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484A -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484A
KR20150069484A KR1020130155940A KR20130155940A KR20150069484A KR 20150069484 A KR20150069484 A KR 20150069484A KR 1020130155940 A KR1020130155940 A KR 1020130155940A KR 20130155940 A KR20130155940 A KR 20130155940A KR 20150069484 A KR20150069484 A KR 2015006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mponent
polyester
polyamide
dio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9484A/ko
Publication of KR2015006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 amides or polyether amid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3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during polymerisatio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2Cut or abrasion resist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합체 내에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포함시켜 이를 섬유조성물로 제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물성과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물성을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Composition for polyesteramide fib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polyester-imide fib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해제나 전구체 없이도 우수한 초기탄성율, 내화학성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의 물성과 현저히 우수한 내모마모성, 내굴곡성 등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물성을 동시에 발현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아미드 결합에 의해 단량체가 연결된 중합체로 만들어진 섬유로서, 나일론이라는 일반명이 통용되고 있다. 나일론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모든 섬유 중 가장 좋은 내마모성과 내굴곡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가소성이 대단히 좋아서 텍스처사, 스타킹 등 열고정에 이용된다. 이렇게 열고정된 폴리아미드계 제품은 가정에서 취급하는 세탁이나 다림질로는 그 형체가 변하지 않는다. 또한, 내화학성이 우수한 편이며, 특히 알칼리에 대해서는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흡습성의 경우 표준 수분율이 4% 정도로 흡습성이 천연섬유에 비해서는 작으며, 이로 인해 쉽게 마르는 장점이 있으나 흡습성이 나빠 내의나 더운 기후에서의 옷감으로 부적당하며, 염색이 어렵고 표면에 정전기가 축적될 수 있다. 그러나 우수한 물성으로 인해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다양한 용도의 의복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621144호는 폴리아미드 원사를 이용한 원단을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한편, 폴리에스테르란 카르복실기와 수산기 사이에 에스테르가 생김으로써 형성된 화합물이 중축합된 고분자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중합시킨 폴리에스테르는 합성 섬유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의료용, 산업용 양편에 쓰이고 있으며 상표명 ‘테트론’으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들은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적어 형상유지성이 우수하고,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며, 녹는점은 약 260℃로 내열성이 우수한 편이다. 또한, 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강도는 감소하나 색에는 변화가 없으며, 내화학성이 어 가장 흔한 세정 용매를 사용해 드라이클리닝을 할 수 있다. 나아가 곤충과 미생물의 공격에도 강하며 습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정전기 방지제로 처리하지 않으면 정전기가 잘 발생한다. 최근에는 유리섬유에 침윤·중합시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복합 재료, FRP를 제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는 섬유는 통상적으로 내화학성이 우수하지만, 강한 염기에 의해서는 가수분해될 수 있고, 섬유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가늘어질 수 있어 모든 pH 범위의 용액에 강한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상술한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특성을 더할 경우,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현저하게 우수한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강한 알칼리용액에 의해서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섬유를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과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공중합한 조성물들은 섬유로 사용되기에는 너무나 낮은 융점을 가지고 있거나 융점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상온에서 액상 또는 겔로 존재함에 따라 방사공정 자체가 불가하여 섬유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그 용도를 섬유가 아닌 접착제, 전자사진용 토너 결착제, 섬유 가공제, 제지 사이즈제 및 지력증강제, 폐수처리제, 분산제, 시멘트혼화제, 잉크젯 잉크 결착제, 에폭시 성분 경화제 및 개질제, 수분산 에폭시성분 경화제 및 개질제, 방수제 등으로 밖에 사용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첫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종래와 다르게 용해제나 전구체 없이도 직접적으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섬유로 방사가능함에 따라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우수한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알칼리 용액에 현저히 강한 특성을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발현되며, 촉감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두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우수한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알칼리용액의 농도를 불문하고 섬유의 알칼리 침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섬유로 사용시에 생분해성이 증가되고, 흡습성, 염색성 및 탄력성이 개선되며, 보다 가벼운 특성이 발현되어 이를 포함하는 원단이 경량감을 달성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에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산성분은 탄소수 6 내지 12인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탄소수 2 내지 14인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설폰산금속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은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설폰산 금속염은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제1 디올성분 및 제2 디올성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글리콘,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1,6-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폴리아미드계 성분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제1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인 나일론 6를 1 : 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나일론 6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인 에틸렌글리콜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 반응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제1 디올성분은 산성분에 대해 1 : 1.0 ~ 2.0 몰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성분, 디올성분 및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며,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성분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올성분은 에틸렌글리콘,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1,6-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산성분 및 디올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성분”란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내 단량체로 산성분 및 디올성분을 포함한다는 의미로 반응되지 않은 단량체 자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에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은 종래와 다르게 용해제나 전구체 없이도 직접적으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아미드계 중합체와는 달리 섬유로 방사가 가능함에 따라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우수한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알칼리 용액에 현저히 강한 내화학적 특성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자체의 우수한 물성과 동시에 발현되며, 흡습성, 염색성 및 탄력성이 개선되고, 보다 가벼운 특성이 발현되어 이를 포함하는 원단이 경량감을 가질 수 있으며, 촉감이 더욱 개선되는 섬유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용도의 섬유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는 섬유는 통상적으로 내화학성이 우수하지만, 강한 염기에 의해서는 가수분해될 수 있고, 섬유의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가늘어질 수 있어 모든 pH의 용액에 강하지 못하여 용도에 있어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특성 보완으로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계 성분과 폴리아미드계 성분의 공중합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지만, 종래에 폴리에스테르계 성분과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공중합한 조성물들은 섬유로 사용되기에는 너무나 낮은 융점을 가지고 있거나 융점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상온에서 액상 또는 겔로 존재함에 따라 방사공정 자체가 불가하여 섬유로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그 용도를 섬유가 아닌 접착제, 전자사진용 토너 결착제, 섬유 가공제, 제지 사이즈제 및 지력증강제, 폐수처리제, 분산제, 시멘트혼화제, 잉크젯 잉크 결착제, 에폭시 성분 경화제 및 개질제, 수분산 에폭시성분 경화제 및 개질제, 방수제 등으로 밖에 사용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1)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폴리아미드계 중합체와는 달리 섬유로 방사가 가능함에 따라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우수한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과 알칼리 용액에 현저히 강한 내화학적 특성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자체의 우수한 물성과 동시에 발현되며, 흡습성, 염색성 및 탄력성이 개선되고, 보다 가벼운 특성이 발현되어 이를 포함하는 원단이 경량감을 가질 수 있으며, 촉감이 더욱 개선되는 섬유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용도의 섬유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1) 단계로써,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먼저,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에 포함되는 단량체인 산성분, 제1 디올성분, 제2 디올성분 및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다.
우선, 상기 산성분은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성분에 포함되는 단량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인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탄소수 2 내지 14인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설폰산금속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목적에 따라 다가 카르복실산으로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다가 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은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폰산 금속염은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다가 카르복실산의 비제한적 예로써는 2,5-퓨란디카르복실산, 2,5-사이오펜디카르복신산 및 2,5-피롤디카르복실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에스테르화 반응물의 단량체 중 하나인 제1 디올성분 및 제2 디올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디올성분 및 제2 디올성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디올성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디올성분 및 제2 디올성분이 각각 독립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상기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디올성분의 경우 구체적으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글리콜, 테트라메킬렌글리콜, 펜타메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헵타메틸렌클리콜, 옥타메틸렌글리콜, 노나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운데카메틸렌글리콜, 도데카메틸렌글리콜 및 트리데카메틸렌글리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400 ~ 10,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스테르화 반응물의 단량체 중 하나인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술한 산성분 및 디올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여 중·축합된 공중합체이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알칼리에 약하며, 나일론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섬유에 비해 내마모성, 내굴곡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약하여 그 용도에 있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물성 개선을 위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폴리에스테르 성분내에 화학적으로 도입하게 이르렀으며, 이를 통해 내마모성, 내굴곡성, 폴리아미드계 성분 내 아미드기와 산성염료 등의 음이온을 가지고 있는 염료간에 이온결합이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었다.
다만, 종래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경우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해중합 또는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포함되는 단량체 예를 들어, 카프로락탐 등의 모노머를 공중합체에 포함시켰으나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성분 자체가 단량체로써 포함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공중합체의 경우 섬유로 방사되기 불가능한, 예를 들어 융점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온에서 액상, 겔 형태임에 따라 방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공중합체에 포함되어도 방사가 가능하여 섬유로 용도 전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아미드기가 작아서 폴리에스테르와 반응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목표로 하는 고유점도의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나일론 6일 수 있다.
상술한 각 단량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에스테르화 반응물이 제조된다.
만일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0.01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가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발현할 수 없어 목적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으며, 만일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0.6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아미드디카르복실산이 생성되어 반응제어가 어렵거나 아미드산의 석출로 계내의 고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자체를 제조할 수 없을 수 있으며, 만일 중·축합이 일어난다 해도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특성 과발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특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이 2.0 중량비를 초과하여 반응될 경우 디에틸글리콜과 같은 부산물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미반응물 잔류로 방사공정에서 사절과 팩압 상승을 유도하여 방사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의 공중합율이 저하되어 제조시 폴리에스테르의 형성이 더 많아져 목적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원활히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제1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인 나일론 6를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나일론 6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인 에틸렌글리콜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성분으로 나일론 6를 포함시킴으로써 반응성 아미드기가 작아 폴리에스테르와 반응이 용이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목표로 하는 고유점도의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 단계에서, 산성분과 제1 디올성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산성분에 대해 제1 디올성분이 1 : 1.0 ~ 2.0몰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섬유 제조를 위한 방사시 높은 기계적 강도와 형태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일 제1 디올성분이 산성분에 대해 2.0 몰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부반응물인 디에틸글리콜이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만일 1.0 몰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반응성 저하로 중합도가 저하되고 목표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술한 산성분, 제1 디올성분, 제2 디올성분 및 폴리아미드계 성분의 혼합 시기는 비제한적이며,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을 위해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는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목적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물의 제조가 가능하나 반응성을 더 높이기 위해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제조 시에 사용되는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써, 금속아세테이트 촉매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1) 단계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은 바람직하게는 200 ~ 270℃의 온도 및 1100 ~ 1350 토르(Torr)의 압력 하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 시간이 길어지거나 반응성 저하로 중축합 반응에 적합한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2) 단계로써,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중·축합반응은 바람직하게는 250 ~ 300℃ 온도 및 0.3 ~ 1.0 토르(Torr) 압력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만일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반응시간 지연, 중합도 저하 및 열분해 유발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2) 단계는 중·축합반응 시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적정한 반응성 확보와 생산단가의 낮추기 위해 안티몬화합물 및 고온에서 열분해에 의한 색상의 변색을 억제하기 위해 인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티몬 화합물로는 삼산화안티몬, 사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과 같은 산화안티몬류, 삼황화안티몬, 삼불화안티몬, 삼염화안티몬 등과 같은 할로겐화 안티몬류,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 안티몬벤조에이트, 안티몬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로 안티몬화합물의 사용량은 중합 후에 수득되는 중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600pp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화합물로는 인산, 모노메틸인산 트리메틸인산, 트리부틸인산 등 인산류 및 그의 유도체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트리메틸인산 또는 트리에틸인산 또는 트리페닐아인산이 그 효과가 우수하여 바람직하고, 인화합물의 사용량은 중합 후에 수득되는 중·축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pp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은 하기의 구조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구조식 2]
Figure pat00002
상기와 같은 구조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일 수 있다. 만일 0.5 dl/g 미만인 경우 목적으로 하는 섬유 조성물의 물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0.9 dl/g를 초과하는 경우 공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은 향상되나 높은 고유점도로 인한 방사 작업성이 불량할 뿐 아니라 더 높은 방사 온도가 필요하여 열분해의 원인이 되어 전체적인 섬유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 시킬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은 융점이 200 ~ 250℃일 수 있으며, 상온에서 칩 또는 구상의 입자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와 다르게 섬유로 방사되기에 적합한 물성을 보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실시예로써, (1)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에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이하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다르게 (1) 단계에서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인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이 포함되는 것이 아닌,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여 중·축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성분 자체가 폴리아미드계 성분과의 반응을 위해 투입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에 포함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산성분 및 제1 디올 성분의 예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1) 단계는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되는데, 만일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0.1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가 목적으로 하는 물성을 발현할 수 없어 목적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으며, 만일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0.6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공중합체 자체를 제조할 수 없으며, 또한, 중·축합이 일어난다 해도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특성 과발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특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이 1.0 중량비를 초과하여 반응될 경우 디에틸글리콜과 같은 부산물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미반응물 잔류로 방사공정에서 사절과 팩압 상승을 유도하여 방사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폴리에스테르 제조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제조설비 구축 등을 요하지 않고, 종래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의 제조방법과 다르게 유기용제나 전구체 등을 사용하지 않아 원료 소요비용의 절감, 별도의 제조설비 구축비용 절감 등에 따라 경제적이며, 제조공정이 간소화된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은 산성분, 디올성분 및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며,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한다.
만일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0.01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가 목적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물성을 동시에 발현 할 수 없어 목적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없으며, 만일 폴리아미드계 성분이 0.6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아미드디카르복실산이 생성되어 반응제어가 어렵거나 아미드산의 석출로 계내의 고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자체를 제조할 수 없을 수 있으며, 만일 중·축합이 일어난다 해도 폴리아미드계 섬유의 특성 과발현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특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에 단량체로 포함되는 산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올성분은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디올성분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디올성분의 경우 구체적으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글리콜, 테트라메킬렌글리콜, 펜타메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헵타메틸렌클리콜, 옥타메틸렌글리콜, 노나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운데카메틸렌글리콜, 도데카메틸렌글리콜 및 트리데카메틸렌글리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400 ~ 10,0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의 단량체로 포함되는 디올성분은 산성분에 대하여 1 : 1.0 ~ 2.0 몰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만일 디올성분이 산성분에 대해 2.0 몰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부반응물인 디에틸글리콜이 다량으로 발생함에 따라 미반응물의 잔류로 방사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아미드의 공중합율이 저하되어 제조시 폴리에스테르의 형성이 더 많아져 목적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원활히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만일 1.0 몰비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반응성 저하로 중합도가 저하되고 목표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은 하기의 구조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3
[구조식 2]
Figure pat00004
상기와 같은 구조식 1 및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일 수 있다. 만일 0.5 dl/g 미만인 경우 목적으로 하는 섬유 조성물의 물성을 확보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0.9 dl/g를 초과하는 경우 공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은 향상되나 높은 고유점도로 인한 방사 작업성이 불량할 뿐 아니라 더 높은 방사 온도가 필요하여 열분해의 원인이 되어 전체적인 섬유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 시킬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은 융점이 200 ~ 250℃일 수 있으며, 상온에서 칩 또는 구상의 입자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와 다르게 섬유로 방사되기에 적합한 물성을 보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를 제조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만일 제조한다 하더라도 고유점도, 열적특성이 현저히 열악한 이유 등으로 이를 섬유조성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를 제조 가능케한 동시에 섬유의 용도로 사용가능함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특성에 폴리아미드계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강알칼리성에도 견디는 내화학적 특성을 보유하게 되고, 흡습성, 염색성 및 탄력성이 개선되고, 보다 가벼운 특성이 발현되어 이를 포함하는 원단이 경량감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종래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을 넘는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는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칩 또는 구상의 입자 상태 등 고형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200 ~ 250℃로 용융하여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방사구금을 활용해 방사온도 260 ~ 290℃, 방사속도 1000 ~ 6000 mpm으로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고, 섬유내 고분자의 배향을 좋게 하기 위해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같이 부분연신 또는 연신하여 기계적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목적에 따라 가연가공, 찰과가공, 압입가공, 부형가공 등의 가공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종의 섬유와 혼섬하여 인터레이스사로 제조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하여 제직(weaving)된 직물일 수 있다.
상기 제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직물조직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직에서의 경위사 밀도의 경우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원사로 포함하여 편성(knitting)된 편물일 수 있다. 상기 편성은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위편성과 경편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편성방법에 의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TPA)과 에틸렌글리콜(EG)(제1 디올성분)을 1 : 1.2 몰비로 조절하고, 폴리아미드계 성분으로 나일론 6를 상기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총질량에 대해 1 : 0.1중량비로 혼합하며, 상기 나일론 6에 대해 에틸렌글리콜(제2 디올성분)을 1: 0.5 중량비로 혼합한 후, 250℃에서 1140 토르(Torr) 압력 하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에스테르 반응물을 얻었고, 그 반응률은 97.5%였다. 형성된 에스테르 반응물을 축중합 반응기에 이송하고 축합중합 촉매로 삼산화 안티몬 300ppm을 투입하여 최종압력 0.5 Torr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85℃까지 승온하여 축중합반응을 통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첨가되는 나일론 6의 함량, 제2 디올성분의 함량 등을 하기 표 1과 같이 달리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테레프탈산(TPA)과 에틸렌글리콜(EG)(제1 디올성분)을 1 : 1.2 몰비로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으로 나일론 6를 1 : 0.1중량비로 혼합하며, 상기 나일론 6에 대해 에틸렌글리콜(제2 디올성분)을 1: 0.5 중량비로 혼합한 후, 250℃에서 1140 토르(Torr) 압력 하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에스테르 반응물을 얻었고, 그 반응률은 97.5%였다. 형성된 에스테르 반응물을 축중합 반응기에 이송하고 축합중합 촉매로 삼산화 안티몬 300ppm을 투입하여 최종압력 0.5 Torr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85℃까지 승온하여 축중합반응을 통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첨가되는 나일론 6의 함량, 제2 디올성분의 함량 등을 하기 표 1과 같이 달리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조성물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1. 고유점도
오르쏘-클로로 페놀(Ortho-Chloro Phenol)을 용매로 하여 110℃, 2.0g/25ml의 농도로 30분간 용융 후, 25℃에서 30분간 항온하여 캐논(CANON) 점도계가 연결된 자동 점도 측정 장치로부터 분석하였다.
2. 융점
융점은 시차 열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석조건은 승온속도를 20 ℃/min로 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조성물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방사구금을 이용해 방사온도 285℃, 방사속도 6000 mpm으로 하여 75 데니어, 36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제조한 후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방사작업성
방사 작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원사 제조 공정의 설비 크기보다 1/10 축소된 용융방사기에 필터링 테스트를 실시하여 팩압 게이지의 계기 기록지 그래프 값 측정 및 원사 제조시 사절 빈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고,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경우 ◎로 표시하였고, 작업성이 저하될수록 ○, △, Ⅹ로 표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산성분 TPA TPA TPA TPA TPA TPA TPA
제1 디올성분 EG EG EG EG EG EG EG
산성분 : 제1 디올성분(몰비) 1 : 1.2 1 : 1.2 1 : 1.2 1 : 1.2 1 : 1.2 1 : 1.2 1 : 1.2
폴리아미드계 성분 종류/중량비 나일론6
/0.1
나일론6/0.2 나일론6/0.4 나일론6/0.15 나일론6/0.1 나일론6/0.7 나일론6/1.0
제2 디올성분 종류/중량비 EG/0.5 EG/0.5 EG/0.5 EG/2.5 EG/0.5 EG/0.5 EG/0.5
고유점도(dl/g) 0.656 0.643 0.630 0.662 0.667 제조x 제조x
융점(℃) 239 224 208 235 237 제조x 제조x
방사작업성 - -
* 폴리아미드계 성분의 중량비는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 총합 기준한 중량비임
* 제2 디올성분의 중량비는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한 중량비임
구체적으로 나일론 6를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의 총합 대비 1: 0.6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시킨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목적하는 섬유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었으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제조할 수 없었다.
또한, 제2 디올성분이 나일론 6 대비하여 1 : 2.0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된 실시에 4의 경우 방사작업성이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1)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2. (1) 산성분 및 제1 디올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성분에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성분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반응물을 중·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산성분은 탄소수 6 내지 12인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탄소수 2 내지 14인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설폰산금속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은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설폰산 금속염은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제1 디올성분 및 제2 디올성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에틸렌글리콘,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1,6-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폴리아미드계 성분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및 제1 디올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인 나일론 6를 1 : 0.1 ~ 0.6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나일론 6에 대해 제2 디올성분인 에틸렌글리콜을 1 : 0.1 ~ 2.0 중량비로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 반응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8. 제1항에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제1 디올성분은 산성분에 대해 1 : 1.0 ~ 2.0 몰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제조방법.
  10. 산성분, 디올성분 및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단량체로 포함하며, 상기 산성분 및 디올성분에 대해 폴리아미드계 성분을 1 : 0.01 ~ 0.6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분은 테레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수베린산, 시트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세바스산, 노나노산, 데카노인산, 도데카노인산 및 헥사노데카노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수 2 내지 14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성분은 에틸렌글리콘,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및 1,6-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의 고유점도는 0.5 ~ 0.9 dl/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15. 제16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KR1020130155940A 2013-12-13 2013-12-13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KR20150069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40A KR20150069484A (ko) 2013-12-13 2013-12-13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940A KR20150069484A (ko) 2013-12-13 2013-12-13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484A true KR20150069484A (ko) 2015-06-23

Family

ID=5351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940A KR20150069484A (ko) 2013-12-13 2013-12-13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94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437B1 (ko) 저온 열수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39402B1 (ko) 코폴리에스테르, 그 제조방법 및 용도
CN112601774A (zh) 用于热粘合性纤维的聚酯组合物、由此实现的热粘合性复合纤维及无纺布
KR101414206B1 (ko) C형 중공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5912669B2 (ja) カチオン染料可染性難燃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繊維製品
KR102274288B1 (ko) 제직성이 우수한 알칼리 이용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5406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KR102419939B1 (ko) 습식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234801B1 (ko) 열접착성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용 섬유집합체
KR101788630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저온열수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8948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KR101489424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211B1 (ko) C형 중공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449383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101646548B1 (ko) 저온 알칼리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9484A (ko)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섬유
KR101198042B1 (ko) 촉감 및 염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조성물
KR20140073273A (ko) 수용성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US20070055043A1 (en) Modifi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r low temperature dyeability, controlled shrinkage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tensile properties
JP4080221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繊維
KR20200061866A (ko)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염색성이 개선된 카티온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276231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단독방사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단독방사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930A (ko)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를 포함하는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4289B1 (ko) 심색성이 우수한 복합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한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509121B1 (ko) 열접착성 섬유,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원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