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7022A -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 Google Patents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7022A
KR20150067022A KR1020140163381A KR20140163381A KR20150067022A KR 20150067022 A KR20150067022 A KR 20150067022A KR 1020140163381 A KR1020140163381 A KR 1020140163381A KR 20140163381 A KR20140163381 A KR 20140163381A KR 20150067022 A KR20150067022 A KR 2015006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n gear
decelerator
planetary gears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중
장민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3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7014A/ko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381A priority patent/KR20150067022A/ko
Priority to CN201480006421.3A priority patent/CN104956122B/zh
Priority to PCT/KR2014/011765 priority patent/WO2015088176A1/en
Priority to JP2016557856A priority patent/JP6381666B2/ja
Priority to US14/761,692 priority patent/US9844303B2/en
Priority to EP14869504.2A priority patent/EP3080481A4/en
Priority to TW103142748A priority patent/TWI642862B/zh
Publication of KR2015006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022A/ko
Priority to HK15110922.5A priority patent/HK1210253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46System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gear trains each with orbital gears, i.e.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tard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감속 장치는,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감속 전달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로서, 상기 감속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감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속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선 기어; 상기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를 출력하는 링 기어; 및 상기 선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A speed reducing apparatus and a juice extra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야채나 과일 등을 분쇄, 압축하여 착즙물을 만드는 주서기 등에 포함되는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 속도를 높은 비율로 감소시키면서도 부품 파손 가능성은 현격히 낮출 수 있는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주서기 등의 착즙 기기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주서기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장착된 하우징 내에 과일이나 야채를 수용한 후 구동 모터를 통해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과일이나 야채를 분해, 압축하여 착즙물을 추출하게 된다.
기존의 주서기들은 고속으로 구동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의하여 과육 등이 잘게 부서지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분쇄가 이루어지는 장점은 있지만 과일의 종류에 따라서 즙과 함께 과육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최근에는 착즙 방법의 한 가지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과일이나 야채 등을 짜내듯이 착즙물을 추출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 속도를 줄이고 착즙물을 짜내기 위하여 상당히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0-2007-0066720호는 상하로 복수의 단으로 배치된 복수의 감속 기어 열을 포함하며 각 감속 기어 열은 선 기어와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식품 가공기를 개시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0-2006-0117616호는 하나 이상의 유성 기어의 조합을 통해 감속을 수행하는 감속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큰 감속률을 얻기 위해서는 유성 기어들의 개수 내지 감속 기어 열의 개수가 크게 늘어나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성 기어들의 개수 내지 감속 기어 열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그에 상응하여 주서기의 내부 공간이 확장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또한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0-2007-006672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0-2006-0117616호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높은 감속률을 제공할 수 있는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부품 파손 가능성이 낮아진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감속 전달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로서, 상기 감속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감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속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선 기어; 상기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를 출력하는 링 기어; 및 상기 선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는, 상기 선 기어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개수는 각각 3×L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L은 자연수이다.
상기 선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1 개이고, 상기 내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2 개이고,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3 개이고, 상기 링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4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M1, M2, M3, M4는 각각 자연수이다.
상기 선 기어의 기어 잇수는 12N1 개이고, 상기 내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2 개이고,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3 개이고, 상기 링 기어의 기어 잇수는 60×N4 개일 수 있으며, 여기서 N1, N2, N3, N4는 각각 자연수이다.
상기 감속 장치는, 상기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1차 감속하는 1차 감속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2차 감속하는 2차 감속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제1 선 기어; 상기 제1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1차 감속 회전속을 출력하는 제1 링 기어; 및 상기 제1 선 기어와 상기 제1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제2 선 기어; 상기 제2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2차 감속 회전속을 출력하는 제2 링 기어; 및 상기 제2 선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는 상기 1차 감속 회전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링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축은 상기 2차 감속 회전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2 링 기어의 샤프트 결합공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는, 상기 제2 선 기어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서기가 상기 감속 장치의 장착에 따른 저속 모드 또는 상기 감속 장치의 제거에 따른 고속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감속 장치는 상기 주서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감속 장치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높은 감속률을 제공할 수 있는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파손 가능성이 낮아진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서기에 구비된 감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감속 장치에 구비된 1차 감속 유닛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감속 장치에 구비된 2차 감속 유닛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2차 감속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들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착즙'이라는 용어는 주입된 재료를 절단, 분쇄, 압착 및/또는 추출의 모든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재료가 착즙되면 '착즙물'과 '펄프'가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여기서 '착즙물'은 사용자가 재료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펄프'는 착즙 과정에서 생성되는 착즙물 이외의 부수물로서 일반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감속 장치를 포함한 주서기 구조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속 장치를 포함한 주서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는, 하우징(100),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 감속 장치(300), 및 구동 유닛(4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하부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감속 장치(300) 및 구동 유닛(400)이 수용되며, 상부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가 수용된다.
도 1에 도시된 푸싱 부재(130)는 상부 하우징(120) 안으로 착즙 대상물을 투입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푸싱 부재(130)를 사용하여 상부 하우징(120)으로 착즙 대상물을 손쉽게 투입할 수 있다. 착즙 대상물은 상부 하우징(120) 안으로 투입된 후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됨으로써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되며, 착즙물과 펄프는 상응하는 배출관(170, 150)을 통해 상부 하우징(12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동 유닛(400)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구동 유닛(400)은 모터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 유닛(400)은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를 직접 구동할 수도 있고, 감속 장치(300)를 통해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감속 장치(300)는 구동 유닛(400)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지 않고 그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감속 장치(300)가 구동 유닛(400)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 장착된 경우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는 감속 장치(300)를 통해 구동 유닛(400)에 연결되며, 이때 구동 유닛(400)의 회전력은 감속 장치(300)에 의한 감속 과정을 거쳐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에 전달된다. 한편, 감속 장치(300)가 주서기로부터 분리된 경우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는 구동 유닛(400)의 회전력을 감속 없이 그대로 전달받는다.
이처럼 감속 장치(300)가 구동 유닛(400)과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주서기는 감속 장치(300)의 장착에 따르는 저속 모드 또는 감속 장치(300)의 분리에 따르는 고속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2. 감속 장치의 구조 및 동작 설명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감속 장치(3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 장치(300)는 1차 감속 유닛(310) 및 2차 감속 유닛(320)을 포함하며, 이들 감속 유닛들(310, 320)은 케이싱(380) 안에 수용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여기서, 1차 감속 유닛(310)은 구동 유닛(400)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1차적으로 감속하는 것이고, 2차 감속 유닛(320)은 구동 유닛(400)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2차적으로 감속하는 것이다. 1차 및 2차 감속 유닛(310, 320)을 통해 구동 유닛(400)이 제공하는 회전력이 두 단계에 걸쳐 감속됨으로써 높은 감속률이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장치(300)에 의하면 1/85의 감속률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 수준의 감속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3단 이상의 감속 과정이 필요하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단지 2단 감속 만을 가지고 높은 감속률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동일 감속률을 제공하기 위한 감속 장치의 부피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1차 감속 유닛(310)은 제1 선 기어(311), 제1 링 기어(316), 복수의 제1 유성 기어(312), 및 기어 박스(318)를 포함한다.
제1 선 기어(311)는 기어 박스(318)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구동 유닛(400)의 회전축(미도시)과 동축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선 기어(311)는 구동 유닛(400)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와 같은 회전 속도를 가지고 회전한다.
제1 링 기어(316)는 그 내주면에 제1 선 기어(311)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링 기어(316)는 제1 선 기어(311)의 기어 잇수보다 훨씬 많은 기어 잇수를 갖는다.
복수의 제1 유성 기어(312)는 제1 선 기어(311)와 제1 링 기어(316)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선 기어(311)의 회전력을 제1 링 기어(316)에 전달한다. 각 제1 유성 기어(312)는 제1 선 기어(311) 및 제1 링 기어(316)에 기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감속 유닛(310)에는 동일한 형태를 가진 3개의 유성 기어(312)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 기어(311)가 구동 유닛(400)에 의해 제1 방향(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유성 기어들(312)을 통해 제1 선 기어(311)에 연결된 제1 링 기어(316)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도면에서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 링 기어(316)는 제1 선 기어(311)의 기어 잇수보다 훨씬 많은 기어 잇수를 갖기 때문에, 제1 링 기어(316)는 제1 선 기어(311)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1차 감속 유닛(310)에서의 1차 감속이 달성됨으로써, 제1 링 기어(316)는 구동 유닛(400)의 회전속보다 작은 1차 감속 회전속을 출력하게 된다.
2차 감속 유닛(320)은 전술한 1차 감속 유닛(310) 위에 배치되며, 제2 선 기어(321), 제2 링 기어(326), 및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22, 323)를 포함한다.
제2 선 기어(321)는 전술한 제1 링 기어(316)의 상부면(316a)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구동 유닛(400)의 회전축(미도시)과 동축으로 연결된다.
제2 링 기어(326)는 제2 선 기어(311)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링 기어(326)는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보다 훨씬 많은 기어 잇수를 갖는다(본 실시예의 경우 5배).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 기어(326)의 상부면(327)에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축(220)이 연결되는 샤프트 결합공(3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는 제2 링 기어(326)와 등속도로 회전하게 됨을 이해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22, 323)는 제2 선 기어(321)의 회전력을 제2 링 기어(326)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제1 링 기어(316)의 상부면(316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제2 선 기어(321)와 제2 링 기어(326) 사이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선 기어(321)가 구동 유닛(400)에 의해 제1 방향(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 유성 기어들(322, 323)을 통해 제2 선 기어(321)에 연결된 제2 링 기어(326)도 역시 제1 방향(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2 링 기어(326)는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보다 훨씬 많은 기어 잇수를 갖기 때문에, 제2 링 기어(326)는 제2 선 기어(321)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2차 감속 유닛(320)에서의 2차 감속이 달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성 기어들(322, 323)은 1차 감속 회전속으로 회전하는 제1 링 기어(316)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유성 기어들(322, 323)에 의해 구동되는 제2 링 기어(326)의 회전 속도는 1차 감속 및 2차 감속의 영향을 모두 받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유성 기어들(322, 323)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링 기어(316)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선 기어(321)의 회전 방향(시계 방향)에 반대되는 회전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선 기어(321) 주위를 공전하게 되며, 이러한 유성 기어들(322, 323)의 공전에 의한 영향으로 제2 링 기어(326)의 출력 속도가 상술한 1차 감속 및 2차 감속의 영향을 모두 받게 된다.
따라서, 제2 링 기어(326)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는 저속 모드에서 감속 장치(300)를 통해 2 단계에 걸쳐 감속된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착즙 스크류 조립체(200)는 구동 유닛(400)의 회전 속도 대비 1/85로 감속된 회전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감속 장치(300)는 1차 감속 유닛(310) 및 2차 감속 유닛(320)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감속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감속률이 단지 2개의 감속 유닛(310,320)을 구비한 감속 장치(300)에 의해 달성되므로 감속률 대비 감속 장치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5는 2차 감속 유닛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2차 감속 유닛(320)과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대안적인 2차 감속 유닛(320')도 제2 선 기어(321'), 제2 링 기어(326'), 및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22', 323')를 포함하며, 이때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22', 323')는 제2 선 기어(321')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323'), 및 내측 유성 기어(323')와 제2 링 기어(326')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322')로 구성된다.
그리고 2차 감속 유닛(320')의 각 기어들(321', 322', 323', 326')은 전술한 2차 감속 유닛(320)의 각 기어들(321, 322, 323, 326)의 연결 구조에 대응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선 기어(321')는 구동 유닛(400)(도 1 참조)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들(322', 323')은 제1 링 기어(316)의 상부면(316a) 상에 회전(자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 링 기어(326')는 그 중앙부에 스크류 조립체(200)의 회전축(220)이 연결된다.
따라서 2차 감속 유닛(320')의 동작 방식 역시 2차 감속 유닛(320)의 전술한 동작 방식에 대응된다.
다만, 도 5의 2차 감속 유닛(320')은 2개의 내측 유성 기어(323') 및 2개의 외측 유성 기어(322')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4의 2차 감속 유닛(320)이 3개의 내측 유성 기어(323) 및 3개의 외측 유성 기어(322)를 구비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2차 감속 유닛의 내측 유성 기어 및 외측 유성 기어를 각각 2의 배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3. 감속 장치의 부품 파손 방지 구조
이하에서는 전술한 감속 장치(300)의 부품 파손 방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1차 감속 유닛(310) 및 2차 감속 유닛(320)을 통해 효과적인 감속이 달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어들 간의 상호 작용에 따른 부품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한편 기어 결합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하기 조건들이 적용될 수 있다.
1) 조건 1:
첫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감속 유닛(3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유성 기어(322, 323)는, 제2 선 기어(321)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323), 및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323)와 제2 링 기어(326)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2차 감속 유닛(320)의 구조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들(312)이 모두 제1 선 기어(311)에 기어 결합된 1차 감속 유닛(310)의 구조와 대비된다. 즉, 도 3 및 4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조건 1은 2차 감속 유닛(320)에만 반영되어 있고 1차 감속 유닛(310)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건 1은 1차 감속 유닛(31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차 감속 유닛(310)의 복수의 제1 유성 기어(312)도 제1 선 기어(311)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 및 그 내측 유성 기어와 제1 링 기어(316)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반대로, 2차 감속 유닛(320)에 상기 조건 1이 반영되지 않고 1차 감속 유닛(310)에만 상기 조건 1이 반영되는 실시예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건 1이 적용될 경우 감속 장치(300)에 구비된 감속 유닛(310, 320)의 부품 파손 가능성이 감소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2) 조건 2:
둘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유성 기어들(323) 및 외측 유성 기어들(322)의 개수가 각각 3의 배수가 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 내측 유성 기어들(323)의 기어 잇수, 외측 유성 기어들(322)의 기어 잇수, 및 제2 링 기어(326)의 기어 잇수가 각각 3의 배수가 되도록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내측 유성 기어(323) 및 상기 외측 유성 기어(322)의 개수는 각각 3×L 개가 되도록 하고(L은 자연수),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는 3×M1 개, 내측 유성 기어(323)의 기어 잇수는 3×M2 개, 외측 유성 기어(322)의 기어 잇수는 3×M3 개, 제2 링 기어(326)의 기어 잇수는 3×M4 개가 되도록 한다(M1, M2, M3, M4는 각각 자연수).
2차 감속 유닛(320)에 상기 조건 2가 반영되어 있음을 도 4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내측 유성 기어들(323) 및 외측 유성 기어들(322)의 개수는 각각 3 개이며,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 내측 유성 기어들(323)의 기어 잇수, 외측 유성 기어들(322)의 기어 잇수, 및 제2 링 기어(326)의 기어 잇수는 각각 12개, 15개, 15개, 60 개이다.
물론,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 내측 유성 기어들(323)의 기어 잇수, 외측 유성 기어들(322)의 기어 잇수, 및 제2 링 기어(326)의 기어 잇수는 각각 12의 배수, 15의 배수, 15의 배수, 60의 배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선 기어(321)의 기어 잇수는 15N1 개, 내측 유성 기어(323)의 기어 잇수는 15×N2 개, 외측 유성 기어(322)의 기어 잇수는 15×N3 개, 상기 제2 링 기어(326)의 기어 잇수는 60×N4 개로 구비될 수 있다(N1, N2, N3, N4는 각각 자연수).
전술한 조건 1을 적용하여 2차 감속 유닛(320)의 부품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면서도, 상기 조건 2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조건 1의 적용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기어 결합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하부 하우징
120: 상부 하우징
150, 170: 배출관
200: 스크류 조립체
220: 회전축
300: 감속 장치
310: 1차 감속 유닛
311: 제1 선 기어
312: 제1 유성 기어
316: 제1 링 기어
320: 2차 감속 유닛
321: 제2 선 기어
322: 외측 유성 기어
323: 내측 유성 기어
326: 2차 링 기어
400: 구동 유닛

Claims (13)

  1.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감속 전달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감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감속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선 기어;
    상기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회전 속도를 출력하는 링 기어; 및
    상기 선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는,
    상기 선 기어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와 상기 링 기어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개수는 각각 3×L 개이며, 상기 L은 자연수인,
    주서기용 감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1 개이고, 상기 내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2 개이고,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3 개이고, 상기 링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4 개이며, 상기 M1, M2, M3, M4는 각각 자연수인,
    주서기용 감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 기어의 기어 잇수는 12N1 개이고, 상기 내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2 개이고,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3 개이고, 상기 링 기어의 기어 잇수는 60×N4 개이며, 상기 N1, N2, N3, N4는 각각 자연수인,
    주서기용 감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장치는,
    상기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1차 감속하는 1차 감속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이 제공하는 회전력을 2차 감속하는 2차 감속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1차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제1 선 기어;
    상기 제1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1차 감속 회전속을 출력하는 제1 링 기어; 및
    상기 제1 선 기어와 상기 제1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유성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2차 감속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회전축과 동축 연결된 제2 선 기어;
    상기 제2 선 기어를 둘러싸는 복수의 기어 이(gear teeth)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선 기어의 회전 속도보다 느린 2차 감속 회전속을 출력하는 제2 링 기어; 및
    상기 제2 선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선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링 기어에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는 상기 1차 감속 회전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1 링 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회전축은 상기 2차 감속 회전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2 링 기어의 샤프트 결합공에 연결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유성 기어는,
    상기 제2 선 기어에 직접 기어 결합된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복수의 내측 유성 기어와 상기 제2 링 기어 사이에 기어 결합된 복수의 외측 유성 기어;를 포함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유성 기어 및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개수는 각각 3×L 개이며, 상기 L은 자연수인,
    주서기용 감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1 개이고, 상기 내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2 개이고,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3 개이고, 상기 제2 링 기어의 기어 잇수는 3×M4 개이며, 상기 M1, M2, M3, M4는 각각 자연수인,
    주서기용 감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1 개이고, 상기 내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2 개이고, 상기 외측 유성 기어의 기어 잇수는 15×N3 개이고, 상기 제2 링 기어의 기어 잇수는 60×N4 개이며, 상기 N1, N2, N3 , N4는 각각 자연수인,
    주서기용 감속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기가 상기 감속 장치의 장착에 따른 저속 모드 또는 상기 감속 장치의 제거에 따른 고속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감속 장치는 상기 주서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서기용 감속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속 장치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0140163381A 2013-12-09 2014-11-21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KR2015006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43A KR20150067014A (ko) 2013-12-09 2014-10-15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KR1020140163381A KR20150067022A (ko) 2013-12-09 2014-11-21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CN201480006421.3A CN104956122B (zh) 2013-12-09 2014-12-03 齿轮减速器、和包括该齿轮减速器的榨汁机
PCT/KR2014/011765 WO2015088176A1 (en) 2013-12-09 2014-12-03 Gear reducer, and juicer including same
JP2016557856A JP6381666B2 (ja) 2013-12-09 2014-12-03 減速装置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US14/761,692 US9844303B2 (en) 2013-12-09 2014-12-03 Gear reducer, and juicer including same
EP14869504.2A EP3080481A4 (en) 2013-12-09 2014-12-03 Gear reducer, and juicer including same
TW103142748A TWI642862B (zh) 2013-12-09 2014-12-09 齒輪減速器及包含該齒輪減速器的榨汁機
HK15110922.5A HK1210253A1 (en) 2013-12-09 2015-11-05 Gear reducer, and juice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2622 2013-12-09
KR1020130152622 2013-12-09
KR1020140138843A KR20150067014A (ko) 2013-12-09 2014-10-15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KR1020140138843 2014-10-15
KR1020140163381A KR20150067022A (ko) 2013-12-09 2014-11-21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022A true KR20150067022A (ko) 2015-06-17

Family

ID=53371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43A KR20150067014A (ko) 2013-12-09 2014-10-15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KR1020140163381A KR20150067022A (ko) 2013-12-09 2014-11-21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43A KR20150067014A (ko) 2013-12-09 2014-10-15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44303B2 (ko)
EP (1) EP3080481A4 (ko)
JP (1) JP6381666B2 (ko)
KR (2) KR20150067014A (ko)
CN (1) CN104956122B (ko)
HK (1) HK1210253A1 (ko)
TW (1) TWI642862B (ko)
WO (1) WO2015088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6549B2 (en) * 2014-03-21 2018-06-12 Entangled Media Corp. Method to construct a file system based on aggregated metadata from disparate sources
FR3042396B1 (fr) * 2015-10-20 2018-05-04 Santos Appareil electrique de preparation de jus par pressage d'aliments
JP2017088091A (ja) * 2015-11-16 2017-05-25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ドライブユニット
ITUB20160108A1 (it) * 2016-02-02 2017-08-02 Andrea Olivieri Apparato di spremitura prodotti alimentari e suo metodo di trattamento
CN106377151A (zh) * 2016-05-13 2017-02-08 卜鹏飞 一种榨汁机
CN109259623A (zh) * 2018-09-30 2019-01-25 唐作龙 一种新型的搅打装置
CN109938063B (zh) * 2019-04-17 2024-02-13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驱动装置、驱动底座及立式和面机
CN110384386A (zh) * 2019-08-12 2019-10-29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可兼用搅拌机的榨汁机
US10986964B2 (en) * 2019-08-27 2021-04-27 Dart Industries Inc. Dual speed manual stand mixer
CN110811279A (zh) * 2019-11-08 2020-02-21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一种榨汁机和搅拌机兼容动力装置
CN110833305A (zh) * 2019-11-08 2020-02-25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榨汁机和搅拌机兼容动力装置
DE102021109668A1 (de) 2021-04-16 2022-10-20 Hochschule Konstanz Getriebe für eine Arbeitsmaschine und Arbeitsmaschine
EP4335328A1 (de) * 2022-09-06 2024-03-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ntsaftermodul für ein zubereitungsgefäss, küchengerät und getriebeeinheit
CN117489757B (zh) * 2024-01-03 2024-03-22 常州市曼多林精密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行星减速机的防松脱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1252A (en) * 1956-03-08 1960-04-05 Int Harvester Co Planetary transmission assembly
US3136180A (en) * 1962-08-09 1964-06-09 Clyde H Sprague Planetary transmission
US4142426A (en) * 1976-10-26 1979-03-06 Trochoidal Gear Technology, Inc. Hypotrochoidal planetary gear speed changers
US4255987A (en) * 1978-05-10 1981-03-17 Rotor Tool Company Reversible speed reduction mechanism
US5136197A (en) * 1991-06-25 1992-08-04 Clarence Hallett Reaction containment drive for power tool
AU5119899A (en) * 1998-08-18 2000-03-14 Mattel, Inc. Gear system having nested modules
JP2000139731A (ja) * 1998-11-17 2000-05-23 Toshiba Tec Corp 調理器
US6632154B2 (en) * 2000-01-21 2003-10-14 Seiko Epson Corporation Gear apparatus
KR100653943B1 (ko) 2005-05-13 2006-12-05 정종길 감속기
KR100741140B1 (ko) 2005-12-22 2007-07-20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가공기 및 이에 이용되는 감속장치
KR100755440B1 (ko)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EP2071212A1 (en) * 2007-12-13 2009-06-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avigneaux gearset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20100124372A (ko) * 2009-05-19 2010-11-29 (주) 모스펙 감속기의 동력전달장치
DE112011102964B4 (de) * 2010-05-21 2018-12-06 Nsk Ltd. Radnabenmotor
KR20110138107A (ko) * 2010-06-18 2011-12-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201822693U (zh) * 2010-09-21 2011-05-11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传动装置
KR101304086B1 (ko) * 2012-09-20 2013-09-05 신중호 2축 동시회전형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0180A (ja) 2017-01-05
CN104956122B (zh) 2019-08-02
KR20150067014A (ko) 2015-06-17
TW201538872A (zh) 2015-10-16
CN104956122A (zh) 2015-09-30
HK1210253A1 (en) 2016-04-15
US20150342410A1 (en) 2015-12-03
EP3080481A4 (en) 2017-08-16
WO2015088176A1 (en) 2015-06-18
TWI642862B (zh) 2018-12-01
JP6381666B2 (ja) 2018-08-29
EP3080481A1 (en) 2016-10-19
US9844303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7022A (ko) 감속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주서기
CN202775969U (zh) 一种家用立式食品搅拌机
CN203985981U (zh) 柚子剥皮机
WO2013107008A1 (zh) 一种食物处理机预破碎装置及使用其的榨汁机
CN106136966A (zh) 兼具快速粉碎、慢速挤压的同轴两速榨汁机
CN208551048U (zh) 一种正反双向转动刀片传动装置及其搅拌机
CN203662514U (zh) 一种水果榨汁机
KR102216074B1 (ko) 다기능 주서기
CN106377151A (zh) 一种榨汁机
CN201230809Y (zh) 双轴式果菜机
CN203650584U (zh) 家用多功能果蔬切削机
CN202775968U (zh) 家用立式食品搅拌机
CN105380494A (zh) 一种切磨一体榨汁机的传动机构
CN203524431U (zh) 一种粉碎刀片与研磨刀片结合的双速果汁机
CN203897977U (zh) 一种榨汁机
CN204617859U (zh) 一种大口径原汁机
CN101785564A (zh) 一种切半式榨汁机
CN207590468U (zh) 一种柑橘脱汁机构
CN203619390U (zh) 带有齿轮离合装置的安全型食品加工机
CN103479223B (zh) 多营养饮料加工方法
CN104939657A (zh) 食物捣碎机
CN205887077U (zh) 单离合器传动绞切两用机
CN200985986Y (zh) 离合器和减速器二合一动力传输装置
KR20210019919A (ko) 믹서기로 겸용 사용이 가능한 착즙 주스기
CN102788125B (zh) 一种自动排渣榨汁机传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