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376A -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376A
KR20150065376A KR1020130150622A KR20130150622A KR20150065376A KR 20150065376 A KR20150065376 A KR 20150065376A KR 1020130150622 A KR1020130150622 A KR 1020130150622A KR 20130150622 A KR20130150622 A KR 20130150622A KR 20150065376 A KR20150065376 A KR 20150065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adiation
radiation image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박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5376A/ko
Priority to US14/485,007 priority patent/US10327723B2/en
Priority to EP14193235.0A priority patent/EP28834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6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 중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던 뷰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선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OF RADIOACITVE IMAGE}
대상체에 방사선을 투과시켜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을 인체나 물건과 같은 피사체에 조사하여 상기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시스템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이 피사체에 조사될 때 피사체 내부의 물질이나 구조의 특성에 따라서 방사선이 흡수되어 감쇠되거나 투과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해 살펴보면, 인체 등의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피사체 내부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한 후, 수광된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방사선 신호를 획득하여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방사선 영상 장치 중에서 대상체를 유방으로 하는 장치를 맘모그래피(mammography)라 한다. 유방은 유선 조직과 지방 조직이 발달한 부위이기 때문에, 방사선 소스와 방사선 검출기 사이에 위치한 유방을 압착 패들로 압착한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을 수행해야 유방의 내부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는 방사선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대상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에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 중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되면,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던 뷰 영역에 제2 방사선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던 뷰 영역에 확장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확장 영역에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확장 영역에 표시된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삭제되면, 확장 영역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확장 영역의 표시 여부를 입력 받는 접기 버튼을 확장 영역이 생성된 뷰 영역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과 대응되도록 대상체를 다시 촬영하여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은, 서로 대응되는 대상체를 동일한 각도로 촬영된 방사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방사선 영상 및 제2 방사선 영상에 테그를 생성하고, 제1 방사선 영상 및 제2 방사선 영상 각각의 테그를 생성하고, 테그가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확장 영역에 표시된 제1 방사선 영상과 제2 방사선 영상의 위치가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사선 영상 및 제2 방사선 영상은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영상 표시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 중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방사선 영상이 획득되는 제2 영상 획득 단계;와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제2 방사선 영상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제2 영상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제2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 내에 확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확장 영역에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 방사선 영상 및 확장 영역을 삭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확장 영역의 표시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방사선 영상과 제2 방사선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획득 단계는,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획득 단계는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과 대응되도록 대상체를 다시 촬영하여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 표시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은, 서로 대응되는 대상체를 동일한 각도로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 표시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의 테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테그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제1 방사선 영상의 테그와 식별되도록 제2 방사선 영상의 테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상관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하나의 뷰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방사선 영상 장치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방사선 발생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획득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사용자로부터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 받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로부터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을 입력 받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추가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추가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추가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확장 영역 숨김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방사선 영상 조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는 대상체에 대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 중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동일한 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를 유방영상촬영장치(Mammography)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동일한 뷰 영역에 표시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모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방사선 영상 장치의 대상체(30)는 유방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모듈(102)은 방사선 발생부(110)와 방사선 검출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대상체(30)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대상체(30)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여 대상체(30)에 대한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30)는 환자의 유방일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의 일측은 연결암(103)과 결합되어, 하우징(10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연결암(103)에 결합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방사선 촬영 모듈(102)은 방사선 발생부(110)와 방사선 검출부(120) 사이에 압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착부(130)는 상하로 이동하여 접촉부(104)에 올려진 대상체(30)를 압착할 수 있다. 이는 대상체(30)인 유방이 연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인바, 유방을 압착함으로써, 더 선명한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유방을 압착하면 대상체(30)의 두께가 감소되어 대상체(30)의 방사선 노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호스트 장치(106)는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와 방사선 영상 장치(10)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50) 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영상 장치(10)는 방사선 영상 장치(10)의 사용자의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선을 촬영하는 영역과 호스트 장치를 조작하는 영역을 분리하는 차폐막(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폐막(20)은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납과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방사선 영상 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방사성 영상 장치의 외관 및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방사선 영상 장치(10)는 대상체(30)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대상체(30)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방사선 촬영 모듈(102),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 시키기 위한 촬영 모듈 구동부(140), 사용자로부터 방사선 영상 장치(10)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 받는 명령부, 방사성 영상 장치와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60), 방사선 영상 장치(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이때, 방사선 촬영 모듈(102)은 방사선을 발생시켜는 방사선 발생부(110), 대상체(30)인 유방을 압축하기 위한 압착부(130), 대상체(30)를 통과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부(120)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 발생부(11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방사선 발생부(11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방사선 영상 장치(10)의 방사선 발생부(110)는 소정 에너지의 방사선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사선을 소정의 방향, 일례로 대상체(30)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발생부(110)는 방사선을 생성하기 방사선 튜브(110a) 및 방사선 튜브(110a)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튜브(110a)는 다른 부품을 내장하고 있는 관체(111), 음극(112) 및 양극(애노드, 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극(112)에는 전자가 집결되는 필라멘트(11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양극에는 필타멘트(113)에서 발생된 전자가 충돌하면서 감속하는 타겟(11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관체(111)는 소정의 규산 경질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관일 수 있으며, 관체(111) 내의 음극(112) 및 양극(114)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관내의 진공도를 10-7mmHg 정도로 높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음극(112)의 필라멘트(113)는 전원(120)과 연결되어 전원(120)에서 인가되는 관전압에 따라 가열되어 소정 에너지의 전자를 관체(111) 내부로 방출시킨다. 음극의 필라멘트(113)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텅스텐(W)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극(112)는 필요에 따라서 방출되는 전자를 집속시키는 집속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음극(112)은 필라멘트(113) 대신에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음극(112)의 필라멘트(113)에서 방출되는 전자는 관체(111) 내에서 가속되면서 양극(1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양극(114) 방향으로 이동하던 가속 전자는 양극(114)에 형성된 타겟(115)에 충돌하면서 쿨롱힘에 의해 급격하게 감속하게 되는데, 전하가 감속될 때 에너지 보전 법칙에 따라서 인가된 관전압에 상응하는 에너지의 방사선이 발생하게 된다.
양극(114)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고정 양극(114)은 소정의 각도로 절삭되어 있을 수 있고, 절삭된 부위에 필라멘트(113)에서 방출되어 가속된 전자가 충돌하게 되는 타겟(1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양극(114)의 절삭각은 관축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20도 정도일 수 있다. 타겟(115)에는 가속된 전자가 충돌하게 되는 충돌면인 초점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초점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초점에서는 가속된 전자의 충돌에 따라 소정의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양극(114)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겟(115)은 텅스턴(W), 크롬(Cr), 철(Fe), 니켈(Ni)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양극은 회전 가능한 원판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양극은 가속 전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극은 1분 당 3,600회 내지 10,800회로 회전할 수도 있다. 양극의 원판의 경계면은 소정의 각도로 절삭되어 있을 수 있다. 원판의 경계면의 절삭된 부위에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필라멘트에서 방출된 전자가 충돌하게 되는 타겟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양극은 양극에 결합된 로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양극의 회전에 따라 타겟 역시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극의 회전에 따라 타겟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된 경우와 비교하여 열 축적율의 증대 및 초점 크기 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더욱 선명한 방사선 영상의 획득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또한, 양극(115)에서 방사선이 발생하면 발생된 방사선은 소정의 방향, 일례로 대상체(30)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의 조사 방향 상에는 소정의 콜리메이터(117)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콜리메이터(117)는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은 통과시키고 특정 방향 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은 흡수하거나 반사시켜 필터링(filtering)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콜리메이터(117)는 방사선 발생부(110)가 소정의 범위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117)는 예를 들어 납(Pb)과 같이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콜리메이터(117)를 통과한 방사선은 소정의 필터를 투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필터는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소정의 필터는 콜리메이터(117)를 통과한 방사선을 일정 정도로 감쇠시킬 수도 있다.
전원(110b)은 방사선 튜브(110)의 양극(114)과 음극(112)에 소정의 전압, 즉 관전압을 인가하여 양극(114)에서 방생하는 방사선 에너지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 발생부(110)는 전원에서 방사선 튜브(110)에 인가되는 관전압과, 관전류, 방사선 노출 시간에 따라서 방사선의 에너지 및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 검출부(12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방사선 검출부(120)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방사선 검출부는 방사선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사선 검출기는 대상체(30)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고, 검출한 방사선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방사선 검출기는 재료 구성 방식, 검출된 방사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 및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방사선 검출기는 재료 구성 방식에 따라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와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단일 소재의 반도체로 구성되거나,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수광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단일하게 이용하는 경우이다.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각기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나 CdZnTe 등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검출하고 CMOS ROIC(Read Out Intergrated Circuit)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스트립 검출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검출하고 CMOS ROIC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경우 및 a-Si 또는 a-Se 플랫 패널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리고, 방사선 검출기는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에 따라 직접 변환 방식과 간접 변환 방식으로 구분된다.
방사선이 조사되면 수광 소자 내부에 일시적으로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수광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어 있는 전장에 의해 전자는 양극으로 정공은 음극으로 이동하는바, 직접 변환 방식에서는 방사선 검출기가 이러한 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직접 변환 방식에서 수광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은 a-Se, CdZnTe, HgI2, PbI2 등이 있다.
간접 변환 방식에서는, 수광 소자와 방사선 소스 사이에 섬광체(scintillator)를 구비하여 방사선 소스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섬광체와 반응하여 가시광 영역의 파장을 갖는 광자(photon)를 방출하면 이를 수광 소자가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간접변환방식에서 수광 소자로 사용되는 물질은 a-Si 등이 있고, 섬광체로는 박막 형태의 GADOX 섬광체, 마이크로 기둥형 또는 바늘 구조형 CSI(T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검출기는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전하를 일정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그로부터 신호를 획득하는 전하 누적 방식(Charge Integration Mode)과 단일 방사선 광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문턱 에너지(threshold energy)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광자를 계수하는 광자 계수 방식(Photon Counting Mode)으로 구분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10)는 방사선 검출기를 구현함에 있어 전술한 다양한 방식 중 어느 것이든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전술한 방식 외에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다른 방식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방사선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직접 획득하는 직접 변환 방식 및 방사선을 검출하는 수광 소자와 독출 회로 칩이 결합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적용된 방사선 검출기를 포함하는 방사선 검출부를 일 예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사선 검출부(120)는 방사선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수광 소자(121)와 전기적인 신호를 읽어 내는 독출 회로(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독출 회로(122)는 복수의 픽셀 영역을 포함하는 2차원 픽셀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광 소자(121)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낮은 에너지와 적은 선량에서의 높은 해상도와 빠른 응답 시간 및 높은 동적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결정 반도체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단결정 반도체 물질은 Ge, CdTe, CdZnTe, GaAs 등이 있다.
수광 소자(121)는 고저항의 n형 반도체 기판(121a)의 하부에 p형 반도체가 2차원 픽셀 어레이 구조로 배열된 p형 층(121b)을 접합하여 PIN 포토다이오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CMOS 공정을 이용한 독출 회로(122)는 각 픽셀 별로 수광 소자(121)와 결합된다. CMOS 독출 회로(122)와 수광 소자(121)는 플립 칩 본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바, 땜납(PbSn), 인듐(In) 등의 범프(bump)(123)를 형성한 후 reflow하고 열을 가하며 압착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조는 방사선 검출부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방사선 검출부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압착부(130)는 대상체(30)와 접촉하는 압착 패들(131), 압착 패들(13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패들 구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들 구동부(132)는 방사선 촬영을 위해 압착 패들(13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체(30)가 접촉부(104)에 위치하면 패들 구동부(132)는 압착 패들(131)을 대상체(30)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착 패들(131)이 대상체(30)를 압착하도록 한다. 이때, 패들 구동부(13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압착 패들(131)을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압착 패들(131)이 이동하는 압착부(130)는 대상체(30)의 접촉 여부, 대상체(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등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패들 구동부(132)는 압착 패들(131)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모듈 구동부(140)는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방촬영장치는 대상체(30)인 유방을 복수 개의 각도로 촬영하여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각도로 유방을 촬영하기 위해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모듈 구동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암(103)과 방사선 촬영 모듈(102)이 결합된 경우에는 촬영 모듈 구동부(140)는 연결암(103)을 회전시켜, 연결암(103)과 결합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촬영 모듈 구동부(140)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 토크를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는 회전 각도의 제어가 가능한 스탭핑 모터 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촬영 모듈 구동부(140)는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키기 위한 일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모듈(102) 내부에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거나, 방사선 촬영 모듈(102) 중 일부만이 회전할 수도 있다.
입력부 (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방사선 영상 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 받고,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이때, 입력부(150)는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방사선 영상 장치(1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의 표현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 구현되어, 입력부(150)의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6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부(150)로 동작도 일부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방사선 영상 장치(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10)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방사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하여야 한다.
제어부(170)는 방사선 촬영 모듈(102)과 촬영 모듈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대상체(30)에 대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방사선 발생부(110)를 제어하여 대상체(30)에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하고, 방사선 검출부(120)에서 대상체(30)를 투과한 방사선 영상을 검출하여 생성한 전지적 신호를 획득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방사선 검출부(12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전기적 신호가 강한 픽셀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밝은 색으로, 전기적 신호가 약한 픽셀에 대응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으로 해석하여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촬영 모듈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켜 대상체(30)에 대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획득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오른쪽 유방의 상하위 방사선 영상 촬영을 설명하기 위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오른쪽 유방의 내외사위 방사선 영상 촬영을 설명하기 위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오른쪽 유방의 내외 방사선 영상 촬영을 설명하기 위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대상체의 오른쪽 유방을 30R, 왼쪽 유방을 30L이라 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하우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위치시키고, 접촉부(104)와 압착 패들(131)로 오른쪽 유방(30R)을 압착하고, 압착된 오른쪽 유방(30R)을 상하 방향으로 촬영하여 오른쪽 유방(30R)의 상하위 방사선 영상(Right craniocaudal view, 이하 RCC 방사선 영상이라 한다.)을 획득한다. 이때, 상하 방향은 대흉근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RCC 방사선 영상이 획득되면, 제어부(170)는 압착 패들(131)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소정 각도(예를 들어 45ㅀ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압착 패들(131)을 접촉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오른쪽 유방(30R)을 압착하고, 압축된 유방을 내외사위 방향으로 촬영하여 오른쪽 유방(30R)의 내외사위 방사선 영상(Right mediolateral Oblique View, 이하 RMLO영상이라 한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내외사위 방향은 대흉근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RMLO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 이후, 제어부(170)는 압착 패들(131)을 접촉부(104)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계 방향으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소정 각도 회전(예를 들어 45ㅀ도)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압착 패들(131)을 접촉부(104) 방향으로 다시 이동시켜 오른쪽 유방(30R)을 압착하고, 압축된 유방을 내외 방향으로 촬영하여 오른쪽 유방(30R)의 내외 방사선 영상(Right mediolateral View, 이하 RML영상이라 한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내외 방향은 대흉근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방사선 영상 획득 방법은 왼쪽 유방(30L)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를 왼쪽 유방(30L)의 상하위 방사선 영상(left craniocaudal view, 이하 LCC 방사선 영상이라 한다.), 왼쪽 유방(30L)의 내외사위 방사선 영상(left mediolateral Oblique View, 이하 LMLO영상이라 한다.), 및 왼쪽 유방(30L)의 내외 방사선 영상(left mediolateral View, 이하 LML영상이라 한다.)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사선 영상 획득 과정은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방사선 영상의 획득 순서도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RCC 영상, LCC 영상, RMOL 영상, LMOL 영상, RMO 영상, LMO 영상 순서로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획득되는 방사선 영상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상하위 방사선 영상, 내외 방사선 영상만 획득하거나,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특정한 각도에 해당하는 방사선 영상을 추가로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되는 방사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썸네일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썸네일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검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하나 이상의 뷰 영역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뷰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뷰 영역은 서로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뷰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예를 들어, 동일한 각도로 오른쪽 유방(30R)을 촬영한 방사선 영상과 왼쪽 유방(30L)을 촬영한 방사선 영상)은 하나의 뷰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분류하여 각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방사선 영상의 분류가 변경되면, 변경된 분류에 따라 방사선 영상이 소정의 뷰 영역에 표시될 있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을 하나의 뷰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더 쉽게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방사선 영상을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각 방사선 영상의 테그를 생성하고, 테그와 각 방사선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테그는 중복되지 않도록 생성하여, 각 방사선 영상의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선 영상과 테그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방사선 영상 장치(10)는 방사선 영상 간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6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켜 획득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6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0)는 복수 개의 뷰 영역(210, 220, 230)과 메뉴 영역(2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뷰 영역에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뷰 영역에는 표시되는 방사선 영상은 서로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이다. 일반적으로 유방은 양쪽 유방의 방사선 영상을 비교하여 진단한다. 따라서, 동일한 각도로 유방을 촬영하여 획득한 방사선 영상 들은 동일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유방 진단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뷰 영역에 표시되는 방사선 영상의 위치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 지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뷰 영역 210에는 상하위 방향으로 대상체(30)인 오른쪽 유방(30R)과 왼쪽 유방(30L)을 촬영하여 획득한 방사선 영상인 RCC 영상(211), LCC 영상(212)이 표시되고, 뷰 영역 220에는 내외사위 방향으로 대상체(30)인 오른쪽 유방(30R)과 왼쪽 유방(30L)을 촬영하여 획득한 방사선 영상인 RMOL 영상(221), LMOL 영상(222)이 표시되고, 뷰 영역 230에는 내외방향으로 대상체(30)인 오른쪽 유방(30R)과 왼쪽 유방(30L)을 촬영하여 획득한 방사선 영상인 RMO 영상(231), LMO 영상(232)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각도로 촬영된 방사선 영상을 동일한 뷰 영역에 같은 높이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쪽 유방의 방사선 영상을 더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뷰 영역에는 방사선 영상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방사선 영상에 대한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각 뷰 영역의 크기는 미리 정하여진 폭과 높이에 따라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60)의 크기, 방사선 영상의 크기나 해상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각 뷰 영역의 폭과 크기는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디스플레이부(160)는 3개의 뷰 영역 210, 220, 230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뷰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되거나, 디스플레이부(160)의 해상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60)에 복수 개의 뷰 영역을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일부 뷰 영역만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뷰 영역은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각 방사선 영상을 테깅하여 테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그를 각 방사선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각 방사선 영상의 연속되는 정수(1 내지 6)를 부여하여 테그를 생성하고, 뷰 영역에 방사선 영상과 테그(213, 214, 223, 224, 233, 234)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테그는 숫자 및 문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RCC 영상 211의 일측에는 테그 213a가, LCC 영상 212의 일측에는 테그 214a가, RMLO 영상 221의 일측에는 테그 223a가, LMLO 영상 222의 일측에는 테그 224a가, RML 영상 231의 일측에는 테그 233a가, LML 영상 232의 일측에는 테그 234a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메뉴 영역은 방사선 영상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콘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뉴 영역(240)은 디스플레이부(160)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메뉴 영역(240)에는 재촬영 아이콘(241), 복사 아이콘(242), 삽입 아이콘(243), 수정 아이콘(244), 삭제 아이콘(245) 등을 표시될 수 있다.
복사 아이콘(242)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소정의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새로운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소정의 방사선 영상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재촬영 아이콘(241)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소정의 방사선 영상을 다시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여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RCC 방사선 영상을 선택하고, 재촬영 아이콘(241)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RCC 방사선 영상을 재촬영할 수 있도록 방사선 영상 장치를 조절한 이후 대상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대상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검출하여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소정의 방사선 영상은 사용자가 선택된 방사선 영상 또는 마지막으로 촬영한 방사선 영상일 수 있다.
삽입 아이콘(243)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미리 저장된 방사선 영상을 뷰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사선 영상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뷰 영역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방사선 영상을 검색하여 검색된 방사선 영상을 소정의 뷰 영역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저장된 방사선 영상이 복수 개인 경우 팝업 창을 생성하여 추가할 방사선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수정 아이콘(244)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의 대조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영상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뷰 영역을 변경하거나, 뷰 영역 내에서 표시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사선 영상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통해 뷰 영역의 오른쪽에 표시된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왼쪽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제1 뷰 영역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을 제2 뷰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아이콘(245)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소정의 방사선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삭제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팝업 창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방사선 영상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획득한 방사선 영상일 수도 있다. 아울러, 삭제 아이콘(245)는 방사선 촬영이 종료된 것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60)의 일 측에 스크롤 바(260)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스크롤 바(260)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될 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에 모든 뷰 영역을 표시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의 스크롤 바(260)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될 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방사선 영상은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여 대상체(30)를 재촬영하여 획득한 재촬영 방사선 영상,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획득한 복사 방사선 영상,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방사선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로딩 방사선 영상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입력은 상술한 재촬영 아이콘(241), 복사 아이콘(242), 추가 아이콘의 선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사용자로부터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 받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의 일 예시인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 받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 중 재촬영이 필요한 방사선 영상 211을 터치하여 재촬영 될 방사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메뉴 영역(240)에 표시된 재촬영 아이콘(241)을 터치하여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이 입력되면,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팝업 창(250)을 생성하여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팝업 창(250)은 재촬영 방사선 영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텍스트 박스(251) 및 텍스트 박스(251)에 입력된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입력 버튼(252)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재촬영 방사선 획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위치로 방사선 촬영 모듈(102)을 회전시키고, 오른쪽 유방(30R)을 압착하여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을 재촬영하여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
도 8은 사용자로부터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을 입력 받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재촬영할 방사선 영상의 선택이 되지 않더라도 소정의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촬영 아이콘(242)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마지막으로 획득된 방사성 영상(가장 최근에 획득한 방사선 영상)이 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방사선 영상이 재촬영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RCC 영상(211)이 획득된 이후, 방사선 촬영 모듈(102)이 왼쪽 유방(30L)을 상하로 압착하여 획득한 LCC 영상(212)이 획득되어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가 재촬영 아이콘(242)을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마지막에 획득한 LCC영상에 대응하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뷰 영역 21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획득된 방사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가 표시되면, 즉시 재촬영이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재촬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재촬영 아이콘(241)을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가장 최근에 촬영된 방사선 영상을 재촬영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여 가장 최근에 촬영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 획득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7 및 도8 은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 입력의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제스처로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제스처는 터치, 탭(tap), 플릭(flick), 드래그(drag) 및 스와이프(swipe)중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재촬영 방사선 영상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복사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 또는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술한 추가 방사선 영상은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추가 방사선 영상의 표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추가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6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획득한 추가 방사선 영상 215을 기존에 표시되어 있던 소정의 방사선 영상과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방사선 영상은 사용자가 추가 방사선 영상이 획득을 선택한 방사선 영상, 또는 마지막으로 촬영된 방사선 영상 등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선 영상에 대한 테그(216)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그(216)와 추가 방사선 영상(215)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추가 방사선 영상에 대한 테그(216)는 소정의 방사선 영상의 테그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방사선 영상의 테그에 대응하여 오름차순으로 테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는 추가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60)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방사선 영상 211에 대응되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것을 명령한 경우, 제어부(170)는 도 10a 도시된 것과 같이 오른쪽 유방(30R)을 다시 촬영하여 획득한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소정의 뷰 영역 210 내에 확장 영역 210a을 생성하여 소정의 뷰 영역 210을 확장하고, 확장된 뷰 영역 210에 추가 방사선 영상 215 및 추가 방사선 영상 215과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 212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방사선 영상 211이 표시된 뷰 영역 210의 아래에 확장 영역 210a를 생성하여, 뷰 영역 210을 확장한다.
이때, 확장 영역(210a)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넓이 또는 높이에 따라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설정 또는 입력에 따라 결정된 넓이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방사선 영상 211이 표시되었던 위치에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가 표시하고, 확장된 확장 영역 210a에 재촬영이 선택된 방사선 영상 211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은 동일한 행에 배치하고, 추가 방사선 영상은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과 동일한 열에 배치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10)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추가 방사선 영상이 생성되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 때에 사용자가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을 선택하고 복사 아이콘 242을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을 복사하여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촬영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 210에 확장 영역 210b를 생성하고, 생성된 확장 영역 210b에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를 표시하고,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가 표시되었던 위치에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상 영상에 테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그와 방사선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테그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의 테그와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선 영상이 획득된 순서에 따라 1-1, 1-2순서로 테그를 생성하고, 추가 방사선 영상(215, 217)과 테그(216, 218)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그를 추가 방사선 영상과 함께 표시하여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간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추가 방사선 영상 또는 추가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의 일측에 마커를 생성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마커는 각 영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문자 또는 기호로 적용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는 X 마커를, 재촬영 방사선 영상에는 N마커를, 복사 방사선 영상에는 C마커를, 로딩 방사선 영상에는 A마커, 사용자에 의하여 수정된 수정 방사성 영상에는 M마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커는 미리 설정된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방사선 영상을 분석하여 방사선 영상에서 동일한 명암을 가지는 부분 (즉, 대상체(3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니한 방사선의 부분)을 탐색하고, 탐색된 부분에 마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뷰 영역 일측에 접기 버튼(219)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접기 버튼(219)은 사용자로부터 확장 영역의 표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접기 버튼(219)은 확장 영역이 생성된 뷰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가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210)의 일 측에 접기 버튼(219)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접기 버튼(219)을 터치하면, 제어부(170)는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영역(210a)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9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도 접기 버튼(219)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접기 버튼(219)을 터치하면, 제어부(170)는 도 9d와 같이 확장 영역(210a) 및 확장 영역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211)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양한 제스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을 이동,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를 터치하고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을 복사 방사선 영상 217 방향으로 드레그하면, 제어부(170)는 복사 방사선 영상 215와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7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영상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삭제 아이콘 245을 터치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를 삭제할 수 있다.이때, 제어부(170)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이 표시된 확장 영역 210a도 함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은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방사선 영상이 삭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설정되거나, 방사선 획득이 종료된 경우에는 방사선 영상은 사용자의 삭제 아이콘 245의 터치에도 불구하고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을 터치하여 선택하고 수정 아이콘 244을 터치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을 수정할 수 있는 수정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수정 인터페이스는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의 수정을 종료한 경우, 제어부(170)는 수정된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사 방사선 영상 217의 일 측에는 수정되었음을 표시하는 마커(예를 들어, M)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수정 인터페이스에서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뷰 영역 또는 뷰 영역 내에서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된 뷰 영역 또는 뷰 영역의 부분에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510).
이때, 방사선 획득은 상술한 도 5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방사선 영상은 도 6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방사선 영상이 획득될 때마다 방사선 영상이 표시될 뷰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뷰 영역에 방사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 방사선 영상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표시될 뷰 영역이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될 뷰 영역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뷰 영역의 형태, 크기, 숫자 등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한편, 제어부(170)는 각 방사선 영상을 태깅하여 테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그를 각 방사선 영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테그는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생성될 수 있.
그리고,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의 입력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20). 이때,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의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에 의하여서도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60)를 터치하여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은 대상체에 대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이 모두 획득되기 이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획득된 방사선 영상 각각을 확인하고, 재촬영이 필요한 경우 방사선 영상 획득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영상을 재촬영하는 것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520의 아니오), 미리 설정된 절차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사선 영상을 계속 획득하고, 획득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510).
한편, 추가 방사선 영상 획득 명령이 입력되면(520의 예),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추가 방사선 영상을 획득한다(530). 이때, 추가 방사선 영상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방사선 영상은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여 대상체(30)를 재촬영하여 획득한 재촬영 방사선 영상,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획득한 복사 방사선 영상,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방사선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로딩 방사선 영상 중 하나 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선 영상의 테그를 생성할 수 있다(550). 이때, 선택된 방사선에 기초하여 추가 방사선 영상 테그를 생성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방사선 영상의 테그의 오름차순으로 테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에 추가 방사선 영상을 표시한다(550). 예를 들어,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추가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거나, 도 10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뷰 영역을 확장하여 선택된 영상과 추가 방사선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방사선 영상은 썸네일 영상일 수 있으며, 선택된 방사선 영상은 사용자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방사선 영상뿐만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방사선 영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12는 추가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a와 도 12를 참조하여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여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포함된 뷰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551).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재촬영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방사선 영상 211이 표시된 뷰 영역 210의 아래에 확장 영역 210a를 생성하여, 뷰 영역 210을 확장한다.
이때, [학]확장 영역(210a)은 미리 설정된 소정의 넓이 또는 높이에 따라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설정 또는 입력에 따라 결정된 넓이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추가 방사선 영상으로 대체하여 표시하고(553), 확장된 부분에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한다(555).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70)는 방사선 영상 211이 표시되었던 위치에 재촬영 방사선 영상 215가 표시하고, 확장된 확장 영역 210a에 재촬영이 선택된 방사선 영상 21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은 동일한 행에 배치하고, 추가 방사선 영상은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과 동일한 열에 배치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10)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한편, 추가 방사선 영상과 선택된 방사선 영상의 순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확장 영역 숨김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확장 영역이 생성된 뷰 영역의 일측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기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추가 방사선 영상에 테그를 생성하여 함께 표시하거나, 추가 방사선 영상 및 선택된 방사선 영상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테크 및 마크의 생성 및 표시 방법은 앞서 상술한 바에 따를 수 있다.
확장 영역이 표시된 상태(601)에서 사용자가 상술한 접기 버튼에 터치가 발생하면(602의 예), 제어부(170)는 확장 영역을 숨긴다(603). 구체적으로, 뷰 영역 내에 확장 생성된 확장 영역 및 확장 영역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가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210)의 일 측에 접기 버튼(219)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접기 버튼(219)을 터치하면, 제어부(170)는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영역(210a)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확장 영역 숨김 상태(603)에서, 상술한 접기 버튼의 터치가 발생하면(604의 예), 제어부(170)는 숨겨진 확장 영역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확장 영역 및 확장 영역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확장 영역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도 접기 버튼(219)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접기 버튼(219)을 터치하면, 제어부(170)는 도 9d와 같이 확장 영역(210a) 및 확장 영역에 표시된 방사선 영상(21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방사선 영상 조절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에 대한 다양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을 할 방사선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701).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특정 방사선 영상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정 아이콘(244)을 터치하면(703의 예),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705). 이때, 방사선 영상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은 미리 저장된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방사선 영상을 수정하기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수정할 수 있으며(707), 사용자의 수정이 종료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사선 영상을 수정된 방사성 영상으로 대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713).
한편, 사용자가 삭제 아이콘(245)을 터치하면(709의 예), 제어부(170)는 확장 영역을 삭제하고(711), 다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713). 이때, 삭제되는 확장 영역은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에 생성된 확장 영역이다.
10: 방사선 영상 장치
110: 방사선 발생부
120: 방사선 검출부
130: 압착부
140: [찰]촬영 모듈 구동부
150: 입력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제어부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 중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되면,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던 뷰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선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2. 제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던 뷰 영역에 확장 영역을 표시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확장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확장 영역에 표시된 상기 선택된 방사선 영상이 삭제되면, 상기 확장 영역을 표시하지 않는 방사선 영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확장 영역의 표시 여부를 입력 받는 접기 버튼을 상기 확장 영역이 생성된 뷰 영역의 일측에 표시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대상체를 다시 촬영하여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은,
    서로 대응되는 대상체를 동일한 각도로 촬영된 방사선 영상을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방사성 영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사선 영상 및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에 테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방사선 영상 및 상기 제2 방사선 영상 각각의 테그를 생성하고, 상기 테그가 대응되는 방사선 영상과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확장 영역에 표시된 제1 방사선 영상과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의 위치가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선 영상 및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은 썸네일 이미지인 방사선 영상 장치.
  13.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제1 영상 표시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 중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에 대응되는 제2 방사선 영상이 획득되는 제2 영상 획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던 뷰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이 표시하는 제2 영상 표시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이 표시된 뷰 영역에 확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방사선 영상 및 상기 확장 영역을 삭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확장 영역의 표시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방사선 영상과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의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을 복사하여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선택된 제1 방사선 영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대상체를 다시 촬영하여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뷰 영역에는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1 방사선 영상은,
    서로 대응되는 대상체를 동일한 각도로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 개의 방사선 영상을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의 테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테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선 영상이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방사선 영상의 테그와 식별되도록 상기 제2 방사선 영상의 테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KR1020130150622A 2013-12-05 2013-12-05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KR20150065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622A KR20150065376A (ko) 2013-12-05 2013-12-05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US14/485,007 US10327723B2 (en) 2013-12-05 2014-09-12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e display method
EP14193235.0A EP2883499B1 (en) 2013-12-05 2014-11-14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e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622A KR20150065376A (ko) 2013-12-05 2013-12-05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376A true KR20150065376A (ko) 2015-06-15

Family

ID=5198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622A KR20150065376A (ko) 2013-12-05 2013-12-05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27723B2 (ko)
EP (1) EP2883499B1 (ko)
KR (1) KR201500653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953A (ko) 2018-12-14 2020-06-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사선 영상에서의 요추 영역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US11064958B2 (en) 2017-01-25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8711S1 (en) * 2014-01-29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69323S1 (en) * 2014-01-29 2016-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DE102016107643A1 (de) * 2016-04-25 2017-10-26 Endress+Hauser Process Solutions Ag Gerätezugriffssoftware mit umschaltbarem Darstellungsmodus
KR101923183B1 (ko) * 2016-12-14 201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영상 표시 방법 및 의료 영상 표시 장치
JP7062360B2 (ja) * 2016-12-28 2022-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4880B2 (en) 1999-11-24 2004-05-11 Stentor, Inc. User interface for a medical informatics systems
JP4163412B2 (ja) * 2001-12-19 2008-10-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7436991B2 (en) * 2003-08-29 2008-10-14 Agilent Technologies, Inc. Image buffers and access schedules for image reconstruction systems
JP5480472B2 (ja) 2005-05-25 2014-04-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乳房部位の左右判別方法
JP5052077B2 (ja) * 2006-09-07 2012-10-17 株式会社東芝 X線画像診断装置
JP4979334B2 (ja) * 2006-10-18 2012-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用画像読影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913085B2 (ja) * 2008-03-04 2012-04-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マルチ画像ファイル編集装置、マルチ画像ファイル編集プログラム、マルチ画像ファイル編集方法
JP2009254787A (ja) * 2008-03-17 2009-11-05 Fujifilm Corp 放射線ct装置および放射線ct撮影方法
JP5702586B2 (ja) * 2010-02-04 2015-04-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10580325B2 (en) * 2010-03-24 2020-03-03 Simbionix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computerized simulation of a medical proced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4958B2 (en) 2017-01-25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73953A (ko) 2018-12-14 2020-06-2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을 이용한 방사선 영상에서의 요추 영역 분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7284A1 (en) 2015-06-11
US10327723B2 (en) 2019-06-25
EP2883499B1 (en) 2019-08-14
EP2883499A1 (en)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5376A (ko) 방사선 영상 장치 및 방사선 영상 표시 방법
KR102372214B1 (ko) 영상 처리 장치, 의료영상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KR102206196B1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25906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
US9254105B2 (en) X-ray image diagnosi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704224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483330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76527B1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96410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8342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processing device
KR20160103518A (ko)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US10398400B2 (en)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25647A1 (en)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017339A (ko)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촬영 장치의 촬영 영역 설정 방법
JP2009207808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US9895123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X-ray image and method thereof
JP5538734B2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JP2013075065A (ja) 放射線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読影システム、放射線画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処理方法、及び放射線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41776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44472B2 (en) Radiographic system, radiograph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6296954A (ja) 画像取得装置
JP6162324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プログラム
JP741819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93222A1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image transmission program
KR20150065377A (ko) 방사선 영상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사선 영상 시스템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