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40A - Film stretching device - Google Patents

Film stretc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40A
KR20150069540A KR1020140178473A KR20140178473A KR20150069540A KR 20150069540 A KR20150069540 A KR 20150069540A KR 1020140178473 A KR1020140178473 A KR 1020140178473A KR 20140178473 A KR20140178473 A KR 20140178473A KR 20150069540 A KR20150069540 A KR 2015006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ving
base
changing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3606B1 (en
Inventor
노리오 모리이
사다무 마츠모토
아츠시 타나카
Original Assignee
히라노 기켄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노 기켄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라노 기켄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29C55/02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of preformed plates or sheets coated with a solution, a dispersion or a melt of thermo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elongation device that prevents generation of wrinkles by changing return trajectories of clips interposing both ends of a film to be smooth and enables the film to have a desired main optical axis direction and optical properties. The film elongation device (40) includes: two returning members (50, 54) that have film side trajectorie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return side trajectories, have flexibility in the returning direction, and do not have ends; a plurality of the clips which are installed on the returning members with the same pitch in the returning direction of the returning members and can interpose the ends of the film; a trajectory bending device that partially changes a curvature of a center trajectory by bending a curvature change portion, which is a portion along the center trajectory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other portions; and an elongation rate changing device which changes an elongation rate of the film.

Description

필름 연신 장치{FILM STRETCHING DEVICE}[0001] FILM STRETCH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필름 연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stretching apparatus.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경사 연신 필름은, 필름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필름 주광축 방향이 경사지므로, 위상차 필름 등에 이용된다.An obliquely stretched film obtained by elongating a long elongated film in an oblique direction is used for a retardation film or the like because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film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film.

특허 문헌 1에는, 단순히 경사 연신하는 것만으로는, 경사 연신 필름의 두께에 편차가 생기고, 배향각 또는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 특성에 편차가 생겨, 불균일해지기 쉽다고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리타데이션이란, 필름면 내에서 주광학축 방향의 굴절률과 이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의 차(Δn)에 막 두께를 곱한 값이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merely oblique stretching causes a var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obliquely drawn film and causes variation in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orientation angle or retardation and tends to become uneven. Here, the retardation is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film thickness by the difference (? N)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in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n the film plane.

특허 문헌 2에는, 리타데이션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연신 온도 또는 연신 배율은 필름의 두께 불균일에 큰 영향을 준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연신 온도, 연신 배율을 소정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고 기술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2,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rregularity of the film is small in order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retardat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stretching temperature or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thickness irregularity of the film. Therefore, it is described that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tretching temperature and the stretching ratio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특허 문헌 3에는, 텐터 장치의 필름 입구, 필름 출구, 좌레일과 우레일의 필름 입구와 필름 출구의 사이의 만곡부에서, 좌레일 베이스와 우레일 베이스의 각각에 이동축을 장착하고, 각각의 이동축에는 각각 위치 결정부가 독립하여 접속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여기서 위치 결정부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장착 블록과 이에 맞물리는 리드 나사부와 리드 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위치 결정 모터로 구성된다. 위치 결정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좌레일과 우레일의 필름 입구, 필름 출구, 만곡부의 각각에서, 좌레일의 위치, 우레일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시트 형상 필름의 연신 배율에 따라, 좌레일과 우레일 간의 간격인 레일 폭을 설정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3, a moving shaft is mounted on each of a left rail base and a urea base in a curved portion between a film inlet and a film outlet of a tenter apparatus, a left rail and a film inlet of a urea, and a film outlet, A positioning portion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positioning portion. The positioning portion includes a mounting block having a female thread portion, a lead screw portion engaged with the mounting block, and a positioning motor for rotating the lead screw portion. By driving the positioning motor, it is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left rail and the position of the urethra in each of the film entrance, the film outlet, and the curved portion of the left rail and the urea. Therefore, And the rail width which is the interval between the urethane and the urethane can be set.

일본특허공보 제523374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233746 국제공개 제2012/15766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2/157663 일본특허공보 제4270429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270429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하여, 도 1 ~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3은 필름 연신 장치에서 연신을 행하는 부분을 추출한 모식도이다. 먼저, 도 1 ~ 도 3에 공통되는 부분을 설명한다. 도 1 ~ 도 3에 대하여, 각 도의 (a)는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Figs. 1 to 3 are schematic diagrams of extracting a portion to be stretched in a film stretching device. Fig. First, a part common to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1 to 3, (a) of each figure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이들 구성에서, 필름의 단부(端部)를 개재하는 클립으로서, 필름측 궤도와 리턴측 궤도를 가지고, 반송 방향을 따라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2 개의 무단(無端) 형상의 반송 부재가 이용된다.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의 예는, 무단 루프 형상의 체인이다. 이들 도에서, 2 개의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의 각각의 필름측 궤도(10, 12)가 도시된다. 필름측 궤도(10, 12)는 서로 궤도 폭(W)에서 대향한다. 필름측 궤도(10)의 전체 길이는, 필름측 궤도(12)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필름측 궤도(10, 12)의 배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필름측 궤도(10, 12)에는 각각, 동일 피치로 클립(14, 16)이 장착된다.In these constructions, two endless transporting members each having a film-side orbit and a return-side orbit and having flexibility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re provided as clips through the end portions of the film. Is used. An example of an endless shaped transporting member is an endless loop shaped chain. In these drawings,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of two endless-shaped transport members are shown. The film side orbits 10 and 12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n orbital width W. The arrangement form of the film side track 10 or 12 is set such that the total length of the film side track 10 is longer than the entire length of the film side track 12. [ Clips (14, 16) are mounted on the film side tracks (10, 12) at the same pitch, respectively.

반송 방향(18)의 상류측이 필름 연신 장치의 입구측이고 하류측이 출구측이다. 입구측에서 연신 전의 필름(20)의 양단이 각각 클립(14, 16)에 개재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가 구동되면, 반송 방향(18)의 방향으로 클립(14, 16)은 각각 필름측 궤도(10, 12)를 따라 이동한다. 필름측 궤도(10)의 전체 길이는, 필름측 궤도(12)의 전체 길이보다 길고, 클립(14, 16)은 동일 피치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까지의 사이에서, 필름측 궤도(10) 상에 있는 클립(14)의 총 수는 필름측 궤도(12) 상에 있는 클립(16)의 총 수보다 많다. 따라서, 대향하는 필름측 궤도(10, 12)에서 대응하는 클립(14, 16)을 연결하는 선은, 반송 방향(18)에 대하여 경사지면서 출구측을 향하고, 연신 후의 필름이 된다. 이하에서는, 대향하는 필름측 궤도(10, 12)에서 대응하는 클립(14, 16)을 연결하는 선을 필름 인장 방향선이라고 부른다.The upstream side of the transport direction 18 is the inlet side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and the downstream side is the outlet side. Both ends of the film 20 before the stretching at the entrance side are interposed between the clips 14 and 16, respectively. When the endless transporting member is driven, the clips 14 and 16 move along the film side tracks 10 and 12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ort direction 18, respectively. The entire length of the film side track 10 is longer than the entire length of the film side track 12 and the clips 14 and 16 are mounted at the same pitch. Therefore,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The total number of the clips 14 on the film side track 12 is larger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clips 16 on the film side orbit 12. The lines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lips 14 and 16 in the opposite film side orbits 10 and 12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18 and directed toward the exit side to form a film after being stretched. Hereinafter, a line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lips 14, 16 in the opposite film side orbits 10, 12 is referred to as a film pulling direction line.

필름 인장 방향선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 필름의 주광축이므로, 출구측에서의 연신 후의 필름의 주광축의 방향은, 입구측에서의 연신 전의 필름(20)의 주광축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필름의 연신이 행해진다.The direction of the main optical axis of the film after stretching at the exit sid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main optical axis of the film 20 before stretching at the entrance side since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film pulling direction line is the main optical axis of the film. In this way, the film is stretched.

필름의 주광축 방향을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18)을, 입구측에 대하여 출구측을 비스듬하게 하면 된다. 도 1은 그러한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여기서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측 궤도(10, 12)의 폭(W)에 대하여, 입구측의 폭(W1) = 출구측의 폭(W2)으로 하고, 반송 방향(18)에 대하여, 입구측에 대하여 출구측을 경사 각도(θR = θ1) 경사시켰다. 연신 필름에 대하여 원하는 주광축 방향의 변화량이 설정되면, 그 변화량과 동일한 값으로 θR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원하는 주광측 방향의 변화량이 45 도일 때는 θR = θ1 = 45 도로 설정된다.In order to tilt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film,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mber 18 may be obliquely set at the exit side with respect to the entrance side. Fig. 1 is a view showing such a case. Here, as shown in Fig. 1 (a), the width W 1 at the inlet side = the width W 2 at the outlet side of the width W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18, the outlet side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angle (? R =? 1 ) with respect to the inlet side. When a desired amount of change in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is set for the stretched film, &thetas; R is set to the same value as the amount of change. For example, when the desired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side is 45 degrees,? R =? 1 = 45 degrees is set.

연신 전의 필름(20)은 기본적으로 배향하고 있지 않다. 연신 전의 필름(20)의 필름 인장 방향선(30)의 방향(θF20)을 도 1의 (b)에 도시한다. 연신 전에서는, 필름(20)의 주광축 방향은 반송 방향(18)에 평행한 방향이므로 θF20 = 90 도이다. 따라서, 원하는 주광측 방향의 변화량이 45 도일 때는, 연신에 의해 (90 도 - 45 도) = 45 도만큼 주광축 방향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θR = 45 도로 설정한다.The film 20 before stretching is basically not oriented. Fig. 1 (b) shows the direction? F20 of the film stretching direction line 30 of the film 20 before stretching. Before stretching,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film 20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transport direction 18, and therefore,? F20 = 90 degrees. Therefore, when the desired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side is 45 degre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ain optical axis by 45 degrees (90 degrees - 45 degrees) by stretching. Therefore, in Fig. 1,? R = 45 degrees is set.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측 궤도(10, 12)에서, 입구측과 출구측의 사이에서, 경사 각도(θR = θ1 = 45 도) 꺾으면, 클립(16)에 대하여 클립(14)의 위치가 지연되어, 필름측 궤도(10, 12)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필름 인장선이 45 도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 필름측 궤도(10, 12)의 연장되는 방향은 반송 방향(18)에 평행한 방향이므로, 절곡을 지나면, 필름 인장 방향선(32)은, 반송 방향(18)에 대하여 45 도 경사진다. 연신 후의 필름(22)의 필름 인장 방향선(32)의 방향(θF22)을 도 1의 c에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θF22는 반송 방향(18)에 대하여 45 도, 즉 θ1만큼 경사진다.1 (a), when the inclination angle (? R =? 1 = 45 degrees) is broken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in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The position of the clip 14 is delayed with respect to the film side trajectory 10 and 12 and the film tensile line is inclined b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m side tracks 10 and 12 extend.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extend is parallel to the transport direction 18, the film pull direction line 32 is inclined a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18 when the film side tracks 10 and 12 are bent. Fig. 1C shows the direction? F22 of the film stretching direction line 32 of the film 22 after stretching. As described above ,? F22 is inclined b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arrying direction 18, that is,? 1 .

이와 같이, 필름의 주광축 방향을 경사시키는 것뿐이면, 연신 배율 = 1인 채로, 즉 W2 = W1로 하여,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18)을, 입구측에 대하여 출구측을 경사지게 하면 된다. 즉, 필름의 주광축 방향을 45 도 경사지게 하고자 할 때는 θR = θ1 = 45 도로 하면 된다.According to this, is that as for inclining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film, while the stretching ratio = 1, that is, W 2 = to as W 1, the transport direction 18 of the convey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intake side inclined to the outlet do. That is, when it is desired to tilt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film by 45 degrees,? R =? 1 = 45 degrees.

주광축의 방향을 경사시키는 것과 함께,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신 배율을 변경하는 것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W2를 W1보다 크게 하는 것이 행해진다. 도 2는 그러한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여기서는, θR = θ1인 채로 W2 > W1로 했다. 또한, 참고를 위하여 W2 = W1인 경우를 파선으로 나타낸다.The orientation magnification is changed in order to improv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tardation while tilting the direction of the main optical axis. For example, W 2 is made larger than W 1 . Fig. 2 is a view showing such a case. Here, W 2 > W 1 is set while θ R = θ 1 . For the sake of reference, the case of W 2 = W 1 is indicated by a broken line.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측 궤도(10, 12)에서, 입구측과 출구측의 사이에서 경사 각도(θR = θ1 = 45 도) 꺾은 채로, 폭(W)이 W1에서 W2로 확대되면, 클립(16)에 대하여 클립(14)의 위치가 지연되는데, 그 지연량은, 폭이 넓어진 만큼 파선으로 나타낸 도 1의 (a)의 경우보다 작아진다. 즉, 필름측 궤도(10, 12)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필름 인장선이 45 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절곡을 지나면, 필름 인장 방향선(32)은, 반송 방향(18)에 대하여 45 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져, 연신 전의 배향하고 있지 않은 θF20의 쪽에 가까워진다. 연신 후의 필름(24)의 필름 인장 방향선(34)의 방향(θF24)을 도 2의 (b)에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θF24는 θF22보다 큰 각도가 된다.2 (a), in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the width W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while the inclination angle (? R =? 1 = 45 degrees) When W 1 is expanded from W 1 to W 2 , the position of the clip 14 is delayed with respect to the clip 16, and the amount of delay becomes smaller than the case of FIG. 1 (a)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That is, the film tensile line is inclined at an angle larger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m side tracks 10, 12 extend. Therefore, after the bending, the film pulling direction line 32 is inclined at an angle larger than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arrying direction 18 and approaches the angle? F20 which is not oriented before stretching. Fig. 2 (b) shows the direction? F24 of the film stretching direction line 34 of the film 24 after stretching. As described above ,? F24 is an angle larger than? F22 .

이와 같이, 광학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연신 배율을 변경하여 W2 > W1로 하면, θR가 필름의 주광축의 원하는 경사 각도 = 45 도의 상태에서는, 연신 후의 필름(24)에서 주광축 방향에 대하여 원하는 경사 각도 = 45 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연신 후의 필름(24)에서 주광축에 대한 원하는 경사 각도 = 45 도를 얻기 위해서는, θR을 더 크게 해야 한다. 즉, θR을 45 도보다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그러한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여기에서는, W2 > W1 하에서, θR = 90 도로 했다.Thus, in order to improv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when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changed so as to satisfy W 2 > W 1 , in the state where? R is the desired tilt angle of the main optical axis of the film = 45 degrees, The desired tilt angle = 45 degrees is not obtained.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tilt angle of the film 24 after stretching relative to the main optical axis = 45 degrees, it is necessary to make? R larger. That is, it is necessary to make θ R larger than 45 degrees. Fig. 3 is a view showing such a case. Here, under the condition of W 2 > W 1 , θ R = 90 degrees.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측 궤도(10, 12)에서, 입구측과 출구측의 사이에서 폭(W)이 W1에서 W2로 확대된 상태에서, 경사 각도(θR = θ2 = 90 도)로 하여 꺾으면, 클립(16)에 대하여 클립(14)의 위치가 지연되는데, 그 지연량은 경사 각도가 커진 만큼, 도 2의 (a)의 경우보다 커진다. 즉, 필름측 궤도(10, 12)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필름 인장선(θF26)이 θF24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절곡을 지나면, 필름 인장 방향선(36)은, 반송 방향(18)에 대하여 θF24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고, 지금의 경우, 45 도로 돌아온다. 연신 후의 필름(26)의 필름 인장 방향선(36)의 방향(θF26)을 도 3의 (b)에 도시한다. 상기와 같이, θF26는 θF24보다 작은 각도가 되고, 지금의 경우 θF24 = 45 도가 된다.3 (a), in the state in which the width W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is widened from W 1 to W 2 in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the inclination angle? R =? 2 = 90 degrees), the position of the clip 14 with respect to the clip 16 is delayed, and the amount of delay becomes larger than that in FIG. 2 (a) as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That is, the film tensile line? F26 is inclined at an angle smaller than? F24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12 extend. Therefore, after the bending, the film pulling direction line 36 is inclined at an angle smaller than? F24 with respect to the carrying direction 18, and returns to 45 degrees in the present case. The direction (? F26 ) of the film pulling direction line 36 of the stretched film 26 is shown in Fig. 3 (b). As described above ,? F26 is smaller than? F24 and? F24 = 45 degrees in the present case.

이와 같이, 연신 후의 필름에 대하여, 원하는 주광측 방향과, 원하는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필름측 궤도(10, 12)에 대하여, 연신 배율을 변경하면서, 경사 각도(θR)를 원하는 주광측 방향의 경사 각도보다 크게 해야 한다. 도 1 ~ 도 3의 모델에서는 필름측 궤도(10, 12)의 경사 각도(θR)의 변경을 1 점에서 행하는 것으로 했는데, 이와 같이 경사 각도(θR)를 급변시키면 연신 후의 필름에 큰 주름이 발생한다. 또한, 필름측 궤도(10, 12)의 경사 각도(θR)를 크게 하는 것에 따라, 연신 후의 필름에 주름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연신 후의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면, 위상차 판 등으로서의 사용에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us, in order to obtai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sired main light side direction and desired retardation with respect to the stretched film, the tilting angle? R is changed to the film side trajectory 10, 12 while changing the stretch magnification Should be larger than the desired tilt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light side. In the model shown in Figs. 1 to 3, the tilt angle? R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and 12 is changed at one point. However, if the tilt angle? R is rapidly changed as described above, Lt; / RTI > Further, by increasing the inclination angle [theta] R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10, 12, the possibility of wrinkles occurring in the stretched film increases. If wrinkles are generated in the stretched film, the film may not be able to withstand use as a retarder or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주광측 방향과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얻을 수 있는 필름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필름의 양단을 개재하는 클립의 반송 궤도를 매끄럽게 변경할 수 있는 필름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양의 광학 필름을 제조 가능한 필름 연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수단은 상기 목적의 적어도 하나에 공헌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stretching apparatus capable of obtaining a film having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tardation and the like in a desired main light direction while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wrinkle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stretching device capable of smoothly changing a transporting trajectory of a clip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a film.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film stretch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optical films of various specifications. The following means contribute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purposes.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는, 필름측 궤도와 리턴측 궤도를 가지고, 반송 방향을 따라 가요성을 가지는 2 개의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로서, 각각의 필름측 궤도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2 개의 반송 부재와,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 부재에 동일 피치로 장착되고, 연신 대상의 필름의 단부를 개재할 수 있는 복수의 클립과,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을 따른 일부를 곡률 변경 부분으로서, 곡률 변경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하여 꺾어 중심 궤적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궤도 절곡 기구와, 연신 대상의 필름의 연신 배율을 변경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궤도 절곡 기구는, 기대 상에 배치되고,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곡률 변경 부분이 탑재되는 회전대부와, 기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대부의 일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중심축과, 기대 상에서 회전대부의 타방 단부를 회전 중심축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기대 상에서 회전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가지고, 곡률 변경 부분에서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회전대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end-shaped transporting member having a film side orbit and a return side orbit and being flexible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nd each film side orbit is provided with two conveying A plurality of clips mounted at the same pitch on the conveying member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mber and capable of interposing the end portion of the film to be drawn and a part of the clip along the center locus of the two film side orbits opposed to each other A track bending mechanism for partiall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by bending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relative to the other portion as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and a draw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for changing the draw magnification of the film to be drawn, A rotation base on which a curvature changing portion of two opposite film side orbitals is mounted, and a rotation base provid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And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rotating lug part on the expectation while rotating the other end part of the rotating lug part about the rotation center axis on the base on the basis of the drawing magnification factor in the curvature changing part And the changing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rotating ladd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회전대부는, 일방 단부와 타방 단부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복수의 이동대를 가지고, 인접하는 이동대는, 일방측의 이동대 상에 설치되는 이동대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방측의 이동대가 회전하여, 각 이동대는 각각의 회전량에 따라 기대 상을 이동하고, 이에 의해,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ladle has a plurality of moving belts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adjacent moving belts are provided on a moving belt on on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belt on the other side is rotated about the moving belt rotating shaft and each moving belt moves on the expectation phase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amount of rotation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central trajectory of the two film side trajectories is partially changed .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인접하는 이동대의 일방의 이동대에 복수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이동대에 1 개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이동대의 위치 결정 홀에 일방의 이동대의 복수의 위치 결정 홀 중 하나를 맞추어 고정함으로써, 인접하는 동대(動臺) 간의 상대적 회전량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are formed in one moving base of an adjacent moving base,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moving base, and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positioning b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ative rotation amount between the adjacent moving platforms is set by fixing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of the moving base of the moving base.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각각에 독립하여 설치되고,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으로부터 각각의 안내 부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이동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is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f the two film side orbits, and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And a guide member moving part for changing the distance to the guide member of the guid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회전대부에 설치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이동대마다 설치되고,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각각에 독립하여 설치되고,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으로부터 안내 부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이동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rotating lobe portion is provided for each moving bar, and is provided independently for each of the two film side orbits, and include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 And a guide member moving section for chang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ocus of the two film side orbits to the guid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반송 부재는, 2 개의 홀을 가지는 복수의 상연결판과, 상연결판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하연결판과, 상연결판의 각 홀과 이에 대응하는 하연결판의 각 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연결판과 하연결판의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복수의 축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되고, 인접하는 축 부재 간의 간격이 반송의 1 피치인 무단 형상의 체인이며, 안내 부재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는 종동형 스프로킷이고, 톱니의 원주 피치가 체인의 인접하는 2 개의 축 부재 간의 피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m stre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uprising plates having two holes, a plurality of lowering plate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rising plate, And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haft members is an endless chain having one pitch of conveyance, and the guide member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haft members inserted between the holes and rotatably connecting each of the upper and lower drawn plates, And a driven sprocket having a plurality of teeth, and the circumferential pitch of the teeth is preferably a pitch between two adjacent shaft members of the chain.

상기 구성의 필름 연신 장치는, 연신 대상의 필름의 연신 배율을 변경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와 함께,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을 따른 일부를 곡률 변경 부분으로서, 곡률 변경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하여 꺾어 중심 궤적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궤도 절곡 기구로서, 필름측 궤도의 곡률 변경 부분이 탑재되는 회전대부의 일방 단부가 기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대부의 타방 단부를 이동시킨다. 연신 배율의 변경과 중심 궤적의 곡률의 부분적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사양의 광학 필름을 제조 가능해진다.The film stretching device of the above construc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tretch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for changing a stretching magnification of a film to be stretched and a part of the two film side trajectories facing each other as a curvature changing portion, Wherein the one end of the rotation base on which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of the film side orbit is mounted rotates around a rotation center ax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the track bending mechanism partiall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lure is mov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and partially change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optical films of various specifica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회전대부는, 일방 단부와 타방 단부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복수의 이동대를 가지므로,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의 곡률 변경 부분의 곡률을 복수의 이동대마다 세밀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양단을 개재하는 클립의 반송 궤도를 매끄럽게 변경할 수 있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Further,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ladder has a plurality of moving bars connec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central locus of the film- Can be finely chang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moving zones. This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change the transporting trajectory of the clip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lm,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lm having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s while suppressing occurrence of wrink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복수의 이동대에 대하여 각각 복수의 위치 결정 홀을 가지므로, 인접하는 이동대 간의 상대적 회전량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양단을 개재하는 클립의 반송 궤도를 더 매끄럽게 변경할 수 있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Further,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ha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the relative rotation amount between adjacent moving bars can be finely set. Thereby, the transport trajectory of the clip interposing both ends of the film can be changed more smoothly, and a film having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면서,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으로부터 안내 부재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의 위치를 안내 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대부가 복수의 이동대로 구성될 때는 각 이동대에 대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의 위치를 안내 부재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곡률의 변경과 함께 연신 배율을 복수의 구간마다 세밀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필름의 양단을 개재하는 클립의 반송 궤도를 매끄럽게 할 수 있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can chang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ocus of the two film side orbits to the guide member while guiding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endless transfer member can be directly moved by the guide member. The position of the endless conveying member can be directly moved by the guide member with respect to each moving band when the rotating ladder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moving units, so that the drawing magnification can be finely chang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ctions have. This makes it possible to smooth the transport trajectory of the clip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lm, and to obtain a film having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s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에서, 반송 부재는 무단 형상의 체인이며, 안내 부재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는 종동형 스프로킷이므로, 스프로킷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연신 배율의 변경을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ying member is an endless chain, and the guide member is a driven sprocket having a plurality of teeth, so that the drawing magnification can be changed only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sprock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설명하는 3 개의 도 중 하나로, 주광학 축 방향을 경사지게 할 뿐인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이어, 3 개의 도 중 2 번째로, 광학 특성 개선을 위하여 연신 배율을 변경하면 주광축 방향이 소정의 경사 방향이 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이어, 3 개의 도 중 3 번째로, 주광축 방향과 광학 특성의 쌍방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필름측 궤도를 크게 꺾을 필요가 있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에서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와, 이에 의해 안내되는 반송 부재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에서의 회전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에서 회전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에서 복수의 이동대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 홀의 작용을 도시한 도 중 하나로,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 1 개의 위치 결정 홀을 이용하여 최소의 곡률 변경을 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 2 개의 위치 결정 홀을 이용하여 최소의 곡률 변경을 2 개의 이동대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의 효과를 도시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필름 연신 장치에서,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최대한으로 변경한 때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one of three views for explaining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the direction of the main optical axis is inclined. Fig.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main optical axis does not become a predetermined oblique direction when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changed for improv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secondly from Fig. 1, following Fig.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film-side orbit must be largely folded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both the mai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 which is the third of the three degrees, following Fig.
Fig. 4 is a road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in an initial state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is a plan view, and Fig. 4 (b) is a side view.
5 is a view showing a draw ratio changing mechanism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ying member guided thereby.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ng ladder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rotating lure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initial state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one of the positioning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moving bars.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erforming minimum curvature change using one positioning hole, following Fig. 8;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with Fig. 9, the minimum curvature is changed for each of two moving bands using two positioning holes.
11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when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is changed to the maximum in the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말하는 치수, 형상, 각도값, 이동대의 개수 등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필름 연신 장치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imensions, shape, angle values, number of moving bands, and the like described below are examples for explanation,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specifications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4는 필름 연신 장치(40)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이 필름 연신 장치(40)는, 연신 대상의 필름의 양단을 개재하는 클립을 반송하는 2 개의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4 개의 곡률 변경 구간마다 단계적으로 세밀하게 변경하고, 최대로 45 도의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초기 상태란, 반송 방향의 변경을 행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4의 (a)는 평면도, (b)는 반송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b)에서는 일부의 구성 요소의 도시를 생략했다. 도 4에 서로 직교하는 X 방향과 Y 방향과 Z 방향을 나타냈다. 또한, 반송 방향의 경사 각도(θ)의 방향을 나타냈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40 in an initial state. The film stretching device 40 change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wo conveying members for conveying the clip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lm to be drawn in a stepwise manner for each of four curvature changing intervals and changes it to an angle of 45 degrees at the maximum . The initial state is a state before the carrying direction is changed. Fig. 4 (a) is a plan view, and Fig. 4 (b) is a sectional view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b), the illustration of some components is omitted. FIG. 4 shows the X direction, the Y direction and the Z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Further, the direction of the tilt angle? In the transport direction is shown.

필름 연신 장치(40)는 전체 베이스(41) 상에, 제 1 기대 베이스(42)와 제 2 기대 베이스(44)가 탑재되고, 제 1 기대 베이스(42) 상에 제 1 기대(46)가 설치되고, 제 2 기대 베이스(44) 상에 제 2 기대(48)가 설치되어 전체의 골격이 형성된다. 필름 연신 장치(40)는, 적당한 지지 수단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제 1 기대(46)와 제 2 기대(48)를 나눈 것은, Z 방향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으로, 이 높이 차를 가지는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기대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차부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면인 제 1 기대(46)와 제 2 기대(48)로 나누어 설명한다.The film stretching device 40 has a first base base 42 and a second base base 44 mounted on the entire base 41 and a first base 46 is provided on the first base base 42 And a second base 48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base 44 to form a whole skeleton. The film stretching device 4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by suitable supporting means. The reason why the first base 46 and the second base 48 are divided is that the height position in the Z direction is different. By forming the stepped portion having the height difference, one base can be formed. Hereinafter, the first base 46 and the second base 48, which are flat surfaces, will be described without forming a step.

필름 연신 장치(40)는, 연신 대상의 필름의 양 단부를 개재하는 복수의 클립을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2 개의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와, 무단 형상의 2 개의 반송 부재(50, 54) 중, 필름을 개재하여 반송하는 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부분인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58)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기구로서, 회전대부(140)와 회전대부(140)를 이동 구동하는 이동 기구(180)를 포함하는 궤도 절곡 기구, 반송 부재 필름의 연신 배율을 변경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를 구비한다.The film stretching device 40 includes two endless conveying members 50 and 54 for conveying a plurality of clips through both ends of a film to be drawn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wo endless conveying members 50 and 54 as a mechanism for partiall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58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which are portions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side on which the film is transported, And a moving mechanism (180) for moving the rotating drum (140), and a draw ratio changing mechanism (70, 72) for changing the draw magnification of the conveying member film.

반송 부재(50, 54)의 구성과, 반송 부재(50, 54)에 장착되는 클립과,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의 상세는 도 5에서 후술한다. 궤도 절곡 기구 중 회전대부(140)의 상세는 도 6에서, 이동 기구(180)의 상세는 도 7에서 각각 상술한다. 도 4에서는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Detail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ing members 50 and 54, the clip mounted on the conveying members 50 and 54, and the draw ratio changing mechanism 7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Details of the rotating boss 140 in the track bending mechanism are shown in Fig. 6, and details of the moving mechanism 180 are described in Fig. 7, respectively. 4, the arrangement of the endless transfer members 50, 54 will be described.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는 무단 형상의 체인(110)(도 5 참조)이다.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의 배치 상태를 궤도라고 부르기로 하면, 반송 부재(50)는 필름측 궤도(52)와 리턴측 궤도(53)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반송 부재(54)는 필름측 궤도(56)와 리턴측 궤도(57)를 가진다. 반송 부재(50)의 전체 궤도를 따른 전체 길이와 반송 부재(54)의 전체 궤도를 따른 전체 길이는 동일해지도록 설정해도 되고,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되다.The endless-shaped conveying members 50 and 54 are an endless chain 110 (see Fig. 5). The conveying member 50 has the film side orbit 52 and the return side orbit 53 whe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endless conveying members 50 and 54 is called a trajectory. Similarly, the conveying member 54 has a film side orbit 56 and a return side orbit 57. The total length along the entire trajectory of the conveying member 50 and the total length along the entire trajectory of the conveying member 54 may be set to be the same or not necessarily the same.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의 궤도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의해 안내되고, 궤도를 형성한다. 스프로킷은, 원판의 외주측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복수의 톱니를 배치한 것으로, 이 톱니가 반송 부재인 체인(110)에 맞물림으로써, 반송 부재(50, 54)가 안내된다. 스프로킷에 대해서는, 도 5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에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trajectory of the endless shaped conveying members (50, 54) is guided by a plurality of sprockets to form a trajectory. The sprocket has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 columnar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k. By engaging the teeth with the chain 110 which is the carrying member, the carrying members 50 and 54 are guided. The sprocke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draw ratio changing mechanism 70 of Fig.

각 스프로킷은, 반송 부재(50, 54)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무단 형상의 궤도를 확대하는 방향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형상의 궤도가 꺾여 있을 경우에는, 꺾여 있는 곡률 중심측의 위치에 각 스프로킷이 배치된다.Each of the sprockets is disposed at a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enlarging the trajectory of the endless shape so as to impart tension to the conveying members (50, 54). As shown in Fig. 4, when the trajectory of the endless shape is bent, the respective sprockets are arranged at positions on the bent center of curvature side.

도 4에서 R로 도시되는 스프로킷은, 리턴측 궤도(53, 57)를 안내하는 것으로, 제 1 기대(46) 또는 제 2 기대(48) 상의 미리 정해진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위치 고정형 스프로킷이다.The sprocket shown by R in Fig. 4 is a position-fixed sprocket which guides the return side orbits 53 and 57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first base 46 or the second base 48. [

도 4에서 S로 도시되는 스프로킷은, 필름측 궤도(52, 56)를 안내하는 것으로, 제 1 기대(46) 또는 제 2 기대(48) 상에 설치되고, 제 1 기대(46) 또는 제 2 기대(48)에 대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위치 이동형 스프로킷이다. 위치 이동형 스프로킷은, 그 위치 이동의 기능에 의해 연신 배율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도 5에서 설명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의 일부를 구성한다.The sprockets shown as S in Fig. 4 guide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and are provided on the first base 46 or the second base 48 and the first base 46 or second Movable sprocket that is movable relative to the base 48. [ The position-shifting sprocket constitutes a part of the elongation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s 70 and 72 described in Fig. 5 because the elongation magnification can be changed by the function of the position shifting.

스프로킷(60, 62)은 필름측 궤도(52, 56)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반송 부재(50, 54)를 필름측 궤도(52, 56)로 안내한다. 입구측에서는, 연신 전의 필름의 양단이 반송 부재(50, 54)에 각각 탑재되는 클립(130)(도 5 참조)에 의해 개재하여 장착된다.The sprockets 60 and 62 are disposed on the entrance sides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and guide the conveying members 50 and 54 to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On the inlet side, both ends of the film before stretching are mounted via a clip 130 (see Fig. 5) mounted on the conveying members 50, 54, respectively.

스프로킷(64, 66)은 필름측 궤도(52, 56)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반송 부재(50, 54)를 구동 스프로킷(74, 76)의 측으로 안내한다. 출구측에서는 연신 후의 필름이 반출된다.The sprockets 64 and 66 are disposed on the exit side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and guide the conveying members 50 and 54 to the side of the drive sprockets 74 and 76. On the outlet side, the stretched film is taken out.

초기 상태에서는, 입구측에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사이의 간격인 입구측 간격(WIN)은 W1로 설정되고, 출구측에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사이의 간격인 출구측 간격(WOUT)도 W1로 설정된다. 스프로킷(60, 62, 64, 66)은 S로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위치 이동형 스프로킷이므로,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에 의해 연신 배율이 변경되면, 그 연신 배율의 변경에 따라 스프로킷(60, 62, 64, 66)의 위치가 변경된다. 스프로킷(60, 62, 64, 66)의 위치의 변경에 의해, WIN 및 WOUT이 W1로부터 변경된다.In the initial state, the inlet side interval W IN , which is the interval between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on the inlet side, is set to W 1 , and the outlet side The interval (W OUT ) is also set to W 1 . As the sprockets 60, 62, 64 and 66 are positionally movable sprockets as indicated by S, if the draw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72 changes the actual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72, The positions of the sprockets 60, 62, 64, and 66 are chang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sprockets 60, 62, 64 and 66, W IN and W OUT are changed from W 1 .

도 4에서 M으로 도시되는 구동 스프로킷(74, 76)은, 각각 반송 부재(50, 54)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출력 축에 접속된 스프로킷이다. 반송 부재(50)는 구동 스프로킷(74)에 의해 구동되고, 필름측 궤도(52)와 리턴측 궤도(53)에 나타낸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The drive sprockets 74 and 76 shown by M in Fig. 4 are sprocket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electric motor that drives the conveying members 50 and 54, respectively. The transporting member 50 is driven by the drive sprocket 74 and moves along the directions of the arrows shown in the film side orbit 52 and the return side orbit 53.

장력 조정 기구(78, 80)는, 리턴측 궤도(53, 57)에서 설치되고, 반송 부재(50, 54)의 반송 방향을 따른 장력의 크기를 적절한 범위 내로 조정한다. 이러한 장력 조정 기구(78, 80)로서는 적당한 에어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mechanisms 78 and 80 are provided at the return side trajectories 53 and 57 and adjust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long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s 50 and 54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s the tension adjusting mechanisms 78 and 80, suitable air cylinders can be used.

이와 같이 하여,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의해 궤도의 배치가 설정되고, 장력 조정 기구(78, 80)에 의해 적당한 장력이 부여되어, 구동 스프로킷(74, 76)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의해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50, 54)는 도 4의 화살표를 따라 반송된다.In this manner, the trajectory of the endless conveying members 50, 54 is set by a plurality of sprockets and appropriate tension is imparted by the tension adjusting mechanisms 78, 80 to the drive sprockets 74, 76 . As a result, the endless transfer members 50, 54 are conveyed along the arrows in Fig.

초기 상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경사 각도(θR)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45 도이다.The inclination angle [theta] R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56 in the initial stat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1 and is 45 degrees.

이어서, 도 5를 이용하여,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와 반송 부재(50, 54)를 구성하는 체인(110)과 클립(130)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hain 110 and the clip 130 constituting the draw ratio changing mechanisms 70 and 72 and the conveying members 50 and 5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는, 필름측 궤도(52)에 대하여 설치되고, 연신 배율 변경 기구(72)는, 필름측 궤도(56)에 대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다. 상위한 것은, 연신 배율 변경 기구(72)가 대향하는 필름측 궤도(52, 56)의 사이에 배치되므로, 보다 소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점이다. 이 때문에, 연신 배율 변경 기구(72)에 포함되는 스프로킷의 직경은,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에 포함되는 스프로킷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에 대하여 설명한다.4, the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is provided for the film side track 52 and the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2 is provided for the film side orbit 56,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The difference is that th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2 is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film side tracks 52 and 56, and thus the film is set to be smaller.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sprocket included in the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2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rocket included in the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Since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the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will be described below unless otherwise specified.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S로서 나타내지는 스프로킷은 모두 위치 이동형으로,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의 구성 요소인데, 제 1 기대(46) 상에 설치되는 것과, 제 2 기대(48) 상에 배치되는 회전대부(140)에 설치되는 것이 있다. 이들은 공통화가 도모되어,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제 1 기대(46) 상에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4, all of the sprockets shown as S are position-shifted and are a component of the draw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s 70 and 72, which are provided on the first base 46, 48 disposed on the rotating drum portion 140. [0035] Since they are commonized and have the sam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case where the first base 46 is provided.

도 5의 (a) ~ (c)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를 도시한 도로, (a)는 X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Y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상면도이다. 또한 (a)에서는, 안내 부재 이동부(100)를 단면이 아닌, 그대로 X 방향에서 본 외형을 도시했다. 도 5의 (d), (e)는 체인(110)을 도시한 도로, (d)는 상면도, (e)는 측면도이다. 도 5의 (f)는 클립(130)을 도시한 도이다.5 (a) to 5 (c) are views showing a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Fig. 5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X- . In (a), the outer shape of the guide member moving part 100 is shown in the X direction as it is, not in cross section. 5 (d) and 5 (e) are roads showing the chain 110, Fig. 5 (d) is a top view, and Fig. FIG. 5 (f) is a diagram showing a clip 130. FIG.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는, 필름측 궤도(52)에 설치되고, 반송 부재(50)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인 스프로킷(90)과, 스프로킷(9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94)과, 지지축(94)의 하단부에 일체화되어 장착되는 하단판 부재(96)와, 하단판 부재(96)를 제 1 기대(46)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보지(保持)하는 보지 부재(98)와, 보지 부재(98)로 안내시키면서 하단판 부재(96)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 이동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aw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is provided with a sprocket 90 which is a guide member which is provided in the film side track 52 and guides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50 and a sprocket 90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sprocket 90 A lower plate member 96 to be integrally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94 and a lower plate member 96 to be slidably held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96 and the first base 46, And a guide member moving part 100 for moving the lower plate member 96 in the X direction while guiding the holding member 98 to the holding member 98. [

스프로킷(90)은, 원판의 외주측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복수의 톱니(92)를 배치한 것으로, 톱니(92)는 체인(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축 부재(120)의 사이의 극간에 맞물린다. 톱니(92)의 원주 피치(PS)는, 체인(110)에서의 피치(PC)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반송 부재(50)인 체인(110)이 구동 스프로킷(74)에 의해 구동되어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면, 스프로킷(90)의 톱니(92)와 맞물려, 그 반송 방향이 스프로킷(90)의 톱니(92)의 위치에서 규정된다. 이것이 스프로킷(90)에서의 반송 부재(50)의 안내 기능이다.The sprocket 90 has a plurality of teeth 92 arranged in a columnar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isk and the teeth 92 are arranged in a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shaft members 120 constituting the chain 110 It engages. The circumferential pitch P S of the tooth 92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pitch P C in the chain 110. As a result, when the chain 110 as the carrying member 50 is driven by the driving sprocket 74 and is transported in the carrying direction, it is engaged with the teeth 92 of the sprocket 90, Is defined at the position of the tooth 92. This is the guiding function of the conveying member 50 in the sprocket 90.

지지축(94)은, 상단부에서 축받이를 개재하여 스프로킷(90)을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고, 하단부에서 하단판 부재(96)에 감합되어 고정되는 축 부재이다.The support shaft 94 is a shaft member that rotatably holds the sprocket 90 via the bearing at the upper end and is fixed by being engaged with the lower plate member 96 at the lower end.

하단판 부재(96)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상면측에 지지축(94)의 하단부가 감합되어, 지지축(94)과 일체로 이동하는 판 부재이다. 하단판 부재(96)의 높이 치수를 H, Y 방향을 따른 폭 치수를 WY로서 나타냈다.The lower plate member 96 is a plate member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94 fitted on the upper surface side and moving integrally with the support shaft 94. The height dimens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96 is indicated by H, and the width dimension along the Y direction is represented by WY.

보지 부재(98)는, 돌출부를 가지는 역 L 자 형상의 2 개의 부재(97L, 97R)와 이들을 연결하는 정면판부(99)로 구성된다. 연결에 의해 3 개의 부재가 일체화된 보지 부재(98)는 제 1 기대(46)에 고정된다. 2 개의 부재(97L, 97R)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연결된 상태에서의 역 L 자 형상의 돌출부의 내측의 높이는, 하단판 부재(96)의 높이 치수(H)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또한, 연결된 상태에서의 역 L 자 형상의 돌출부를 지지하는 벽부의 대향하는 간격은, 하단판 부재(96)의 폭 치수(WY)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보지 부재(98)는, 제 1 기대(46)와의 사이에서, 하단판 부재(96)를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보지한다.The holding member 98 is constituted by two members 97L and 97R having inverted L shapes and having a protruding portion and a front plate portion 99 connecting them. The retaining member 98, in which the three members are integrated by the connection, is fixed to the first base 46. The two members 97L and 97R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the inside of the inverted L-shaped projection in the connected state is set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H of the lower plate member 96. [ In addition, the opposing distance of the wall portion supporting the inverted L-shaped projection in the connected state is set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WY of the lower plate member 96. Thereby, the holding member 98 holds the lower plate member 96 slidably in the X direction between the holding member 98 and the first base 46.

안내 부재 이동부(100)는, 핸들부(102)와, 핸들부(102)에 일체화되어 장착되는 나사축(104)과, 보지 부재(98)의 정면판부(99)에 설치되고 나사축(104)의 나사부와 맞물리는 암나사부(106)와, 하단판 부재(96)에 장착되고, 나사축(104)의 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고, X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나사축 보지판(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축(104)의 나사부는, 암나사부(106)에 대응하는 중간부에 설치되지만 선단부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또한, 적당한 예비 너트를 필요한 곳에 설치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oving part 100 includes a handle part 102, a screw shaft 104 which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handle part 102 and a screw shaft 104 which is provided on the front plate part 99 of the holding member 98, A screw shaft holding plate 106 mounted on the lower plate member 96 for rotatably holding the tip end of the screw shaft 104 and not moving in the X direction, (108). The threaded portion of the screw shaft 104 is provided at the intermedi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06, but not at the distal end portion. In addition, suitable spare nuts can be installed where required.

상기 구성에서, 핸들부(102)를 회전시키면 나사축(104)이 암나사부(106)와 맞물리는데, 암나사부(106)는 정면판부(99)를 개재하여 제 1 기대(4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하단판 부재(96)가 보지 부재(98)로 안내되어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지지축(94)이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축(9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프로킷(90)이 X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handle 102 is rotated, the screw shaft 104 is engaged with the female screw portion 106. The female screw portion 106 is fixed to the first base 46 via the front plate portion 99 Eventually, the lower plate member 96 is guided by the holding member 98 and moves in the X direction. Thereby, the support shaft 94 moves in the X direction, and the sprocket 90,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shaft 94, moves in the X direction.

상기와 같이, 핸들부(102)의 조작으로,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 안내 부재인 스프로킷(90)의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가 변경된다. 스프로킷(90)의 위치가 변경되면, 대향하는 필름측 궤도(52, 56)의 궤도 간 간격이 변경되고, 필름의 연신 배율이 변경된다. 이것이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의 연신 배율 변경 기능이다.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ocus 58 of the film side raceways 52 and 56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sprocket 90 as the guide member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10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of the sprocket 90 is changed, the interval between the trajectories of the opposit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is changed, and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film is changed. This is a draw magnification changing function of the draw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0. [

도 5의 (d), (e)는 반송 부재(50)인 무단 형상의 체인(110)을 도시한 도이다. 체인(110)은 2 개의 홀을 가지는 복수의 상연결판(112, 114)과, 상연결판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하연결판(116, 118)과, 상연결판(112, 114)의 각 홀과 이에 대응하는 하연결판(116, 118)의 각 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연결판(112, 114)과 하연결판(116, 118)의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복수의 축 부재(120)를 조합하여 형성된다.5 (d) and 5 (e) are diagrams showing an endless chain 110 which is a transporting member 50. As shown in Fig. The chain 110 includes a plurality of uprising plates 112 and 114 having two holes, a plurality of downsizing plates 116 and 118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rising plate, And a plurality of shaft members 120 inserted between the respective holes of the lower drawing boards 116 and 118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drawing boards 112 and 114 and the lower drawing boards 116 and 118, .

즉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개의 축 부재(120)의 일방 단부에는, 상연결판(114)의 일방측의 홀과, 상연결판(112)의 타방측의 홀을 이 순서로 중첩하여 감합하고, 그 축 부재(120)의 타방 단부에는, 하연결판(118)의 일방측의 홀과, 하연결판(116)의 타방측의 홀을 이 순서로 중첩하여 감합한다. 그 축 부재(120)에 인접하는 다른 축 부재(120)의 일방측 단부에는, 상연결판(114)의 타방측의 홀과, 상연결판(112)의 일방측의 홀을 이 순서로 중첩하여 감합하고, 그 축 부재(120)의 타방 단부에는, 하연결판(118)의 타방측의 홀과, 하연결판(116)의 일방측의 홀을 이 순서로 중첩하여 감합한다. 이를 순차 반복하여, 무단 형상의 체인(110)이 형성된다.5 (d), at one end of one shaft member 120, a hole on one side of the up-and-down contact plate 114 and a hole on the other side of the up-and-down contact plate 112 are arranged in this order And the hole on one side of the lower drawn plate 118 and the hole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drawn plate 116 are superimpos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end of the shaft member 120. [ A hole on the other side of the uprising plate 114 and a hole on one side of the uprising plate 112 are superimposed in this order on one end side of the other shaft member 120 adjacent to the shaft member 120, And the hole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drawn plate 118 and the hole on the one side of the lower drawn plate 116 are superimpos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end of the shaft member 120. This is repeated in order to form an endless chain 110.

무단 형상의 체인(110)에서 2 개의 축 부재(120)의 사이의 피치(PC)는, 스프로킷(90)의 톱니(92)의 원주 피치(PS)와 동일하다.The pitch P C between the two shaft members 120 in the endless chain 110 is equal to the circumferential pitch P S of the teeth 92 of the sprocket 90.

도 5의 (f)는 클립(130)을 도시한 도이다. 클립(130)은 체인(110)의 각 상연결판(112, 114)에 1 개씩 장착된다. 도 5의 (f)는 상연결판(112)에 장착되는 클립(130)이 도시된다. 클립(130)은, 체인(110)의 상연결판(112)에 고정하여 장착되는 장착대(132)와, 장착대(132)와 일체화되어 설치되고, 필름의 단부를 개재하기 위한 하개재부를 가지는 클립대(134)와, 클립대(134)로부터 하개재부의 상방까지 연장되는 암부에 설치되는 회전 중심(136)과, 회전 중심(136)에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에 필름의 단부를 개재하기 위한 상개재부를 가지는 클립 핸들(1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5 (f) is a diagram showing a clip 130. FIG. The clips 130 are mounted one by one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lates 112, 114 of the chain 110. Fig. 5 (f) shows the clip 130 to be mounted on the overlay plate 112. Fig. The clip 130 includes a mounting table 132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n 110 and to be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32 and has a lower portion for interposing the end portion of the film A clip base 134, a rotation center 136 provided on an arm extending from the clip base 134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ase, and an intermediate portion rotatably supported on the rotation center 136, And a clip handle 138 having an upper portion for interposing a clip.

클립 핸들(138)의 조작으로, 먼저 클립 핸들(138)의 선단 상개재부와 클립대 상개재부 간에 극간이 있도록 하여, 그 극간에 필름의 단부를 삽입하고, 이어서 클립 핸들(138)을 조작하여, 클립 핸들(138)의 선단의 상개재부와 클립대의 상개재부 간에 극간이 없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중심(136)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름의 단부가 하개재부와 상개재부로 개재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필름의 단부의 개재가 행해진다.The operation of the clip handle 138 first makes the gap between the tip end intervening portion of the clip handle 138 and the clip image surface intervening so that the end of the film is inserted into the gap and then the clip handle 138 is manipulated The end of the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intervening portion and the upper intervening portion by rotating the rotation center 13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lip handle 13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lip table is eliminated . In this way, the end portion of the film is interposed.

도 4의 S 마크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는,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의 사이에서 11 쌍 설치된다. 각각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는 독립으로 설정 가능하므로,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의 사이에서, 11 쌍의 스프로킷(90)의 배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4, eleven pairs of stretch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s 70 and 72 are provided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of the two film side orbits 52 and 56. As shown in Fig. Since the respectiv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s 70 and 72 can be set independently,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eleven pairs of sprockets 90 can be changed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of the two film side orbits 52 and 56 .

연신 대상의 필름에 대하여 원하는 연신 배율이 설정되면, 필름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그 연신 배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에 대한 11 쌍의 스프로킷(90)의 위치를 매끄럽게 변경한다. 이에 의해, 연신 배율이 변경되어도,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는 입구측과 출구측의 사이에서 매끄럽게 변경할 수 있다.When a desired stretching magnification is set for the film to be stretched, eleven pairs of sprocke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locus of the two film side orbits 52 and 56) are formed in order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wrinkles in the film while achiev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thereof 90) of the display device. Thereby, even if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changed, the two film side trajectories 52, 56 can be smoothly changed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이어서, 궤도 절곡 기구를 설명한다. 궤도 절곡 기구는,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58)을 따른 일부를 곡률 변경 부분으로서, 곡률 변경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하여 꺾어 중심 궤적(58)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는 기구이다. 궤도 절곡 기구는, 제 2 기대(48) 상에 배치되고,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곡률 변경 부분이 탑재되는 회전대부(140)와, 제 2 기대(48)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대부(140)의 일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중심축(150)과, 제 2 기대(48) 상에서 회전대부(140)의 타방 단부를 회전 중심축(150)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 기대(48) 상에서 회전대부(140)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orbit bend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The track bending mechanism is a mechanism in which a part along the center locus 58 of the opposing two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is a curvature changing portion and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is bent with respect to the other portion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central locus 58 is partially And the like. The track bending mechanism includes a rotating drum portion 140 disposed on the second base 48 on which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s of the two opposing film side orbits 52 and 56 are mounted, A rotation center shaft 150 installed at a position of the rotation base 140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rotation base 140 so as to be rotatable and a rotation center shaft 150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base 140 on the second base, And a moving mechanism 180 for moving the rotary drum 140 on the second base 48 while rotating the rotary drum 140 about the center.

도 6은 회전대부(140)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의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 (c)는 (b)에서의 전동부(160)의 확대도, (d)는 위치 결정부(166)의 확대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base 140. Fig. 6A is a top view, FIG. 6B is a side view, FIG. 6C is an enlarged view of the drive unit 160 in FIG. 6B, and FIG. 6D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sitioning unit 166.

회전대부(140)는, 회전 동작에서의 일방 단부인 회전 중심축(150)과, 타방 단부인 이동 기구(180)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4 개의 이동대(142, 144, 146, 148)를 가진다. 이동대(142, 144, 146, 148)는, 이 순서로, 회전 중심축(150)측으로부터 이동 기구(180)의 측으로 순차 배치된다.The rotating base 140 includes four moving belts 142, 144, and 144 connected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the rotating center shaft 150 at one end in the rotating operation and the moving mechanism 180 at the other end, 146, 148). The moving belts 142, 144, 146, and 148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is order from the side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to the side of the moving mechanism 180. [

이동대(142)는 제 2 기대(48)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동대(144)는 위치 결정부(168)를 개재하여 이동대(142)와 접속되고, 이동대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동대(146)는 위치 결정부(170)를 개재하여 이동대(144)와 접속되고, 이동대 회전축(15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동대(148)는 위치 결정부(172)를 개재하여 이동대(146)와 접속되고, 이동대 회전축(15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 154, 156)은, 모두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므로, 이동대(142, 144, 146, 148)는 이들 Z 방향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e movable base 142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 center shaft 150 fixedly mounted on the second base 48. The movable base 144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ase 142 via the positioning portion 168 and is rotatable around the movable base rotary shaft 152. [ The movable table 146 is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144 via the positioning unit 170 and is rotatable about the movable table rotary shaft 154. [ The movable base 148 is connected to the movable base 146 via the positioning portion 172 and is rotatable around the movable base rotational shaft 156. [ Since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and the movement shaft rotation axis 152, 154 and 156 are all axes extending in the Z direction, the movement belts 142, 144, 146, and 148 rotate about these Z direction axes.

이동대(142)의 회전 중심축(150) 중심의 회전의 범위는, 제 1 기대(46)의 외형과 이동대(142) 자신의 외형에 의해 규제된다. 즉, XY 평면 내에서, 제 1 기대(46)와 이동대(142)는 회전 중심축(150)을 경계로 -X 방향에서는 서로 평행하고, +X 방향으로는 11.25 도의 경사 각도(θ)를 가진다. 이에 의해, 이동대(142)는,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최대 11.25 도의 경사 각도의 범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11.25 도는 45 도를 이동대의 수 = 4로 나눈 각도이다.The range of rotation of the movable base 142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axis 150 is regulated by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base 46 and the outer shape of the movable base 142 itself. That is, in the XY plane, the first base 46 and the moving table 142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xis 150, and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11.25 degrees in the + X direction . Thereby, the movable table 142 can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range of the tilt angle of maximum 11.25 degrees about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 11.25 degrees is 45 degrees divided by the number of moving parts = 4.

이동대(144)의 이동대 회전축(152) 중심의 회전의 범위는, 이동대(142)의 외형과 이동대(144) 자신의 외형에 의해 규제된다. 즉, 이동대(142)와 이동대(144)는, 이동대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서로 사반 원주 형상으로 서로 대향한다. 이 사반 원주 형상을 경계로, -X 방향에서는 서로 평행하고, +X 방향으로는 11.25 도의 경사 각도(θ)를 가진다. 이에 의해, 이동대(144)는, 이동대(142)에 대하여, 이동대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최대 11.25 도의 경사 각도의 범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range of rotation of the moving base 144 about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152 is regulated by the outer shape of the moving base 142 and the outer shape of the moving base 144 itself. That is, the moving table 142 and the moving table 144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quadrilateral shape about the moving table-rotating shaft 152.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Of 11.25 degrees in the + X direction. Thereby, the movable table 144 can rotate clockwise around the movable table 142 in the range of the tilt angle of maximum 11.2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ovable table 152.

마찬가지로, 이동대(144)와 이동대(146)는, 이동대 회전축(154)을 중심으로 서로 사반 원주 형상으로 대향한다. 이 사반 원주 형상을 경계로, -X 방향에서는 서로 평행하고, +X 방향으로는 11.25 도의 경사 각도(θ)를 가진다. 이에 의해, 이동대(146)는, 이동대(144)에 대하여, 이동대 회전축(154)을 중심으로 최대 11.25 도의 경사 각도의 범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Likewise, the moving base 144 and the moving base 146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quadrilateral shape about the moving-to-rotate shaft 154 as a center.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Of 11.25 degrees in the + X direction. Thereby, the movable table 146 can b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able table 144 in the range of a tilt angle of maximum 11.25 degrees about the moving table-rotating shaft 154.

이동대(146)와 이동대(148)는, 이동대 회전축(156)을 중심으로 서로 반원주 형상으로 대향한다. 이 반원주 형상을 경계로, -X 방향에서는 서로 평행이고, +X 방향으로는 11.25 도의 경사 각도(θ)를 가진다. 이에 의해, 이동대(148)는, 이동대(146)에 대하여, 이동대 회전축(156)을 중심으로 최대 11.25 도의 경사 각도의 범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movable stage 146 and the movable stage 148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semicircular shape about the moving stage-rotating shaft 156. This semi-circular shape i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Of 11.25 degrees in the + X direction. Thereby, the movable table 148 can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able table 146 in the range of a tilt angle of maximum 11.25 degrees about the moving table-side rotary shaft 156. [

도 6의 (c)는 전동부(160)의 상세를 도시한 도이다. 여기서는, 이동대 회전축(156)에 설치되는 전동부(16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전동부(160)는, 이동대 회전축(156)을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축받이부(162)와 축받이부(162)의 외주에 설치되는 2 개의 롤러(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164)는 제 2 기대(48)의 상면에 접촉하여 전동(轉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대(148)는, 이동대 회전축(15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 2 기대(48)의 상면을 이동할 수 있다. 회전 중심축(150), 이동대 회전축(152, 154)도 마찬가지로 롤러(164)를 가지는 전동부(1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이동대(142, 144, 146)도 제 2 기대(48)의 상면을 이동할 수 있다.6 (c)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s of the electric drive unit 160. As shown in FIG. Here,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portion 160 provided on the moving-to-rotate shaft 156 is shown. The transmission portion 160 includes a bearing portion 162 for rotatably holding the movement shaft 156 and two rollers 164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earing portion 162. [ The rollers 164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48 and are able to roll. Thus, the movable table 148 can m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able 48 while rotating around the movable table shaft 156. Since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and the movement shaft 152 and 154 are also rotatably supported by the transmission portion 160 having the roller 164, the movement belts 142, 144 and 146 are also supported by the second base 48 As shown in Fig.

제 1 기대(46)와 4 개의 이동대(142, 144, 146, 148)는, 4 개의 위치 결정부(166, 168, 170, 172)에 의해 접속된다. 각 위치 결정부(166, 168, 170, 172)는, 각각, 인접하는 이동대의 일방의 이동대에 복수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이동대에 1 개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이동대의 위치 결정 홀에 일방의 이동대의 복수의 위치 결정 홀 중 하나를 맞추어 위치 결정 핀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인접하는 동대 간의 상대적 회전량을 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first base 46 and the four moving bands 142, 144, 146 and 148 are connected by four positioning portions 166, 168, 170 and 172. Each of the positioning portions 166, 168, 170, and 172 has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formed in one of the moving bands of the adjacent moving bands,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moving bands, And the positioning pin is used to fix one of the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of one of the moving bands to set the relative amount of rotation between adjacent bands.

위치 결정부(166)는 제 1 기대(46)와 이동대(142)의 사이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부(168)는 이동대(142)와 이동대(144)의 사이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부(170)는 이동대(144)와 이동대(146)의 사이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부(172)는 이동대(146)와 이동대(148)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positioning unit 16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ase 46 and the moving table 142. The positioning unit 168 is provided between the moving table 142 and the moving table 144, The determining unit 170 is disposed between the moving base 144 and the moving base 146 and the positioning unit 172 is disposed between the moving base 146 and the moving base 148.

4 개의 위치 결정부(166, 168, 170, 172)의 구조는 대략 동일하므로, 위치 결정부(166)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치 결정부(166)는, 이동대(142)에 설치되고 제 1 기대(46)의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4)와, 돌출부(174)에 형성되는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과, 제 1 기대(46)에 형성되는 1 개의 위치 결정 홀과, 위치 결정 핀(1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기대(46)의 위치 결정 홀에, 이동대(142)측의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 중 하나를 맞추어 위치 결정 핀(178)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제 1 기대(46)와 이동대(142) 간의 상대적 회전량을 설정할 수 있다.Since the structures of the four positioning portions 166, 168, 170, and 172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positioning portion 166 will be described. The positioning portion 166 includes a projecting portion 174 provided on the movable base 142 and projecting toward the first base 46, four positioning holes 176 formed in the projecting portion 174, One positioning hole formed in one base 46, and a positioning pin 178. [ One of the four positioning holes 176 on the side of the moving table 142 is aligned with the positioning hole of the first base 46 by using the positioning pin 178 so that the first base 46 And the movable stage 142 can be set.

도 6의 (d)는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의 각 홀의 위치를 도시한 도이다.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의 각각을 구별하여, 이하에서는, 각 위치 결정 홀의 위치를, 돌출부(174)의 근원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P0, P1, P2, P3라고 부른다. 이 돌출부(174)의 위치 결정 홀에 맞춰지는 제 1 기대(46)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 홀의 위치는, 필름 연신 장치(40)의 초기 상태에서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과 맞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핀(178)은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된다.FIG. 6D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holes of the four positioning holes 176. FIG.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positioning holes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 0 , P 1 , P 2 , and P 3 from the root side to the tip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74 by distinguishing each of the four positioning holes 176 .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base 46 fitted to the positioning hole of the projection 174 is set to match the positioning hole of the position of P 0 in the initial state of the film stretching device 40 . Therefore, in the initial state, the positioning pin 17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0 .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의 제 1 기대(46)에 대한 이동대(142)의 회전 각도(θ)의 최대량은 11.25 도이므로,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 중 하나의 위치 결정 홀의 선택에 의해, 제 1 기대(46)와 이동대(142) 간의 상대적 회전량은, 11.25 도를 3 분할한 3.75 도의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166)에 의해, 이동대(142)의 회전 각도(θ)는 3.75 도마다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maximum amount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movable table 142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46 around the rotation center axis 150 is 11.25 degrees. Therefore, the selection of one of the four positioning holes 176 The relative rotation amount between the first base 46 and the moving base 142 can be set to an interval of 3.75 degrees obtained by dividing 11.25 degrees into three. In this manner, the rotation angle [theta] of the moving table 142 can be set to be finer at 3.75 degrees by the positioning unit 166. [

다른 위치 결정부(168, 170, 172)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부(168)는 이동대(144)에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을 가지는 돌출부(174)가 이동대(142)측으로 돌출되고, 이동대(142)에는 1 개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이동대(142)의 위치 결정 홀의 위치는, 초기 상태에서, 그 위치 결정 홀이 이동대(144)측의 4 개의 위치 결정 홀(176) 중에서 돌출부(174)의 근원에 가장 가까운 P0의 위치에 있는 위치 결정 홀에 맞도록 설정된다. 도 6에서는, 위치 결정 핀(178)이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된다.The other positioning units 168, 170, and 172 are also the same. For example,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8, a protruding portion 174 having four positioning holes 176 is projected toward the movable stand 142, and the movable stand 142 is provided with one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hole of the moving table 142 is determined such that the positioning hole is positioned at the root of the projection 174 among the four positioning holes 176 on the moving table 144 side And is set to fit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the closest P 0 . 6,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pin 17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0 is shown.

이와 같이 하여, 각 이동대(142, 144, 146, 148)는, 인접하는 이동대 간의 회전 각도를 각각 3.75 도 단위로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this manner, each of the moving belts 142, 144, 146, and 148 can finely set the rotational angles between adjacent moving belts in units of 3.75 degrees.

도 7은 회전대부(140)를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 기대(48) 상에서 회전대부(140)를 구성하는 각 이동대(142, 144, 146, 148)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180)를 도시한 도이다. 이동 기구(180)는, 제 2 기대(48)의 단부와 이동대(148)의 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단부란, 제 2 기대(48)에 대해서는, 필름측 궤도(52, 56)의 입구측 쪽의 단부이다. 이동대(148)에 대해서는, 회전 중심축(150)측의 단부를 일방측 단부로서, 그 반대측의 타방측 단부이다. 도 7의 (a)는 제 2 기대(48)의 단부측에서 본 도, (b)는 평면도, (c)는 (a)에 대하여 그 측면측에서 본 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table 140 by rotating the rotary table 140 about the rotary center axis 150 and moving the rotary tables 142, 144, 146 and 148 constituting the rotary table 140 on the second base 48 Fig. 6 is a view showing the moving mechanism 180; The moving mechanism 180 is installed between the end of the second base 48 and the end of the moving base 148. [ Here, the end portion is the end of the second base 48 on the side of the entrance side of the film side trajectory 52, 56. With respect to the moving base 148, the end on the side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Fig. 7A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base 48, Fig. 7B is a plan view, and Fig. 7C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base 48. Fig.

이동 기구(180)는, 이동대(148)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프로킷부(182)와, 제 2 기대(48)의 상면에 설치되는 체인부(184)와, 제 2 기대(48)의 상면에 설치되고, 이동대(148)의 하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86)와, 이동대(148)의 하면에 설치되는 롤러(188)로 구성된다.The moving mechanism 180 includes a sprocket portion 18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148, a chain portion 18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able 48, A supporting table 186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148 so as to be slidable and a roller 188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table 148.

스프로킷부(182)는, 핸들부(190)와, 핸들부(190)에 일체화되어 장착되는 축부(192)와, 축부(192)에 일체화되어 장착되는 스프로킷판(194)과, 이동대(148)에 설치되고 축부(192)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2 개의 보지대(196, 19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procket portion 182 includes a handle portion 190, a shaft portion 192 integrally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190, a sprocket plate 194 integrally mounted on the shaft portion 192, And two pivots 196 and 198 for rotatably holding the shaft portion 192. As shown in Fig.

스프로킷판(194)은, 도 5에서 설명한 스프로킷과 마찬가지로, 원판의 외주측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복수의 톱니를 배치한 것이다. 체인부(184)는, 도 5에서 설명한 무단 형상의 체인(110)의 일단위, 즉 2 개의 축 부재를 연결판으로 연결한 것을, 제 2 기대(48)의 상면에 소정의 배치 피치로 배열한 것이다. 배치 피치는, 스프로킷판(194)의 톱니의 원주 피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체인부(184)는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된다.The sprocket plate 194 has a plurality of teeth arranged in a columnar shap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disk as in the sprocket described in Fig. The chain portion 184 is formed by arranging one unit of the endless chain 110 described in FIG. 5, that is, connecting two shaft members by a connec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itc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48 It is. The batch pitch is set equal to the circumferential pitch of the teeth of the sprocket plate 194. [ The chain portion 184 is arranged in an arc shape about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as a center.

핸들부(190)를 회전시키면, 스프로킷판(194)이 회전하고, 그 톱니가 체인부(184)에 맞물린다. 이동대(148)는, 회전대부(140)의 다른 이동대(146, 144, 142)를 개재하여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지지대(186)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고, 롤러(188)에 의해 제 2 기대(48) 상을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handle portion 190 is rotated, the sprocket plate 194 rotates, and the teeth of the sprocket plate 194 engage with the chain portion 184. The movable table 148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al center shaft 150 via the other movable tables 146, 144 and 142 of the rotating table 140. The lower table is supported by the support table 186, And can be moved on the second base 48 by the roller 188.

따라서, 핸들부(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대(148)가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동대(148)의 회전에 의해, 회전대부(140)를 구성하는 각 이동대(146, 144, 142)도 회전 중심축(150) 중심으로 각각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 기구(180)에 의해, 회전대부(140)를 회전 중심축(150)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제 2 기대(48) 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190, the movable table 148 rotates about the rotational center shaft 150. [ The movable belts 146, 144, and 142 that constitute the rotatable base 140 also rotate about the rotational center axis 150 by the rotation of the movable base 148. [ In this manner, the moving mechanism 180 can move the rotating base 140 on the second base 48 while rotating the rotating base 140 about the center axis 150 of rotation.

상기 구성의 작용, 특히 4 개의 이동대(142, 144, 146, 148) 간의 상대적 회전량을 세밀하게 설정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58)을 따른 일부를 곡률 변경 부분으로서, 곡률 변경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하여 꺾어 중심 궤적(58)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궤도 절곡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relative rotation amount between the four moving bands 142, 144, 146, and 148 is finely set so that the center locus 58 of the two film side orbits 52 and 56 opposed to each other The trajectory bending function for partiall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58 by bending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relative to the other portion as a curvature chang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 ~ 도 10은, 4 개의 이동대(142, 144, 146, 148) 간의 상대적 회전량을 위치 결정부(166, 168, 170, 172)의 기능에 의해, 각 이동대 단위로, 3.75 도의 단위로,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여기서는, 이동대(142)와 이동대(144)의 회전 각도의 설정을 예로서 설명한다.Figs. 8 to 10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ve rotation amounts between the four moving bands 142, 144, 146 and 148 by the functions of the positioning units 166, 168, 170 and 172, In detail, in units of a unit. Here, the setting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movable table 142 and the movable table 144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8은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 1 기대(46)와 이동대(142) 사이의 위치 결정부(166)에서, 위치 결정 핀(178)은,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된다. 또한, 이동대(142)와 이동대(142) 사이의 위치 결정부(168)에서, 위치 결정 핀(200)은,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은, 초기 상태에서의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58) 상에 있다.8 is a diagram showing an initial state. In the initial state,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6 between the first base 46 and the moving table 142, the positioning pin 17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0 . Further, the moving base 142 and the moving base 142 in the position determination portion 168 between the positioning pin 20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of the position P 0. Thereby,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and the movement shaft rotation axis 152 are on the center locus 58 of the two film side trajectories 52, 56 in the initial state.

도 9는, 제 1 기대(46)와 이동대(142) 사이의 위치 결정부(166)에서, 위치 결정 핀(178)을, P1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된 경우이다. 이동대(142)와 이동대(142) 사이의 위치 결정부(168)에서의 위치 결정 핀(200)은, 초기 상태와 동일한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된다. 이 경우, 이동대(142)는,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초기 상태에 비해 시계 방향으로 3.75 도 회전한다. 이동대(144)는, 위치 결정 핀(200)에 의해 이동대(142)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회전 중심축(150)을 중심으로 초기 상태에 비해 시계 방향으로 3.75 도 회전한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을 연결하는 중심 궤적(202)은, 초기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3.75 도 경사진다.9 shows a case where the positioning pin 17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P 1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6 between the first base 46 and the moving table 142. The positioning pin 200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8 between the moving table 142 and the moving table 142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same position P 0 as in the initial state. In this case, the movable table 142 rotates clockwise about 3.7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itial state about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 Since the movable table 144 is integrated with the movable table 142 by the positioning pins 200, the movable table 144 rotates clockwise about 3.75 degrees about the rotational center shaft 150 as compared with the initial state. Thus, the center locus 202 connecting the center axis 150 and the moving axis 152 is inclined clockwise from the initial center locus 58 by 3.75 degrees.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부(168)에서의 위치 결정 핀(200)을 초기 상태와 동일한 P0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한 채로, 위치 결정부(166)에서, 위치 결정 핀(178)을, P2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하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을 연결하는 중심 궤적(202)은, 초기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7.5 도 경사진다. 위치 결정 핀(178)을 P2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하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을 연결하는 중심 궤적(202)은, 초기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1.25 도 경사진다.Likewise, while the positioning pin 200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same position P 0 as the initial position, the positioning pin 178 is moved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6, When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s of the P 2 position and the center locus (202)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 shaft 150 and the moving base rotation axis 152, is 7.5 degrees inclin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initial central trajectory 58 of the . When the positioning pin 17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2 , the center locus 202 connecting the center axis 150 of rotation and the axis of movement of the rotation axis 152 is shifted from the initial center locus 58 It is inclined by 11.25 degrees clockwise.

이와 같이, 다른 위치 결정부(168, 170, 172)에서의 위치 결정 핀의 삽입 위치를 초기 상태인 채로 하여, 위치 결정부(166)에서의 위치 결정 핀(178)의 삽입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이동대(142)만을 3.75 도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By thus chang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positioning pin 178 in the positioning section 166 while keeping the initial positioning of the positioning pins in the other positioning sections 168, 170 and 172, Only the movable stage 142 can be rotated by 3.75 degrees.

도 10은, 위치 결정부(166)에서, 위치 결정 핀(178)을 P1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하고, 위치 결정부(168)에서의 위치 결정 핀(200)을 P1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이동대(144)는 이동대(14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3.75 도 회전한다. 이에 의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을 연결하는 중심 궤적(204)은, 도 9의 중심 궤적(202)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3.75 도 더 경사시키고, 도 8의 초기 상태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는 합계 시계 방향으로 7.5 도 경사진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ing pin 17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1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6 and the positioning pin 200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8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P 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ovable table 144 rotates clockwise about the movable table 142 by 3.75 degrees. Thus, the center locus 204 connecting the center axis 150 of rotation and the movement axis 152 is further inclined 3.75 degrees clockwise from the center locus 202 of Fig. 9, And inclined 7.5 degrees in the total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center locus 58.

중심 궤적을 초기 상태로부터 7.5 도 경사시키는 것은, 이동대(142)만을 7.5 도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이동대(142, 144)를 3.75 도씩 경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중심 궤적을 소정의 경사 각도로 경사시키고 곡률을 변경하는 것은, 1 개의 이동대만을 경사시켜, 그 이동대만의 국부적인 곡률 변경으로 행하는 것도, 복수의 이동대로 분산하여 경사시켜, 완만한 곡률 변경으로 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tilt the center locus to 7.5 degrees from the initial state by only tilting the movable table 142 by 7.5 degre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tilt the movable tables 142 and 144 by 3.75 degrees as described above. In this way, the center locus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the curvature is changed by inclining only one moving table and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moving table only locally, It can be changed.

상기에서, 위치 결정부(168)에서의 위치 결정 핀(200)을 P2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하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을 연결하는 선은, 초기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1.25 도 경사진다. 위치 결정 핀(200)을 P3의 위치의 위치 결정 홀에 삽입하면, 회전 중심축(150)과 이동대 회전축(152)을 연결하는 선은 초기의 중심 궤적(58)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5 도 경사진다.When the positioning pin 200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8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2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 axis 150 and the movement axis- 0.0 > 11.25 < / RTI >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center locus 58 of FIG. When the positioning pin 20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t the position of P 3 , a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center shaft 150 and the movement shaft 152 is moved from the initial center locus 58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15 degrees It tilts.

이와 같이, 다른 위치 결정부(166, 170, 172)에서의 위치 결정 핀의 삽입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위치 결정부(168)에서의 위치 결정 핀(200)의 삽입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이동대(144)만을 3.75 도 단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Thus, by chang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positioning pin 200 in the positioning portion 168 without chang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positioning pin in the other positioning portions 166, 170, 172, Only the rotating shaft 144 can be rotated by 3.75 degrees.

도 8, 도 9에서 설명한 예를 조합함으로써, 각 이동체에 대하여, 각각을 경사 각도 11.25 도의 단위로서, 중심 궤적을 원하는 경사 각도로 경사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이동체마다의 위치 결정부의 작용에 의해, 각 이동체마다 3.75 도 단위로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52, 56)의 중심 궤적을 따른 일부를 곡률 변경 부분으로서, 곡률 변경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하여 꺾어 중심 궤적(58)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곡률 변경 부분은, 4 개의 이동대를 모두 경사시킬 경우에는 회전대부(140)의 전체가 되고, 일부의 이동대만을 경사시킬 때는 그 이동체가 된다.By combining the exampl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it is possible to tilt the center locus to a desired inclination angle for each moving object as a uni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11.25 degrees. Further, by the action of the positioning unit for each moving object, the tilt angle can be changed in units of 3.75 degrees for each moving object. In this manner, a part of the two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facing each other along the center locus can be changed as a curvature changing part, and the curvature of the central locus 58 can be partially changed have.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serves as the entirety of the rotation boss 140 when the four moving bosses are all inclined, and the moving body when only some of the moving bosses are inclined.

도 11은, 연신 배율의 변경에 수반하여, 필름측 궤도(52, 56)의 경사 각도를 초기 상태의 45 도로부터 더 경사시키게 되었을 때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파선이 초기 상태이다. 필름측 궤도(52, 56) 간의 간격인 폭 치수는, 11 쌍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70, 72)에 의해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의 사이에서 매끄럽게 변경된다. 그리고, 연신 배율의 변경에서 필요해진 필름측 궤도(52, 56)의 경사 각도의 변경은, 궤적 절곡 기구의 기능으로, 4 개의 이동대의 각각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동대 단위로 곡률을 매끄럽게 변경된다. 도 11은, 4 개의 이동체의 각각의 경사 각도의 범위인 11.25 도의 최대값을 조합하여, 초기 상태로부터 45 도 더 경사시킨 모습이 도시된다. 4 개의 이동체의 각각의 경사 각도는 3.75 도 단위로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11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tilt angle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56 is further inclined from the initial state of 45 degre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draw magnification. The dashed line is the initial state. The width dimension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is smoothly changed between the entrance side and the exit side by eleven pairs of the draw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s 70 and 72. [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required for chang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of the four moving bands by the function of the locus bending mechanism to smooth the curvature Is changed.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ximum value of 11.25 degrees, which is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of the four moving bodies, is further inclined by 45 degrees from the initial state. The inclination angle of each of the four moving bodies can be finely adjusted in units of 3.75 degree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측 궤도(52, 56)는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4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구간(210)은, 입구측으로부터 이동대(148)의 일방측의 단부까지의 구간으로 직선적 궤도의 부분이다. 구간(212)은, 이동대(148)의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회전 중심축(150)까지의 구간으로, 부분적인 곡률 변경이 행해지는 부분이다. 구간(214)은, 4 쌍의 스프로킷을 원호 형상으로 배치하여 초기 상태의 경사 각도 45 도를 형성하는 구간이다. 구간(216)은 구간(214)의 앞에서 출구측까지의 구간이다.As shown in Fig. 11, the film side orbits 52 and 56 can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from the entrance side toward the exit side. The section 210 is a section from the entrance side to an end of the movable base 148 on one side, and is a part of a linear orbit. The section 212 is a section from the end on one side of the moving table 148 to the turning center shaft 150 and is a part where the curvature is partially changed. The section 214 is a section in which four pairs of sprockets are arranged in an arc shape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of 45 degrees in the initial state. The section 216 is a section from the front of the section 214 to the exit side.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름측 궤도(52, 56)에는 가열 기구가 설치된다. 가열 기구의 관점으로부터는, 구간(210)은 예열 구간이고, 구간(212)은 소정의 연신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연신 온도가 되는 제 1 가열 구간, 구간(214)은 제 2 가열 구간이며, 구간(216)은 연신 상태를 정착시키는 서랭 구간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film side trajectory 52, 56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chanism. From the viewpoint of the heating mechanism, the section 210 is a preheating section, the section 212 is a first heating sec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drawing temperature is set for efficiently performing predetermined drawing, and a section 214 is a second heating section And the section 216 is a cold section for fixing the stretched state.

도 12는, 연신 배율의 설정에 의해, 필름측 궤도(52, 56)의 궤도 간의 간격인 폭 치수가, 입구측에서 W1, 출구측에서 W2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여, 초기 상태의 중심 궤적(58)에서 45 도 경사시킨 중심 궤적(59)이 되었을 때의 필름 연신 장치(40)를 도시한 도이다.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해, 필름측 궤도(52, 56)의 궤도 간의 폭 치수는, 복수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의 작용에 의해 매끄럽게 변화하고, 중심 궤적(59)의 곡률은 궤적 절곡 기구의 기능에 의해 매끄럽게 변화한다. 이에 의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원하는 주광측 방향과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 특성을 가지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12 shows that the width dimension, which is the interval between the trajectories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is set to W 1 at the entrance side and W 2 at the exit side by setting the draw ratio, and correspondingly, And a central trajectory 59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in the central trajectory 58. FIG. The width dimension between the trajectories of the film side trajectories 52 and 56 changes smoothly by the action of a plurality of draw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s from the entrance side to the exit side and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59 is changed by the function of the locus bending mechanism . ≪ / RTI >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lm having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tardation or the like in the direction of the desired main light while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10, 12, 52, 56 : 필름측 궤도
14, 16, 130 : 클립
18 : 반송 방향
20, 22, 24 : 필름
30, 32, 34, 36 : 필름 인장 방향선
40 : 필름 연신 장치
41 : 전체 베이스
42 : 제 1 기대 베이스
44 : 제 2 기대 베이스
46 : 제 1 기대
48 : 제 2 기대
50, 54 : 반송 부재
53, 57 : 리턴측 궤도
58, 59, 202, 204 : 중심 궤적
60, 62, 64, 66, 90 : 스프로킷
70, 72 : 연신 배율 변경 기구
74, 76 : 구동 스프로킷
78, 80 : 장력 조정 기구
82 : 반송 방향
92 : 톱니
94 : 지지축
96 : 하단판 부재
97L, 97R : 부재
98 : 보지 부재
99 : 정면판부
100 : 안내 부재 이동부
102, 190 : 핸들부
104 : 나사축
106 : 암나사부
108 : 나사축 보지판
110 : 체인
112, 114 : 상연결판
116, 118 : 하연결판
120 : 축 부재
132 : 장착대
134 : 클립대
136 : 회전 중심
138 : 클립 핸들
140 : 회전대부
142, 144, 146, 148 : 이동대
150 : 회전 중심축
152, 154, 156 : 이동대 회전축
160 : 전동부
162 : 축받이부
164, 188 : 롤러
166, 168, 170, 172 : 위치 결정부
174 : 돌출부
176 : 위치 결정 홀
178, 200 : 위치 결정 핀
180 : 이동 기구
182 : 스프로킷부
184 : 체인부
186 : 지지대
192 : 축부
194 : 스프로킷판
196, 198 : 보지대
210, 212, 214, 216 : 구간
10, 12, 52, 56: Film side orbit
14, 16, 130: clip
18: conveying direction
20, 22, 24: Film
30, 32, 34, 36: film tension direction line
40: Film stretching device
41: entire base
42: First Expectation Base
44: second expectation base
46: First expectation
48: The second expectation
50, 54:
53, 57: Return side orbit
58, 59, 202, 204: center locus
60, 62, 64, 66, 90: sprocket
70, 72: stretching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74, 76: Driving sprocket
78, 80: tension adjusting mechanism
82: conveying direction
92: toothed
94: Support shaft
96: Lower plate member
97L, 97R: member
98:
99: front plate
100: guide member moving part
102, 190:
104: Screw shaft
106: Female threads
108: Screw shaft holding plate
110: chain
112, 114:
116, 118:
120: shaft member
132: Mounting base
134: Clip band
136: center of rotation
138: Clip handle
140: rotation loan
142, 144, 146, 148:
150: rotation center axis
152, 154, 156:
160:
162: Bearing
164, 188: Rollers
166, 168, 170, 172:
174:
176: Positioning hole
178, 200: Positioning pin
180:
182: sprocket part
184:
186: Support
192:
194: Sprocket plate
196, 198:
210, 212, 214, and 216:

Claims (6)

필름측 궤도와 리턴측 궤도를 가지고, 반송 방향을 따라 가요성을 가지는 2 개의 무단 형상의 반송 부재로서, 각각의 필름측 궤도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2 개의 반송 부재와,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반송 부재에 동일 피치로 장착되고, 연신 대상의 필름의 단부를 개재할 수 있는 복수의 클립과,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을 따른 일부를 곡률 변경 부분으로서, 곡률 변경 부분을 다른 부분에 대하여 꺾어 중심 궤적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궤도 절곡 기구와,
연신 대상의 필름의 연신 배율을 변경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궤도 절곡 기구는,
기대 상에 배치되고, 대향하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곡률 변경 부분이 탑재되는 회전대부와,
기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대부의 일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중심축과,
기대 상에서 회전대부의 타방 단부를 회전 중심축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기대 상에서 회전대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가지고,
곡률 변경 부분에서의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회전대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And two trapezoidal conveying members each having a film side orbit and a return side orbit and having flexibility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each of the film side orbits being composed of two conveying member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lips mounted at the same pitch on the conveying member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member and capable of interposing the ends of the film to be drawn,
A track bending mechanism for partially changing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by bending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relative to the other portion as a curvature changing portion along a central locus of two film side orbits opposed to each other,
And a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for changing the stretch magnification of the film to be stretched,
The orbital bending mechanism,
A rotation ladder disposed on the base and on which a curvature changing portion of two opposing film side orbits is mounted,
A rotation center shaf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and rotatably supporting one end of the rotation base,
And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rotating lure on the expectation while rotating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lure about the rotation center axis on the expectation,
And th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in the curvature chang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rotating lad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부는, 일방 단부와 타방 단부의 사이에서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복수의 이동대를 가지고,
인접하는 이동대는, 일방측의 이동대 상에 설치되는 이동대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방측의 이동대가 회전하여, 각 이동대는 각각의 회전량에 따라 기대 상을 이동하고, 이에 의해,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의 곡률을 부분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ladle has a plurality of moving ba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adjacent moving stage, the moving stage on the other side is rotated about the moving stage and the rotary shaft provided on the moving stage on one side, and each moving stage moves on the expectation phase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amount of rotation, Wherein the curvature of the center locus of the trajectory is partially chang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이동대의 일방의 이동대에 복수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이동대에 1 개의 위치 결정 홀이 형성되고, 타방의 이동대의 위치 결정 홀에 일방의 이동대의 복수의 위치 결정 홀 중 하나를 맞추어 고정함으로써, 인접하는 동대 간의 상대적 회전량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are formed in one of the moving bands of the adjacent moving bands,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the other moving bands, and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Is set and fixed so that the relative rotation amount between the adjacent magnetic poles is s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각각에 독립하여 설치되고,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으로부터 각각의 안내 부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이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includes:
A guide member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two film side orbits and guiding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And a guide member moving section for chang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ocus of the two film side orbits to the respective guide membe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부에 설치되는 연신 배율 변경 기구는, 상기 이동대마다 설치되고,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각각에 독립하여 설치되고, 반송 부재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2 개의 필름측 궤도의 중심 궤적으로부터 안내 부재까지의 거리를 변경하는 안내 부재 이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retch magnification changing mechanism provided on the rotating base is provided for each moving bar,
And a guide member moving unit that is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two film side orbits and that change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locus of the two film side orbits to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carrying direction of the carrying member Film stretching device.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2 개의 홀을 가지는 복수의 상연결판과,
상연결판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하연결판과,
상연결판의 각 홀과 이에 대응하는 하연결판의 각 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연결판과 하연결판의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복수의 축 부재를 조합하여 형성되고, 인접하는 축 부재 간의 간격이 반송의 1 피치인 무단 형상의 체인이며,
상기 안내 부재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는 종동형 스프로킷으로, 톱니의 원주 피치가 체인의 인접하는 2 개의 축 부재 간의 피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연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convey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upwardly projecting plates having two holes,
A plurality of lower-edge plate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A plurality of shaft members inserted between each of the holes of the upper and lower drilling plates and corresponding holes of the lower drilling plate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drilling plates to each other, Of a pitch of one pitch,
Wherein the guide member is a driven sprocket having a plurality of teeth, and the circumferential pitch of the teeth is a pitch between two adjacent shaft members of the chain.
KR1020140178473A 2013-12-13 2014-12-11 Film stretching device KR1021836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8677A JP5950895B2 (en) 2013-12-13 2013-12-13 Film stretcher
JPJP-P-2013-258677 2013-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40A true KR20150069540A (en) 2015-06-23
KR102183606B1 KR102183606B1 (en) 2020-11-26

Family

ID=53516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473A KR102183606B1 (en) 2013-12-13 2014-12-11 Film stretch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50895B2 (en)
KR (1) KR10218360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3746B2 (en) 1973-09-21 1977-08-30
KR20060061233A (en) * 2004-12-01 2006-06-07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Optical film and process thereof
KR20060133488A (en) * 2005-06-20 2006-12-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JP4270429B2 (en) 2002-01-16 2009-06-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Tenter apparatus and oblique stretching method
KR20110102194A (en) * 2010-03-09 2011-09-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Stretch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rmoplastic film and solution film-forming method
JP2012056322A (en) * 2011-12-09 2012-03-22 Nippon Zeo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circularly polarized plate
WO2012157663A1 (en) 2011-05-18 2012-11-22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on fil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0277A (en) * 1972-05-26 1974-01-29
JP2005349698A (en) * 2004-06-10 2005-12-22 Hirano Giken Kogyo Kk Film drawing machine
JP5233746B2 (en) * 2009-02-27 2013-07-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bliquely stretched film, obliquely stretched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66996B2 (en) * 2009-05-19 2012-07-04 東芝機械株式会社 Rail support device and sheet stretching method
JP5587668B2 (en) * 2010-05-19 2014-09-10 東芝機械株式会社 Stretching test apparatus and stretching test method
WO2013146398A1 (en) * 2012-03-30 2013-10-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JP2013208773A (en) * 2012-03-30 2013-10-10 Konica Minolta In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3746B2 (en) 1973-09-21 1977-08-30
JP4270429B2 (en) 2002-01-16 2009-06-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Tenter apparatus and oblique stretching method
KR20060061233A (en) * 2004-12-01 2006-06-07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Optical film and process thereof
KR20060133488A (en) * 2005-06-20 2006-12-2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KR20110102194A (en) * 2010-03-09 2011-09-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Stretching method and apparatus of thermoplastic film and solution film-forming method
WO2012157663A1 (en) 2011-05-18 2012-11-22 東洋紡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on film
JP2012056322A (en) * 2011-12-09 2012-03-22 Nippon Zeon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circularly polarized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12852A (en) 2015-06-22
JP5950895B2 (en) 2016-07-13
KR102183606B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703B1 (en) Sheet or film oblique stretching method and sheet or film clipping stretcher
US9102094B2 (en) Rail support device and sheet stretching method
KR102000718B1 (en) Mask assembly for thin film vapor de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371523B2 (en) Film stretching apparatus and film stretching method
TWI385113B (en) Glass sheet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glass sheets
JP2009531253A (en) Alignment conveyor
KR20090094390A (en) Clip type sheet film drawing device
JP67415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ll-formed parts having variable width
EP1331082B1 (en) Apparatus for stretching a thin film
CN114228121A (en) Stretching device for improving synchronism of film at stretching initial section
JP2009173009A (en) Stretching method of synthetic material film
JP2004122640A (en) Stretching machine for sheet-like material
KR20150069540A (en) Film stretching device
JP2008030393A (en) Stretching machine of sheetlike article
JP2010208074A (en) Drawing machine for sheet material
JP5372852B2 (en) Film relaxation treatment mechanism and film transverse stretching machine
JP4432620B2 (en) Sheet material drawing machine
JP6674533B2 (en) Roll bending device
JP4853159B2 (en) Sheet material drawing machine
JPH02172716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sheetlike article
JP2023013552A (en) Link device and stretching machine
JP3779281B2 (en) Sheet-like material draw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JPH10249934A (en) Lateral orienting machine for film
JP6513871B1 (en) Stretcher
JP2005169856A (en) Ten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