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385A -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385A
KR20150063385A KR1020157007025A KR20157007025A KR20150063385A KR 20150063385 A KR20150063385 A KR 20150063385A KR 1020157007025 A KR1020157007025 A KR 1020157007025A KR 20157007025 A KR20157007025 A KR 20157007025A KR 20150063385 A KR20150063385 A KR 2015006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information
network
connection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613B1 (ko
Inventor
오항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6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5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self-organis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방식 및 제2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방식의 대역외 채널(out of band channel)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 방식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제1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는 권한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를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장치와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을 위한 추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대역외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및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와이파이(Wi-Fi) 등, 무선 근거리 통신 기술이 폭넓게 시장에 적용되는 상황에서, Wi-Fi 를 이용하여 음향(Audio) 및 영상(Video)을 스트리밍(streaming) 하거나 상대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들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기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Wi-Fi의 특성상 Wi-Fi 연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대역외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및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네트워크 방식 및 제2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의 대역외 채널(out of band channel)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는 권한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을 위한 추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의 주인(Owner)을 결정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을 허용하는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은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에 소요되는 연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유효한 시간에 대한 유효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기본 서비스 집합(Basic Service Se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의 주인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을 수행하며, 제1 네트워크 방식 및 제2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는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의 대역외 채널(out of band channel)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는 권한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을 위한 추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의 주인(Owner)을 결정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을 허용하는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은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에 소요되는 연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유효한 시간에 대한 유효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기본 서비스 집합(Basic Service Se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의 주인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대역외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 및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NFC의 핸드오버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및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교환을 예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4는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대체 캐리어 레코드(Alternative Carrier Record)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의 형식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의 식별자(ID)를 예시하는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타임아웃 특성(Activation Timeout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GON 채널 특성(Channel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계 BSSID 특성(Associated BSSID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계 채널 특성(Associated Channel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 14는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 구조를 예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에 포함된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P2P Handover Carrier)의 페이로드(payload) 구조를 예시한다.
도 17은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구조를 예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Wi-Fi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Wi-Fi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했을 때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일 실시에는 제 1 통신모듈(100), 제 2 통신모듈(200), 컨트롤러(300) 및 디스플레이애플리케이션(400)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제 1 통신모듈(100)은 Wi-Fi(wireless fidelity) 시스템에 따라 통신하는 모듈을 예시하고, 제 2 통신모듈(200)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모듈을 예시한다.
제 1 통신모듈(100)은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110),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20), 및 MAC 계층처리부(MAC protocol Module)(130), 및 IP 계층처리부(IP protocol Module)(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기능블록들은 각각 무선 데이터를 Wi-Fi 방식에 따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제 2 통신모듈(200)은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210),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220), 및 MAC계층처리부(MAC protocol Module)(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모듈(200)에 포함되는 위 요소들은 각각 무선 데이터를 NFC 방식에 따라 송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통신모듈(1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110)와 제 2 통신모듈(2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210)는 각각의 모듈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20, 22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해당 RF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필터링 및 애플리케이션(amplification) 등을 수행하고 수행한 신호를 각각의 안테나로 송신한다. 또한, 제 1 통신모듈(1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110)와 제 2 통신모듈(2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210)는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RF 밴드 신호를, 각 통신모듈(100, 2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20, 220)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 대역으로 변환하고, 이를 위해 수신한 RF 대역 신호에 필터링 등을 수행한다. 제 1 통신모듈(1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110)와 제 2 통신모듈(2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210)는 송수신 기능 전환을 위한 스위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모듈(1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20)와 제 2 통신모듈(2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220)는, 각각의 통신모듈(100, 200)에서 송신 데이터에 대해 FEC encoding 및 모듈레이션(modulation)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프리엠블 또는 파일럿 신호 등을 부가 신호로 삽입하여 각 통신모듈(100, 200)의 RF 트랜시버(RF transceiver)(110, 210)로 출력한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통신모듈(1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20)와 제 2 통신모듈(2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220)는 modulator, demodulator, equalizer, FEC encoder, FEC deco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모듈(1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20)와 제 2 통신모듈(200)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220)는, 각 통신모듈(100, 200)의 RF 트랜시버(110, 210)가 출력한 수신 신호에 대해, 복조(demodulation), 등화(equalization), 에러 정정 복호(FEC decoding) 등을 수행하고, 물리계층에서 부가된 부가신호 등을 제거하여 MAC계층처리부(130, 230)로 출력한다.
제 1 통신모듈(100)과 제 2 통신모듈(200)의 MAC계층처리부(130, 230)는, 상위 계층의 데이터를 물리계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MAC계층처리부(130, 230)는 각각의 통신모듈(100, 200)에서 전송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각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10, 220)로 보내고, 각각의 물리계층처리부(PHY protocol Module)(110, 220)가 처리한 수신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MAC계층처리부(130, 23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가적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제 1 통신모듈(100)의 IP 계층처리부(IP protocol Module)(140)는 IP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하여 MAC계층처리부(130)로 출력하고, MAC계층처리부(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IP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여 출력한다.
컨트롤러(operation controller)(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에 따라 제 1 통신모듈(100)과 제 2 통신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애플리케이션부(400)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블록으로서, 사용자와 인터액션(interaction)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선택되도록 하고, 해당 기능을 초기화하여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두 개 이상의 무선데이터통신장치들이 각각 두 개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제 1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콘텐트를 공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그 콘텐트의 메타데이터를 제 2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콘텐트의 공유 및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1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두 개의 무선데이터통신장치들이 직접 연결될 경우, 연결되는 케이스들에 따라 두 기기간의 연결 Attribute를 제 2 통신모듈로 송수신할 수 있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2는 NFC의 핸드오버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NFC의 협상 연결 핸드오버(Negotiated Connection Handover)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요청 장치(Handover Requestor)와 핸드오버 응답 장치(Handover Responder)가 서로 통신하면서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Handover Requestor와 Handover Responder가 NFC로 연결된 경우, Handover Requestor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 Message)를 Handover Responder로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Handover Responder는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Handover Select Message)를 Handover Requestor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양방향 메시지 트랜잭션(two-way message transaction)을 통해 다른 캐리어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한 후 해당 NFC 연결을 종료하고, 변경된 캐리어로 다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Handover Requestor와 Handover Responder는 변경된 캐리어로 연결된 경우, 서로 carrier specific protocol message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연결 핸드오버 메커니즘(Connection Handover Mechanism)을 이용하여 단대단 와이파이 직접 연결(Wi-Fi direct P2P)에 필요한 정보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a는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및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교환을 예시한다.
요청 단대단 장치(Requestor P2P Device)는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하여 선택 단대단 장치(Selector P2P Device)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Selector P2P Device는 Requestor P2P Device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 및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구성을 예시한다.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는 핸드오버 요청 레코드(Handover Request Record), 충돌 해결 레코드(Collision Resolution Record), 대체 캐리어 레코드(Alternative Carrier Record) 및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Handover Carrier Record)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Handover Carrier Record)는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와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대체 캐리어 레코드(Alternative Carrier Record)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에서, 대체 캐리어 레코드(Alternative Carrier Record)의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헤더(NDEF Header)는 생략되었다.
도 4에서 RFU 필드(RFU field)는 향후 사용을 위하여 예비 할당된 것(Reserved for Future Use)으로 RFU/CPS(Carrier Power State) 중 상위 6 비트를 나타낸다. CPS 필드가 0x0인 경우,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를 위한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가 비활성(inactive) 상태인 것을 타낸다. 또한, CPS 필드가 0x1인 경우 활성(active), 0x2인 경우 활성중(activating), 0x3인 경우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가 미확인(unknown)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캐리어 데이터 레퍼런스(CARRIER_DATA_REFERENCE)는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의 정보를 나타내는 NDEF 레코드(NDEF record)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이다. 캐리어 데이터 레퍼런스(CARRIER_DATA_REFERENCE)는 캐리어 데이터 레퍼런스 길이(CARRIER_DATA_REFERENCE_LENGTH) 및 캐리어 데이터 레퍼런스 CHR(CARRIER_DATA_REFERENCE_CHAR)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데이터 레퍼런스(AUXILIARY_DATA_REFERENCE)는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에 대한 부가 정보를 나타내는 NDEF 레코드(NDEF record)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이다. 보조 데이터 레퍼런스(AUXILIARY_DATA_REFERENCE)는 캐리어 데이터 레퍼런스 길이(AUXILIARY_DATA_REFERENCE_LENGTH) 및 캐리어 데이터 레퍼런스 CHR(CARRIER_DATA_REFERENCE_CHA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DEF 메시지는 P2P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NDEF 레코드는 CARRIER_DATA_REFERENCE에 매핑하고, 기기간 인증을 위한 WSC 정보를 나타내는 NDEF 레코드는 AUXILIARY_DATA_REFERENCE에 매핑하여, NFC를 통한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의 구조를 예시한다.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는 1 바이트의 RFU/CTF, 1바이트의 캐리어 유형 길이(Carrier Type Length), 캐리어 유형(Carrier Type) 및 캐리어 데이터(Carrier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Handover Carrier Record)의 NDEF 헤더는 생략되었다. NDEF 헤더의 TNF field는 0x01으로 설정되고, NDEF 헤더의 페이로드 유형 이름(Payload Type Name)은 "Hc" (0x48, 0x63)로 설정될 수 있다.
RFU 필드는 RFU/CTF 중 상위 5bit를 나타낸다. CTF는 RFU/CTF중 하위 3bit로 캐리어 유형 필드(CARRIER_TYPE field)의 구조를 나타낸다. CTF의 값이 1인 경우 캐리어 유형(Carrier Type)은 NFC Forum well-known type, 2인 경우 캐리어 유형은 Media-type as defined RFC 2046(MIME), 3인 경우 Absolute URI as defined RFC3986, 4인 경우 NFC Forum external typ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NFC를 이용하여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CTF 값을 2로 설정한다.
캐리어 유형 길이(CARRIER_TPYE_LENGTH)는 캐리어 유형(CARRIER_TYPE)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캐리어 유형 필드(CARRIER_TYPE field)는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에 대한 고유 정보(unique information)를 전달하는 필드로서, 상술한 CTF에 의해 그 구조, 엔코딩, 포맷 등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CTF를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유형으로 설정하므로, 캐리어 유형(CARRIER_TYPE)은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를 나타내기 위한 MIME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application/vnd.wa.pp"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에는 단대단 와이파이 기술 규격(Wi-Fi P2P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P2P 특성(attribute)들과 본 발명에서 NFC를 이용한 P2P 연결 설정을 위해 새로 정의한 단대단 벤더 규격 특성(P2P vendor specific attribute)이 이용된다.
도 6은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의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의 구조를 예시한다.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는 1 바이트의 RFU/CTF, 1바이트의 캐리어 유형 길이(Carrier Type Length), 캐리어 유형(Carrier Type) 및 캐리어 데이터(Carrier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Handover Carrier Record)의 NDEF 헤더는 생략되었다. NDEF 헤더의 TNF field는 0x01로 설정되고, NDEF 해더의 페이로드 유형 이름(Payload Type Name)은 "Hc" (0x48, 0x63)로 설정될 수 있다.
RFU 필드는 RFU/CTF 중 상위 5bit를 나타낸다. CTF는 RFU/CTF중 하위 3bit로 캐리어 유형 필드(CARRIER_TYPE field)의 구조를 나타낸다. CTF의 값이 1인 경우 캐리어 유형(Carrier Type)은 NFC Forum well-known type, 2인 경우 캐리어 유형은 Media-type as defined RFC 2046(MIME), 3인 경우 Absolute URI as defined RFC3986, 4인 경우 NFC Forum external typ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NFC를 이용하여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연결을 수행하기 위하여 CTF 값을 2로 설정한다.
캐리어 유형 길이(CARRIER_TPYE_LENGTH)는 캐리어 유형(CARRIER_TYPE)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캐리어 유형 필드(CARRIER_TYPE field)는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에 대한 고유 정보(unique information)를 전달하는 필드로서, 상술한 CTF에 의해 그 구조, 엔코딩, 포맷 등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CTF를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유형으로 설정하므로, 캐리어 유형(CARRIER_TYPE)은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를 나타내기 위한 MIME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application/vnd.wa.pp"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에는 WSC 기술 규격(Wi-Fi Simple Configuration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WSC 특성(attribute)들이 이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의 구조를 예시한다.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는 단대단 와이파이 기술 규격(Wi-Fi P2P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단대단 특성(P2P attribute) 중 단대단 장치 식별자 특성(P2P Device ID Attribute), 채널 리스트 특성(Channel List attribute)을 포함한다.
단대단 장치 식별자 특성(P2P Device ID Attribute)은 자신의 MAC 주소를 나타내는 특성(attribute)으로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네트워크 설정 시 기기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채널 리스트 특성(Channel List attribute)은 현재 장치가 지원하는 채널 중 단대단 연결(P2P connection)을 설정할 수 있는 채널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추가된 특성(attribute)들은 단대단 와이파이 기술 규격(Wi-Fi P2P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단대단 벤더 규격 특성(P2P Vendor Specific Attribute)에 포함된다. 단대단 벤더 규격 특성 식별자(P2P Vendor Specific attribute ID)는 단대단 와이파이 기술 규격(Wi-Fi P2P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0xdd로 정의하였다. 식별자(ID) 이후의 필드의 데이터 길이를 표시하기 위해 2 바이트의 길이 필드가 이용된다. 이후 데이터가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P2P connection Handover)에 관한 데이터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새로운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P2P connection Handover OUI) 필드를 정의한다. 또한 이후 데이터의 버전을 나타내기 위하여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OUI 유형(P2P connection Handover OUI Type)의 1 바이트의 필드를 정의한다. 이후 본 발명에서 정의한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들이 단대단 벤더 규격 특성(P2P Vendor Specific attribute)에 추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벤더 규격 특성(P2P Vendor Specific attribute)은 활성화 타임아웃 특성(Activation Timeout Attribute), GON(Group Owner Negotiation) 채널 특성(Channel Attribute), 연계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특성(Associated BSSID Attribute), 연계 채널 특성(Associated Channel Attribute) 등의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 타임아웃 특성(Activation Timeout Attribute)은 대체 캐리어(Alternative Carrier)가 턴온(turn on)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GON 채널 특성(Channel Attribute)은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Wi-Fi P2P Connection)에 필요한 메시지를 NFC상에서 주고 받은 후 실제 와이파이(Wi-Fi)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채널을 정의한다. 연계 BSSID 특성(Associated BSSID Attribute)은 현재 장치가 인프라-스트럭쳐 AP(infra-structure AP) 또는 P2P GO(Group Owner)에 연결되어있음을 표시한다. 연계 채널 특성(Associated Channel Attribute)은 연계(Association)된 경우 연계(association)된 채널 정보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의 형식을 예시한다.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은 1 바이트의 특성 식별자(Attribute ID)와 이후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필드(Length field) 및 데이터 필드(Data field)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특성(P2P connection Handover Attribute)의 식별자(ID)를 예시하는 표이다.
활성화 타임아웃 특성(Activation Timeout Attribute)는 ID 0, GON Channel Attribute는 ID 1, Associated BSSID Attribute는 ID 2, 연계 채널 특성(Associated Channel Attribute)는 ID 3으로 표시된다. ID 4 내지 255는 reservation되어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타임아웃 특성(Activation Timeout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단대단 활성화 타임아웃 필드(P2P Activation Timeout field)는 2 바이트의 길이이며, NFC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NFC connection handover message)의 교환(exchange) 이후 단대단 와이파이 인터페이스(Wi-Fi P2P interface)가 활성화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고 단위는 10ms이다. 도 4의 대체 캐리어 레코드(Alternative Carrier Record)의 CPS 필드가 1(Active)인 경우 단대단 활성화 타임아웃 필드(P2P Activation Timeout field)를 0으로 설정한다. CPS가 2(Activating)일 경우 단대단 와이파이 인터페이스(Wi-Fi P2P interface)가 완전히 턴온(turn on)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CPS가 3(Unknown)일 경우 이 값은 유효하지 않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GON 채널 특성(Channel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GON 채널 특성(GON Channel Attribute)은 NFC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NFC connection handover message)의 교환 이후 단대단 와이파이 기술 규격(Wi-Fi P2P Technical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단대단 공용 액션 프레임(P2P Public Action frame)이나, IEEE802.1에서 정의한 클래스 1 프레임(Class 1 frame)등을 전송할 채널의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컨트리 스트링(Country String) 필드는 오퍼레이팅 클래스(Operating Class) 및 채널 수(Channel Number)가 유효한 IEEE802.1의 컨트리 스트링 필드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오퍼레이팅 클래스(Operating Class)는 단대단 장치가 공용 액션 프레임(Public Action Frame)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채널 수(Channel Number)는 단대단 장치가 공용 액션 프레임(Public Action Frame)을 전송하는 채널 수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계 BSSID 특성(Associated BSSID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연계 BSSID 특성(Associated BSSID Attribute)는 현재 장치가 인프라 스트럭쳐 AP(infra-structure AP)나 단대단 GO(P2P Group Owner)에 연계(association)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계 채널 특성(Associated Channel Attribute)의 구성을 예시한다.
연계 채널 특성(Associated Channel Attribute)은 현재 장치가 인프라 스트럭쳐 AP(infra-structure AP)나 단대단 GO(P2P Group Owner)에 연계(association)되었을 때 연계된 채널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컨트리 스트링(Country String) 필드는 오퍼레이팅 클래스(Operating Class) 및 채널 수(Channel Number)가 유효한 IEEE802.1의 컨트리 스트링 필드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오퍼레이팅 클래스(Operating Class)는 단대단 장치가 연계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낸다. 채널 수(Channel Number)는 단대단 장치가 연계된 채널 수를 나타낸다.
도 14는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 구조를 예시한다.
NFC를 이용하여 Wi-Fi P2P를 설정하려는 기기가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달할 때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규격에서 정의한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전송하여 기기간에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공유할 수 있다.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사용할 경우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부분은 WSC에서 정의한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 대역외(Out-of-Band)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 특성, 버전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Wi-Fi Alliance)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을 포함한다.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공유한 두 기기는 Wi-Fi P2P 연결 시에 WSC를 통하여 크리덴셜(Credential)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크리덴셜(Credential)을 전송하여 기기간에 크리덴셜(Credential)을 공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Wi-Fi P2P 연결 시에 WSC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기기간 연결이 가능해진다. WSC에서 정의한 크리덴셜(Credential)을 사용할 경우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 부분은 WSC에서 정의한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 해당기기가 GO가 되었을 때 사용할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한 크리덴셜(Credential) 특성(Attribute), 키 라이프타임 특성(Key Lifetime Attribute),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을 포함한다.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달받은 기기가 새로운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Wi-Fi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Select message)에 자신이 원하는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이용하려면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Select message)에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는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과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을 포함한다.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달받은 기기는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선택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Select message)의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에 크리덴셜(Credential)정보를 포함할 수 없다. 또한, NFC상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을 당시에는 어떤 기기가 GO가 될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크리덴셜(Credential)을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Request message)를 전달받은 기기는 반드시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선택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Select message)에 크리덴셜(Credential)을 포함해야 한다.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요청/선택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Request/Select message)가 크리덴셜(Credential)를 포함하는 경우, 크리덴셜(Credential)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는 단대단 와일드카드 SSID(P2P Wildcard SSID)인 "Direct-"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크리덴셜(Credential)에서 패스 프레이즈(passphrase)(Network Key가 8~63 ascii character인 경우)가 사용되었을 경우 해당 passphrase와 이후 Wi-Fi P2P 링크 설정 이후에 정의되는 SSID를 이용, IEEE802.1 규격에서 정의한 PBKDF2 함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키(network key)를 생성해야 한다. 만약, 크리덴셜(Credential)에서 네트워크 키(Network key)(Network Key가 64 hex character인 경우)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PBKDF2 연산 없이 네트워크 키(network key)를 사용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구조를 예시한다.
NFC 포럼(Forum)에서 정의한 핸드오버 선택 레코드(Handover Select record), 대체 캐리어 레코드(Alternative Carrier Record), 및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에 대한 오류(Error) 상태를 나타낼 필요가 있을 때 오류 레코드(Error Record)가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에 포함된다. 만약 오류(Error)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류 레코드(Error Record)는 생략된다. 또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P2P Handover Carrier record)와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를 포함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에 포함된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P2P Handover Carrier)의 페이로드(payload) 구조를 예시한다.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에 포함된 단대단 핸드오버 캐리어(P2P Handover Carrier)의 페이로드(payload)에 비해 단대단 와이파이 규격(Wi-Fi P2P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상태 특성(Status Attribute)이 추가되었다. 이는 전달받은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의 정상처리 여부를 나타내는 특성(attribute)으로 상태 특성(Status Attribute)의 상태 코드(Status code)가 0(Success)일 경우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Select message)를 주고받은 두 기기는 GON 채널 특성(GON Channel Attribute)에서 정의한 채널에서 단대단 와이파이 그룹 형성(Wi-Fi P2P Group form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태 코드(Status code)가 0 이 아닌 경우, 새로운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Select message)를 주고 받아 단대단 와이파이 그룹(Wi-Fi P2P Grou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의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의 캐리어 데이터(CARRIER_DATA)구조를 예시한다.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규격(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달 받았을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해야 하는데, 이때 기기간에 새로운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사용하려면 새로운 대역외 장치 패스워드 특성(Out-of-Band Device Password Attribute)과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를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에 포함시켜야 한다.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에 포함된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 특성(Attribute)을 사용할 경우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를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에 포함시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해야 한다.
WSC(Wi-Fi Simple Configuration) 규격(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크리덴셜(Credential)을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달할 받았을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Wi-Fi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P2P connection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 해당기기가 GO가 되었을 때 사용할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한 크리덴셜(Credential) Attribute, Key Lifetime Attribute를 WSC 핸드오버 캐리어 레코드(WSC Handover Carrier Record)에 포함시켜야 한다.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선택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Select message)에 크리덴셜(Credential)을 포함하였을 경우, 크리덴셜(Credential)의 SSID는 P2P Wildcard SSID인 "Direct-"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 크리덴셜(Credential)에서 패스프레이즈(passphrase)(Network Key가 8~63 ascii character인 경우)가 사용되었을 경우 해당 패스프레이즈(passphrase)와 이후 Wi-Fi P2P 링크 셋업 이후에 정의되는 SSID를 이용, IEEE802.1-2012 specification에서 정의한 PBKDF2 함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키(network key)를 생성해야 한다. 만약 크리덴셜(Credential)에서 네트워크 키(network key가 64 hex character인 경우)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PBKDF2 연산 없이 네트워크 키(network key)를 사용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Wi-Fi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18에서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의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과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는 생략되었다.
도 18에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를 보내는 요청 장치(Requestor)는 channel 1,6,11번과 36,40번을 지원한다. 또한, NFC 메시지를 주고 받은 후 단대단 와이파이 인터페이스(Wi-Fi P2P interface)가 활성화되는 데는 1000ms가 필요하다.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 후 P2P GON(혹은 P2P Invitation)을 수행 할 채널로는 channel 1번을 사용하려 하고 있으며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로는 "a785ytfltr"을 사용한다.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Request message)를 받은 장치는 상태 성공(Status Success), 활성화 타임아웃(Activation Timeout) 1500ms,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 후 단대단 GON(혹은 P2P Invitation)을 수행 할 채널로는 channel 1번으로 하여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하는 장치는 요청 메시지에서 전송한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공유하므로 선택 메시지에 대역외 장치 패스워드(Out-of-Band Device Password)는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메시지 교환 후 각 장치의 활성화 타임아웃(Activation Timeout)이 지난 이후에 각각의 장치들은 앞서 설정된 채널 1번에서 P2P GON(혹은 P2P invitation)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를 전송한 장치가 먼저 단대단 GON(혹은 P2P Invitation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해야 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Wi-Fi 단대단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19 에서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의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과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는 생략되었다.
도19 에서 대역외 장치 패스워드(Out-of-Band Device Password)를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를 받은 장치는 새로운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사용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를 보낼 때 새로운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한 대역외 장치 패스워드(Out-of-Band Device Password)를 추가하여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한다. 이 때 두 장치는 선택 장치(Selector)가 보낸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사용하여 WSC를 수행하여야 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20에서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의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과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는 생략되었다.
도 20에서 크리덴셜 특성(Credential Attribute)을 포함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를 받은 장치는 자신이 Group Owner가 되었을 때 사용할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한 크리덴셜 특성(Credential Attribute)을 추가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Wi-Fi P2P Handover Select message)를 전송해야 한다. 이 때 두 장치는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공유하였으므로 WSC과정 없이 새로운 BSS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하여 NFC에서 Wi-Fi P2P로 연결 핸드오버(Connection Handover)를 실행하는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21에서 WSC 캐리어 레코드(WSC Carrier record)의 버전 특성(Version Attribute)과 버전 2 서브 구성요소(Version2 sub-element)를 포함한 WFA 벤더 확장 특성(Vendor Extension Attribute)는 생략되었다.
도 21에서 단대단 와이파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Wi-Fi P2P Handover Request message)를 보내는 요청 장치(Requestor)는 채널 1번만을 지원한다. 하지만 선택 장치(Selector)는 채널 11번만을 지원하므로 두 장치가 Wi-Fi 단대단 GON을 수행할 공유 채널(common channel)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장치는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Wi-Fi P2P Connection Handover)에 실패하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핸드오버 메시지(Wi-Fi P2P Connection Handover message)를 이용했을 때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무선 통신 장치는 NFC 기능을 가지는 인접 무선 통신 장치를 탐색한다(S2201). NFC 기능을 가지는 인접 무선 통신 장치를 확인하면(S2203), 인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2205). 인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인접 무선 통신 장치로 NFC 링크를 통하여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7). 이후, 인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NFC 링크를 통하여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S2209).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가 수신되면(S2211), 수신된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한다(S2213). 오류가 존재하지 않으면,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상태 특성을 확인한다(S2215). 상태 특성의 확인이 성공하면(S2217), 채널 및 크리덴셜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다(S2219). 이후, 협상된 채널을 통하여 인접 무선 통신 장치와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한다(S2221).
한편, S2205 단계에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분석한다(S2231). 이후,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인접 무선 통신 장치와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S2233).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성공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는 상태 특성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한다(S2235). 반면,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실패에 대한 코드 및 에러 레코드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전송한다(S2237).
한편, S2213 단계에서 에러 코드가 존재하거나 S2217 단계에서 상태 특성의 확인이 실패하는 경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를 분석한다(S2241, S2243). 이후, 다른 파라미터(parameter)로 다시 시도하여 성공하면 S2205 단계를 수행하고, 실패하면 S2201 단계를 수행한다(S224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통신연결이 가능한 무선데이터통신장치들, 예를 들어 Wi-Fi P2P와 NFC 통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서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설정(Wi-Fi P2P connection setup)을 NFC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대단 와이파이 연결 설정(Wi-Fi P2P connection setup)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반복 가능성이 있어 통신 분야 등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제1 네트워크 방식 및 제2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의 대역외 채널(out of band channel)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는 권한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을 위한 추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의 주인(Owner)을 결정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을 허용하는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은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방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에 소요되는 연결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유효한 시간에 대한 유효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기본 서비스 집합(Basic Service Se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의 주인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11.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연결을 수행하며, 제1 네트워크 방식 및 제2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의 대역외 채널(out of band channel)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으로의 연결을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는 권한에 대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와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을 위한 추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의 주인(Owner)을 결정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에 접속을 허용하는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는 장치 패스워드(device password)를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방식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은 단대단 와이파이(WiFi P2P) 방식을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의 연결에 소요되는 연결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프로비저닝 정보가 유효한 시간에 대한 유효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방식에서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선택 메시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기본 서비스 집합(Basic Service Se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에 대한 정보는 상기 기본 서비스 집합의 주인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
KR1020157007025A 2012-09-11 2013-09-11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689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9302P 2012-09-11 2012-09-11
US61/699,302 2012-09-11
PCT/KR2013/008215 WO2014042427A1 (ko) 2012-09-11 2013-09-11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85A true KR20150063385A (ko) 2015-06-09
KR101689613B1 KR101689613B1 (ko) 2016-12-26

Family

ID=5027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025A KR101689613B1 (ko) 2012-09-11 2013-09-11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249946A1 (ko)
KR (1) KR101689613B1 (ko)
WO (1) WO2014042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866B2 (en) 2016-12-09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2724B (es) * 2012-04-10 2016-10-10 Sony Corp Aparato de comunicación, método de control de comunicaciones y programa.
KR101814248B1 (ko) 2014-09-05 201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캐리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6717096B (zh) 2014-09-18 2020-02-04 株式会社Kt 用于处理用户平面数据的方法及装置
CN106717060B (zh) * 2014-10-02 2020-06-05 株式会社Kt 用于使用wlan载波处理数据的方法及其装置
WO2016167618A1 (ko) * 2015-04-17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690172B2 (ja) * 2015-09-29 2020-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6874381B2 (ja) * 2017-01-16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862872B2 (ja) 2017-02-02 2021-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EP3576441A1 (en) * 2018-05-31 2019-12-04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984A (ko) * 2003-12-01 2006-11-1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개시 핸드오프에 기초한 세션 개시프로토콜(sip)
KR20070025964A (ko) * 2005-08-29 2007-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액세스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방법
US7551577B2 (en) * 2005-04-01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Access point provisioning and mapping in dual mode devices
KR20100024982A (ko) * 2007-06-06 2010-03-0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이기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지원 메카니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7036B2 (en) * 2002-07-02 2006-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JP5597624B2 (ja) * 2010-12-29 2014-10-01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短距離通信を介したネットワーク設定
US8818276B2 (en) * 2012-05-16 2014-08-2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network access to guest apparatus based on presence of hosting apparatus
EP2868138B1 (en) * 2012-06-29 2019-11-2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learance of frequency spectrum in a cell using authorized shared access (as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984A (ko) * 2003-12-01 2006-11-1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개시 핸드오프에 기초한 세션 개시프로토콜(sip)
US7551577B2 (en) * 2005-04-01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Access point provisioning and mapping in dual mode devices
KR20070025964A (ko) * 2005-08-29 2007-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액세스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24982A (ko) * 2007-06-06 2010-03-0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이기종 네트워크 핸드오버 지원 메카니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2866B2 (en) 2016-12-09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2427A1 (ko) 2014-03-20
KR101689613B1 (ko) 2016-12-26
US20150249946A1 (en)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613B1 (ko)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1417092B (zh) 支持单个一对一侧链路通信链路车联网服务的方法和设备
JP697026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伝送リソースを要求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9417701B (zh) 用于接入蜂窝网络来获得sim简档的方法和设备
CN107249174B (zh) 通信连接建立方法和终端
US965490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P18293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nnection and remote configuration of wireless clients
KR101707364B1 (ko) 무선 도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349579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US2014002951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702892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docking service
EP2291017B1 (en) Method for network connection
TW201528863A (zh) 在一無線通訊系統中支援裝置間通訊的方法及裝置
EP3487260A1 (en) Link establish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190471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FIXED ACCESS IN A CONVERGED 5G HEART
CN104144463A (zh) Wi-Fi网络接入方法和系统
EP143694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 link adaptation
KR20130137027A (ko) 프록시 디바이스를 통한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간단한 연결 셋업
US99616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US20200127874A1 (en) Integration of physical and virtual lmr networks
US10172178B2 (en) Wireless LAN station having platform capable of changing wireless LAN connection technique
US20230217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another remote user equipment (ue) via a relay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728675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服务策略的设备和方法
WO2022205219A1 (zh) 中继方式的配置方法、中继通信方法、装置及设备
WO2021120923A1 (zh) 信息传输方法和装置、信息处理方法和装置、终端、网元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