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387A - 의자용 쿠션 및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쿠션 및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387A
KR20150064387A KR1020130149040A KR20130149040A KR20150064387A KR 20150064387 A KR20150064387 A KR 20150064387A KR 1020130149040 A KR1020130149040 A KR 1020130149040A KR 20130149040 A KR20130149040 A KR 20130149040A KR 20150064387 A KR20150064387 A KR 20150064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eated person
seat
section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무라구치
히사코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피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피에이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피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13014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387A/ko
Publication of KR2015006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Abstract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석자의 둔부가 압박되기 어렵고, 또한 자세가 적확하게 유지되기 쉽고, 게다가 착석자가 호흡하기 쉬운 의자용 쿠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쿠션은 좌부 및 등부를 구비하고, 착석자의 좌골이 맞닿는 좌부의 2개의 좌골 상당 부위가 좌우 방향 종단면이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이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의 표면 형상을 갖고, 착석자의 장골이 맞닿는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에서의 좌우 방향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착석자의 하부 늑골이 맞닿는 등부의 하부 늑골 상당 부위에서의 좌우 방향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가 좌우 방향 횡단면이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이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의 표면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의자용 쿠션 및 의자{CUSHION AND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쿠션 및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용 쿠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무의자 등의 의자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사무의자 등에 사용되는 쿠션으로서는 의자의 좌면에 재치 가능한 방석이나, 의자의 등받이부에 부착되어 착석자의 등에 맞닿는 등받이 쿠션이 공지이다.
그러나, 상기 방석이나 등받이 쿠션에서는, 착석자의 둔부의 일부에 체중이 걸려 둔부가 압박되거나, 자세가 무너지기 쉽다. 또한 등받이 쿠션에 의해 착석자가 흉부나 복부가 압박되는 감각을 받아, 호흡하기 어렵게 된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또한, 주로 자동차의 운전석의 시트에 적용되는 좌위(座位) 유지 장치로서는 일본 특개 2012-46005호 공보 소재의 좌위 유지 장치가 공지이며, 이 공보 소재의 좌위 유지 장치는, 착석자의 등에 맞닿는 등부에서, 착석자의 장골(腸骨)이 맞닿는 부근에 착석자의 장골 볼록부에 의해 맞대지는 한 쌍의 장골 지지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이 좌위 유지 장치는 상기 장골 지지 볼록부에 의해 운전 중에 착석자가 서브머린 상태(둔부가 전방으로 미끌어져 골반이 후측으로 경사지는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착석자가 자세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좌위 유지 장치는 전술과 같이 주로 자동차의 운전석의 시트로서는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사무의자 등의 의자의 구조로서는 반드시 적합하지는 않다.
일본 특개 2012-46005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거기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착석자의 둔부가 압박되기 어렵고, 또한 자세가 적확하게 유지되기 쉽고, 게다가 착석자가 호흡하기 쉬운 의자용 쿠션 및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쿠션은,
착석자의 둔부가 맞닿는 좌부와, 착석자의 등이 맞닿는 등부를 구비하고,
착석자의 좌골이 맞닿는 상기 좌부의 2개의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후방측을 따라서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며,
착석자의 장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하고,
착석자의 하부 늑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다.
또한,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이란 등을 등부를 향한 상태에서 앉아 있는 착석자로부터 본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즉, 「전후 방향」이란 착석자의 둔부로부터 대퇴가 뻗어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하 방향」이란 착석자의 둔부로부터 등이 뻗어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좌우 방향」이란 상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당해 의자용 쿠션은 의자의 좌면에 상기 좌부가 재치되어 사용되고, 당해 의자용 쿠션에 착석자가 착석하면, 좌부의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형으로 만곡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기 때문에, 좌부의 좌골 상당 부위에 착석자의 둔부의 좌골이 적확하게 들어가기 쉽다. 그리고,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 및 하부 늑골 상당 부위에 착석자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늑골이 적확하게 위치한다. 이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기 때문에, 등부에 의해 착석자의 등이 감싸지고 또한 하방으로부터 떠받쳐지도록 유지된다. 이 때문에, 당해 의자용 쿠션에 의해, 착석자는 둔부가 압박되기 어렵고, 자세가 적확하게 유지되기 쉬워, 호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상기 좌골 상당 부위에 착석자의 둔부의 좌골이 보다 적확하게 들어가기 쉽다.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좌부가 적어도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에 걸쳐 형성된 볼록부와, 이 볼록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볼록부 및 한 쌍의 오목부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착석자의 한 쌍의 대퇴가 한 쌍의 오목형상부에 적확하게 들어맞아, 착석자의 대퇴가 적확하게 위치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가 유지되기 쉽다.
또한,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예를 들면, 좌부와 등부가 별체로 구성되고, 좌부와 등부가 각각 의자에 장착되는 것이어도 되지만,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좌부와 상기 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의자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착했을 때에 각 부위가 정확하게 위치하기 쉽다.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상기 좌골 상당 부위로부터 등부에 걸친 상기 좌부의 후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골 상당 부위로부터 연속하고 또한 상기 등부에 연속하는 삼차원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이 좌부의 후방 부위에 의해, 착석자의 좌골보다도 후방측의 둔부를 감싸도록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착석자의 자세를 적확하게 유지하기 쉽다.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상기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위치보다도 하방의 하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부의 후방 부위와 연속되는 삼차원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이 등부의 하방 부위에 의해, 착석자의 배면측의 둔부도 감싸도록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착석자의 자세를 적확하게 유지하기 쉽다.
당해 의자용 쿠션에서는, 상기 좌부와 상기 등부가 측면에서 보아 이루는 각도가 90°이상 1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사무의자 등의 의자에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가 맞닿는 좌부와, 착석자의 등이 맞닿는 등부를 구비하고,
착석자의 좌골이 맞닿는 상기 좌부의 2개의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고,
착석자의 장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하고,
착석자의 하부 늑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다.
당해 의자에 착석자가 착석하면, 좌부의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기 때문에, 좌부의 좌골 상당 부위에 착석자의 둔부의 좌골이 적확하게 들어가기 쉽다. 그리고,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 및 하부 늑골 상당 부위에 착석자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늑골이 적확하게 위치한다. 이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기 때문에, 등부에 의해 착석자의 등이 감싸지고 또한 하방으로부터 떠받쳐지도록 유지된다. 이 때문에, 당해 의자에 의해, 착석자는 둔부가 압박되기 어렵고, 자세가 적확하게 유지되기 쉬우며,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용 쿠션 및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가 압박되기 어렵고, 또한 자세가 적확하게 유지되기 쉽고, 게다가 착석자가 호흡하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의자용 쿠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자용 쿠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의자용 쿠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의자용 쿠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서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서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서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서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서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4에서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에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1실시형태로서 의자용 쿠션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의자용 쿠션은 좌면 및 등받이부를 갖는 의자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당해 의자용 쿠션은 쿠션 본체(1)와, 이 쿠션 본체(1)를 피복하는 커버(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상기 쿠션 본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자의 좌면에 재치되어 착석자의 둔부가 맞닿는 좌부(10)와, 착석자의 등이 맞닿는 등부(30)를 구비한다. 이 좌부(10)와 등부(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쿠션 본체(1)는 탄성(완충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발포 우레탄 등의 발포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쿠션 본체(1)는 탄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좌부(10)와 등부(30)는 양자가 측면에서 보아 이루는 각도(α)가 변경 가능하다. 당해 의자용 쿠션은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의자의 좌면과 등받이부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쿠션 본체(1)가 변형하여, 당해 의자용 쿠션은 적확하게 의자에 재치된다.
상기 쿠션 본체(1)는, 상기 좌부(10) 및 등부(30)의 연결 설치 부분에서, 좌우 방향의 폭이 잘록한 절결 부위(1a)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좌부(10)와 등부(30)가 이루는 각도(α)가 변경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쿠션 본체(1)가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좌부(10)와 등부(30)를 각각 성형한 후, 이 좌부(10)와 등부를 접합함으로써 쿠션 본체(1)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등부(30)와 좌부(10)는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부(10)의 가로폭(W1)은 430mm이며, 이 좌부(10)의 가로폭(W1)은 300mm 이상 5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폭(W1)의 하한은 3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폭(W1)의 상한은 5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45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좌부(10)의 세로폭(L1)은 414mm이며, 이 좌부(10)의 세로폭(L1)은 300mm 이상 5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폭(L1)의 하한은 3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폭(L1)의 상한은 5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45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등부(30)의 높이(H1)(좌부(10)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366mm이며, 이 등부(30)의 높이(H1)는 280mm 이상 5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H1)의 하한은 3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4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H1)의 상한은 4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좌부(10)의 가로폭(W1), 세로폭(L1) 및 등부(30)의 높이(H1)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당해 의자용 쿠션은 성인용의 의자에 적합하게 장착된다.
어린이용 쿠션의 경우에는, 상기 좌부(10)의 가로폭(W1), 세로폭(L1) 및 등부(30)의 높이(H1)가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좌부(10)의 가로폭(W1)은 200mm 이상 4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가로폭(W1)의 하한은 2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mm가 더욱 바람직하고, 가로폭(W1)의 상한은 4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5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좌부(10)의 세로폭(L1)은 200mm 이상 45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세로폭(L1)의 하한은 2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mm가 더욱 바람직하고, 세로폭(L1)의 상한은 4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5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등부(30)의 높이(H1)는 180mm 이상 4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높이(H1)의 하한은 2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240mm가 더욱 바람직하고, 높이(H1)의 상한은 3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mm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좌부(10)의 바닥면(이면)은 평탄면이다. 상기 등부(30)의 배면(이면)은 평탄면이다. 이 때문에, 의자에 재치되었을 때에, 등부(30)의 배면이 의자의 등받이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좌부(10)의 바닥면이 의자의 좌면에 적확하게 재치된다.
상기 좌부(10)와 등부(30)가 측면에서 보아 이루는 각도(α)는 90°이상 1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이상 105°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사무의자에 적확하게 재치하기 쉽다. 어린이용 쿠션의 경우에는, 상기 각도(α)는 90° 정도(9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좌부(10)와 등부(30)가 측면에서 보아 이루는 각도(α)는 쿠션 본체(1)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상시 상태에서의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좌부(10) 및 등부(30)의 표면은 삼차원 곡면이며, 이하, 그 형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좌부(10)는 표면이 움푹 들어간 2개의 좌골 상당 부위(11)를 갖고, 이 좌골 상당 부위(11)의 표면은 오목 형상으로 만곡해 있다.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표면은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전방측 및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다.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는 착석자의 좌골이 맞닿는 부위를 의미하고, 착석자의 둔부가 맞닿는 좌부(10)의 표면 중 가장 최하부에 위치하는 점(O)(좌부(10)의 이면과 가장 근접하는 점)의 주변(최하점의 주변 80mm의 영역(도 3에서의 1점쇄선의 원으로 둘러싼 영역))을 의미한다.
2개의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끼리의 거리(W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08mm이다. 2개의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끼리의 거리(W2)는 70mm 이상 13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중심(O)끼리의 거리(W2)의 하한은 9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중심(O)끼리의 거리(W2)의 상한은 12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O)끼리의 거리(W2)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착용자가 성인인 경우에 착용자의 좌골이 좌골 상당 부위(11)에 수용되는 상태가 된다.
어린이용 쿠션의 경우에는, 이 2개의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끼리의 거리(W2)는 70mm 이상 12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심(O)끼리의 거리(W2)의 하한은 8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중심(O)끼리의 거리(W2)의 상한은 11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이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에서의 좌부(10)의 두께(H2)(중심(O)의 표면과 바닥면과의 거리)는 9mm이다.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쿠션 본체(1)의 전단까지의 거리(L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314mm이다. 이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쿠션 본체(1)의 전단까지의 거리(L2)는 280mm 이상 4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거리(L2)의 하한은 3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거리(L2)의 상한은 35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어린이용의 쿠션의 경우에는,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쿠션 본체(1)의 전단까지의 거리(L2)는 230mm 이상 3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L2)의 하한은 25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거리(L2)의 상한은 30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표면은,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보다도 후방측이 전방측에 비해 표면측을 향한 경사가 심하다(도 6 참조).
상기 좌부(10)의 한 쌍의 좌골 상당 부위(11)의 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해 있으므로, 좌부(10)는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좌골 상당 부위(11)의 사이(좌우 방향 중앙)에 좌골 상당 부위(11)보다도 높은 부분을 갖고(도 7 참조), 전후 방향 중앙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해 있다(도 8 참조).
상기 좌부(10)는 전후 방향 중앙으로부터 전방에 걸쳐 형성된 볼록부(13)와, 이 볼록부(13)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볼록부(13) 및 한 쌍의 오목부(15)의 표면은 좌우 방향 단면에서 연속해 있다(도 9 참조). 한 쌍의 오목부(15)는 후방측으로의 가상 연장선 위에 각각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가 위치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5)의 표면은 좌우 방향 종단면의 최하점이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에 걸쳐 외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도 2 참조). 이 때문에,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좌우 위치보다도 상기 오목부(15)의 전단의 최하점이 외측에 위치해 있다. 오목부(15)의 표면은 좌골 상당 부위(11)로부터 전방측에 걸쳐 표면측으로 경사지고, 그 후 전방측에 걸쳐 이면측으로 경사져 있다(도 10 참조).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좌골 상당 부위(11)에 좌골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착석자는 다리부를 움직일 때에 용이하게 다리부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좌부(10)는 좌우의 가장자리부(상기 오목부(15)의 외측)에서 다른 부위(예를 들면, 볼록부(13))보다도 높은 외측 볼록부(17)를 가지고 있다(도 7∼도 9 참조). 이 때문에, 착석자의 다리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기 어렵다.
상기 등부(30)는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 및 하부 늑골 상당 부위에서 좌우 방향 단면이 오목 형상으로 만곡해 있다.
상기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란 착석자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가 맞닿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등부(30) 연장설치 방향으로 거리 150mm(L3)의 위치(도 11의 단면 위치)를 의미한다.
이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중심은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등부(30) 연장설치 방향의 거리(L3)가 120mm 이상 18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거리(L3)의 하한은 14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거리(L3)의 상한은 16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어린이용의 쿠션의 경우에는, 이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중심까지의 거리(L3)는 80mm 이상 12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거리(L3)의 하한은 9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거리(L3)의 상한은 11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하부 늑골 상당 부위는 착석자의 하부 늑골이 맞닿는 부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하부 늑골 상당 부위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등부(30) 연장설치 방향으로 거리 250mm(L4)의 위치(도 12의 단면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 하부 늑골 상당 부위는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의 중심(O)으로부터 등부(30) 연장설치 방향의 거리(L4)가 220mm 이상 28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L4)의 하한은 24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거리(L4)의 상한은 26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어린이용의 쿠션의 경우에는, 이 하부 늑골 상당 부위까지의 거리(L4)는 180mm 이상 24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거리(L4)의 하한은 200mm가 보다 바람직하고, 거리(L4)의 상한은 22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도 10 참조). 이것에 의해,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은 삼차원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 상방 부위의 표면의 삼차원 곡면의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은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의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다.
좌부(10) 및 등부(30)의 표면은 좌골 상당 부위(11)로부터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에 걸쳐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이 연속된 삼차원 곡면이다.
좌골 상당 부위(11)로부터 등부(30)(후방측)에 걸친 상기 좌부(10)의 후방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골 상당 부위(11)로부터 연속되고 또한 상기 등부(30)에 연속되는 삼차원 곡면이다.
등부(30)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위치보다도 하방의 하방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부(10)의 후방 부위와 연속되는 삼차원 곡면이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의자용 쿠션은 의자의 좌면에 상기 좌부(10)가 재치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당해 의자용 쿠션에 착석자가 착석하면, 상기 좌부(10)가 삼차원 곡면의 표면 형상을 가지므로, 좌부(10)의 좌골 상당 부위(11)에 착석자의 둔부의 좌골이 적확하게 들어가기 쉽고, 이 때문에 착석자의 둔부의 압박이 적음과 아울러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착석자의 둔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되고, 특히 상기 실시형태의 좌골 상당 부위(11)는 전방측에 걸쳐서 표면측으로 경사진 표면 형상이기 때문에, 착석자의 둔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골 상당 부위(11)에 착석자의 좌골이 들어감으로써,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 및 하부 늑골 상당 부위에 착석자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늑골이 적확하게 위치한다. 이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 및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은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은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므로, 이 등부(30)에 의해 착석자의 등이 감싸지고 또한 하방으로부터 떠받쳐지도록 유지된다. 특히,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 형상에 의해, 착석자의 늑골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지지되므로, 흉부 등에 대한 압박감이 적어져 착석자의 호흡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착석자는 머리를 높게 유지하는 자세를 유지하기 쉬워, 시야를 넓게 주변의 상황을 파악하기 쉬워지고, 또한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착석자의 자세가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세로 유지됨으로써 어깨의 힘이 빠져서 편해지고, 팔을 들기 쉬워져, 양손이 사용하기 쉬워진다. 나아가서, 착석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한 태세로 착석할 수 있으므로, 일어서는 등의 운동을 행하기 쉬워, 예를 들면, 사무의자에 사용한 경우에는 사무작업 등의 작업 시에 자세를 유지한 채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상기 구성으로부터 상기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사무의자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의자용 쿠션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학습 아동용 의자에 사용되는 것도 적당하게 설계 변경 가능한 사항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본체(1)에 커버가 피복된 의자용 쿠션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커버는 필수적인 구성요건은 아니다. 가령 커버를 사용한 경우에도, 예를 들면, 커버에 의자로의 장착용 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장착용 부재로서는 의자에 감기 위한 끈 모양 부재나, 등받이부에 삽입 부착 가능한 구멍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등부(30)의 배면측에 재봉 부착한 천 모양 부재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쿠션이 가령 상기 커버 및 쿠션 본체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쿠션 본체의 소재는 발포 우레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공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로서 의자용 쿠션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의자에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의자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수한 표면 형상을 갖는 좌부 및 등부를 갖는 의자도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의자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좌골 상당 부위,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 하부 늑골 상당 부위, 상방 부위, 볼록부, 오목부 등)을 채용함으로써 전술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도 명확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재질은 공지의 여러 가지의 것이 채용 가능한 것도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용 쿠션 및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가 압박되기 어렵고, 또한 자세가 적확하게 유지되기 쉽고, 게다가 착석자가 호흡하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의자」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좌면과 등받이부를 갖고, 또한 1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가구를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의자용 쿠션 및 의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른 자세가 유지되기 쉬우므로, 사무의자, 학습의자, 리빙 체어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쿠션 본체
1a 절결 부위
10 좌부
11 좌골 상당 부위
13 볼록부
15 오목부
17 외측 볼록부
30 등부
O 점
α 각도

Claims (8)

  1. 착석자의 둔부가 맞닿는 좌부와, 착석자의 등이 맞닿는 등부를 구비하고,
    착석자의 좌골이 맞닿는 상기 좌부의 2개의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고,
    착석자의 장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착석자의 하부 늑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가 적어도 중앙 부분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형성된 볼록부와, 이 볼록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 및 한 쌍의 오목부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와 상기 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골 상당 부위로부터 등부에 걸친 상기 좌부의 후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으로부터 연속되고 또한 상기 등부의 표면에 연속되는 삼차원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위치보다도 하방의 하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상기 좌부의 후방 부위와 연속되는 삼차원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와 상기 등부가 측면에서 보아 이루는 각도가 90°이상 1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쿠션.
  8. 착석자의 둔부가 맞닿는 좌부와, 착석자의 등이 맞닿는 등부를 구비하고,
    착석자의 좌골이 맞닿는 상기 좌부의 2개의 좌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종단면에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종단면에서 후방측을 따라 표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이고,
    착석자의 장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장골 상부 가장자리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착석자의 하부 늑골이 맞닿는 상기 등부의 하부 늑골 상당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하부 늑골 상당 부위보다도 상방 부위의 표면이 좌우 방향 횡단면에서 전체적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 종단면에서 상방측을 따라 이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삼차원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30149040A 2013-12-03 2013-12-03 의자용 쿠션 및 의자 KR20150064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40A KR20150064387A (ko) 2013-12-03 2013-12-03 의자용 쿠션 및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40A KR20150064387A (ko) 2013-12-03 2013-12-03 의자용 쿠션 및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263A Division KR20150064713A (ko) 2015-04-14 2015-04-14 의자용 쿠션 및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87A true KR20150064387A (ko) 2015-06-11

Family

ID=5350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40A KR20150064387A (ko) 2013-12-03 2013-12-03 의자용 쿠션 및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3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6001T3 (es) Asiento de soporte lumbar
JP6320690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及び椅子
JP2020168583A (ja) 姿勢保持具
US9795218B2 (en) Cushion for chair and chair
KR101607921B1 (ko) 자세유지 보조 용구
JP5707143B2 (ja) 乳幼児支持パッド構造
CN114173617A (zh) 就座用缓冲体
KR20150064713A (ko) 의자용 쿠션 및 의자
WO2006073019A1 (ja) 椅子
JP5625811B2 (ja) 立席型のシート装置
JP2006334025A (ja) 着座用家具
EP1723028B1 (en) Bicycle seat
JP6430182B2 (ja) 自動車シート用クッション
KR20150064387A (ko) 의자용 쿠션 및 의자
CN110077300B (zh) 椅垫和椅子
JP2012045098A (ja) 座位保持装置
TWI592122B (zh) Chair pad and chair with the chair pad
JP2012046005A (ja) 座位保持装置
DK2881011T3 (en) Cushion for chair and chair
KR101497189B1 (ko) 결관절 좌판시트
KR20190081416A (ko) 자세 유도용 의자
JP2006346223A (ja) 腰椎部支持ユニットおよび椅子
KR20090114811A (ko) 의자시트쿠션
JP1730344S (ja) クッション
JP2021045503A (ja) 車いす及び車いす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17

Effective date: 201508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