG. On the other hand, a water supply member 12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of structure 103. The water supply member 1200 may be configured to inject water or a chemical liquid into the fruit water while moving to the upper side of the fruit water. The feed member 1200 may include a moving frame 1210, a guide portion 1220, a driving portion 1230, and a transfer portion 1240.

이동 프레임(1210)은 온실 건조물의 폭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1210)은 바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중앙부가 높고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자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 이외에도 아치형 구조로 이동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되는 이동 프레임(12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ving frame 1210 is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eenhouse. Such a moving frame 1210 is formed using a bar-shaped member, and is configured to have a '∧' character structure having a high central portion and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edge directio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moving frame with an arched structure, or to form a moving frame 1210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이러한 이동 프레임(1210)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분사 노즐(1250)이 구비된다. 그리고 물 또는 약액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로부터 연결되는 급수관(미도시)이 이동 프레임(1210)에 연결되어, 분사 노즐(1250)을 통해 물 또는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250 are provided below the moving frame 1210.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connected from a storage tank in which water or a chemical liquid is stored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1210 to supply water or a chemical solution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250.

한편, 가이드부(1220)는 양측 벽체 구조물(101)에 각각 설치되며 이동 프레임(1210)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동 프레임(1210)의 양단에는 각각 구동부(1230)가 구비되며, 이동 프레임(1210)이 가이드부(1220)를 따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가이드부(1220) 및 구동부(1230)의 구성은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guide part 1220 is installed in the side wall structures 101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moving frame 1210 moves. Each of the movable frames 121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1230 at both ends thereof to provide power for moving the movable frame 1210 along the guide unit 1220.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part 1220 and the driving part 1230 can be variously configured using various structures known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동 프레임(1210)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동 프레임(1210)의 중심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빔(1211)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빔(1211)의 단부는 지붕 프레임(104)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104a)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빔(1211)의 단부는 양측으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하부에는 롤러 등의 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가이드 홈(10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라서, 지지빔(1211)은 이동 프레임(1210)이 이동하게 되면 지붕 프레임(104)의 가이드 홈(104a)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 프레임(1210)을 지지할 수 있다.The movable frame 121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eam 1211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movable frame 1210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The end of the support beam 121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04a formed along the center of the roof frame 104. [ The end of the support beam 1211 is formed with protrusions (not shown) on both sides and a member (not shown) such as a roll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so as to be movabl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04a . The supporting beams 1211 can support the moving frame 1210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s 104a of the roof frame 104 when the moving frame 1210 moves.

한편, 이송부(1240)는 이동 프레임(12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 프레임(1210)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1240)는 내부에 수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온실 건조물(1000) 관리에 필요한 각종 용품을 수납하거나, 재배된 작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1240)는 이동 프레임(1210)의 이동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배 공간 내에서의 작업시 작업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124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frame 1210 using at least one wire installed on the movable frame 1210. The transfer unit 1240 can store various items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the greenhouse 1000, or can store cultivated crops. Since the transfer part 124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210,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n the work in the cultivation spa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러한 이송부(1240)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후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이송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송부(1240)를 탈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이송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송부를 체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ansfer unit 124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hook connected to the wire. Therefore, when a separate conveying operation is not required, the conveying unit 1240 can be maintained in a detached state, and various types of conveying units can be fastened and used depending on the conveyed object.

이러한 급수 부재(1200)를 이용하여 물 및 약액을 분사할 뿐 아니라, 이를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병해충이 발생하면 사람이 온실 내부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급수 부재(120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농약을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o spraying water and chemical liquid using the water supply member 120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humidity by using the water supply member 1200. When a pest is generated, the water supply member 1200 is used It is possible to spray the pesticide automatically.

다만, 본 실시예의 급수 부재(1200)는 재배 작물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향으로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지면에 설치되는 스프링 쿨러 부재로 급수 부재를 구성하여 과수의 하측으로 물 또는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water supply member 1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ltivation crop and has a structure for spraying water or chemical liquid downward.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water supply member is constituted by a sprinkler membe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water or a chemical liquid is spray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uit water.

전술한 광 조사부(1100) 및 급수 부재(1200)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또는 온실 건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light irradiating unit 1100 and the water supplying member 120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or a control signal input by a manager or sensing values of various sensors installed in a greenhouse.

한편, 온실 건조물(1000)의 입구에는 전실이 형성되며, 전실 내부에는 클린 룸(13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린룸(clean room)은 과수가 재배되는 내부 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에워 샤워 유닛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출입하는 작업자의 몸에 뭍은 먼지 및 병원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ntire room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greenhouse 1000, and a clean room 1300 can be formed inside the entire room. Such a clean room constitutes a separate space from the internal space in which fruit trees are grown and is constructed to remov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nd pathogens from the body of the worker entering and leaving the interior space by using a peripheral shower unit .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1300)에서는 에워 샤워 유닛을 분사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 이외에도 외부인 출입시 살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방역 가스를 분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클린룸(1300)과 작물이 재배되는 재배 공간 사이에는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게이트(1310)가 구비된다. 게이트의 상측 또는 측면에는 에어 커튼 유닛(air curtain unit)(미도시)이 구비된다. 에어 커튼 유닛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되어, 게이트(1310) 개방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클린룸의 공기가 재배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Although the clean room 1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spray the wet shower unit, it is also possible to spray the anti-fog gas so that sterilization can be carried out when the outside is out. Meanwhile, a gate 131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between the clean room 1300 and the cultivation space where crops are grown. An air curtain uni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r the side surface of the gate. The air curtain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nozzles for spraying high-pressure air, and injects high-pressure air when the gate 1310 is opened to block the air in the clean room from flowing into the cultivation space.

한편, 벽체 구조물에는 외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외기 유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기 유입부는 후술하는 보조팬(160)의 구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외기 유입부는 외기 유입시에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ll structure may be formed with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through which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introduce outside air by driving the auxiliary fan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opened only when the outside air is inflowed.

한편, 온실 건조물(1000)의 일측에는 온실 배기팬(1410)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러한 온실 배기팬(1410)의 강제 배기에 의해 외기 유입부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수용공간 내부로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greenhouse exhaust fan 14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eenhouse 1000 to exhaust the air in the interior space to the outside. By the forced exhaust of the greenhouse exhaust fan 1410,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and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온실 배기팬(1410)과 인접한 위치에는 필터 복합체로 구성되는 이물질 처리부(14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온실 배기팬(1410)의 구동에 의해 재배 공간 내부에서 발생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기되어, 후측에 배치된 벽면과 부딪힌 후 온실 배출구(1430)를 통해 배기된다. 이때, 일부 공기가 배기되지 않고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온실 배기팬(1410)과 후방 벽면 사이에는 별도의 역류 방지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A foreign matter processing unit 1420 including a filter composit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greenhouse exhaust fan 1410. Accordingly, the foreign matter generated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is discharged by being driven by the greenhouse exhaust fan 141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greenhouse discharge port 1430 after colliding with a wall surface arranged on the rear side. At this time, some air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without being exhausted, and a separate backflow prevention guid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greenhouse exhaust fan 1410 and the rear wall surface.

한편, 온실 배출구(1430)와 인접한 위치에는 별도의 풍력팬(15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온실 배출구(1430)를 통해 배기되는 배기풍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온실 배출구(1430)는 전술한 배출부와 별도의 배출 유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여 온실 배출구(1430) 또한 배기부(170) 내측으로 내부 공기를 배기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온실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 또한 배출부 내부에서 다른 층의 배기풍과 합류하여 배기되면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 separate wind power fan 15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greenhouse outlet 1430. Accordingly, electric energy can be produced by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exhaust wind which is exhausted through the greenhouse outlet 1430. At this time, the greenhouse discharge port 1430 is illustrated as constituting a separate discharge flow path from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port.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so that the greenhouse discharge port 1430 is also formed in the exhaust port 170, So that the exhaust wind exhausted from the greenhouse is also combined with the exhaust wind of the other layer in the exhaust portion and exhausted to produce electric energy.

한편, 온실 건조물(1000)의 내부에는 재배 공간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 조절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 부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공조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에 히터 등의 부재를 설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재배 공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10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memb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space. These temperature controlling members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upplying warm air.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cultivation space by providing a member such as a heater i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n addition to this,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이러한 온도 조절 부재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또는 온실 건조물(1000)에 설치되는 각종 온도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a control signal input by the manager or the detection values of various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 the greenhouse 1000.

또한, 온실 건조물(1000)의 지붕 구조물(103)의 상측에는 지붕의 경사면을 따라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수류 발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발생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급수 시설 또는 저수조로부터 물이 순환 구조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지붕의 경사면을 따라 물을 분사하여 수류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수류는 온실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경우 온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냉풍을 공급하여 온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동식물이 직접 찬 공기를 맞게 되어 냉해와 호흡기 질환의 발병일 발생할 수 있으나, 지붕 수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음), 태양광이 지나치게 강하게 조사되는 경우 물 우산을 형성하여 재배 공간 내부로 조사되는 직사광선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green building 100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flow generating unit 180 formed above the roof structure 103 to form a water flow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roof. The water flow generating unit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or a water storage tank provided from the outside in a circulating structure and form water streams by spraying water alo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roof.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is lowered.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by supplying cold air, the cold air is directly applied to the plants and animals, However, this problem can be prevent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by using the roof water stream), and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amount of direct sunlight irradiat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by forming a water umbrella when the sunlight is irradiated too intensely have.

한편, 온실 건조물(1000)에서 과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지면에서 성장하는 잡초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잡초는 과수가 섭취할 양분 등을 지면으로부터 대신 섭취함으로서, 과수의 재배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제초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 유기농 재배법이 각광을 받으면서 제초제의 사용이 감소하는 대신 인적 노동을 통한 제초가 이루어지면서 작업 강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ultivating fruit trees and the like in the greenhouse 1000,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remove the growing weeds from the ground. These weeds may be adversely affected by the ingestion of nutrients, such as nutrients, from the ground. Although it is common to use separate herbicides to remove such wee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of organic herbicides is reduced and the intensity of the work is increased due to the weeding through human labor.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온실 건조물 내부에 오리, 염소, 장닭과 같은 초식 동물 및 잡식 동물을 과수 재배 공간에 방목하기 위한 간이형 축사 시설(1500)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온실 건조물 내부에 간이형 축사 시설을 구비하여 초식 동물들을 방목함으로서 제초 작업이 자연스럽게 진행되기 때문에, 인적 노동의 투입 없이 유기농 방식의 제초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초식동물 및 잡식 동물들이 토질을 파헤치면서 토질 특성을 향상시키고 재배되는 작물을 자극하여 재배 작물의 건강 상태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밀집된 축사 시설이 아닌 넓은 과수 재배 시설에서 동물을 방목 형태로 사육함으로써, 새로운 이익을 창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유리 온실 내 꿀벌을 사육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a simple-type housing facility 1500 for grazing herbivorous animals such as ducks, goats, and chickens and omnivorous animals in the fruit growing area can be provided in the greenhouse. Since the herbivorous herbivorous plant is naturally cultivated by grazing herbivorous animals with the simple housing facility inside the greenhouse, the organic farming method can be carried out without human labor. And, these herbivores and omnivores can digest the soil, improve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stimulate crops to improve the health status of cultivated crops.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new profits by breeding animals in grazing form in large fruit growing facilities rather than in dense housing facilities.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breed bees in a glasshouse.

이러한 간이형 축사는 동물들의 방목을 전제로 한 시설로서, 태양광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 시설 및 식수를 제공하는 식수 시설 등 최소한의 구성으로 간단하게 구성되며, 동물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간이형 축사는 방목이 이루어지는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This simple type of housing is based on animal grazing. It is composed of a minimal structure such as a shading facility that can block the sunlight and a drinking water facility that provides drinking water, and an open structure Lt; / RTI > However, such simple type of housing can be designed in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of animal in which grazing is performed.

이와 같이, 온실 건조물은 다양한 품종의 과수에 대응되는 재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초식 동물 또는 잡식 동물의 방목을 통한 유기농 재배가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품질의 과일을 생산하고 방목 사육한 가축을 판매할 수 있어, 농가의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greenhouse can be cultivated in a variety of cultivars corresponding to various fruit varieties. Organic cultivation is carried out through grazing of herbivorous animals or omnivorous anima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 quality fruits and sell grazing livestock And can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farmers.

도 10은 도 1의 축사 건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사 건조물(3000)은 기본 건조물의 지하층에 위치하며 가축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축이 사육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FIG. 10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ecal plant of FIG. 1; FIG. As described above, the pod structure 3000 is located in the basement layer of the basic structure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pod is housed. 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in the interior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livestock are kep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건조물(3000)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광 조사부(3100)가 설치된다. 광 조사부(3100)는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며,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빛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광 조사부(3100)를 이용하여 가축의 생장 주기에 적합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부(3100)의 구동은 온실 건조물의 광 조사부(3100)와 마찬가지로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light irradiation units 3100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ed house material 3000. The light irradiating unit 3100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space where the livestock are kept and adjust the illuminance. 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light does not flow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lluminance suitable for the growth period of the livestock using the light irradiation unit 3100. The driving of the light irradiating unit 3100 can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ontrolled like the light irradiating unit 3100 of the greenhouse.

이러한 광 조사부(3100)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 조사부(3100)는 가시광 대역의 광 뿐만 아니라 자외선 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육 공간의 조도를 조절하는 역할 뿐 아니라, 사육 공간 내부의 살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light irradiation unit 3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At this time, the light irradiating unit 3100 can be configured to irradiate not only the light in the visible light band but also the ultraviolet light. As a result, not only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breeding space but also the effect of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breeding space can be achieved.

한편, 축사 건조물(3000)은 내부의 사육 공간의 환풍을 유도할 수 있도록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부(3210)가 형성된다. 외기 유입부(3210)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축사 배기구(3220)에 설치되는 배기팬(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강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면, 외기 유입부(321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d structure (3000) is formed with an outside air inflow portion (3210)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to induce the ventilation of the inside of the breeding space.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3210 is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so as to be selectively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hen the forced exhaust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exhaust fan (not shown) installed in the housing exhaust port 3220 described above,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3210 and ventilation can be performed.

이때, 외기 유입부(3210)에는 제습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필터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기 유입부에는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히터(미도시) 등의 부재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여 사육 공간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321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ilter structures for removing dehumidification or foreign matter. Further, a member such as a heater (not shown) or the like capable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outside air inflow portion may b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breeding space by using it, but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예를 들어, 축사 건조물 내부에 사육 공간에 온풍 및 냉풍을 공급할 수 있는 공조기 형태의 온도 조절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육 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제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습도 조절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조절 장치 및 습도 조절 장치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종전에 개시된 다양한 구성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in the form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upplying warm air and cold air to the breeding space inside the building.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umidity controller (not shown) capable of circulating air in the breeding space to perform a dehumidifying oper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such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a humidity controller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various configurations previously describ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그리고, 이러한 온도 조절 장치 및 습도 조절 장치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 신호 또는 축사 건조물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및 풍량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자동적으로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the humidity control device ar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the humidity sensor, the illuminance sensor, and the air flow sensor installed in the control signal input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built- can do.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 건조물과 인접한 위치에는 사료 가공부(3010)가 구비된다. 사료 가공부(3010)는 내부에 가열기 및 건조기 등의 구성이 구비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사육되는 가축들의 사료를 가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외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설로부터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복합 시설물을 구성하고 있는 기본 건조물에서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시설물 자체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가축의 사료로 활용함으로써,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고 자원을 재활용할 뿐 아니라 가축 사육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고 남는 음식물 쓰레기는 농작물 재배시 액비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a feed processing unit 3010 is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ried house. The feed processing unit 3010 includes a heater and a dryer, and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feed of livestock using the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e food garbage can be supplied from an external food waste disposal facility, but it can be configured to supply the food using the food waste collected from the basic dry matter constituting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ly, the food waste generated from the complex facility itself is recycled and used as livestock fe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recycling resources, and reducing the cost of raising livestock. It is also possible to use food wastes that are provided as feed for livestock as a liquid for the cultivation of crops.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기본 건조물의 이용자가 직접 수거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기본 건조물 내부에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집관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기본 건조물의 이용자가 각 층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수집관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를 통해 사료 가공부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food waste collected directly by the user of the basic building, but it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ood waste collection pipe provided in the basic building, so that the user of the basic building uses the food waste When the garbage is put into the collection pipe, it can be configured to be fed to the feed processing section through the garbage discharge outlet.

나아가, 사료 가공부는 음식물 쓰레기 뿐 아니라 복합 시설물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이용하여 가축들의 사료로 가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료로 가공되는 분뇨는 복합 시설물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부패되기 이전 단계에서 사료로 가공함으로서, 분뇨 배출량을 줄이고 축사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료 또한 가축의 사료로 제공하고 남은 양은 농작물 재배시 액비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the feed processing unit can be configured to process feed for livestock using manure discharged from multiple facilities as well as food waste. Feed manure is discharged from a complex facility, and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manure discharge and reduce the operating cost of poultry by processing the feed into the feed prior to decay. These feeds can also be used as livestock feed and the remaining amount can be used as a fertilizer for growing crops.

한편, 사료 가공부(3010)에서 가공된 사료는 축사 건조물(30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10)를 통해 가축들에게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육 공간의 가축들을 제1 컨베이어 벨트(3310)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feed processed in the feed processing unit 3010 can be automatically fed to the livestock through the first conveyor belt 3310 movably installed in the pod structure 30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eed the cattle fed in the breeding space through the first conveyor belt 3310.

한편, 축사 건조물(3000)의 내부에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10)와 구분되는 제2 컨베이어 벨트(3320)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 벨트(3320)는 제1 컨베이어 벨트(3310)와 마찬가지로 축사 건조물(30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축사 건조물(30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뇨 및 오수를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뇨 또는 오수가 축사 건조물 내부에서 분뇨의 발효가 진행될 때까지 장시간 방치되지 않고 자동 물세척으로 실시간으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쾌적한 사육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 second conveyor belt 3320 separated from the first conveyor belt 331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arcass structure 3000. The second conveyor belt 3320 i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pier structure 300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onveyor belt 3310. The second conveyor belt 3320 continuously discharges manure and wastewater generated inside the pier structure 300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mfortable breeding environment as the manure or waste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real time by automatic water washing without being left for a long time until the fermentation of the manure progresses inside the dried house.

한편, 축사 건조물(3000)의 주변으로는 복합 시설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로(210) 및 복합 시설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배수하는 배수로(2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급수로 및/또는 폐수로를 통해 진행하는 수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water supply passage 2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mplex facility and a drainage passage 220 for draining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complex facility can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carcass structure 3000. At this time,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ity using the kinetic energy of the water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eed water passage and / or the waste water passage.

구체적으로, 급수로 및 폐수로에는 수류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관로를 따라 진행하는 수류가 스크류 부재를 통과하면서 스크류 부재가 회전하고, 이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 및 풍력 뿐 아니라 복합시설물로 유입되는 상하수도관 및 오폐수관에서의 수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성되어 에너지 자립도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a screw member (not shown),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waste water passage. Then, it is possible that the screw member rotates while the water stream traveling along the pipe runs through the screw member, thereby generating electric energy therefrom. Accordingly,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hydraulic power in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s and wastewater pipes that are introduced into the complex facilities as well as sunlight and wind power, as described above, thereby maximizing the self-sufficiency of energy .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로 및 폐수로를 따라 진행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구성만을 설명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우천시 복합 시설물의 상측에서 집수된 강우를 지하에 구비되는 저수조로 배수하면서, 배수되는 수류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우수로 집수된 저수조를 생활용수로 쓰기 위해 반복적으로 정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수력 전기 에너지를 반복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onstruc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the water flow proceeding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waste water passage has been described. However, in addition to this, in the case of rain, the rainwater collec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mplex facility is drained to the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electric energy by using the energy of < RTI ID = 0.0 >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ydroelectric energy can be repeatedly obtained by repeatedly purifying water for use as living water in an excellent water collecting tank.

도 11은 도 1의 복합시설물의 에너지 흐름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설비를 구비하여 에너지 자립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전 설비는 태양광 발전부, 풍력 발전부 및 수력 발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flow diagram of the complex facility of FIG. As described above,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hav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 energy, thereby realizing energy self-reliance.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cludes a solar power generation unit, a wind power generation unit, and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230.

여기서, 태양광 발전부(310)는 태양광 패널(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합 시설물의 설치 위치와 관계 없이 정남향을 향해 태양광 패널을 설치함으로서 발전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풍력 발전부(320)는 풍력팬(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합 시설물에서 배기되는 배기풍 및 외부의 자연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력 발전부(330)는 급수로, 폐수로 및 배수로에 구비되는 스크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류에 의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Here, the solar power generation unit 310 includes the solar panel 110,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installing the solar panel toward the south-east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mplex facility. In addi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320 includes a wind fan 150,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using exhaust wind and natural wind which are exhausted from the complex facility. Th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330 includes a screw member provided in a water supply passage, a waste water passage, and a drainage passage, and can generate electric energy by using the energy by the water flow.

이러한 자체 발전 설비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복합 시설물의 온실 건조물(1000), 축사 건조물(3000) 및 기본 건조물(2000)의 각 구성요소를 운전하는 동력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산간 도서 지방이나 전력이 부족한 도심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판매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다.The electric energy produced using the self-generating facility can be used to power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greenhouse 1000, the house building 3000, and the basic building 2000 of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ly,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generate and operate electric energy itself even when installed in a mountainous island region where electricity is not supplied or in an urban area where electric power is insufficient, .

도 12는 도 1의 복합시설물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시설물의 온실 건조물 및 축사 건조물(온실 또는 축사 이외의 농, 축, 수산 시설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 내부에는 각각 센서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41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및 풍량 센서와 같이 다양한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건조물 내부의 재배 환경 및 생장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mplex facility of FIG. As shown in FIG. 12, the sensor unit 410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greenhouses of the complex facilities and the dried and built houses (which may be composed of greenhouses, shafts, and fisheries facilities other than the greenhouse or housing). Here, the sensor unit 410 includes various sensor module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an airflow sensor, an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the growth environment inside each building.

그리고, 이러한 센서부(410)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송되며, 제어부(400)는 온실 건조물(1000) 및 축사 건조물(3000)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는 센서부(410)에 의한 환경 정보에 의해 온실 건조물(1000) 및 축사 건조물(3000)을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서 최적의 재배 환경 및 사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4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400 can control the components inside the greenhouse 1000 and the inside of the hous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utomatically controls the greenhouse 1000 and the pod organism 300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the sensor unit 410 to thereby optimiz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the breed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이와 같이, 무창 구조의 공장형 농, 축, 수산 시설물에 항빛, 항풍, 항습, 항온 공기 살균 등을 자동제어시스템으로 하여 농축산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성장 환경을 제공하여 저비용, 고생산, 고영양분, 고당도, 무공해로 국토 어느 지역에서나 태양, 바람, 물만 있으면 전기를 생산하여 원하는 시기에 최고의 우수한 품질의 농축산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according to kinds of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automatic control system of antiseptic, wind, humidity, sterilization, sterilization, It can produce high quality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t any time by producing electricity if only sun, wind, and water exist in any area of the country with high sugar content and no pollu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없이도 시설물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역적인 제한 없이 어느 곳에서나 설치하여 운영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러한 시설물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 시설물에 제공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facility withou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by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itself,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anywhere without any local limitation.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produced from such facilities to external facilities or to sell electrical energ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단일 시설물로부터 인간 생활에 필요한 식물 식량 자원 및 동물 식량 자원을 수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외부 시설의 지원 없이도 식량 자원을 자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mplex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rvesting plant food resources and animal food resources necessary for human life from a single facility, and thus it is possible to supply food resources without assistance of external facilities.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시설물은 온실 건조물 및 축사 건조물(온실 또는 축사 이외의 농, 축, 수산 시설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의 구성요소를 자동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재배 환경 및 사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산되는 식량 자원의 품질 및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the complex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rolled by using an automatic control system to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greenhouse and the house structure (which can be constructed of greenhouses, shafts, fisheries facilities other than the greenhouse or housing)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quality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food resources produced.

또한, 지구의 기후 변화와 온난화로 자연상태 파괴와 동식물 생태 변화로 인구는 증가하고 농축수산물은 감소함으로 농어촌 및 밀집된 도시에서도 첨단 무창 공장형 시스템으로 농축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건물 지붕위에 태양광, 풍력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건물 지붕위에 태양광, 풍력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 빗물 저수조를 이용하여 수력 발전하며 생활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global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the population is increasing due to natural disruption and changes in plant and animal ecology, and the concentration of aquatic products is reduced, so that farmers and densely populated cities can produce concentrated aquatic products with high- It can produce energy, and it can produce electric energy by sunlight and wind power on the roof of the building. It can also be hydropowered by using rainwater reservoir and can also be used as a living water.

다만, 전술한 복합시설물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서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건조물 상에 별도의 온실 건조물을 구비하지 않고, 태양광 패널 및 풍력팬을 기본 건조물의 상측에 직접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사무실 또는 주거용 건조물을 이용하지 않고, 일층이 온실 건조물을 형성하고 이층이 축사 건조물을 형성하거나, 일층이 축사 건조물을 형성하고 이층이 온실 건조물을 형성하는 이층 구조의 복합 시설물에서 각 층에서 배기되는 폐풍이 풍력팬을 향하도록 배기 유로를 형성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붕 구조물을 구비하여, 시설물 내 배기풍, 자연풍 및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시설물은 지하층을 구비하는 단층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지하층을 구비하지 않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지붕 구조물에서 시설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 자연풍 및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above-described complex facilities may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solar panel and the wind-driven fan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ic structure,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greenhouse on the basic structure. Further, in a multi-layered facility having a double-layer structure in which a greenhouse is formed as a first floor and a stall is formed as a first floor, a stall is formed as a first floor, and a greenhouse is formed as a second floor without using a separate office or residential building, A structure in which a roof structure is provided to form an exhaust flow path such that the closed air exhausted from the wind turbine is directed to the wind fan and the roof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using exhaust wind, natural wind, It is possible. Further, the facility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having a basement layer, and is formed of a single layer without a separate basement layer, so as to produce electric energy using the exhaust wind, natural wind and sunlight exhausted from the facility in the roof structure .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을 실시하는지 여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 scope of rights claim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judged whether or not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claims are implemented.

Claims (14)

지상에 축조된 기본 건조물;
상기 건조물의 상측에 배치되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시설이 설치된 온실 건조물; 및
상기 기본 건조물의 지하층에 배치되어 가축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발전 시설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아 이용하는 축사 건조물을 포함하는 복합시설물.
Basic building built on the ground;
A greenhouse building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ilding to form a space for cultivating crops, and a power generating facility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using sunlight and wind power; And
A housing structure disposed in a basement of the basic structure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livestock and receiving and using electrical energy produced by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시설은 상기 온실 건조물의 지붕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기본 건조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과 외부의 자연풍에 의해 회전하는 풍력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ng facility comprises a solar panel installed on a roof of the greenhouse, and an exhaust wind exhausted from the basic building and a wind fan rotated by an external natural wi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 건조물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물 및 상기 지붕 구조물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eenhouse is provided with a roof structure for forming a slope and a support frame horizontally installed above the roof structure,
Wherein the solar panel is arranged to form a plurality of rows having the same height on the support fra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지붕 구조물의 경사면 방향과 무관하게 정남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lar panel is installed in a south-south direction regardless of an inclined surface direction of the roof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팬은 상기 기본 건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기부의 상측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상기 배기풍 및 외부의 상기 자연풍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nd power fan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exhaust par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sic building material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by the exhaust wind which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exhaust part and the natural wind outside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팬은 수직 방향의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ind turbine fan includes a curved surface formed to surround a rotational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건조물은 다층 구조의 건조물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부는 각 층으로부터 각각 배기되는 배기구와 연결되어, 각 층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은 상기 배기부로 합류하여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asic structure is constituted by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the exhaust portion is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exhausted from each of the layers, and the exhaust wind exhausted from each layer is joined and exhausted to the exhaust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에 설치되는 배기구는 상기 배기부의 내측에서 상측 방향을 향해 배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xhaust port provided in each of the layers is configured to exhaust from the inside to the top of the exhaust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팬의 인접한 위치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풍력팬의 초기 회전을 유도하는 보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auxiliary fan is provided at an adjacent position of the wind fan to be rotatable by a motor and to induce initial rotation of the wind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건조물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사료를 가공하는 사료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imal carcass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feed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feed using food wast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가공부는 상기 기본 건조물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기본 건조물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사료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eed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a food waste discharge port of the basic dried product and is processed into feed us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basic dried produ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건조물은 상기 사료 가공부에서 가공된 사료를 가축이 수용된 수용 공간으로 공급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설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nimal carcass comprises a first conveyor belt for feeding the feed processed in the feed processing unit to a receiving space containing livestock and a second conveyor belt arranged under the receiving space for discharging the sewage and dirt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yor be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건조물 또는 상기 축사 건조물로 유입되는 급수로 및 상기 기본 건조물 또는 상기 축사 건조물로부터 배수되는 배수관의 관로 상에 설치되어 급수 또는 배수시 유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수력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시설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pipeline of the main building or the main building or the main building to drain the main building or the house building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using the flow rate at the time of water supply or drainage Complex facilities with features.
제1 건조물;
상기 제1 건조물의 상측에 배치되고, 태양광 및 제1 건조물로부터 배기되는 배기풍과 외부의 자연풍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시설이 설치된 제2 건조물을 포함하는 복합 시설물.
A first dried matter;
And a second drying material disposed above the first drying material and provided with a power generating facility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by using the exhaust air blown from the sunlight and the first drying material and the natural wind outside.
KR1020130157110A 2013-12-17 2013-12-17 An combined facility KR1015906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10A KR101590621B1 (en) 2013-12-17 2013-12-17 An combined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10A KR101590621B1 (en) 2013-12-17 2013-12-17 An combined fac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43A true KR20150070643A (en) 2015-06-25
KR101590621B1 KR101590621B1 (en) 2016-02-01

Family

ID=5351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110A KR101590621B1 (en) 2013-12-17 2013-12-17 An combined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62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1367A (en) * 2016-06-22 2016-10-19 李红光 Ecological agriculture sightseeing restaurant
CN106774541A (en) * 2016-12-11 2017-05-31 镇江常青园林工程有限公司 Green management formula agricultural facility
CN109220886A (en) * 2018-10-26 2019-01-18 江苏省农业科学院 A kind of aquatic bird ecological cultivation system based on solar energy
WO2019184087A1 (en) * 2018-03-28 2019-10-03 宋志远 Ecological building with organic agricultural aquaculture function and internal circulation treatment function
KR20200015977A (en) * 2018-08-06 2020-02-14 박준규 Wind power generator having planting house
KR20220165004A (en)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그린우전 Smart Stable having eco-friendly energ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6984A1 (en) 2005-07-29 2007-02-01 Teijido Joseph A Torque sensing assembly having dual stage spring compression for an agricultural machine
KR101019088B1 (en) * 2010-08-26 2011-03-07 양용만 Environment-friendly pigpen using deodorization system and complex
KR101257803B1 (en) * 2012-08-28 2013-05-15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An combined facility for agricul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6984A1 (en) 2005-07-29 2007-02-01 Teijido Joseph A Torque sensing assembly having dual stage spring compression for an agricultural machine
KR101019088B1 (en) * 2010-08-26 2011-03-07 양용만 Environment-friendly pigpen using deodorization system and complex
KR101257803B1 (en) * 2012-08-28 2013-05-15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An combined facility for agricultur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1367A (en) * 2016-06-22 2016-10-19 李红光 Ecological agriculture sightseeing restaurant
CN106774541A (en) * 2016-12-11 2017-05-31 镇江常青园林工程有限公司 Green management formula agricultural facility
WO2019184087A1 (en) * 2018-03-28 2019-10-03 宋志远 Ecological building with organic agricultural aquaculture function and internal circulation treatment function
JP2021516158A (en) * 2018-03-28 2021-07-01 志遠 宋 Eco-building with organic farming and marine product aquaculture function and internal circulation treatment function
EA039338B1 (en) * 2018-03-28 2022-01-14 Чжиюань Сун Ecological building with organic agricultural aquaculture function and internal circulation treatment function
KR20200015977A (en) * 2018-08-06 2020-02-14 박준규 Wind power generator having planting house
CN109220886A (en) * 2018-10-26 2019-01-18 江苏省农业科学院 A kind of aquatic bird ecological cultivation system based on solar energy
KR20220165004A (en) *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그린우전 Smart Stable having eco-friendly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621B1 (en)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621B1 (en) An combined facility
JP2018527023A (en) High density horticultural cultiv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102012598B1 (en) Farming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rainwater
CN201771224U (en) Single-span automatic controlled planting and raising balanced ecological greenhouse
KR102159636B1 (en) Vertical type farm building
CN109874691B (en) Automatic feeding system is used to sheep
KR101479400B1 (en) Multipurpose greenhouse dome
CN209824606U (en) Greenhouse capable of actively regulating soil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JPH10262479A (en) Composite agricultural processing facility utilizing organic waste
US20210212270A1 (en) Integrated mobile aquaponic system
CN110402843A (en) A kind of mobile automatic cultivating system of panel herding
KR20150134546A (en) Fish and crops farming house
CN103875539B (en) Auto-control formula sheepfold
CN105275224A (en) Mountain villa
Morgan Hydroponics and protected cultivation: a practical guide
CN208490518U (en) Compound facility
CN113841657A (en) Laying duck ecological dry-breeding method
El-Gayar et al. Greenhouse operation and management in Egypt
KR101257802B1 (en) An combined facility for agriculture
CN203827840U (en) Automatic adjustment and control type sheepfold
WO2019041648A1 (en) Sunroom for ecological farming
JP2012244923A (en) Cultivation facility
JP2011172522A (en) Greenhouse shading device
JP2009055829A (en) Circulation type plant cultivation installation
CN112913530B (en) Integrated intelligent pla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