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236A -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236A
KR20150063236A KR1020130147642A KR20130147642A KR20150063236A KR 20150063236 A KR20150063236 A KR 20150063236A KR 1020130147642 A KR1020130147642 A KR 1020130147642A KR 20130147642 A KR20130147642 A KR 20130147642A KR 20150063236 A KR20150063236 A KR 2015006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mber
connection pipe
wat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954B1 (ko
Inventor
장원택
정경남
김양규
정길주
이태진
한기훈
윤성환
이현우
오승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954B1/ko
Priority to EP14866184.6A priority patent/EP3075429A4/en
Priority to CN201480064206.9A priority patent/CN105848749B/zh
Priority to PCT/KR2014/010852 priority patent/WO2015080405A1/ko
Priority to US15/038,693 priority patent/US20160279544A1/en
Priority to JP2016535046A priority patent/JP6336077B2/ja
Publication of KR2015006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236A/ko
Priority to IL245910A priority patent/IL245910A0/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3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valves, e.g. rotating valves for coaxially placed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1Upstream control, i.e. monitoring for predictiv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0Prevention of bio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필터부재;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각각 공급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양측에 마련된 유입부; 및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역세척하도록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된 역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 과정에서 사용된 필터부재의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장치 {FILTER APPARATUS}
본 발명은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미생물 등의 여과 과정에서 사용된 필터부재를 역세척할 수 있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박의 균형 및 흘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를 저장할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설치된다.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는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였을 때 선박의 전후 또는 좌우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 선박평형수를 유입 또는 유출시켜 선박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은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한 상태일 때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선박은 화물의 적재량에 따라 밸러스트 탱크 내의 선박평형수의 양을 조절하여, 화물을 적재한 상태와 유사한 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서 안정적인 운항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밸러스트 탱크 내에 저장되는 선박평형수는 주로 펌프 등을 이용하여 선박 주변의 해수 또는 담수를 밸러스트 탱크로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방법으로 조절된다. 그런데, 선박평형수를 밸러스트 탱크에 유입시키는 과정에서 선박이 위치하는 지역의 이물질, 즉 자갈, 모래, 진흙 등의 무기질뿐만 아니라, 어패류, 갑각류, 플랑크톤 등과 같은 생물체 및 유기물질 등이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원거리를 운항할 경우, 이러한 이물질이 밸러스트 탱크 내에 침전 및 고착되어, 밸러스트 탱크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박이 화물을 적재하면서 밸러스트 탱크 내의 선박평형수를 유출시킬 때 그 속에 포함된 생물체 및 유기물질 등이 함께 유출되므로, 주변 생태계에 변화를 초래하여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선박평형수로 인한 생태계 피해를 막기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 정화 규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원거리 항해를 하는 선박은, 선박평형수에 포함된 생물체나 유기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원거리를 항해하는 유조선, 컨테이너선, LNG 운반선 등의 대형 선박에는 대량의 선박평형수가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 선박의 선박평형수로 사용되는 대량의 해수 또는 담수를 신속하게 여과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필터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에도 필터부재를 신속하게 역세척하여 필터부재의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미생물의 여과 과정에서 사용된 필터부재의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는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필터부재;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각각 공급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양측에 마련된 유입부; 및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역세척하도록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된 역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유입부와,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유입부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유입부 및 상부유입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유입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상기 역세척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관을 회전시키는 연결관 구동부와,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세척된 이물질을 상기 연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연결관과 연통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역세척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하부유입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연결관과, 상기 상부유입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연결관과, 상기 유입통로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연결관과 상기 상부연결관을 연결하는 중앙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는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로 공급된 물을 구획하여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부재 내에 마련된 구획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상기 상부연결관은 상기 하부연결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의 중간 또는 상기 필터부재의 중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는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역세척부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결합된 유량조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상기 유량조절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물의 과도한 배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에 소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 또는 담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 과정에서 사용된 필터부재의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필터장치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개략도,
도 4는 도 1의 필터장치의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여과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장치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여과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여과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단열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장치의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필터장치의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여과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장치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선박의 균형 및 흘수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박평형수(ballast water)로서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에 제공되는 해수 혹은 담수와 같은 물에 포함된 무기질 및 미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선박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되는 해수 또는 담수 등과 같은 물에 포함된 무기질 및 미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여과할 필요가 있는 다른 장치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11) 및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37)가 마련된 필터 하우징(10)과, 필터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필터부재(50)와, 필터 하우징(10) 내에 마련되어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물이 필터부재(5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51)로 각각 공급되도록 필터부재(50)의 양측에 마련된 유입부(13)와, 필터부재(50)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필터부재(50)로부터 역세척하도록 복수의 필터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된 역세척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0)은 필터장치(1)의 외관을 형성한다. 필터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예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미도시)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밸러스트 탱크(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된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필터 하우징(10)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부재(50)를 수용하여 장착하는 필터 장착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1)는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 하우징(10)의 하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1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10)의 상부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출구(37)는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 장착부(31)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출구(37)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유출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10)의 하부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부재(50)가 필터 하우징(10)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유입부(13)는 필터부재(50)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유입부(14)와, 필터부재(50)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유입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부(13)는 필터 하우징(10)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하부유입부(14) 및 상부유입부(15)를 상호 연통시키는 유입통로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터부재(50)가 필터 하우징(10)의 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유입부(13)는 필터부재(5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부유입부(14)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을 복수의 필터부재(5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51)를 통해 공급하도록 복수의 필터부재(50)의 하부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유입부(15)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하부유입부(14) 및 유입통로부(17)를 통해 유입되어 복수의 필터부재(5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51)를 통해 공급하도록 복수의 필터부재(50)의 상부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통로부(17)는 본 발명의 일예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 필터 장착부(31)의 중앙영역에 관통 형성되어 하부유입부(14)로 유입된 물을 상부유입부(15)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유입통로부(17)는 필터 하우징(10)의 중앙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유입부(14)로 유입된 물을 상부유입부(15)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10)의 다른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필터 장착부(31)는 본 발명의 일예로 복수의 필터부재(50)를 수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장착부(31)는 중공 형상의 다각형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형상필터 장착부(31)의 하부 및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로관통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 장착부(31)에는 6개의 필터부재(50)가 등각도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장착부(31)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 이하 혹은 7개 이상 다양한 수량의 필터부재(50)가 장착 될 수도 있다. 필터 장착부(31)의 하측에는 하부유입부(14)가 형성되며, 필터 장착부(31)의 상측에는 상부유입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공 형상의 필터 장착부(31)의 중앙영역에는 유입통로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장착부(31)에는 유로관통부(33)를 통해 필터부재(50)로 유입되어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을 통해 여과된 물을 수용하는 유출부(35)가 형성된다. 필터 장착부(31)의 일측에는 유출부(35)에 수용된 여과된 물을 밸러스트 탱크(미도시)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유출구(37)가 형성되다.
유로관통부(33)는 본 발명의 일예로 6개의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에 대응하여 필터 장착부(3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6개 씩 등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유로관통부(33)를 통해 상부유입부(15) 및 하부유입부(14)로부터 물이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을 통해 유출부(35)로 빠져 나가면서 여과 과정이 수행된다.
유출부(35)는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을 통해 여과된 물이 유출구(37)로 배출되기 전에 수용되는 곳으로 필터 장착부(31) 내의 필터부재(5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50)는 필터 장착부(31) 내에 장착되어 양측으로부터 중앙으로 유입된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부재(50)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양측에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50)에는 개구부(5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필터공(5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은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a)의 크기가 4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되는 물의 종류나 상태 및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가 적용되는 분야 등에 따라 45 마이크로미터 보다 작은 크기의 이물질(a)도 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공(53)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필터부재(50)의 여과 과정에서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로 공급된 물을 구획하여 여과하며, 필터부재(50)의 역세척 과정에서 필터부재(50)를 구획하여 역세척하도록 필터부재(50) 내에 마련된 구획부재(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재(55)는 중공 형상의 필터부재(5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부유입부(15) 및 하부유입부(14)로부터 필터부재(5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51)를 통해 각각 유입된 물을 구획하여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세척부(70)에 의해 역세척하는 과정에서도 구획하여 역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여과 과정에서 하부유입부(14)만 있는 경우에는 필터부재(50) 중에서 하부유입부(14)에 근접한 하부영역에서 여과가 많이 일어나게 되고, 필터부재(50) 중에서 하부유입부(14)에 근접한 하부영역에 이물질(a)이 많이 끼게 되어 여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하부유입부(14) 및 상부유입부(15)를 통해 필터부재(50)의 양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55)를 더 설치함으로써 필터부재(50)가 하부유입부(14)로부터 유입된 물과 상부유입부(15)로부터 유입된 물을 각각 분리하여 여과할 수 있게 되어 여과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역세척부(70)는 복수의 필터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연결관(71)과, 연결관(71)이 복수의 필터부재(5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도록 연결관(71)을 회전시키는 연결관 구동부(75)와, 필터부재(50)로부터 세척된 이물질(a)을 연결관(71)을 통해 배출되도록 연결관(71)과 연통된 배출관(7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역세척부(70)는 배출관(79)을 개폐하도록 배출관(79)에 설치된 역세척 밸브(7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71)은 본 발명의 일예로 하부유입부(14) 내에 형성되어 필터부재(50)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연결관(72)과, 상부유입부(15) 내에 형성되어 필터부재(50)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연결관(73)과, 유입통로부(17) 내에 형성되어 하부연결관(72)과 상부연결관(73)을 연결하는 중앙연결관(7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결관(72)은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 장착부(3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관통부(33)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역세척 과정에서 하부연결관(72)과 연통된 필터부재(5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a)을 하부연결관(72)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상부연결관(73)은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 장착부(31)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유로관통부(33)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역세척 과정에서 상부연결관(73)과 연통된 필터부재(50)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a)을 상부연결관(73)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중앙연결관(74)은 본 발명의 일예로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을 연결하도록 중공 형상의 필터 장착부(31)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며, 그 하측에는 배출관(79)이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일예로 중앙연결관(74)은 필터 장착부(3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유입통로부(17)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을 통해 이송되는 이물질(a)이 중앙연결관(74)을 통해 배출관(79)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관 구동부(75)는 본 발명의 일예로 중앙연결관(74),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을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연결관 구동부(75)는 본 발명의 일예로 중앙연결관(74),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을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구동모터 등으로 마련되어 필터 하우징(1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관 구동부(75)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 하우징(10)의 하측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 구동부(75)는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복수의 필터부재(50) 중에서 이물질(a)이 많이 끼어 있는 필터부재(50)에 연결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물질(a)이 많이 끼어 있는 필터부재(50)를 판단하는 방법은 복수의 필터부재(50) 내부에 압력센서(미도시) 등을 장착하여 각각의 필터부재(50) 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압력이 높은 쪽이 이물질(a)이 많이 끼어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a)이 많은 필터부재(50)가 정해지면 그 필터부재(50)에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되도록 연결관 구동부(75)를 제어하면 된다.
배출관(79)은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 하우징(10)의 하측에 마련되어 중앙연결관(74)을 통해 이송되는 이물질(a)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역세척 밸브(77)는 본 발명의 일예로 배출관(79)에 장착되어 배출관(79)을 개폐하게 된다. 그러나, 역세척 밸브(77)는 배출관(79)을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관(71)과 배출관(79)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여과과정과 동시에 역세척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즉, 연결관 구동부(75)에 의해 복수의 필터부재(50) 중 하나에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된다. 그리고, 유입구(11)를 통해 물이 필터 하우징(10)에 공급되어 필터 하우징(10) 내부에 물이 가득차게 되어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역세척 밸브(77)를 개방하게 되면, 배출관(79) 쪽은 대기압이 되고 필터 하우징(10) 내부는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게 형성된다. 이에, 필터 하우징(10) 내의 유출부(35)에서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된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으로 물이 역류되면서 이물질(a)이 세척되어 이탈되는 역세척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이탈된 이물질(a)이 물과 함께 상부연결관(73)과 하부연결관(72) 및 중앙연결관(74)을 통해 배출관(79)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복수의 필터부재(50) 내의 측정된 압력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물질(a)이 많이 끼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역세척 밸브(77)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세척 밸브(77)를 폐쇄하게 되면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된 필터부재(50)에는 역세척 과정이 진행되지 않고 나머지 필터부재(50)들에서는 여과 과정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역세척 과정에서 하부연결관(72)만 있는 경우에는 필터부재(50) 중에서 하부연결관(72)에 근접한 하부영역에서 역세척이 많이 일어나게 되어 필터부재(50) 중에서 하부연결관(72)에 근접한 하부영역의 이물질(a)이 세척이 잘 일어나게 되고 그 외의 상부영역의 이물질(a)의 역세척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하부연결관(72) 및 상부연결관(73)을 통해 필터부재(50)의 양측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되어 하부연결관(72) 뿐만 아니라 상부연결관(73)에 근접한 영역의 이물질(a)들도 세척이 잘 되어 역세척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55)를 더 설치함으로써 하부연결관(72) 및 상부연결관(73)을 통해 필터부재(50)의 양측으로 배출되는 물을 구획할 수 있어 역세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획부재(55)는 본 발명의 일예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필터부재(50)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획부재(55)는 필터부재(50)의 길이의 3/5 내지 4/5 정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구획부재(55)는 필터부재(50)의 길이나 개구부(51)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필터부재(50)의 길이의 1/2 내지 3/5 정도 위치 혹은 4/5 이상의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획부재(55)를 필터부재(50)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은 중력의 영향으로 상부유입부(15)로부터 필터부재(50)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 압력이 하부유입부(14)로부터 필터부재(50)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 압력보다 약하게 때문에 하부유입부(14)로부터 필터부재(5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더 많아 유입되는 물의 여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역세척 과정에서도 중력의 영향으로 상부연결관(73)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하부연결관(72)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으므로 구획부재(55)를 필터부재(50)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역세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의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과 과정을 살펴보면, 유입구(11)를 통해 물이 필터 하우징(10)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물은 하부유입부(14), 유입통로부(17) 및 상부유입부(15)로 이송되어 필터 장착부(31)의 유로관통부(33)를 통해 복수의 필터부재(50)로 공급된다. 필터부재(50)로 공급된 물은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을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유출부(35)를 통해 유출구(37)로 배출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여과 과정에서 하부유입부(14) 및 상부유입부(15)를 통해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로 물이 공급되므로 하부유입부(14)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여과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50)에 구획부재(55)가 마련된 경우에는 하부유입부(14)로부터 유입된 물과 상부유입부(15)로부터 유입된 물을 각각 분리하여 여과하게 되므로 구획부재(55)가 없는 경우에 비해 더욱 여과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55)를 필터부재(50)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여과 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역세척 과정을 살펴보면, 역세척 밸브(77)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입구(11)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필터 하우징(10) 내부에는 물이 가득하게 되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 구동부(75)는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을 복수의 필터부재(50) 중 이물질(a)이 많이 끼어 있는 필터부재(50)에 연결하도록 구동된다. 그런 후에, 역세척 밸브(77)를 개방하게 되면, 배출관(79) 쪽은 대기압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필터 하우징(10) 내의 유출부(35)에서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된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으로 물이 역류하면서 이물질(a)을 역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역세척된 이물질(a)들이 상부연결관(73)과 하부연결관(72) 및 중앙연결관(74)을 통해 배출관(79)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복수의 필터부재(50) 내의 측정된 압력값이 소정의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역세척 밸브(77)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세척 밸브(77)를 폐쇄하게 되면 역세척 과정이 진행되지 않고 여과 과정만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역세척 과정에서 하부연결관(72) 및 상부연결관(73)으로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를 통해 이물질(a) 등을 포함한 물이 배출되므로 하부연결관(72)만 형성된 경우에 비해 역세척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50)에는 구획부재(55)가 마련된 경우에는 하부유입부(14)로부터 유입된 물과 상부유입부(15)로부터 유입된 물을 각각 분리하여 여과하게 되므로 구획부재(55)가 없는 경우에 비해 더욱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획부재(55)를 필터부재(50)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서 중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역세척 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여과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의 필터부재(50)에 유량조절부재(81)가 더 장착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유량조절부재(81)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유량조절부재(81)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유량조절부재(81)는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를 통해 역세척부(70)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필터부재(50)에 결합될 수 있다. 유량조절부재(8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역세척부(70)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부재(81)는 본 발명의 일예로 사각형 단면의 링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역세척부(70)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단면이 원형인 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량조절부재(81)는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량조절부재(8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재(50)의 일측 개구부(51)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의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과 과정을 살펴보면,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81)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을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여과 과정에서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를 통해 물이 공급되므로 제1실시예와 같이 여과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여과 과정에서 필터부재(50)에 구획부재(55)가 추가로 마련된 경우에도 제1실시예와 같이 여과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역세척 과정을 살펴보면, 역세척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된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으로 물이 역류하면서 이물질(a)을 역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에 유량조절부재(81)가 장착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에 유량조절부재(81)가 장착됨으로서 여과된 물의 배출을 줄여 밸러스트 탱크(미도시)로 보다 많은 양의 여과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역세척 과정에서도 여과 과정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기재된 효과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여과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의 필터부재(50)에 유량조절부재(81)에 차단부(83)가 더 포함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유량조절부재(81)에 포함된 차단부(83)를 제외하고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유량조절부재(81)의 차단부(83)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차단부(83)는 유량조절부재(81)에 형성되며,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에 근접한 영역에서 물의 과도한 배출을 억제하도록 필터부재(50)의 내측에 소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83)는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부재(5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유량조절부재(81)의 내측 단부에서 필터부재(50)의 중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83)는 본 발명의 일예로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81)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차단부(8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재(50)의 일측 개구부(51)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차단부(83)의 길이(b)는 필터부재(50)의 길이의 1/6 내지 1/4 정도일 수 있다. 그러나 차단부(83)의 길이(b)는 필터부재(50)의 길이나 개구부(51)의 직경 및 구획부재(55)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필터부재(50)의 길이의 1/6 보다 짧거나 1/4 보다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의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과 과정을 살펴보면,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에 장착된 유량조절부재(81)의 차단부(83)를 통해 유입된 물이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을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여과 과정에서 필터부재(50)의 양측 개구부(5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차단부(83)에 의해 필터부재(50)의 중앙영역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여과를 하게 되므로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 부근영역에서 과도하게 여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여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여과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기재된 효과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역세척 과정을 살펴보면, 역세척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부연결관(73) 및 하부연결관(72)이 연결된 필터부재(50)의 필터공(53)으로 물이 역류하면서 이물질(a)을 역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에 차단부(83)가 장착되어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 부근영역에서 과도하게 역세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 부근영역에서 역세척되는 이물질(a)들이 차단부(83)에 차단되어 차단부(83)의 단부를 돌아서 배출되어야 하므로 필터부재(50)의 개구부(51) 부근영역에서 과도하게 역세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필터부재(50)에 균일하게 역세척되어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역세척 과정에서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서에서 기재된 효과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필터부재의 역세척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의 상부연결관(73)이 상기 하부연결관(7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구획부재(155)가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또는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상부연결관(73)의 형상, 상기 하부연결관(72)의 형상 및 상기 구획부재(155)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상부연결관(73)은 상기 필터부재(150)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73)은 상기 필터부재(150)에 연결된 부분 및 상기 필터부재(150)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필터부재(150)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관(73)은 상기 필터부재(150)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필터부재(150)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연결관(72)은 상기 필터부재(15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관(72)은 상기 필터부재(150)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필터부재(15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연결관(73)은 상기 하부연결관(7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150)의 상측 및 상기 상부연결관(73)을 통해 출입하는 물의 양이 상기 필터부재(150)의 하측 및 상기 하부연결관(72)을 통해 출입하는 물의 양 보다 많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획부재(155)는 상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또는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150)를 출입하는 물의 양에 대한 균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여과 효율 및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상부연결관(73)과 상기 하부연결관(72)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재(155)가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연결관(73)이 상기 하부연결관(72)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구획부재(155)가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또는 상기 필터부재(150)의 중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획부재(155)는 상기 상부연결관(73)과 상기 하부연결관(72)의 직경 차이, 상기 필터부재(150)의 직경, 상기 필터부재(150)의 양측에 형성되는 압력 크기 등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150) 내에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필터장치 10 : 필터 하우징
11 : 유입구 13 : 유입부
35 : 유출부 37 : 유출구
50 : 필터부재 55 : 구획부재
70 : 역세척부 71 : 연결관
75 : 연결관 구동부 77 : 역세척 밸브
81 : 유량조절부재 83 : 차단부

Claims (9)

  1.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중공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필터부재;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로 각각 공급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양측에 마련된 유입부; 및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역세척하도록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된 역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유입부와,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마련된 상부유입부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유입부 및 상부유입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유입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관을 회전시키는 연결관 구동부와,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세척된 이물질을 상기 연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연결관과 연통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역세척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하부유입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연결관과, 상기 상부유입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연결관과, 상기 유입통로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연결관과 상기 상부연결관을 연결하는 중앙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로 공급된 물을 구획하여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부재 내에 마련된 구획부재를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로 공급된 물을 구획하여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부재 내에 마련된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역세척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에 연결되도록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연결관과,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연결관은 상기 하부연결관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획부재는 상기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재의 중간 또는 상기 필터부재의 중간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역세척부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필터부재에 결합된 유량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개구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물의 과도한 배출을 억제하도록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에 소정 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KR1020130147642A 2013-11-29 2013-11-29 필터장치 KR10205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42A KR102055954B1 (ko) 2013-11-29 2013-11-29 필터장치
EP14866184.6A EP3075429A4 (en) 2013-11-29 2014-11-12 Filter device
CN201480064206.9A CN105848749B (zh) 2013-11-29 2014-11-12 过滤装置
PCT/KR2014/010852 WO2015080405A1 (ko) 2013-11-29 2014-11-12 필터장치
US15/038,693 US20160279544A1 (en) 2013-11-29 2014-11-12 Filter device
JP2016535046A JP6336077B2 (ja) 2013-11-29 2014-11-12 フィルター装置
IL245910A IL245910A0 (en) 2013-11-29 2016-05-29 Filt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42A KR102055954B1 (ko) 2013-11-29 2013-11-29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236A true KR20150063236A (ko) 2015-06-09
KR102055954B1 KR102055954B1 (ko) 2019-12-16

Family

ID=5319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642A KR102055954B1 (ko) 2013-11-29 2013-11-29 필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279544A1 (ko)
EP (1) EP3075429A4 (ko)
JP (1) JP6336077B2 (ko)
KR (1) KR102055954B1 (ko)
CN (1) CN105848749B (ko)
IL (1) IL245910A0 (ko)
WO (1) WO20150804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39A (ko) 2016-11-18 2018-05-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평형수 필터의 부식 방지를 위한 세정 시스템
CN109316800A (zh) * 2018-10-07 2019-02-12 江苏孝和善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低频共振活水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803B2 (en) 2015-12-18 2018-08-28 Synfuel Americas Corporation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107875708A (zh) * 2017-12-19 2018-04-06 邱学尧 过滤管道及其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1185A (en) * 1918-07-29 1920-02-17 Benjaman Tractor Company Tractor turning mechanism
US3318452A (en) * 1966-02-01 1967-05-09 Renard P Adams Backwash means for an open ended multiple tube filter assembly
US3703465A (en) * 1970-12-14 1972-11-21 Dover Corp Filter with rotating backwash selector
JPH0628685B2 (ja) * 1989-04-20 1994-04-20 株式会社旭機械製作所 濾過装置
RU2064324C1 (ru) * 1991-09-19 1996-07-27 Евгений Алексеевич Шутков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для жидкости
US5401406A (en) * 1992-12-11 1995-03-28 Pall Corporation Filter assembly having a filter element and a sealing device
DE4345412C2 (de) * 1993-11-26 1999-11-11 Boll & Kirch Filter Filterkerze
JP3089597B2 (ja) * 1996-04-15 2000-09-18 丸誠重工業株式会社 海水を濾過する超微細型濾過機
FI110483B (fi) * 1999-09-20 2003-02-14 Parker Hannifin Oy Suodatuslaitteisto
DE10024401A1 (de) * 2000-05-19 2001-11-22 Boll & Kirch Filter Rückspulfilter, insbesondere für die Schmierölfilterung
DE10024402C2 (de) * 2000-05-19 2002-03-07 Boll & Kirch Filter Rückspülfilter, insbesondere für die Wasserfilterung und Verfahren zu deren Rückspülung
CN2508833Y (zh) * 2001-11-15 2002-09-04 卢普伦 自动反冲洗精密过滤器
DE102004037280B4 (de) * 2004-07-31 2006-08-10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Rückspülfiltervorrichtung
DE102005013673A1 (de) * 2005-03-24 2006-09-28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Filteranlage
US20070095746A1 (en) * 2005-10-31 2007-05-03 Eugene Minichello Filter element seal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DE202005019664U1 (de) * 2005-12-14 2007-02-01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filter
DE102007054737A1 (de) * 2007-11-16 2009-05-20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CN201404725Y (zh) * 2009-05-21 2010-02-17 青岛海德威船舶科技有限公司 自动反冲洗过滤器
KR101169436B1 (ko) * 2011-11-29 2012-07-27 주식회사고려필터 필터 드럼에 의한 가압 역세척 방식의 필터장치
KR101254776B1 (ko) * 2012-07-16 2013-04-15 삼건세기(주) 가압시스템을 갖춘 선박 평형수 필터장치
JP6076647B2 (ja) * 2012-08-10 2017-02-08 富士フィルター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
CN102784504B (zh) * 2012-08-26 2014-07-02 河北北洋水处理设备有限公司 多滤筒过滤装置中的自动反冲洗系统
WO2015076524A1 (ko) * 2013-11-21 2015-05-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필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139A (ko) 2016-11-18 2018-05-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평형수 필터의 부식 방지를 위한 세정 시스템
CN109316800A (zh) * 2018-10-07 2019-02-12 江苏孝和善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低频共振活水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954B1 (ko) 2019-12-16
US20160279544A1 (en) 2016-09-29
EP3075429A4 (en) 2017-07-26
EP3075429A1 (en) 2016-10-05
JP6336077B2 (ja) 2018-06-06
WO2015080405A1 (ko) 2015-06-04
CN105848749B (zh) 2017-10-31
JP2016539790A (ja) 2016-12-22
CN105848749A (zh) 2016-08-10
IL245910A0 (en) 201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4276B2 (ja) 大量流動液体から粒子および生物を分離および濾過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2055954B1 (ko) 필터장치
KR101461719B1 (ko) 자동 역세척 필터 장치
JP6268291B2 (ja) フィルター装置
KR101541641B1 (ko) 역세척 필터 장치
KR101357633B1 (ko) 선박용 전처리 시스템
US20180111069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KR101454103B1 (ko)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용 필터
KR101959090B1 (ko) 필터장치
KR102055953B1 (ko) 필터장치
CN109499147A (zh) 一种具有折褶型滤网的卧式压载水过滤装置
US10071324B2 (en) Backwashing fluid discharge apparatus and filter unit
KR101516160B1 (ko) 선박용 침전탱크 시스템
KR101110836B1 (ko) 밸러스트 탱크의 침전물 배출 구조체
KR20150059233A (ko) 역세척유체 배수장치 및 필터장치
JP2013056621A (ja) コンテナ船における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102024399B1 (ko) 필터부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장치
KR20130003766U (ko)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34404B1 (ko) 필터 세척장치
KR101427478B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의 해수 유동 조절 시스템
KR102535407B1 (ko)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708119B1 (ko) 해양구조물용 미네랄 첨가형 필터장치
KR101693232B1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필터 장치
KR20140004893A (ko) 선박용 씨 체스트
JP2019150804A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