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990A -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 Google Patents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990A
KR20150065990A KR1020130150483A KR20130150483A KR20150065990A KR 20150065990 A KR20150065990 A KR 20150065990A KR 1020130150483 A KR1020130150483 A KR 1020130150483A KR 20130150483 A KR20130150483 A KR 20130150483A KR 20150065990 A KR20150065990 A KR 20150065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fuel
drying chamber
discharge pipe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훈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사이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사이언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사이언팜
Priority to KR102013015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990A/ko
Publication of KR2015006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8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a single undivided hopper within stove or range
    • F24B1/14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a single undivided hopper within stove or range with predistillation in the h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연소실과 건조실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젖은 연료도 건조시켜 연소시킬 수 있고 건조실의 건조된 연료를 일정하게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는 스크류를 구비함으로써, 관리가 쉽고 효율적으로 난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연소시 발생되는 재 회분을 간소하게 한곳으로 수집할 수 있고, 연소시 발생되는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을 응결하여 악취를 줄일 수 있도록 냉각탱크 및 응결수저장탱크를 구비함으로써, 함수율이 높은 연료 예를 들면, 축분, 음식물 슬러지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악취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Stove having a fuel drying chamber}
본 발명은 난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과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여 건조실에 배치되는 함수율이 높은 연료를 건조하여 연소시킬 수 있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축분, 공장의 유기성 슬러지 등은 연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열량을 갖고 있으나 젖어 있기 때문에 연료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젖은 상태의 유기성 폐기물은 일부 사료나 퇴비로 활용되고 있으나 해양투기가 금지된 후 대다수 강제소각과 매립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막대한 소각비용, 매립비용, 악취, 침출수, 공해유출 등의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젖은 상태의 연료를 태울 수 있는 난로를 만들어 가정과 산업현장 내지는 시설재배 농가 등에 보급하고자 개발하게 되었다.
일반적인 난로는 가스, 석유, 석탄, 팰렛 등 건조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장치이다. 젖은 연료(축분 등)는 불을 붙이기도 힘들고 설령 붙인다 하더라도 수증기에 의해 곧 꺼져버리며,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이 문제가 된다.
또한, 축분과 같은 함수율이 높은 연료를 일정하게 공급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는 장치를 보급하고자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5443호에 개시되어 있는 화목보일러는 건조실을 구비하지 않아 함수율이 높은 유기물을 태우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석유나 가스를 투여해 강제연소를 시켜주어야 하며 불완전연소로 인해 많은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JP 4,942,491에 개시되어 있는 건조실을 갖춘 난로의 경우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며, 건조실이 측면에 부착되어 있어 간접열 만을 사용하여 효율이 낮으며 연소 시 목재와 석탄을 함께 연소시키는 용도로 고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7707호에 개시되어 있는 난로의 경우 젖은 나무와 마른 나무를 연소실에 함께 넣음으로 인해 함수율이 높은 유기물의 경우 수증기의 증발로 즉시 연소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젖은 유기물을 연속적으로 연소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젖은 연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실을 연소실 상단에 연소실과 분리하여 마련함으로써 건조 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연소가 중단되거나 불완전 연소가 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건조실에서 발생한 수증기와 악취 물질 그리고 불완전 연소가스는 외부로 방출할 경우 악취와 대기오염은 물론 물을 증발시키는데 소요된 많은 열량을 그대로 버리게 된다. 따라서 건조실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배관을 통해 냉각탱크로 통과시켜 물로 냉각하여 수증기를 액화시키거나 연통을 길게 하여 공기로 열을 방출시켜 냉각함으로써 수증기를 액화하여 잠열을 회수한다. 이때 수증기의 액화로 발생한 응결수에 악취유발물질 및 불완전 연소물질 일부가 함께 녹아들어 응결수 저장탱크로 제거되는 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불완전 연소가스의 발생 원인은 상단 건조실의 유기물이 하단 연소실의 지속적인 가열로 인해 건조과정을 지나 숯이 될 때 가연성 휘발물질이 발생되기 때문이며, 유기물(연료)이 거의 다 마르게 되면 이 가연성 가스가 직접적으로 연소될 수도 있다. 이런 직접적인 연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단 건조실은 연소실에 비해 작게 만들어 원료로 가득 채움으로써 적은 양의 수증기만으로도 연소를 용이하게 억제하여 연소가능성을 낮춘다. 하지만 직접 연소되어도 열량은 어차피 저수조를 통해 회수 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상단 건조실을 연소실과 같이 크게 만들어 직접 연소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연소실과 건조실을 일정한 경사가 생기도록 형성시키고, 건조된 연료(유기물)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류를 구비함으로써, 건조된 연료를 일정한 속도로 연소실로 이동시켜 연소실의 발화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불타는 발화 특성상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실에서 연료의 발화를 도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는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 일면에 마련되는 공기유입구; 상기 연소실 일면에 마련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연소실 하부에 마련되는 연소실관; 상기 연소실관 상부에 마련되는 철망; 상기 연소실 상부에 마련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 내측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마련되는 스크류보호관; 상기 스크류보호관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가스배출관; 일단은 상기 제 1 가스배출관의 타단과 연결되고 연소실 내부와 연결되는 제 2 가스배출관;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결되는 제 3 가스배출관 및 상기 연소실의 상단과 상기 건조실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실 및 상기 건조실은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는 연료(유기물)의 함수율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건조실을 구비하여 연료를 건조시킬 수 있어 젖은 연료도 건조하여 연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건조실의 건조된 연료를 일정하게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는 스크류를 구비함으로써, 일정하고 간소하게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쉽고 효율적으로 난로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는 건조실은 연료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는 연소실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옮겨지는 연소의 특성상 연료 연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고, 연소시 발생되는 재 회분을 간소하게 한곳으로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소시 발생되는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성분을 응결하여 악취를 줄일 수 있도록 냉각탱크 및 응결수저장탱크를 구비함으로써, 함수율이 높은 연료 예를 들면, 축분, 음식물 슬러지 등 과 같은 연료를 연소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어 악취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연료의 타고난 재(회분)을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연소실 하부에 재수집부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손쉽게 재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응결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응결수는 농장에 액상비료로 사용되어 농작물 생장에 도움을 주고, 응결수를 한곳에 수집하기 때문에 응결수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의 연소실 및 건조실의 일단면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의 일단면을 제거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의 철망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망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의 일 단면을 제거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는 연소실(10), 공기유입구(110), 공기배출구(120), 연소실관(130), 철망(30), 건조실(20), 스크류(210), 모터(220), 스크류보호관(230), 제 1 가스배출관(40), 제 2 가스배출관(50), 제 3 가스배출관(60) 및 연료공급부(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연소실(10)은 내부에서 연료(5)를 연소시키는 공간이다. 연소실(10)은 후술할 철망(30), 연소실관(130), 제 2 가스배출관(50) 등이 내부에 배치된다. 연소실(10)에서 연료(5)를 연소시킴으로서, 건조실(20)에 열을 가하여 건조실(20) 내부에 마련되는 연료(5)를 건조시킬 수 있게 만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10) 일측면에 마련되는 연소실연료투입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소실연료투입부(150)는 연소실(10) 내에 직접적으로 연료(5)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만들고, 연소실(1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만든다. 연료(5)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료(5)는 축분, 음식물쓰레기, 슬러지, 나무, 석탄, 유기물 등이 이용된다. 연소실(10)과 건조실(20)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10)과 건조실(20)은 5 내지 40°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공기유입구(110)는 연소실(10) 일면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10) 일면 하부에 마련되어 연소실(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한다. 또한,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재(회분)을 연소실(10) 외부로 배출시 이용된다.
도 2를 참고하면, 공기배출구(120)는 연소실(10) 일면에 마련된다. 공기배출구(120)는 연소실(10)에서 연소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기배출구(120)는 공기유입구(110)와 마주보는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연소실관(130)은 연소실(10) 하부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배출구(120)와 일정한 위치가 떨어져 있는 곳에 마련되어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기체를 공기배출구(120)로 유입될 수 있게 만든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소실관(130)은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소실관(130)은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재가 공기배출구(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철망(30)은 연소실관(130) 상부에 마련된다. 철망(30)은 후술할 건조실(20)에서 스크류(2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5)를 지지하여 기체(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만들어 연료(5)의 연소를 보다 좋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구체적으로 철망(30)은 2 내지 5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 다 더 구체적으로 철망(30)은 파형(Wave)으로 형성된다. 철망(30)은 일부분이 연소실관(130)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공기유입구(11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비되어 연료(5)가 보다 잘 연소될 수 있게 만든다. 연료(5) 연소 특성상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불이 붙기 때문에 철망(30)을 기울어지게 만들어 연소율을 보다 좋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연료(5)에서 발생되는 재를 공기유입구(110)로 보다 쉽게 수집할 수 있게 만든다. 철망(30)과 철망(30) 사이는 5 내지 20 cm 이격된다. 이는 철망(30)과 철망(30)이 너무 붙어 있으면 공기 유입이 어려워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연소율이 낮기 때문에 철망(30)과 철망(30) 사이에 연소를 좋게 만드는 간격을 제공하여 기체(공기)의 흐름을 보다 좋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상부 철망(30)에서 연소되어 떨어지는 조각을 하부 철망(30)에서 받쳐주기 때문에 연소 효과를 보다 좋게 만든다. 도 4를 참고하면, 파형의 주기는 5 내지 20 cm 로 마련된다. 이는 연료(5)가 파형이 만들어 내는 홈에 쌓이게 만들어 집중적으로 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고, 파형으로 인하여 기체(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보다 효과적으로 연료(5)를 연소시킬 수 있다.
건조실(20)은 연소실(10) 상부에 형성된다. 건조실(20)은 연소실(10)에서 연료(5)를 연소시키는 열을 이용하여 건조실(20) 내부를 건조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실(20) 상부에 마련되는 건조실연료투입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건조실연료투입부(240)는 연료(5)를 건조실(20)에 투입할 수 있게 만든다.
도 3을 참고하면, 스크류(210)는 건조실(20) 내부에 마련되고, 건조실(20) 하부면을 따라 형성된다. 스크류(210)는 건조실(20)에 구비되는 연료(5)를 후술할 연료공급부(70)를 통하여 연소실(10)로 공급한다. 이는 축분과 같은 연료(5)를 연소실(10)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만든다.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는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스크류(210)를 통하여 연료(5)를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스크류(210)는 스크류(210)가 회전하는 공간에 홈을 만들기 때문에 가스와 같은 기체가 스크류(210)가 만드는 공간을 통하여 후술할 제 1 가스공급관(40)으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게 만든다.
모터(220)는 스크류(210)의 일단과 연결된다. 모터(220)는 스크류(210)를 구동시켜 스크류(210)를 회전하게 만든다.
도 3을 참고하면, 스크류보호관(230)은 스크류(210)의 일단에 마련된다. 스크류보호관(230)은 건조실(20)에 배치되는 연료(5)가 스크류(21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기체)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만든다. 스크류보호관(23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반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보호관(230)의 일단에 마련되는 보호부재(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부재(260)는 스크류(210)를 연료(5)가 끼이는 현상으로부터 스크류(210)를 보호하고, 연료(5)가 건조실(20) 내부에서 스크류(210) 방향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체(공기) 통로를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가스배출관(40)은 일단이 스크류보호관(230)과 연결된다. 제 1 가스배출관(40)은 스크류보호관(230)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후술할 응결수저장탱크(410) 또는 제 2 가스배출관(50)으로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면, 제 1 가스배출관(40)의 일면에는 보조가스배출구(440)를 마련하여 건조실(20) 내부에서 기체(공기)를 제 1 가스배출관(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2 가스배출관(50)은 일단이 상기 제 1 가스배출관(4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연소실(10) 내부와 연결된다. 제 2 가스배출관(50)은 후술할 응결수저장탱크(410)를 구비시 응결수저장탱크(410)와 일단이 연결된다. 제 2 가스배출관(50)은 제 1 가스배출관(40) 또는 응결수저장탱크(410)에서 유입되는 기체(공기)를 연소실(10) 내부로 공급한다.
제 3 가스배출관(60)은 일단이 공기배출구(120)와 연결된다. 제 3 가스배출관(60)은 연소실(10)에서 발생되는 연소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연료공급부(70)는 연소실(10)의 상단과 건조실(20)의 하단을 연결한다. 즉 연료공급부(70)는 연소실(10)의 상단과, 건조실(20)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건조실(20)의 연료(5)를 연소실(10)로 공급하는데 이용된다. 연료공급부(70)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는 응결수저장탱크(410), 냉각탱크(420) 및 응결수배출관(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응결수저장탱크(410)는 제 1 가스배출관(40)의 타단 및 제 2 가스배출관(50)의 일단과 연결된다. 응결수저장탱크(410)는 냉각탱크(420)가 제 1 가스배출관(40)을 냉각하면 제 1 가스배출관(40)에서 발생되는 응결수를 응결수저장탱크(410)에 수집한다. 이러한 응결수를 제거하는 과정은 연료(축분)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성분을 제거할 수 있어 연료(5) 연소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결수는 액상 비료와 같은 비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냉각탱크(420)는 제 1 가스배출관(40)의 일면에 마련된다. 냉각탱크(420)는 제 1 가스배출관(40)을 냉각하여 제 1 가스배출관(40) 내부의 기체중 일부를 응결수로 만든다. 이는 공기중에 악취 성분을 응결수로 만들기 때문에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냉각탱크(420)는 제 1 가스배출관(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온수공급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응결수배출관(430)은 응결수저장탱크(410)의 일면에 마련된다. 응결수배출관(430)은 응결수저장탱크(410)에서 발생되는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만들어 간소하게 응결수를 저장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배기장치(610)는 제 3 가스배출관(60) 타단에 마련된다. 배기장치(610)는 연소실(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도와준다. 최초작동 또는 난로 이용시에 기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을 시 기체의 흐름을 순활할 수 있도록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매연저감장치(620)는 제 3 가스배출관(60)의 일면에 마련된다. 매연저감장치(620)는 제 3 가스배출관(60)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체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재수집부(140)는 공기유입구(110) 하부에 마련된다. 재수집부(140)는 공기유입부(110)에서 발생되는 재를 수집할 수 있게 만들어 재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고, 수집된 재를 간소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연소실연료투입부(150)는 연소실(10) 일면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에 마련된다. 연소실연료투입부(150)는 연소실(10)에 직접적으로 연료(5)를 투입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연료(5)를 투입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건조실연료투입부(240)는 건조실(20) 상부 일면에 마련된다. 건조실연료투입부(240)는 연료(5)를 건조실(2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진동장치(250)는 건조실(20) 일면에 마련된다. 진동장치(250)는 건조실(20) 내부에 진동을 전달하는 장치로, 축분과 같은 연료(5) 이용시 연료(5)가 뭉치는 현상을 진동으로 해결하여 건조실(20)의 연료(5)를 보다 효과적으로 연소실(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5 : 연료
10 : 연소실, 20 : 건조실,
30 : 철망, 40 : 제 1 가스배출관,
50 : 제 2 가스배출관, 60 : 제 3 가스배출관,
70 : 연료공급부,
110 : 공기유입구, 120 : 공기배출구,
130 : 연소실관, 140 : 재수집부,
150 : 연소실연료투입부,
210 : 스크류, 220 : 모터,
230 : 스크류보호관, 240 : 건조실연료투입부,
250 : 진동장치, 260 : 보호부재,
410 : 응결수저장탱크, 420 : 냉각탱크,
430 : 응결수배출관, 440 : 보조가스배출구,
610 : 배기장치, 620 : 매연저감장치.

Claims (12)

  1. 연료(5)를 연소하는 연소실(10);
    상기 연소실(10) 일면에 마련되는 공기유입구(110);
    상기 연소실(10) 일면에 마련되는 공기배출구(120);
    상기 연소실(10) 하부에 마련되는 연소실관(130);
    상기 연소실관(130) 상부에 마련되는 철망(30);
    상기 연소실(10) 상부에 마련되는 건조실(20);
    상기 건조실(20) 내측 하부면을 따라 형성되어 연료를 공급하는 스크류(210);
    상기 스크류(210)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210)를 구동하는 모터(220);
    상기 스크류(210)의 일단에 마련되는 스크류보호관(230);
    상기 스크류보호관(230)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가스배출관(40);
    일단은 상기 제 1 가스배출관(40)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소실(10) 내부와 연결되는 제 2 가스배출관(50);
    일단이 상기 공기배출구(120)와 연결되는 제 3 가스배출관(60) 및
    상기 연소실(10)의 상단과 상기 건조실(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료공급부(70)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실(10) 및 상기 건조실(20)은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배출관(40)의 타단 및 제 2 가스배출관(50)의 일단과 연결되는 응결수저장탱크(410);
    상기 제 1 가스배출관(4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가스배출관(40)을 냉각하여 응결수를 만드는 냉각탱크(420) 및
    상기 응결수저장탱크(410) 일면에 마련되는 응결수배출관(430)을 포함하고,
    상기 응결수저장탱크(410)는 응결수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스배출관(60)의 타단에 마련되는 배기장치(6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가스배출관(60)의 일면에 마련되는 매연저감장치(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30)은 2 내지 5 개 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철망(30)은 상하로 5 내지 20 c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30)은 파형 모양으로 구비되고,
    상기 파형은 5 내지 20 cm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110) 하부에 마련되는 재수집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 일면에 마련되는 연소실연료투입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 상부 일면에 마련되는 건조실연료투입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 일면에 마련되는 진동장치(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보호관(230) 일단에 마련되는 보호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배출관(40) 일면에 마련되는 보조가스배출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실을 구비하는 난로.
KR1020130150483A 2013-12-05 2013-12-05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KR20150065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83A KR20150065990A (ko) 2013-12-05 2013-12-05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83A KR20150065990A (ko) 2013-12-05 2013-12-05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990A true KR20150065990A (ko) 2015-06-16

Family

ID=5351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83A KR20150065990A (ko) 2013-12-05 2013-12-05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59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783A (ko) 2018-03-13 2019-09-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 건조실을 구비한 다목적 가정용 난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783A (ko) 2018-03-13 2019-09-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연료 건조실을 구비한 다목적 가정용 난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431B1 (en) Multifunctional disposal apparatus
CN104819471A (zh) 一种垃圾快速焚烧炉
JP6101889B2 (ja) 木屑バイオマスを燃料とする連続温水製造装置
KR101163195B1 (ko) 기화식 펠렛 버너
EP089151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rning organic material
KR20150065990A (ko) 연료 건조실을 구비하는 난로
KR101187581B1 (ko) 바이오매스 발전 장치
JP2007322099A (ja) 乾留ガス化燃焼炉
CN206695136U (zh) 一种垃圾燃烧炉
KR102141300B1 (ko) 고체연료 열병합 발전 시스템
KR100890339B1 (ko) 축산 분뇨용 터보차저방식 복합 열기구
JP3144474U (ja) 薪燃焼機能を兼備したペレットボイラ−
KR100961275B1 (ko) 축산 배설물 소각 보일러
KR100508766B1 (ko) 소각장치
RU23756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жигания смеси углеродосодержащих материалов и помета
Richey et al. Biomass channel-gasification furnace
EP3004738B1 (en) Production plant of thermal energy and/or electricity from biomass
JP5838430B1 (ja) 燃焼装置及びボイラー
CN103712218B (zh) 一种环保垃圾焚烧工艺及配套装置
KR20090118599A (ko) 양계 폐기물의 연소가 가능한 보일러
JPH0619944Y2 (ja) 湿潤固型物連続焼却炉
JP3128604U (ja) 温水ボイラ設備
KR100912581B1 (ko) 입자형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 장치
TWI334472B (ko)
KR20210068783A (ko) 축산분뇨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