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53A -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53A
KR20150069553A KR1020140179540A KR20140179540A KR20150069553A KR 20150069553 A KR20150069553 A KR 20150069553A KR 1020140179540 A KR1020140179540 A KR 1020140179540A KR 20140179540 A KR20140179540 A KR 20140179540A KR 20150069553 A KR20150069553 A KR 20150069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force
piezoelectric
mounting plate
for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419B1 (ko
Inventor
성태현
정현준
양찬호
김세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씨에너지
Publication of KR2015006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1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Wind Motor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회전축 및 회전축에 결합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회전축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발생부; 및 압전소자와, 압전소자가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자력 발생부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장착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압전소자에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자석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자력 발생부를 설치하고 이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을 압전 모듈에 구비시킴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 압전소자를 변형시켜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using wind power}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자력 발생부를 설치하고 이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을 압전 모듈에 구비시킴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 압전소자를 변형시켜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생성할 수 있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여러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도 압전 기술은 주위에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수확 기술이다. 버려지는 에너지를 예로 들자면, 기계적 진동, 소수력, 풍력, 유체의 낙하에 의한 외력,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 등을 들 수가 있다.
한편, 최근 신재생 에너지인 풍력 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다. 하지만 풍력 발전 시스템은 일정한 속도 이상에만 높은 효율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 높은 효율 및 발전량을 얻고자 풍력 발전 시스템에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접목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자력 발생부를 설치하고 이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을 압전 모듈에 구비시킴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 압전소자를 변형시켜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생성할 수 있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발생부; 및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가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자력 발생부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상기 압전소자에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자석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자력 발생부를 설치하고 이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을 압전 모듈에 구비시킴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 압전소자를 변형시켜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압전 모듈에서, 상기 압전소자가 장착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외팔보 타입으로 마련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압전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자유단에는 상기 자석을 장착시키기 위한 자석 장착부재가 장착되고, S극 또는 N극 자석이 상기 자석 장착부재 내에서 장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석은 S극만을 갖거나 N극만을 갖거나 또는 S극 및 N극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력 발생부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의 N극이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S극이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거나, N극 및 S극이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90도, 120도 또는 180도의 각도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추가 전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자유단의 일측에 상기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추가 전기 생성부는, 상기 자유단의 타측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추가 자석;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진동에 따른 상기 추가 자석의 이동 시 상기 추가 자석이 관통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자석이 상기 코일 내로 왕복하면서 자속 변화가 생김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자력 발생부로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전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발생부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압전 모듈로서 상기 자력 발생부의 이격 배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이 수평 방향을 갖고 상기 프로펠러가 수직 방향을 갖는 수직형 회전부이거나 상기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갖고 상기 프로펠러가 수평 방향을 갖는 수직형 회전부이거나 상기 프로펠러가 반원통 형상을 갖는 반원통형 회전부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자력 발생부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자극 배치를 통해 상기 압전 모듈의 상기 자석에 가해지는 자력 조절을 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공진주파수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자력 발생부를 설치하고 이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을 압전 모듈에 구비시킴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 압전소자를 변형시켜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자력 발생부 및 압전 모듈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추가 전기 생성부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자력 발생부의 자극 종류 및 수에 따른 아웃풋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자력 발생부 및 압전 모듈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회전부(110)와, 회전부(110)에 장착되는 자력 발생부(120)와, 자력 발생부(120)와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압전소자(151)에 전기에너지를 생성시키는 압전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회전부(110)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회전축(112)과, 회전축(112)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분에서 회전축(11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114)와, 회전축(112)이 연결되어 회전축(112)의 회전에 의해 발전되는 발전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바람이 불면 프로펠러(111)가 회전되고, 아울러 프로펠러(111)가 결합된 회전축(112)이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축(112)에 장착된 자력 발생부(120) 역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압전 모듈(1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진동 발생을 위해 상호 자기적인 작용을 이용한다.
이러한 압전 모듈(150)은, 기립 배치되는 기립부재(154)와, 기립부재(154)의 상단부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152)와, 장착 플레이트(152)의 일면, 예를 들면 하면에 장착되는 압전소자(151)와, 장착 플레이트(152)의 자유단에 장착되어 자력 발생부(120)와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1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석(155)이 장착 플레이트(152)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도록, 압전 모듈(150)은 자석(155) 장착을 위한 자석 장착부재(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압전소자(151)는 압전 세라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전소자(151)의 재질로 인해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부서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전소자(151)는 유연성 있는 SUS 재질의 장착 플레이트(152)의 적어도 일면 특히 하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장착 플레이트(152)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압전소자(151)의 장착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압전소자(151)는 기본적으로 발전량이 우수한 세라믹(ceramic) 압전소자를 비롯하여 물리적 유연성이 뛰어나 폴리머(polymer)나 폴리머와 세라믹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압전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뛰어난 물리적 유연성으로 인해 내구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발전에 용이하다.
또한, 압전소자(151)의 종류로는 PVDF의 사용이 기본적이고, 바륨 티타네이트, PZT 결정 또는 PZT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NKN계, BZT-BCT계, BNT계, BSNN, BNBN계 등의 무연(Lead-free) 압전소재, PLZT, P(VDF-TrFE), 수정, 전기석, 로셸염, 티탄산바륨, 인산이수소암모늄, 타르타르산에틸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압전소자(151)의 종류 및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력에 의해 충분한 발전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다른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압전 모듈(150)의 자석 장착부재(156)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극 및 N극으로 이루어진 자석(155)이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석(155)은 S극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N극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가령 자석(155)에 자기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테면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자석(155)은 하방으로 당겨져 장착 플레이트(152)의 자유단이 하방으로 가압되고 다시 가해지는 인력이 약해지거나 없어지면 장착 플레이트(15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자석(155)이 척력을 받을 때도 마찬가지인데, 척력으로 인해 자석(155)이 상방으로 밀림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152)의 자유단이 상방으로 가압되고 다시 가해지는 척력이 약해지거나 없어지면 장착 플레이트(15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장착 플레이트(152)가 진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장착 플레이트(152)에 장착된 압전소자(151)에 진동이 발생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전 모듈(150)에 구비된 자석(155)에 자기력이 가해지면 압전소자에 변형이 발생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155)에 자기력을 가하기 위한 자력 발생부(12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자력 발생부(120)는, 영구자석(12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영구자석이 회전축(112)을 감싸는 하우징(123) 내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하우징(123)의 외면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N극을 갖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S극을 갖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121N) 및 S극(121S)으로 이루어진 영구자석(121)이 상호 교번적으로 회전축(112)의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영구자석(121)은 90도, 120도 또는 180도의 각도로 상기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배치 각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의 자력 발생부(120)가 회전되는 경우, 자력 발생부(120)는 압전 모듈(150)의 자석(155)과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형태의 자력 발생부(120)가 회전부(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자력 발생부(120)를 이루는 N극(121N) 및 S극(121S)과, 압전 모듈(150)의 자석(155)은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되 극에 따라서 또는 자력 발생부(120) 및 자석(155)의 거리에 따라서 자기적으로 작용할 것이며 따라서 자석(155)이 부착된 장착 플레이트(152)에 외력이 가해짐으로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부연하면, 프로펠러(11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12)이 회전되면 자력 발생부(120)는 회전하는데,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자력 발생부(120)의 N극(121N) 및 S극(121S)이 압전 모듈(150)의 자석(155)의 하부를 지나가게 된다. 그러면, 자력 발생부(120)의 N극(121N) 및 S극(121S)과, 자석(155)의 N극 및 S극이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상호 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장착 플레이트(152)가 상하로 진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장착 플레이트(152)에 장착된 압전소자(151) 역시 진동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자력 발생부(12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121)의 자극 배치를 통해 압전 모듈(150)의 자석(155)에 가해지는 자력 조절을 하여 압전소자(151)의 공진주파수를 맞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은 추가적인 전기에너지 생성을 위해 추가 전기 생성부(160)를 포함하는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추가 전기 생성부가 추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추가 전기 생성부(160)는, 장착 플레이트(152)의 자유단의 상면에 배치되는 추가 자석(161)과, 장착 플레이트(152)의 진동에 따른 추가 자석(161)의 이동 시 추가 자석(161)이 관통하는 코일(16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코일(165)이 공중에 떠있는 형상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 코일(165)은 고정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압전 모듈(150)의 자석(155)은 자유단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12)의 회전에 의해 자력 발생부(120)가 회전 시 자력 발생부(120)와 압전 모듈(150)의 자석(155)은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해 장착 플레이트(152)의 자유단은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추가 전기 생성부(160)의 추가 자석(161)이 코일(165) 사이를 왕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자속 변화가 생겨 전기에너지가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자력 발생부(120)와 압전 모듈(150)의 상호 작용에 따른 전기에너지 생성과 더불어 추가 전기 생성부(160)의 작용에 의해 추가적인 전기 에너지를 더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110)의 회전축(112)에 자력 발생부(120)를 설치하고 이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자석(155)을 압전 모듈(150)에 구비시킴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 압전소자(151)를 변형시켜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풍력 발전의 경우 일정한 속도 이상에서만 높은 효율을 보이는 한계가 있는데, 본 실시예의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100)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바람이 불지 않더라도 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200)은, 회전축(212)에 복수 개의 자력 발생부(220)가 구비되고, 아울러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압전 모듈(250)이 구비된다.
따라서, 바람이 불어 프로펠러(211)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회전축(212)이 회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자력 발생부(220)와 복수 개의 압전 모듈(250)이 상호 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전기에너지 생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그래프를 참조하여, 자력 발생부(120) 및 압전 모듈(150)의 자극에 따른 아웃풋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자력 발생부의 자극 종류 및 수에 따른 아웃풋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자력 발생부(120)의 영구자석(121)이 N극 또는 S극인 경우 풍속에 따른 아웃풋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자력 발생부(120)의 영구자석(121)이 N-N극(180도의 간격으로 배치)으로 이루어진 경우, N-S극으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S-S극으로 이루어진 경우 풍속에 따른 각각의 아웃풋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이 수평 방향이고 프로펠러가 수직 방향을 갖는 수직형 회전부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형 회전부 또는 반원통형 회전부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110 : 회전부
111 : 프로펠러
112 : 회전축
120 : 자력 발생부
121 : 영구자석
150 : 압전 모듈
151 : 압전소자
152 : 장착 플레이트
155 : 자석
156 : 자석 장착부재
160 : 추가 전기 생성부

Claims (11)

  1.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 발생부; 및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가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자력 발생부와 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상기 장착 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상기 압전소자에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자석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모듈;
    을 포함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모듈에서, 상기 압전소자가 장착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외팔보 타입으로 마련되며,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 압전소자가 장착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자유단에는 상기 자석을 장착시키기 위한 자석 장착부재가 장착되고, S극 또는 N극 자석이 상기 자석 장착부재 내에서 장착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S극만을 갖거나 N극만을 갖거나 또는 S극 및 N극의 조합을 갖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영구자석은 복수 개의 N극이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S극이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거나, N극 및 S극이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은 90도, 120도 또는 180도의 각도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도록 추가 전기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자유단의 일측에 상기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추가 전기 생성부는,
    상기 자유단의 타측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추가 자석;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진동에 따른 상기 추가 자석의 이동 시 상기 추가 자석이 관통하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자석이 상기 코일 내로 왕복하면서 자속 변화가 생김으로써 전기에너지가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력 발생부는 복수 개의 자력 발생부로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전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발생부의 수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압전 모듈로서 상기 자력 발생부의 이격 배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축이 수평 방향을 갖고 상기 프로펠러가 수직 방향을 갖는 수직형 회전부이거나 상기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갖고 상기 프로펠러가 수평 방향을 갖는 수직형 회전부이거나 상기 프로펠러가 반원통 형상을 갖는 반원통형 회전부인,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발생부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자극 배치를 통해 상기 압전 모듈의 상기 자석에 가해지는 자력 조절을 하여 상기 압전소자의 공진주파수를 맞추는,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KR1020140179540A 2013-12-13 2014-12-12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KR101785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5860 2013-12-13
KR1020130155860 2013-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53A true KR20150069553A (ko) 2015-06-23
KR101785419B1 KR101785419B1 (ko) 2017-10-16

Family

ID=53516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540A KR101785419B1 (ko) 2013-12-13 2014-12-12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419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0572A (zh) * 2016-07-16 2016-10-26 北京工业大学 一种宽频带风致振动压电能量采集器
KR101711789B1 (ko) * 2016-03-16 2017-03-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변형부재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CN107332463A (zh) * 2017-08-17 2017-11-07 浙江师范大学 一种新型列车轴承监测系统用发电机
CN107359818A (zh) * 2017-08-17 2017-11-17 浙江师范大学 一种压电风车
CN107359815A (zh) * 2017-08-17 2017-11-17 浙江师范大学 一种径向拉压激励的旋转压电发电机
CN107395051A (zh) * 2017-08-17 2017-11-24 浙江师范大学 一种铁路列车轴承监测系统用发电机
CN107395061A (zh) * 2017-08-17 2017-11-24 浙江师范大学 一种风致压电俘能器
CN107482868A (zh) * 2017-08-17 2017-12-15 浙江师范大学 一种磁耦合逐级激励的水流发电机
CN107508493A (zh) * 2017-08-17 2017-12-22 浙江师范大学 一种装有磁力弹簧的压电风车
CN108590973A (zh) * 2018-04-26 2018-09-28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压电的气流能量转换装置
WO2018236061A1 (ko) * 2017-06-21 2018-12-27 주식회사 에이엠씨글로비즈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연속 압전 발전기
CN112196730A (zh) * 2020-10-04 2021-01-08 长春工业大学 一种基于风能的发电装置
KR20210106648A (ko) * 2020-02-21 2021-08-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포함하는 쉘터
CN107956646B (zh) * 2017-12-28 2023-04-28 西南交通大学 一种应用于高压电网中的压电风能采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875A (ko) 2018-01-29 2019-08-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열공기의 상향 유동 압력을 활용한 에너지 하비스터
KR102319691B1 (ko) 2019-11-26 2021-11-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 유발 진동에 기반한 주파수 튜닝 에너지 수확기
KR102475983B1 (ko) 2020-12-01 2022-12-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속 대응형 에너지 수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554A (ja) * 2001-06-06 2002-12-20 Nec Tokin Corp 標示装置
JP5026274B2 (ja) * 2004-10-21 2012-09-12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共振周波数が調節可能な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2006291842A (ja) * 2005-04-11 2006-10-26 Taiheiyo Cement Corp 風力発電装置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789B1 (ko) * 2016-03-16 2017-03-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변형부재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CN106050572A (zh) * 2016-07-16 2016-10-26 北京工业大学 一种宽频带风致振动压电能量采集器
WO2018236061A1 (ko) * 2017-06-21 2018-12-27 주식회사 에이엠씨글로비즈 자력을 이용한 비접촉 연속 압전 발전기
CN107395051A (zh) * 2017-08-17 2017-11-24 浙江师范大学 一种铁路列车轴承监测系统用发电机
CN107359815B (zh) * 2017-08-17 2023-05-16 浙江师范大学 一种径向拉压激励的旋转压电发电机
CN107359818A (zh) * 2017-08-17 2017-11-17 浙江师范大学 一种压电风车
CN107395061A (zh) * 2017-08-17 2017-11-24 浙江师范大学 一种风致压电俘能器
CN107482868A (zh) * 2017-08-17 2017-12-15 浙江师范大学 一种磁耦合逐级激励的水流发电机
CN107508493A (zh) * 2017-08-17 2017-12-22 浙江师范大学 一种装有磁力弹簧的压电风车
CN107332463B (zh) * 2017-08-17 2023-05-26 浙江师范大学 一种新型列车轴承监测系统用发电机
CN107332463A (zh) * 2017-08-17 2017-11-07 浙江师范大学 一种新型列车轴承监测系统用发电机
CN107508493B (zh) * 2017-08-17 2019-03-12 浙江师范大学 一种装有磁力弹簧的压电风车
CN107482868B (zh) * 2017-08-17 2023-05-26 浙江师范大学 一种磁耦合逐级激励的水流发电机
CN107359818B (zh) * 2017-08-17 2023-05-16 浙江师范大学 一种压电风车
CN107395051B (zh) * 2017-08-17 2023-05-16 浙江师范大学 一种铁路列车轴承监测系统用发电机
CN107395061B (zh) * 2017-08-17 2023-05-16 浙江师范大学 一种风致压电俘能器
CN107359815A (zh) * 2017-08-17 2017-11-17 浙江师范大学 一种径向拉压激励的旋转压电发电机
CN107956646B (zh) * 2017-12-28 2023-04-28 西南交通大学 一种应用于高压电网中的压电风能采集装置
CN108590973A (zh) * 2018-04-26 2018-09-28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压电的气流能量转换装置
KR20210106648A (ko) * 2020-02-21 2021-08-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포함하는 쉘터
CN112196730A (zh) * 2020-10-04 2021-01-08 长春工业大学 一种基于风能的发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419B1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419B1 (ko) 풍력 이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US7948124B1 (en) Electro-magnetic kinetic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increased magnetic edge area
KR101488427B1 (ko) 풍력을 이용한 압전식 발전기
JP2013187928A (ja) 振動発電装置
KR20130045130A (ko) 3d 햅틱 피드백 발생 방법 및 휴대용 전자장치
JP2013066137A (ja) 変換器とエネルギー転換モジュール
KR101251412B1 (ko) 압전-복합재료 발전 소자를 이용한 자기력 구동형 발전 장치
KR100691796B1 (ko) 영구자석과 압전세라믹을 이용한 진동 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JP2015516136A (ja) 発電装置
CN102751907A (zh) 悬臂梁式压电发电机
CN112737407A (zh) 用于捕获波浪能的压电发电系统
KR20170017565A (ko)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장치
KR20030083253A (ko) 해수면의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Fondevilla et al. Electromagnetic harvester device for scavenging ambient mechanical energy with slow, variable, and randomness nature
US20230238870A1 (en) Electromagnetic Kinetic Energy Harvester
Lee et al. Low-frequency driven energy harvester with multi-pole magnetic structure
CN104578911A (zh) 基于双稳态的无接触磁力式振动能量俘获器
KR102142787B1 (ko) 압전 효과를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
JP2005229655A (ja) 発電装置
KR102195849B1 (ko) 자기장을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CN112737411A (zh) 一种压电发电装置
JP5131541B2 (ja) 振動型静電発電機ユニット
KR20070079214A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동력 발생장치
KR20170059386A (ko)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1389B1 (ko) 압전체를 이용한 소형 에너지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