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502A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502A
KR20150064502A KR1020130149306A KR20130149306A KR20150064502A KR 20150064502 A KR20150064502 A KR 20150064502A KR 1020130149306 A KR1020130149306 A KR 1020130149306A KR 20130149306 A KR20130149306 A KR 20130149306A KR 20150064502 A KR20150064502 A KR 20150064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sealing
pipes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921B1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현 filed Critical 이승현
Priority to KR102013014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9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in the socket befor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구비하여 파이프의 흔들림 등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 {A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구비하여 파이프의 흔들림 등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물은 상하수도관, 가스관, 도로 주변의 가로등, 표지판, 지시판 등이 있고, 전광판, 광고탑 등도 이러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가진 것이 많은데, 이런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장치는 용접 혹은 나사구조가 대부분으로 연결 및 분해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배관용 조인트도 파이프 연결시 용접이나 나사체결이 많고 대형 파이프의 경우는 고무링을 파이프 연결부위에 씌우고 환형의 금속으로 덮어 볼트로 체결하지만, 이런 연결방식은 설치시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들고 해체시에도 역순으로 작업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특히, 도로의 가로등이나 표지판의 설치, 유지보수 및 해체시에는 신속성을 요하고, 대형 상수도 또는 가스관의 설치나 응급보수시에도 신속하고 견고한 체결장치가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파이프 연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3454호에는 튜브링을 이용한 배관 연결구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 파이프(P1),(P2)가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 팽창하며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유동홈(20),(21)을 제공하여 파이프 유동홈(20),(21) 내측면에 배관 파이프(P1),(P2) 외주면을 미끄러지듯 삽입시켜 배관 연결구와 배관 파이프(P1),(P2)가 일직선으로 배관 유지하며 수축, 팽창을 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유동에 따라, 배관 파이프(P1),(P2)에 끼워져 장착된 튜브링(6),(8)은 튜브링 안착홈(2),(12) 내에서 앞,뒷 쪽으로 구르면서 유동하며 이로 인하여 튜브링(6),(8)이 파손되지 않고 탁월한 수밀작용을 유지하고 배관시설물을 보호하며 기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튜브링이 튜브링 안착홈 내에서 앞뒤로 구르며 유동하게 되므로 튜브링의 형상이 뒤틀리게 되어 밀폐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34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구비하여 파이프의 결합 등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몸체의 고정부가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탈부착이 간단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밀폐부재 사이에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파이프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1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는 상기 제1단턱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구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2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와 밀착 고정되되, 상기 파이프와 접하는 부분에 변형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구비하여 파이프의 결합 등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몸체의 고정부가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탈부착이 간단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튜브링을 이용한 배관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구비하여 파이프의 흔들림 등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50)가 삽입되는 몸체(11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는 파이프(50)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 "┓", "┳" 또는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적어도 두 개의 파이프(50)가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양 단부에 파이프(50)가 설치되는 파이프 연결구(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파이프(5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파이프(50)의 내측에 유체 등이 흐를 때 유속 및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유체가 가진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단부에는 고정부(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112)는 상기 파이프(5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파이프(5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고정부(112)의 내주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파이프(50)가 삽입 고정될 때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12)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112a)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50)에 접촉됨으로써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12a)는 상기 파이프(50)의 접촉부를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변형되도록 하여 고정홈(112b)이 형성되도록 파이프(5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홈(112b)에 상기 고정부재(112a)가 걸리게 되어 파이프(50)가 보다 견고하게 상기 파이프 연결구(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2a)는 상기 고정부(112)에 적어도 3개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50)가 연결구(100)의 내측에서 중심을 쥬지하면서, 분리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파이프(5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파이프(50)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파이프(50)의 삽입부가 파이프 연결구(100)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단부가 고정되도록 제1단턱부(11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상기 제1단턱부(114)와 상기 고정부(112)의 사이에는 밀폐부재(120)가 구비되는 공간부(116a)가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제2단턱부(1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20)는 상기 몸체(110)의 공간부(116a)에 구비되어 파이프(50)의 내측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밀폐부재(12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밀폐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밀폐부재(120)의 사이에는 간격유지구(122)가 구비되는데, 상기 간격유지구(122)는 파이프 연결구(100)에 파이프(50)를 연결할 때 상기 밀폐부재(120)가 비틀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밀폐부재(120)가 파이프(50)의 삽입 또는 분리 시 마찰에 의해 좌, 우로 이동하게 되어 말리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밀폐부재(12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100)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100)의 제1단턱부(114)에 의해 형성된 단턱에 파이프(50)의 단부가 닿도록 파이프(50)를 삽입하여 파이프 연결구(100)의 내주면과 파이프(50)의 내주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지 않게 되어 유체의 유속 및 유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2단턱부(116)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116a)에 구비된 한 쌍의 밀폐부재(120)에 의해 파이프 연결구(100) 및 파이프(50)간에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밀폐부재(120)의 사이에 간격유지구(122)가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재(120)간에 간섭을 방지하고, 밀폐부재(120)가 뒤틀리거나 말리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게 되어 밀폐부재(120)의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사용, 유지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상기 몸체(11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112)의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50)의 외주면이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112)는 고정부재(112a)의 체결 시, 상기 파이프(50)의 접촉부에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고정홈(112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12a)가 걸림 고정되어 보다 견고하게 파이프(50)에 파이프 연결구(100)가 고정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50)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120)의 사이에 간격유지구(122)를 구비하여 파이프(50)의 결합 등에 의해 밀폐부재(1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몸체(110)의 고정부(112)가 볼트 등의 고정부재(112a)에 의해 파이프(5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탈부착이 간단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파이프가 결합하였을 때 밀폐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부재의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구비하여 파이프의 흔들림 등에 의해 밀폐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견고하게 밀폐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50: 파이프 100: 파이프 연결구
110: 몸체 112: 고정부
112a: 고정부재 112b: 고정홈
114: 제1단턱부 116: 제2단턱부
116a: 공간부 120: 밀폐부재
122: 간격유지구

Claims (6)

  1.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밀폐부재 사이에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파이프의 두께만큼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1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단턱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구비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2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와 밀착 고정되되, 상기 파이프와 접하는 부분에 변형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130149306A 2013-12-03 2013-12-03 파이프 연결구 KR10156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306A KR101569921B1 (ko) 2013-12-03 2013-12-03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306A KR101569921B1 (ko) 2013-12-03 2013-12-03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502A true KR20150064502A (ko) 2015-06-11
KR101569921B1 KR101569921B1 (ko) 2015-11-17

Family

ID=5350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306A KR101569921B1 (ko) 2013-12-03 2013-12-03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9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321A (zh) * 2018-06-14 2018-10-12 江苏宝地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排水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236Y1 (ko) * 2000-03-13 2000-08-16 이평호 관체의 기밀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3321A (zh) * 2018-06-14 2018-10-12 江苏宝地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排水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921B1 (ko)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5083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 coupling
US20050225087A1 (en) Pipe coupling
CN203979698U (zh) 一种管道接头
US20120217743A1 (en) Pipe coupling assembly with sleeve locking tab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69921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GB2488607A (en) Pipe coupling
CN210372530U (zh) 哈夫节
PE20200166A1 (es) Sistema de bloqueo positivo para juntas de restriccion de tuberias y accesorios de acero ductil centrifugado
JP5904433B2 (ja) 配管遮断用プラグの設置構造
CN202327512U (zh) 给水管道漏水快速修补管件
CN202302412U (zh) 一种承压密封管接头管件
KR200446817Y1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CN203115338U (zh) 压缩式单卡套接头
CN204533956U (zh) 一种哈夫节
US20120056419A1 (en) Pipe coupling
CN113154155A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防滑连接器
JP5998003B2 (ja) 分岐管接続装置
RU169897U1 (ru) Муфта для ремонта раструбных соединений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JP6163099B2 (ja) 調整バンド及び筒形金具の装着方法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CN107830288A (zh) 一种管道快速连接法兰
KR20110048823A (ko) 유체이송관의 배관을 위한 이음구
WO2008110765A1 (en) Coupling for p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