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831A -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831A
KR20150069831A KR1020130156436A KR20130156436A KR20150069831A KR 20150069831 A KR20150069831 A KR 20150069831A KR 1020130156436 A KR1020130156436 A KR 1020130156436A KR 20130156436 A KR20130156436 A KR 20130156436A KR 20150069831 A KR20150069831 A KR 2015006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dab
audio
sig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831A/ko
Publication of KR2015006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DAB) 채널 선택 시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DAB 튜너, 상기 DAB 튜너에 의해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해독하는 디코더, 및 상기 DAB 튜너의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FM 튜너로부터 입력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 채널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에 따라 오디오 방송 채널이 변경되도록 하는 심리스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signal process}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DAB 및 RDS 간 채널 변경 시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는 현재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디지털 라디오 방송 서비스로 CD 수준의 오디오와 데이터 정보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이다. 현재 DAB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을 대체하면서 세계 대다수의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4년경부터 DAB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DAB 시스템에서 DAB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링크 시점과 심리스링크 시점은 DAB 서비스의 품질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문제로,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신호품질에 따른 실제 방송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링크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방송 채널 간의 오디오 서비스 전환 시, 예를 들어, DAB-FM 또는 DAB-DAB 간 서비스 전환 시 음소거 현상이 발생하거나 음이 단절되어 연속음이 나오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DAB-FM 또는 DAB-DAB 간 오디오 서비스 전환 시 심리스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음소거 현상이 발생하거나 음이 단절되어 연속음이 나오지 않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DAB) 채널 선택 시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DAB 튜너, 상기 DAB 튜너에 의해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해독하는 디코더, 및 상기 DAB 튜너의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FM 튜너로부터 입력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 채널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에 따라 오디오 방송 채널이 변경되도록 하는 심리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egment identifier, 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rogram identifier code, PI code) 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상이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상기 FM 튜너의 서비스 링크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오디오 신호가 탐색되면, 상기 FM 튜너를 통해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튜닝한 상태에서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오디오 신호의 의사 채널 비트 에러율(pseudo channel bit error rate, PCBER),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전계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채널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자 식별자(electronic identifier, EID) 또는 SID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hardlink database)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하드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FM 채널 데이터 베이스 및 FM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DAB 튜너의 서비스 링크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DAB) 채널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기 출력되는 동안 FM 튜너로부터 입력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 채널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에 따라 오디오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디오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상이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상기 FM 튜너의 서비스 링크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탐색하는 단계는, FM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egment identifier, 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rogram identifier code, PI code)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채널 데이터 베이스 및 DAB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AB-FM 또는 DAB-DAB 간 오디오 서비스 전환 시 심리스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끊기지 않고 출력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DAB 채널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백그라운드 상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신호 및 FM 채널의 RDS 신호를 탐색하여 튜닝하고, 서비스 전환 시 이미 튜닝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오디오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오디오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중 신호 수신 상태 확인 동작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에 따른 오디오 서비스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오디오 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FM 모듈(100), DAB 모듈(200), 메인제어모듈 및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디오 장치의 구성은 하드웨어 장치로서의 모듈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FM 모듈(100)은 FM 튜너를 이용하여 FM용 안테나(10)로부터 FM 채널 상의 RDS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FM 모듈(100)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FM 채널에서 수신된 RDS 오디오 신호를 DAB 모듈(200)로 제공한다.
DAB 모듈(200)은 DAB용 안테나(20)로부터 DAB 채널 상의 DAB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DAB 모듈(200)은 DAB 채널 선택 시 수신된 DAB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해당 DAB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 즉, 신호 품질을 확인한다.
또한, DAB 모듈(200)은 선택된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다른 주파수의 DAB 채널 중 백그라운드 상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DAB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 탐색하여 해당 DAB 오디오 채널을 튜닝하고 개시할 수 있다. 여기서, DAB 모듈(200)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링크의 DAB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때 백그라운드 상에서 튜닝된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채널로 서비스 링크를 전환하여 신호의 끊김 없이 동일 방송의 오시오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DAB 모듈(200)은 FM 모듈(100)로부터 RDS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DAB 모듈(200)은 DAB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RDS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 탐색하여 해당 오디오 채널을 튜닝하고 대기할 수 있다. 여기서, DAB 모듈(200)은 DAB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때 백그라운드 상에서 튜닝된 FM 채널의 서비스 링크로 전환하여 신호의 끊김 없이 동일 방송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메인제어모듈은 DAB 모듈(20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모듈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출력모듈은 스피커 등과 같은 오디오 출력 수단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DAB 모듈(200) 내부에 구현되는 장치로서, DAB 및 RDS 간 심리스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도 2를 참조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DAB 튜너(210), 디코더(230) 및 심리스 처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DAB 모듈(200)에서 DAB 오디오 신호 출력, RDA 오디오 신호 출력, DAB-DAB 또는 DAB-FM 간 서비스 전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설정값, 채널 정보 등이 저장되는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DB에는 DAB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출력되는 DAB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DB에는 FM 채널 상의 RDS 오디오 신호를 튜닝한 경우 튜닝된 RDS 오디오 신호의 품질을 감시하기 위한 조건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DB에는 DAB 방송 채널 탐색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DAB 채널 리스트 및 DAB 하드링크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FM 채널 탐색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FM 채널 리스트, FM 하드링크 정보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DAB 튜너(210)는 DAB용 안테나를 통해 특정 주파수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이하에서는 '제1 오디오 신호'라 칭한다.)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DAB 튜너(210)는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디코더(230)는 DAB 튜너(210)에서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해독하여 심리스 처리부(250)로 제공한다.
심리스 처리부(250)는 디코더(230)에서 해독된 제1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이때,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장치의 메인제어모듈로 출력하여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며, 동시에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수신 상태를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일 예로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의 의사 채널 비트 에러율(pseudo channel bit error rate, PCBER),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신호수신강도지수(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DB에 저장된 조건과 비교하여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의 PCBER를 확인하여 임계치보다 큰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1 오디오 신호의 PCBER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노이즈 펄스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심리스 처리부(250)는 소정시간 후 제1 오디오 신호의 PCBER를 다시 확인하여 노이즈 펄스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리스 처리부(250)는 누적된 PCBER를 확인하여 DB에 저장된 채널변경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채널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 백그라운드 상에서 튜닝된 다른 주파수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 또는 RDS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서비스 링크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심리스 처리부(250)는 오디오 장치의 FM 모듈에서 출력된 RDS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여기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다른 주파수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 또는 RDS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여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오디오에 대해 튜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심리스 처리부(250)는 FM 튜너로부터 입력되는 RDS 오디오 신호 중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RDS 오디오 신호(이하에서는 '제2 오디오 신호'라 칭한다.)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제1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egment identifier, 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rogram identifier code, PI code) 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할 수 있다.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제2 오디오 신호가 탐색된 경우 제2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튜닝한 상태에서 서비스 링크 전환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때, 심리스 처리부(250)는 대기하는 동안 튜닝된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을 감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대기하는 동안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제2 오디오 신호를 재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FM 채널 데이터 베이스 및 FM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할 수 있다.
만일, 오디오 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상이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FM 튜너의 서비스 링크로 전환하여 오디오 장치를 통해 제2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때 이미 백그라운드 상에서 제2 오디오 신호의 채널이 튜닝된 상태이므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오디오 신호의 끊김 없이 동일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주파수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 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채널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 중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자 식별자(electronic identifier, EID) 또는 세그먼트 식별자(SID)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hardlink database)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 중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하드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오디오 신호를 탐색할 수도 있다.
만일,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채널 중 DAB 채널 데이터 베이스 또는 DAB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DAB 오디오 신호가 탐색되면, 심리스 처리부(250)는 해당 DAB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튜닝한 상태에서 서비스 링크 전환시까지 대기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 심리스 처리부(250)는 백그라운드 상에서 탐색된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상이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채널로 서비스 링크를 전환하여 오디오 장치를 통해 해당 DAB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때 이미 백그라운드 상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의 채널이 튜닝된 상태이므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오디오 신호의 끊김 없이 동일 방송의 DAB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심리스 처리부(250)는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가 모두 탐색된 경우,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에 대한 우선순위를 두어,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 링크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심리스 처리부(250)는 백그라운드 상에서 탐색된 각 오디오 신호 중 신호 품질이 우수한 오디오 신호를 대상으로 서비스 링크를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심리스 처리부(250)는 서비스 링크 전환 우선순위에 따라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만 탐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100 내지 'S180' 과정은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주 처리 동작을 나타낸 것이고, 'S200' 내지 'S220' 과정은 'S100 내지 'S180'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처리되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DAB 채널이 선택되면(S100), 'S100' 과정에서 선택된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를 탐색한다(S110). 'S110' 과정에서 탐색된 DAB 오디오 신호가 확인되면, 오디오 처리 장치는 해당 DAB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S130).
한편,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S100' 과정에서 DAB 채널이 선택되면, 백그라운드 상에서 RDS 오디오 신호를 탐색한다(S200). 이때,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S200' 과정에서 탐색된 RDS 신호 중 'S130' 과정에서 출력되고 있는 DAB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I code)를 갖는 RDS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S200' 과정에서 탐색된 신호 중 해당 DAB 오디오 신호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코드를 갖는 RDS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면(S210), 해당 RDS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튜닝하고(S220) 주 처리 동작 과정에서 별도의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도록 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대기하는 동안 'S220' 과정에서 튜닝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임계치 이상이 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S130' 과정에서 출력되는 DAB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며(S140), 출력되는 DAB 오디오 신호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DAB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미만으로서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S150),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백그라운드 상에서 해당 DAB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코드의 RDS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S130' 과정에서 출력되고 있는 DAB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I code)를 갖는 RDS 오디오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백그라운드 상에서 'S220' 과정이 수행된 상태라면 해당 RDS 신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해당 DAB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RDS 신호가 존재하면(S160), 오디오 채널의 서비스 링크를 DAB 채널에서 FM 채널로 변경하도록 한다(S170). 반면, 'S160' 과정에서 튜닝된 RDS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더 이상 오디오 신호 출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고(S180), 다시 'S100'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의 동작은 DAB-FM 간 서비스 링크를 전환하는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DAB-DAB 간 서비스 링크를 전환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도 3의 동작과 유사한 형태로 DAB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다른 주파수 채널의 DAB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여 튜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중 신호 수신 상태 확인 동작의 세부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도 4는 도 3의 동작 중 'S150' 과정에 대한 세부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도 3의 'S140' 과정에서 확인된 DAB 오디오 신호의 수신 상태를 근거로 기 설정된 채널 변경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DAB 오디오 신호가 bad signal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bad signal level에 대한 임계치는 PCBER 값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만일, bad ssignal level이 임계치(B1)를 초과하는 경우(S151),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도 3의 'S160'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현재의 PCBER LEVEL이 설정된 임계치(P1)를 초과하는 경우(S153), 해당 DAB 오디오 신호가 펄스 노이즈(PULSE NOISE)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펄스 노이즈 확인 조건은 소정 시간 간격의 PCBER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DAB 오디오 신호가 펄스 노이즈인 것으로 확인되면(S155), 마지막으로 체인지 오버(change over) 조건을 확인한다. 여기서, 체인지 오버 조건은 누적된 PCBER 값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해당 DAB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체인지 오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S157),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도 3의 'S160'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 'S153', 'S155', 'S157' 과정 중 어느 하나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채널 변경 요구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도 3의 'S130'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에 따른 오디오 서비스 전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DAB-FM 간 서비스 링크를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DAB 방송 영역의 신호에 대한 전계 강도에 따라 P 시점을 전후하여 DAB-FM 간 서비스 링크를 전환한 것이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DAB 방송 영역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계 강도가 GOOD 또는 NORMAL 상태인 경우에는 DAB 방송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DAB 방송 영역의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계 강도가 일정시간 이상 WEAK 상태라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FM 튜너의 서비스 링크로 전환하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링크 전환된 FM 방송 영역의 오디오 신호는 DAB 방송 영역의 오디오 신호가 방송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이미 튜닝된 신호로서, P 시점에서 서비스 링크 전환 시 오디오 신호의 끊김 없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FM용 안테나 20: DAB용 안테나
100: FM 모듈 200: DAB 모듈
210: DAB 튜너 230: 디코더
250: 심리스 처리부

Claims (13)

  1.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DAB) 채널 선택 시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DAB 튜너;
    상기 DAB 튜너에 의해 수신된 제1 오디오 신호를 해독하는 디코더; 및
    상기 DAB 튜너의 서비스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FM 튜너로부터 입력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여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에 따라 오디오 방송 채널이 변경되도록 하는 심리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FM 채널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egment identifier, 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rogram identifier code, PI code) 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상이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상기 FM 튜너의 서비스 링크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FM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가 탐색되면, 상기 FM 튜너를 통해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튜닝한 상태에서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오디오 신호의 의사 채널 비트 에러율(pseudo channel bit error rate, PCBER),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 신호수신강도지수(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해당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채널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전자 식별자(electronic identifier, EID) 또는 SID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hardlink database)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하드링크 정보가 존재하는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스 처리부는,
    FM 채널 데이터 베이스 및 FM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0. DAB 튜너의 서비스 링크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 DAB) 채널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기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기 출력되는 동안 FM 튜너로부터 입력된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radio data system)의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의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에 따라 오디오 방송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신호 수신 상태가 채널 변경 요구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신호 품질이 임계치 이상이면 오디오 방송 채널을 상기 FM 튜너의 서비스 링크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의 탐색하는 단계는,
    FM 채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제1 오디오 신호의 세그먼트 식별자(segment identifier, SID)와 동일한 프로그램 식별코드(program identifier code, PI code)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동안 DAB 채널 데이터 베이스 및 DAB 하드링크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DAB 오디오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1020130156436A 2013-12-16 2013-12-16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69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36A KR20150069831A (ko) 2013-12-16 2013-12-16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36A KR20150069831A (ko) 2013-12-16 2013-12-16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831A true KR20150069831A (ko) 2015-06-24

Family

ID=5351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436A KR20150069831A (ko) 2013-12-16 2013-12-16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74B1 (ko) * 2016-05-12 2017-02-13 윤성현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374B1 (ko) * 2016-05-12 2017-02-13 윤성현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modulation based audio correlation technique for maintaining dynamic FM station list in single tuner variant and assisting alternate frequency switching methodology in single tuner and dual tuner variants
US94849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inter-modulation to improve radio performance in single and dual tuner
JP2007020165A (ja) 放送用信号の拡張型受信方法
US8131235B2 (en) Radio receiver for hybrid broadcast systems
US98380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inter-modulation to improve radio performance in single and dual tuner
KR20150069831A (ko)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JP4418582B2 (ja) アナログおよびディジタルで伝送されるラジオ放送番組のための受信機
CN106027185B (zh) 接收器中无线电服务跟随的管理方法和对应接收器
EP3121977A1 (en) Reception apparatus
EP2693668B1 (en) Radio receiver
KR102219431B1 (ko) 라디오 방송 채널 자동 전환 방법
KR20130128140A (ko) 디지털 라디오 수신 단말 및 디지털 라디오 방송 제공 방법
JP2005347810A (ja) 隣接妨害検出装置及び隣接妨害除去装置ならびに受信装置
US6968164B2 (en) Method of controlling filter bandwidth in a radio receiver for a duplicative broadcast signal
JP2005198092A (ja) 受信機
JP2005354288A (ja) 受信装置
KR0129600B1 (ko) 방송수신기의 자동 동조방법
KR10148299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채널 검색 방법
KR20050094032A (ko)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향상을 위한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JP5669570B2 (ja) 放送受信機
JP2013016960A (ja) 放送受信装置
JP2006025136A (ja) 受信装置
KR20080048564A (ko) 지상파 디엠비 최적화 다이버시티시스템 및 방법
JPWO2017195327A1 (ja) 放送受信装置
KR2012001084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채널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