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856A -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856A
KR20150069856A KR1020130156501A KR20130156501A KR20150069856A KR 20150069856 A KR20150069856 A KR 20150069856A KR 1020130156501 A KR1020130156501 A KR 1020130156501A KR 20130156501 A KR20130156501 A KR 20130156501A KR 20150069856 A KR20150069856 A KR 2015006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watch
wrist
motion
event
recogn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857B1 (ko
Inventor
이호동
유상현
홍석진
노요한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4G99/006Electronic time-pieces using a microcomputer, e.g. for multi-function c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마트 워치 제어 기술이 개시된다.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가 움직이는 모션을 인식한다. 모션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정의된 시간간격 내에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다. 얼굴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턴 온 하는 것과 같은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스마트 워치 제어 기술과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스처에 기반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는 예컨대 안경 형태와 같이 얼굴에 착용하거나, 또는 시계나 팔찌와 같은 형태로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의 장치와 같이 사용자가 입거나 착용하는 형태의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근래에는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의 컴퓨팅 장치로서 다양한 제조사에 의해 공급되는 여러 종류의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제품이 있다.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전화, 이메일, 문자(SMS, MMS), SNS(social network service), 음악, 사진, 카메라, 동영상,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Wi-Fi, FM 라디오, 이동거리나 속도 체크,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의 타 기기와의 연동 등의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손목에 착용하는 소형 기기이므로, 스마트 워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는 약 1.5 인치 내지 2.0 인치를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스마트 워치에 내장되는 다른 컴포넌트들도 작게 만들어진다. 하지만 스마트 워치는 스마트폰과 같은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와 유사하게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 워치에 필요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기법이 필요하다. 예컨대, 평소에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있다가 필요할 때만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 워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의 화면을 터치하거나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을 하여야 한다면, 사용자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을 느낀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의도 없이 장치 제어가 이루어지는 위험을 회피하면서도 기억하기 간단한 제스처-기반 장치 제어 기술이 여전히 요구된다.
간편하면서도 의도하지 않은 제스처에 기인하는 오작동을 회피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라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은,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 및 상기 얼굴 인식 파라미터가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는 방향 또는 펴는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회전한 각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는, 상기 얼굴에 포함된 눈을 인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turn on)하는 이벤트,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이벤트, 및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이벤트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직전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직전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라,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은, 모션 인식 파라미터 및 얼굴 인식 파라미터가 저장된 저장부;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데이터 생성부;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가 상기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션 부합 판단부; 상기 모션 부합 여부 판단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 데이터 생성부;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가 상기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얼굴 부합 판단부; 및 상기 얼굴 부합 여부 판단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양상들 및 실시예들 이외의 다른 양상들이나 실시예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발견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스마트 워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은 제스처에 기인하는 오작동을 회피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와 연관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예시된 다른 실시예와 연관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예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연관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
도 9은 도 8에 예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연관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연관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에서 각각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실질적으로 그 정의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래에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예시로서 기술된다.
스마트 워치는, 팔이나 손목에 착용되는 형태의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로서, 예컨대 1.8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소형 기기이지만 스마트폰과 유사하게 고성능 프로세서 및 대용량 메모리를 내장하고 근거리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룩업 제스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스마트워치와 같은 대상을 눈으로 쳐다보는 행위를 포함하는 제스처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에 대해 룩업 제스처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목을 회전시키는 등의 미리 정의된 모션을 하고 이후 스마트 워치를 눈으로 쳐다봄으로써 룩업 제스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룩업 제스처는 스마트 워치에 의해 인식된다. 룩업 제스처의 인식은 사용자의 모션 인식 및 사용자의 얼굴 인식 또는 사용자 시선 인식이 결합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에서는 스마트 워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110).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이다. 사용자의 모션은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를 움직이는 모션이다. 본 예에서,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한쪽 팔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에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모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모션 센서에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관성 센서, 자이로스코프, 중력 센서, 고도계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다양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손목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회전 각도, 회전 속도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가 손목이 움직이는 모션을 인식할 때, 스마트 워치는 손목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손목의 회전은 2개의 회전축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회전축은 사용자가 팔을 일자로 폈을 때 팔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의 축에 대응할 수 있다.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시킬 때, 사용자는 손목을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즉 좌에서 우로, 약 한 바퀴(0 ~ 360°)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는 반시계방향으로, 즉 우에서 좌로, 약 한 바퀴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손목은 팔꿈치를 중심으로 팔을 굽힐 때 및 펼 때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은 팔의 길이 방향과는 직교하면서 팔꿈치를 횡단하여 통과하는 축에 대응할 수 있다.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시킬 때, 사용자는 팔꿈치를 중심으로 팔을 당겨 접거나 또는 팔을 일자로 펼 수 있다. 이 경우 팔이 일자로 된 상태(0°)에서 팔이 완전히 접힌 상태(약 90 내지 120°정도의 각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손목을 천천히 회전시킬 수도 있고 빠르게 회전시킬 수도 있다. 천천히 또는 빠르게 회전시키는 것을 결정하는 기준은, 통상적으로 보통 사람이 손목을 돌리는 경험에 기초하여 적절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에 대한 인식 데이터, 즉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인식 데이터에는, 손목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회전 속도 등의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모션 인식 데이터는 스마트 워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비교될 수 있다. 비교 결과 모션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130).
모션 인식 파라미터는, 예컨대 손목이 팔의 길이와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의 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인식 파라미터는, 예컨대, 손목이 팔의 길이와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인식 파라미터는, 예컨대, 손목이 팔꿈치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팔을 편 상태에서 굽히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의 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인식 파라미터는, 예컨대, 손목이 손목이 팔의 길이와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의 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다음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인식 파라미터는, 예컨대, 손목이 손목이 팔의 길이와 대응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 손목의 모션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이 비교 단계(130)로부터 미리 정의된 시간간격 내에 인체의 얼굴을 인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150). 여기서, 얼굴의 인식은, 사용자의 얼굴 전체, 또는 사용자의 얼굴 중 특징 있는 부분, 예컨대 하나의 눈, 코, 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얼굴 중에서 눈 하나를 인식하여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150).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150)와 사용자의 손목의 모션을 인식하여 비교하는 단계(130) 사이의 시간간격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적으로 말해서 1초, 2초 또는3초와 같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길지 않게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시간간격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길게 설정되는지 여부는 경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얼굴 인식 동작 또는 시선 인식 동작은,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징적인 오브젝트를 구별하고, 구별된 오브젝트가 사람의 얼굴인지 여부, 또는 사람의 눈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때, 이미지를 분석하여 구별된 오브젝트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사람의 얼굴 및/또는 눈 데이터는 인종이나 성별 및 나이에 따라 통상적이고 일반적이며 평균적인 사람의 경우를 참조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자신의 얼굴 및/또는 눈을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등록시킨 후 사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 워치는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사람의 얼굴 또는 눈을 인식(150)한 후, 인식된 사람의 얼굴 또는 눈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얼굴 인식 파라미터 또는 시선 인식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부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170).
얼굴 인식 파라미터 또는 시선 인식 파라미터는, 예컨대, 촬영된 사람의 얼굴 이미지 내에 소정 크기의 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인체 즉 손목의 모션을 인식하고, 그 다음에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룩업 제스처가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의 룩업 제스처가 인식되면, 인식된 룩업 제스처에 따라 스마트 워치에 대한 제어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눈에 대한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시선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180).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눈에 대한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시선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190).
이 경우, 인식된 사용자의 룩업 제스처에 따라 스마트 워치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 제어 이벤트에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turn on)하는 이벤트,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이벤트, 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서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워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의하면,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팔의 간단한 모션과 시선(또는 얼굴) 인식을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스마트 워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기술은, 단순한 모션 인식 기반 스마트 워치 제어가 가지는 의도하지 않는 모션에 따른 기기의 활성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워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션 인식은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임을 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자이로 센서), 및/또는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얼굴 인식은 얼굴 전체를 인식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300)을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예시된 룩업 제스처와 연관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300)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손목에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팔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두 번 연속으로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서, 스마트 워치의 활성화(즉,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가 가능하다. 즉 시계방향(우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킨 후, 원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반시계방향(좌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킨 후, 다시 이러한 회전들을 반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목을 돌릴 때, 손목의 회전 속도는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속도값을 가진다. 여기서 속도값의 범위는 평균적으로 사람이 손목을 회전시키는 속도를 경험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속도값의 범위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 내에 있는 모션 인식 장치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팔(26)이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연속으로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두 번 반복 회전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310). 모션 인식 데이터는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 즉 손목이 팔(26)의 길이 방향 축(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90°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90°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모션 인식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30).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는 다시 모션 인식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의 다음 모션을 인식할 준비 상태로 된다.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면, 스마트 워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의 얼굴(22)을 인식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얼굴의 일부분을 인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눈(24)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350).
시선 인식 동작은 모션 인식 이후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 이루어진다.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동영상이 연속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은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에 의해 이루어진다. 카메라는 일정 시간간격 동안 카메라 앞에 있는 대상 및/또는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일정한 시간간격이 경과되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 결과와 시선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함으로써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370)에서 사용자 눈(24)의 시선이 스마트 워치(10)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 하는 이벤트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90).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 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18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해 손목을 두 번 연속으로 회전시킨 후 스마트 워치를 쳐다보면,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3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되지 않는 단계(190)는,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 하기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가 켜져 있을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끄고 싶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목을 두 번 연속으로 회전시킨 후 일정 시간간격 동안 스마트 워치를 쳐다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 워치(10)는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 하도록 하는 제어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190).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500)을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예시된 룩업 제스처와 연관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500)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손목에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팔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한 번 좌측으로만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서, 스마트 워치의 활성화(즉,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가 가능하다. 이 경우 수 있다. 즉 반시계방향(좌방향)으로 예컨대 90°이상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목을 돌리는 속도는 사용자가 '빠르다'라고 느낄 정도의 속도이다. 이 경우, 빠르게 돌아가는 손목의 회전 속도는 소정 문턱값 보다 높은 값을 가진다. 이 문턱값은 평균적으로 사람이 손목을 빠르게 회전시키는 속도를 경험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속도의 문턱값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수준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 내에 있는 모션 인식 장치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팔(26)이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속도가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으로 한 번 회전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510). 모션 인식 데이터는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 즉 손목이 팔(26)의 길이 방향 축(1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속도가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으로 90°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모션 인식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30).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는 다시 모션 인식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의 다음 모션을 인식할 준비 상태로 된다.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면, 스마트 워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의 얼굴(22)을 인식하기 위하여 눈(24)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550).
시선 인식 동작은 모션 인식 이후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 이루어진다.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동영상이 연속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은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에 의해 이루어진다. 카메라는 일정 시간간격 동안 카메라 앞에 있는 대상 및/또는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시선 인식 동작을 위한 일정한 시간간격이 경과되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 결과와 시선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함으로써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570)에서 사용자 눈(24)의 시선이 스마트 워치(10)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는 활성화되지 않는다(590).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58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해 손목을 한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스마트 워치를 쳐다보면,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700)을 설명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예시된 룩업 제스처와 연관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700)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손목에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오른 팔(26)을 팔꿈치에 대응하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팔을 일자로 편 상태에서 굽히는 방향으로 한 번 회전시킴으로서, 스마트 워치의 활성화(즉,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가 가능하다. 즉 팔을 얼굴 쪽으로 굽히는 방향으로 45°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목을 돌릴 때, 손목의 회전 속도 즉 각속도는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값을 가진다. 여기서 각속도 값의 범위는 평균적으로 사람이 손목을 회전시키는 속도를 경험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각속도 값의 범위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절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 내에 있는 모션 인식 장치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팔(26)이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팔을 굽히는 방향으로 한 번 회전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710). 모션 인식 데이터는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 즉 손목이 팔(26)의 팔꿈치에 있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팔을 굽히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모션 인식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30).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는 다시 모션 인식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의 다음 모션을 인식할 준비 상태로 된다.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면, 스마트 워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의 눈(24)을 인식하기 위하여 시선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750).
시선 인식 동작은 모션 인식 이후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 이루어진다.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동영상이 연속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은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에 의해 이루어진다. 카메라는 일정 시간간격 동안 카메라 앞에 있는 대상 및/또는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시선 인식 동작을 위한 일정한 시간간격이 경과되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 결과와 시선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함으로써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70)에서 사용자 눈(24)의 시선이 스마트 워치(10)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는 활성화되지 않는다(790).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78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턴 온시키기 위해 팔을 굽혀 손목을 몸쪽 방향으로 당겨 팔이 팔꿈치에서 접히도록 회전시킨 후 스마트 워치를 쳐다보면,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켜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900)을 설명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룩업 제스처와 연관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900)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손목에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오른 팔(26)을 팔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연속으로 우측으로 한번 그리고 좌측으로 한번씩 회전시킴으로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현재 화면으로부터 직전에 표시되었던 이전 화면 즉 뒷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즉 시계방향(우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킨 다음 연속으로 반시계방향(좌방향)으로 90°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손목을 돌릴 때, 손목의 회전 속도는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값을 가진다. 여기서 회전 속도의 범위는 평균적으로 사람이 손목을 회전시키는 각속도를 경험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회전 속도 값의 범위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 내에 있는 모션 인식 장치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팔(26)이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한번 및 반시계방향으로 한 번 회전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910). 모션 인식 데이터는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 즉 손목이 팔(26)의 길이 방향 축(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각속도로 90°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번씩 연속으로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모션 인식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30).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는 다시 모션 인식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의 다음 모션을 인식할 준비 상태로 된다.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면, 스마트 워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의 눈(24)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950).
시선 인식 동작은 모션 인식 이후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 이루어진다.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동영상이 연속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은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에 의해 이루어진다. 카메라는 일정 시간간격 동안 카메라 앞에 있는 대상 및/또는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시선 인식 동작을 위한 일정한 시간간격이 경과되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 결과와 시선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함으로써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970)에서 사용자 눈(24)의 시선이 스마트 워치(10)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뒷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이벤트는 활성화되지 않는다(990).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뒷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이벤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98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되돌리기 위해 손목을 한번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스마트 워치를 쳐다보면,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1100)을 설명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룩업 제스처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룩업 제스처와 연관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1100)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손목에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10)를 착용한 오른 팔(26)을 팔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빠르게 우측으로 한번 회전시킴으로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현재 화면으로부터 직전에 표시되었던 이전 화면 즉 뒷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즉 시계방향(우방향)으로 예컨대 90°이상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목을 돌리는 속도는 사용자가 '빠르다'라고 느낄 정도의 속도이다. 이 경우, 빠르게 돌아가는 속목의 회전 속도는 소정 문턱값 보다 높은 값을 가진다. 이 문턱값은 평균적으로 사람이 손목을 빠르게 회전시키는 속도를 경험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손목의 회전 속도의 문턱값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수준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 내에 있는 모션 인식 장치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팔(26)이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빠르게 한 번 회전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1110). 모션 인식 데이터는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위치 즉 손목이 팔(26)의 길이 방향 축(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빠른 즉 더 큰 각속도 값으로 90°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모션 인식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30).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지 않으면, 스마트 워치는 다시 모션 인식 대기 상태로 되돌아가서, 사용자의 다음 모션을 인식할 준비 상태로 된다. 부합되는 것이 존재하면, 스마트 워치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의 눈(24)을 인식하는 시선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150).
시선 인식 동작은 모션 인식 이후 일정한 시간간격 내에 이루어진다.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이미지가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선 인식 동작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 동영상이 연속 촬영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은 사용자의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에 의해 이루어진다. 카메라는 일정 시간간격 동안 카메라 앞에 있는 대상 및/또는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시선 인식 동작을 위한 일정한 시간간격이 경과되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해 이미지 분석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 결과와 시선 인식 파라미터를 비교함으로써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170)에서 사용자 눈(24)의 시선이 스마트 워치(10)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뒷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이벤트는 활성화되지 않는다(1190). 만약 사용자 눈이 스마트 워치(10)를 쳐다보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뒷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이벤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118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되돌리기 위해 손목을 한번 빠르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스마트 워치를 쳐다보면,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1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체의 손목에 착용된 스마트 워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 내에 포함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1200)이 도시된다.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1200)은 프로세싱부(1210), 디스플레이(1220), 메모리(1230), 카메라(1240), 모션센서(1250), 타이머(1260), 터치입력부(1270), 및 통신모듈(128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20)와 터치입력부(1270)는 하나의 단일 터치스크린 모듈로서 통합된 것일 수 있다. 타이머(1260)는 통상적으로 프로세싱부(1210)에 필수적으로 내장되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통신모듈(1280)은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1200)의 외부 시스템과 유선 및/또는 무선, 근거리 및/또는 통신, 지상 및/또는 위성 통신 방식으로, 소통할 수 있는 송신기/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40)는 카메라(1240) 전방의 물체나 환경에 대한 흑백 및 컬러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40)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사용자의 얼굴 인식은,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를 바라보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를 바라보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자 얼굴 전체를 인식할 필요는 없고, 다만 사용자의 눈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를 인식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얼굴 인식 데이터는 얼굴에 포함된 눈을 인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시선 인식 데이터라고 지칭될 수 있고, 카메라(1240)는 시선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모션센서(1250)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1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회전 각도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센서든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으로 조합된 구성도 가능하다. 모션센서(1250)는 예컨대, 관성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고도계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1200)는 사용자의 몸, 특히 손목에 착용되어 있기 때문에, 모션센서(1250)는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1210)는, 일 예에 따라, 스마트 워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루틴, 모듈, 및/또는 인스트럭션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리무버블 및 논-리무버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루틴, 모듈 등을 구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s) 및 미리 정의된 파라미터 등과 같은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이다. 메모리(1230)에는 예컨대, ROM, RA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고체 디스크, 광 디스크, CD, DVD, USB,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싱부(1210)는 저장부(1211), 모션 데이터 생성부(1212), 모션 부합 판단부(1213), 얼굴 데이터 생성부(1214), 얼굴 부합 판단부(1215), 및 제어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11)에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 및 얼굴 인식 파라미터가 저장된다. 모션 데이터 생서부(1212)는, 모션 센서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모션 부합 판단부(1213)는 생성된 모션 인식 데이터가 저장부(1211)에 저장되어 있는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얼굴 데이터 생성부(1214)는, 모션 부합 판단부(1213)에 의한 모션 부합 여부 판단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카메라(1240)를 구동시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예컨대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얼굴 부합 판단부(1215)는, 생성된 얼굴 인식 데이터가 저장부(1211)에 저장되어 있는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216)는, 얼굴 부합 판단부(1215)에 의해 얼굴 부합 여부 판단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손목에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싱부(12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싱부(1210)의 모션 데이터 생성부(1212)는, 모션 센서(125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손목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로세싱부(1210)의 모션 부합 판단부(1213)는 모션 인식 데이터가 저장부(1211)에 포함되어 있는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싱부(1210)의 얼굴 데이터 생성부(1214)는, 만약 모션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카메라(1240)를 동작시켜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동안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인체의 얼굴, 예컨대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시간간격이 경과되면, 프로세싱부(1210)의 얼굴 데이터 생성부(1214)는 카메라(124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시선을 인식한다. 그리고 프로세싱부(1210)의 얼굴 부합 판단부(1215)는 사용자의 시선을 나타내는 시선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시선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선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스마트 워치를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싱부(1210)의 제어부(1216)는 만약 얼굴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턴 온시키거나, 표시된 화면의 이전 화면, 즉 뒷화면으로 이동하는 등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할 수 있다.
10 : 스마트 워치
12, 14 : 회전축
22 : 얼굴
24 : 눈
26 : 팔
1200 : 제어 시스템
1210 : 프로세싱부
1211 : 저장부
1212 : 모션 데이터 생성부
1213 : 모션 부합 판단부
1214 : 얼굴 데이터 생성부
1215 : 얼굴 부합 판단부
1216 : 제어부
1220 : 디스플레이
1240 : 카메라
1250 : 모션 센서
1260 : 타이머
1270 : 터치 입력부
1280 : 통신 모듈

Claims (20)

  1.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가 미리 정의된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 및 상기 얼굴 인식 파라미터가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는 방향 또는 펴는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회전한 각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는, 상기 얼굴에 포함된 눈을 인식함으로써 생성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turn on)하는 이벤트,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이벤트 및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이벤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직전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직전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1. 모션 인식 파라미터 및 얼굴 인식 파라미터가 저장된 저장부;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있는 인체의 모션을 인식하여 모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션 데이터 생성부;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가 상기 모션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션 부합 판단부;
    상기 모션 부합 여부 판단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 데이터 생성부;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가 상기 얼굴 인식 파라미터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얼굴 부합 판단부; 및
    상기 얼굴 부합 여부 판단결과 부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워치의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는 방향 또는 펴는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한 정보, 상기 손목이 회전한 각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데이터 생성은, 상기 얼굴에 포함된 눈을 인식함으로써 생성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turn on)하는 이벤트,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turn off)하는 이벤트, 또는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는 이벤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액션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두 번 반복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액션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오프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액션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굽히는 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액션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턴 온하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 및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의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순차적으로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액션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직전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는 손목이며,
    상기 모션 인식 데이터는, 상기 손목이 팔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문턱값보다 큰 값의 각속도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모션을 한 번 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워치의 미리 정의된 제어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액션에서, 상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직전의 화면으로 돌아가는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시스템.
KR1020130156501A 2013-12-16 2013-12-16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8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01A KR102183857B1 (ko) 2013-12-16 2013-12-16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01A KR102183857B1 (ko) 2013-12-16 2013-12-16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56A true KR20150069856A (ko) 2015-06-24
KR102183857B1 KR102183857B1 (ko) 2020-11-27

Family

ID=5351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01A KR102183857B1 (ko) 2013-12-16 2013-12-16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30A1 (en) 2016-07-22 2018-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67686A (ko)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라이너스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0187758A (zh) * 2019-05-08 2019-08-30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2631432A (zh) * 2021-01-05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及穿戴式设备、存储介质
WO2022196984A1 (ko) * 2021-03-15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341B1 (ko) * 2006-06-16 2007-11-30 황성민 손목 거치용 휴대기기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1153190B1 (ko) * 2011-11-16 2012-06-11 이건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KR20130104682A (ko) * 2012-03-15 2013-09-25 최상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 자동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341B1 (ko) * 2006-06-16 2007-11-30 황성민 손목 거치용 휴대기기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1153190B1 (ko) * 2011-11-16 2012-06-11 이건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연결 장치
KR20130104682A (ko) * 2012-03-15 2013-09-25 최상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및 터치 자동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30A1 (en) 2016-07-22 2018-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10452063B2 (en) 2016-07-22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67686A (ko)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라이너스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0187758A (zh) * 2019-05-08 2019-08-30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0187758B (zh) * 2019-05-08 2023-06-30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2631432A (zh) * 2021-01-05 2021-04-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控制方法及穿戴式设备、存储介质
WO2022196984A1 (ko) * 2021-03-15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857B1 (ko) 202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3239B2 (en) Raise gesture detection in a device
CN107807732B (zh) 用于显示图像的方法、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10191564B2 (en) 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US10417496B2 (en) Visibility enhan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320413B1 (en) System for tracking a handheld device in virtual reality
CN105027033B (zh) 用于选择扩增现实对象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媒体
KR20150069856A (ko)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39792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058759A (zh) 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US11054917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smart control system
JP2015172653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6177568A (ja) 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
TWI788607B (zh) 人機交互系統和人機交互方法
CN107272892A (zh) 一种虚拟触控系统、方法及装置
AU2017100061B4 (en) Raise gesture detection in a device
US103386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cognition of start and/or stop portions of a gesture using relative coordinate system boundaries
JP2016115310A (ja) 電子機器
US201901966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61518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7827072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7784936A (zh) 控制方法、终端设备、可穿戴设备、通信系统及存储介质
JP2021089693A (ja) 行動ベースの構成方法及び行動ベースの構成システム
CN113031753A (zh) 运动传感数据产生方法和运动传感数据产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