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826A -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826A
KR20150064826A KR1020130149616A KR20130149616A KR20150064826A KR 20150064826 A KR20150064826 A KR 20150064826A KR 1020130149616 A KR1020130149616 A KR 1020130149616A KR 20130149616 A KR20130149616 A KR 20130149616A KR 20150064826 A KR20150064826 A KR 2015006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ntenna
dipole radiating
radiating elements
periodic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377B1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to KR102013014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7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10Logperiodic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크기를 줄이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크로스 배열된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2 편파를 송수신하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크로스 되는 제2-1 다이폴 소자들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Log periodic antenna system of cross type}
본 발명은 대수 주기 안테나(log periodic antenna; LP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로스 타입(cross type)으로 형성된 대수 주기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통신에서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또는 전파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전력을 유기시키기 위해 공중에 가설한 도선을 의미한다. 즉 안테나는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는 장치이다.
따라서 안테나는 전압/전류로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와 전기장/자기장으로 표현되는 전자기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의 종류에는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혼 안테나, 파라볼릭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슬롯 안테나, 대수 주기 안테나 등이 있다.
여기서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일정한 비율로 유사하게 정렬한 것으로, 인접한 안테나 소자 길이의 비나 간격의 비율이 일정하며,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대역 안테나이다.
따라서 대수 주기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과 적당한 이득으로 TV 수신용이나 통신용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수 주기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이동통신 기지국과 같이 하나의 이용 목적에 복수의 주파수 대역이 필요한 곳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에 비해 임피던스와 방사특성이 주파수에 대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안테나로써, 주파수 대역에 걸친 특성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독립 안테나로 간주되며, 안테나의 형태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광대역 혹은 이중, 삼중 대역 등을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수 주기 안테나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대수 수기 안테나는 그 반복되는 구조 형태에 따라, 톱니형 평면 안테나, 톱니형 사다리꼴 안테나, 사다리꼴 도선 안테나, 지그재그형 도선 안테나 등이 있다. 다양한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평판 혹은 도선형 다이폴이 배열된 대수 주기 다이폴 안테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대수 주기 다이폴 안테나는 일련의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직렬 급전되어 있는 형태로서, 설계 파라미터인 대수 주기의 비, 간격정수 및 특정 대역의 단일 다이폴 안테나 길이(l/2)와 연관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 단축 및 전체 크기의 감소에 한계가 있다. 즉, 이득(gain)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대수 주기의 비와 간격정수를 크게 하면, 이득은 증가시킬 수 있으나 대신 안테나 붐의 길이가 길어지고, 방사 소자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체 안테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가 길어지면, 안테나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고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단일 편파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일 편파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대수 주기 안테나로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수직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와 수평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 두 개를 별도로 설치해야 했다.
이와 같이 수직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와 수평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 두 개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두 배의 설치 시간과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1847호(2011.06.2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안테나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 편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2 편파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크로스 되는 제2-1 다이폴 소자들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1 안테나 유닛과 제1-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안테나 유닛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1 지지판과, 상기 제1-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2 안테나 유닛은 상기 제1-1 지지판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1-2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2-1 안테나 유닛과 제2-2 안테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2-1 안테나 유닛은 일측 부분이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지지판과, 상기 제2-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1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어긋나게 형성된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2 안테나 유닛은 일측 부분이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1 지지판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지지판과, 상기 제2-2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2 지지판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2-1 지지판 및 제2-2 지지판은 각각 영문자 "V"자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어 십자형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 사이에 개재된 절연성을 갖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폭이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절곡된 상기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은 각각, 지지판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방사 소자부와, 상기 수평 소자부와 연결되어 수직 하방으로 뻗어 있는 수직 방사 소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제2 다이폴 방사 소자가 아래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되는 길이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또는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및 상기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덮도록 상기 설치판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2 편파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크로스 되는 제2-1 다이폴 소자들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는 상기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관 형태로, 상부에 복수의 캡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제1 및 제2 편파를 방사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가 크로스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관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크로스로 배열된 대수 주기 안테나를 통하여 제1 및 제2 편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대수 주기 안테나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다이폴 방사 소자는 단부가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관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편파를 형성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방사 소자가 양쪽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판 형태로, 서로 근접하는 양단부는 절곡되어 판 형태의 다이폴 방사 소자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안테나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다이폴 방사 소자 간의 폭이 줄어드는 구조를 가지고, 다이폴 방사 소자들 사이에 십자형의 스페이서가 개재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안테나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편파를 형성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방사 소자가 양쪽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판 형태를 갖기 때문에, 다수의 다이폴 방사 소자를 일괄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 주기 안테나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커버의 상부에 복수의 캡을 결합함으로써, 빔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인(gain)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치판에 설치된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1의 제1 편파를 방사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2 편파를 방사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하부쪽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상부쪽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실시예1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ㅁ45도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실시예2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ㅁ45도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실시예3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ㅁ45도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로 밴드의 게인값을 정리한 표이다.
도 21은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하이 밴드의 게인값을 정리한 표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설치판(10)과, 설치판(1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와,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를 덮도록 설치판(10)에 결합된 커버(90)를 포함한다.
이때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가 크로스 되게 설치판(10)에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들과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물론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중심 부분이 서로 크로스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편파는 서로 직교하는 ㅁ45도, ㅁ90도의 편파일 수 있다.
그리고 커버(90)는 상부가 막혀 있고 하부가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관 형태로, 상부에 복수의 캡(91)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커버(90)는 상부가 막혀 있고 하부가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관 형태의 커버 몸체(93)와, 커버 몸체(93)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복수의 캡(91)을 포함한다. 커버(90)는 상부에 복수의 캡(91)이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빔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인(gain)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로 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설치판(10)에 설치된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편파를 방사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은 도 1의 제2 편파를 방사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는 서로 크로스로 배열된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를 포함한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들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45)들을 갖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2 편파를 송수신하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65)들을 갖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들을 구비한다. 이때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와 크로스 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제1-1 안테나 유닛(31)과 제1-2 안테나 유닛(41)을 포함한다. 제1-1 및 제1-2 안테나 유닛(31,41)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지만,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1 안테나 유닛(3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1-1 지지판(33)과,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들을 구비한다.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들은 제1-1 지지판(33)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1 지지판(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뻗어 있다. 제1-1 지지판(33)은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들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하부는 설치판(10)이 설치된 쪽을 의미한다.
제1-2 안테나 유닛(41)은 제1-1 지지판(33)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지지판(43)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45)들을 구비한다.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45)들은 제1-2 지지판(43)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2 지지판(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들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2 지지판(43)은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들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즉 제1-1 지지판(33)과 제1-2 지지판(43)을 기준으로 제1-1 지지판(33)의 일측에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가 형성된 경우, 제1-1 지지판(33)의 일측에 반대되는 제1-2 지지판(43)의 일측에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의 일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의 길이 방향으로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45)가 교번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의 타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의 길이 방향으로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45)가 교번되게 배치된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2-1 안테나 유닛(51)과 제2-2 안테나 유닛(61)을 포함한다. 제2-1 및 제2-2 안테나 유닛(51,61)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지만,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1 및 제2-2 안테나 유닛(51,61)은 제1-1 및 제1-2 안테나 유닛(31,41)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어긋나게, 즉 크로스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제2-1 안테나 유닛(51)은 일정 길이를 갖는 제2-1 지지판(53)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을 구비한다. 제2-1 지지판(53)은 일측 부분이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은 제2-1 지지판(53)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2-1 지지판(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뻗어 있다.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은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들과 어긋나게 형성된다. 제2-1 지지판(53)은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들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제2-2 안테나 유닛(61)은 제2-1 지지판(53)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지지판(63)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65)들을 구비한다. 제2-1 지지판(53)은 일측 부분이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과 근접하게 배치된다.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65)들은 제2-2 지지판(63)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2-2 지지판(6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2 지지판(63)은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들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즉 제2-1 지지판(53)과 제2-2 지지판(63)을 기준으로 제2-1 지지판(53)의 일측에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가 형성된 경우, 제2-1 지지판(53)의 일측에 반대되는 제2-2 지지판(63)의 일측에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1 지지판(53) 및 제2-2 지지판(63)의 일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2-1 지지판(53) 및 제2-2 지지판(63)의 길이 방향으로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65)가 교번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2-1 지지판(53) 및 제2-2 지지판(63)의 타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2-1 지지판(53) 및 제2-2 지지판(63)의 길이 방향으로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65)가 교번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제1 및 제2 편파의 전파 특성은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들과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들 중 적어도 하나를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들과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들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와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가 아래로 절곡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하부쪽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길이 긴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의 단부를 아래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크기, 즉 직경 방향으로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절곡된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들은 각각, 지지판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방사 소자부(37)와, 수평 방사 소자부(37)와 연결되어 수직 하방으로 뻗어 있는 수직 방사 소자부(39)를 포함한다.
물론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사(35,45,55,65)를 절곡하는 것에 비해서 절곡하지 않는 것이 양호한 방사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들과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들의 절곡되는 길이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사(35,45,55,65)들 중 커버(도 1의 90) 안쪽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사(35,45,55,65)에 대해서는 절곡하지 않는다.
이러한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는 설치판(10)에 복수의 설치대(12)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복수의 설치대(12)는 영문자 "L"자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열된 제1-1 지지판(33), 제2-1 지지판(53), 제1-2 지지판(43) 및 제2-2 지지판(63) 사이에 각각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복수의 설치대(12)는 4개이다.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를 매개로, 복수의 설치대(12)에 제1-1 지지판(33), 제2-1 지지판(53), 제1-2 지지판(43) 및 제2-2 지지판(63)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배치 구조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도 1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하부쪽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의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상부쪽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1 안테나 유닛(31)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제2-1 안테나 유닛(51), 제1-2 안테나 유닛(41), 제2-2 안테나 유닛(61)이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5,45)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5,65)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가 형성하는 제1 편파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가 형성하는 제2 편파는 서로 직교하는 ㅁ45도, ㅁ90도의 편파일 수 있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제1-1 및 제1-2 지지판(33,43)과,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제2-1 및 제2-2 지지판(53,63)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에 판 형태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1 및 제1-2 지지판(33,43)과, 제2-1 및 제2-2 지지판(53,63)은 통상적인 판 형태로 구현할 경우, 길이가 길어질수록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1-1 및 제1-2 지지판(33,43)과, 제2-1 지지판(53) 및 제2-2 지지판(63)은 각각 영문자 "V"자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어 십자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설치판(10)에 대해서 상부로 뻗어 있는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절연성의 갖는 복수의 스페이서(80)가 개재될 수 있다. 즉 스페이서(80)는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과,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스페이서(80)는 서로 이웃하는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과,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단면이 십자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대수 주기 안테나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폭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과,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 사이의 간격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하부쪽에 위치하는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과, 제1-1 지지판(33) 및 제1-2 지지판(43) 사이의 간격보다는 좁게 형성된다. 또한 제1-1 지지판(33), 제1-2 지지판(43), 제2-1 지지판(53) 및 제2-2 지지판(63)은 길이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폭이 점차적으로 들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편파를 방사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20)가 크로스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관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크로스로 배열된 대수 주기 안테나(20)를 통하여 제1 및 제2 편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대수 주기 안테나(20)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다이폴 방사 소자(35,35,55,65)는 단부가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관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편파를 형성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20)는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가 양쪽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판 형태로, 서로 근접하는 양단부는 절곡되어 판 형태의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 간의 폭이 줄어드는 구조를 가지고,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들 사이에 십자형의 스페이서(80)가 개재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여 휘거나 외력에 의해 쉽게 흔들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편파를 형성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20)는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가 양쪽으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판 형태를 갖기 때문에, 다수의 다이폴 방사 소자(35,45,55,65)를 일괄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수 주기 안테나(2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90)는 상부에 복수의 캡(91)이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빔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인(gain)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캡(91)에 의한 빔 지향성과 게인이 향상된 것은 도 8 내지 도 19의 방사 패턴과, 도 20 및 도 21의 게인값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1은 실시예1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ㅁ45도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실시예1의 로 밴드(low band)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9는 실시예1의 로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0은 실시예1의 하이 밴드(high band)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1은 실시예1의 하이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실시예2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ㅁ45도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실시예2의 로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3은 실시예2의 로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4는 실시예2의 하이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5는 실시예2의 하이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실시예3에 따른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의 ㅁ45도의 방사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실시예3의 로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7은 실시예3의 로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8은 실시예3의 하이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19는 실시예3의 하이 밴드의 ??45도 편파의 방사 패턴이다.
도 20은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로 밴드의 게인값을 정리한 표이다. 그리고 도 21은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하이 밴드의 게인값을 정리한 표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 A는 실시예1, B는 실시예2, C는 실시예3을 나타낸다.
실시예3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캡이 3개가 사용되고, 커버의 길이는 1070mm이다. 실시예1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실시예3과 동일한 대수 주기 안테나를 사용하였지만 커버가 없다. 실시예2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실시예3과 동일한 대수 주기 안테나를 사용하였지만, 캡의 추가 없이 커버만을 사용하여 대수 주기 안테나를 덮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ㅁ45도의 이중 편파를 방사한다. ㅁ45도의 로 밴드와 하이 밴드의 방사 패턴을 측정하였다.
도 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수 주기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로 밴드와 하이 밴드에서 ㅁ45도의 양호한 편파 특성과 빔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로 밴드에서의 실시예3과 실시예2의 게인값은 크게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실시예3과 실시예1을 비교하면, 로 밴드에서 0.6 내지 0.81 dBi의 게인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하이 밴드에서의 실시예3과 실시예2를 비교할 때, 0.26 내지 0.68 dBi의 게인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3과 실시예1를 비교하면, 하이 밴드에서 1.22 내지 2.86 dBi의 게인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3과 같이 커버는 커버 몸체에 다중의 캡이 결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빔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게인(gain)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설치판 12 : 설치대
20 : 크로스 타입 대수 주기 안테나 30 : 제1 대수 주기 안테나
31 : 제1-1 안테나 유닛 33 : 제1-1 지지판
35 :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 37 : 수평 방사 소자부
39 : 수직 방사 소자부 41 : 제1-2 안테나 유닛
43 : 제1-2 지지판 45 :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
50 : 제2 대수 주기 안테나 51 : 제2-1 안테나 유닛
53 : 제2-1 지지판 55 :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
61 : 제2-2 안테나 유닛 63 : 제2-2 지지판
65 :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 80 : 스페이서
90 : 커버 91 : 캡
100 :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Claims (12)

  1.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
    제2 편파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크로스 되는 제2-1 다이폴 소자들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1 지지판과, 상기 제1-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1 안테나 유닛;
    상기 제1-1 지지판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1-2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2 안테나 유닛;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일측 부분이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지지판과, 상기 제2-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1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어긋나게 형성된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1 안테나 유닛;
    일측 부분이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1 지지판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지지판과, 상기 제2-2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2 지지판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2 안테나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2-1 지지판 및 제2-2 지지판은 각각 영문자 "V"자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게 배열되어 십자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 사이에 개재된 절연성을 갖는 복수의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폭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절곡된 상기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은 각각,
    지지판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방사 소자부;
    상기 수평 소자부와 연결되어 수직 하방으로 뻗어 있는 수직 방사 소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은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제2 다이폴 방사 소자가 아래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되는 길이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10. 설치판;
    상기 설치판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또는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상기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덮도록 상기 설치판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상기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
    상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며,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크로스 되는 제2-1 다이폴 소자들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갖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1 지지판과, 상기 제1-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1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1 안테나 유닛;
    상기 제1-1 지지판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지지판과, 상기 제1-2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2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2 안테나 유닛;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일측 부분이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1 지지판과, 상기 제2-1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1 지지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어긋나게 형성된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1 안테나 유닛;
    일측 부분이 상기 제1-1 지지판 및 제1-2 지지판과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1 지지판과 중첩되되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지지판과, 상기 제2-2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2 지지판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2 안테나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는 상기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된 관 형태로, 상부에 복수의 캡이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KR1020130149616A 2013-12-04 2013-12-04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KR101541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616A KR101541377B1 (ko) 2013-12-04 2013-12-04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616A KR101541377B1 (ko) 2013-12-04 2013-12-04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826A true KR20150064826A (ko) 2015-06-12
KR101541377B1 KR101541377B1 (ko) 2015-08-03

Family

ID=5350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616A KR101541377B1 (ko) 2013-12-04 2013-12-04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91B1 (ko) * 2015-08-05 2016-07-11 한일통신 주식회사 야기 안테나용 멀티 신호 차단기
CN108365319A (zh) * 2017-12-29 2018-08-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九研究所 一种高精度对数周期振子天线整体成型方法
CN110034403A (zh) * 2019-05-15 2019-07-1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小型化超宽带天线
KR102459972B1 (ko) * 2021-07-13 2022-10-26 국방과학연구소 고출력 이중 편파 t-로드 대수 주기 다이폴 어레이 안테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91B1 (ko) * 2015-08-05 2016-07-11 한일통신 주식회사 야기 안테나용 멀티 신호 차단기
CN108365319A (zh) * 2017-12-29 2018-08-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九研究所 一种高精度对数周期振子天线整体成型方法
CN110034403A (zh) * 2019-05-15 2019-07-1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小型化超宽带天线
KR102459972B1 (ko) * 2021-07-13 2022-10-26 국방과학연구소 고출력 이중 편파 t-로드 대수 주기 다이폴 어레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377B1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4491B1 (en) Multi-band base station antennas having broadband decoupling radiating elements and related radiating elements
US11777229B2 (en) Antennas including multi-resonance cross-dipole radiating elements and related radiating elements
US20160248166A1 (en) Multi-band, multi-polarized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US20070210976A1 (en) Complementary wideband antenna
WO2008023800A1 (fr) Dispositif d'antenne
US20150263431A1 (en) Antenna for mobile-communication base station
KR101541377B1 (ko)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EP3207593A1 (en) Multi-sector antennas
JP2014239541A (ja) 多帯域アンテナの2重偏波放射素子
CN104885299A (zh) 用于室内/室外应用的小型化宽带全向天线
KR20130134793A (ko) 이중대역용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및 안테나 어레이
US20230017375A1 (en) Radiating element, antenna assembly and base station antenna
US20150325923A1 (en) Antenna
WO2005027267A1 (ja) 広帯域複数周波共用アンテナ
US10439289B2 (en) Wide-band antenna
KR101541376B1 (ko)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JP5593278B2 (ja) 多周波数共用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装置
JP2017092663A (ja) 広帯域無指向性アンテナ
CN107086365B (zh) 一种双极化天线及天线阵列
KR101517776B1 (ko) 멀티 캡을 구비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CN202352831U (zh) 一种天线结构
JP2016167680A (ja) 広帯域無指向性アンテナ
JP4823274B2 (ja) 車両ウィンドウ用アンテナ装置
JP5948044B2 (ja) 指向性アンテナ
KR100946623B1 (ko) 광대역 옴니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