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483A -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 Google Patents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483A
KR20150062483A KR1020130147174A KR20130147174A KR20150062483A KR 20150062483 A KR20150062483 A KR 20150062483A KR 1020130147174 A KR1020130147174 A KR 1020130147174A KR 20130147174 A KR20130147174 A KR 20130147174A KR 20150062483 A KR20150062483 A KR 2015006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lane
radiation patch
dielectric layer
antenn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709B1 (ko
Inventor
박주덕
강호용
표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709B1/ko
Priority to US14/299,870 priority patent/US9742062B2/en
Publication of KR2015006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01Q3/247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by switching different parts of a primary ac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기의 형상과 크기에 적합한 구조로 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는,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치; 상기 방사 패치가 형성된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과 절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Small antenna for controlling switching direction}
본 발명은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기기의 형상과 크기에 적합한 구조로 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의 네트워크와 다르게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니라 자동화된 원격 정보 수집을 기본 목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과학적, 의학적, 군사적, 상업적 용도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를 통해 정보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다수의 센서 노드(Sensor Node)와, 상기 다수의 센서 노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싱크 노드(Sink Node)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센서 노드는,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와, 감지된 정보를 가공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가공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설치 및 사용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의 한정된 전원으로 장시간 동작할 수 있는 저전력 설계 및 소형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저전력 및 소형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센서 노드는 기능 및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때문에, 보통 한정된 계산 능력을 갖는다.
한편, 전파의 방향을 감지하거나 지향성의 방사 방향을 나타내는 안테나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위상 배열 안테나 또는 다중 포트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왔는데, 상기 위상 배열안테나 및 다중 포트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많은 전력과 높은 계산 능력과 다수의 RF 포트를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하여, 상술한 센서 노드와 같이 저전력 및 한정된 계산 능력을 갖는 소형 무선 장치의 경우, 대부분 단일 포트의 RF 출력을 지원하고, 한정된 섹터 수의 방향 제어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 노드와 같은 소형 무선 장치의 경우, 전파의 방향 제어를 위하여 위상 배열 안테나와 같이 다수의 방사체를 이용하지 않고, 하나의 방사체와 다수의 기생소자(Parasitic Element)로 안테나를 구성하여 기생소자의 전기적 길이 조절과 소자간의 간섭을 이용한다.
도 1은 소형 무선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섹터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형 섹터 안테나(10)는, 하나의 모노폴 안테나(11)와, 상기 모노폴 안테나(11)의 주변에 원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기생 소자(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1에서 미설명된 부호 13은 상기 모노폴 안테나(11) 및 다수의 기생 소자(12)가 고정되는 원반형 금속 접지를 나타낸다. 이때, 모노폴 안테나(11) 및 기생 소자(12)의 길이, 상기 모노폴 안테나(11)와 기생 소자(12) 간의 거리, 및 상기 원반형 금속 접지의 두께는 전파의 파장(λ)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소형 섹터 안테나의 방사 방향 제어는, 상기 다수 기생 소자(12)의 캐패시턴스 변화에 의한 전기적 등가 길이 변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다수 기생 소자(12)의 캐패시턴스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렉터 다이오드가 주로 적용되었는데, 그러한 경우 바이어스 전압과 방사 방향의 비선형적인 대응관계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잡한 계산에 의해 발생시킨 디지털 비트열을 바렉터 다이오드의 바이어스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별도의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도 구비해야 하여 전력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도 있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섹터 안테나의 방사 방향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형 섹터 안테나의 방사 방향 제어 장치는, 다수의 캐패시턴스 블록(31)과, 다수의 스위칭부(32)와, 제어부(33)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캐패시턴스 블록(31)과, 다수의 스위칭부(32)는, 각 기생 소자(12)에 일대일로 대응하여, 각 기생 소자(12)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다수의 스위칭부(3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에서, 스위칭부(32)는, 상기 캐패시턴스 블록(31)에 구비된 캐패시터의 수(n) 보다 2개 많은 n+2개의 선택 접점(T1~Tn+2)을 구비하여, n 개의 접점(T1~Tn)은 해당 캐패시턴스 블록(31)의 각 캐패시터에 연결되고, 나머지 2개의 접점(Tn+1, Tn+2)은 해당 기생 소자(12)에 직접 연결되어 단락(short)과 개방(open) 모드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32)의 고정 접점(T0)은 접지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부(32)는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서 다수의 선택 접점(T1~Tn+2) 중 어느 한 접점과 고정 접점(T0)을 선택 연결함에 의하여, 해당 기생 소자(12)에 다수의 캐패시터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거나, 상기 기생 소자(12)를 단락 시키거나, 개방시킨다.
상술한 스위칭부(32)는, 상기 제어부(33)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어느 한 선택 접점(T1~Tn+2)을 선택한 후, 다음 제어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상기 선택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칭부(32)는 디지털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캐패시턴스 블록(31)은, 서로 다른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다수의 캐패시터(C1~Cn)가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C1~Cn)의 일단은 상기 기생 소자(12)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C1~Cn)의 타단은 스위칭부(32)에 구비된 다수의 선택 접점(T1~Tn)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소형 섹터 안테나가 소출력 무선장치에서 전파의 방사 방향 제어를 위한 소형의 단일 RF 포트를 갖는 섹터 안테나를 구성한 기생소자를 포함한 방향 제어 소자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어 구성되는 경우, 안테나의 면적이 해당 동작 파장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파장이 커지고 안테나의 면적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안테나가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 필요한 접지부분은 일반적으로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의 경우 RF와 모뎀
등이 집적된 기판의 접지 부분을 공동으로 사용하는데 방사에 필요한 정도의 분류분포를 갖추기에 충분치 않을 경우 안테나에 포함되어 사용된다. 이 때 필요한 접지의 크기 또는 면적이 파장에 비례하기 때문에 스위칭이 가능한 방향 제어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는 한계 요소로 작용한다. IoT 전송 장치, 센서 노드 등 소출력 무선 전송 장치의 크기는 집적화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소형화되고 있지만, 방향 제어가 가능한 안테나의 소형화는 이에 반해 많은 발전을 이루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기의 형상과 크기에 적합한 구조로 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는,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치; 상기 방사 패치가 형성된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과 절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층은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단락 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신호에 따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집중회로 소자; 및 상기 집중회로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집중회로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을 선택적으로 단락 혹은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부가 상기 유전체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마련된다.
상기 급전부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방사 패치와 접촉되는 급전 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접지면의 하면에 마련되며, 외부 장비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무선 랜 공유기, 센서 네트워크의 통신용 노드, IoT 디바이스의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기기의 형상과 크기에 적합한 구조로 방향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성과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필요한 수의 섹터로 구성이 가능하여 다양한 무선 장비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도 1은 소형 무선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섹터 안테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섹터 안테나의 방사 방향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 모듈(14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 모듈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4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의 구성 및 이에 따른 동작과 효과에 대해서 상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는 유전체층(110), 상기 유전체층(110)의 일면(이하 "상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치(120), 상기 방사 패치(120)가 형성된 상기 유전체층(110)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이하 ‘하면’)에 형성되는 접지면(130), 상기 방사 패치(120)와 상기 접지면(130)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4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방사 패치(120) 및 상기 접지면(130) 사이에 유전체층(110)이 개재되는 구조로서, 상기 유전체층(110)에 의해 상기 방사 패치(120)와 상기 접지면(130)은 서로 절연된다.
상기 유전체층(110), 상기 방사 패치(120) 및 상기 접지면(130)은 본 발명의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가 적용되는 장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면(130)은 슬롯(131)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131)은 상기 접지면(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지면(130)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롯(13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접지면(130)은 상기 슬롯(131)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돌출부가 방사형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사형의 패턴에 의해 전파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전체층(110)에는 상기 방사 패치(120)와 상기 접지면(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락 핀(111)이 마련되며, 상기 단락 핀(111)은 상기 유전체층(110)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슬롯(131)의 개수와 상기 단락 핀(111)의 개수는 본 발명의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가 적용되는 장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131)과 상기 단락 핀(111)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슬롯(131)과 상기 단락 핀(111)이 각각 4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슬롯(131)과 상기 단락 핀(111)이 다수 형성되는 경우, 서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어 모듈(140)은 상기 접지면((1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면(130)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140)은 상기 단락 핀(111)과 상기 접지면(130) 사이에 연결되는 집중회로 소자(141) 및 상기 집중회로 소자(141)를 제어하여 상기 단락 핀(111)과 상기 접지면(130)을 선택적으로 단락 혹은 개방시키는 제어부(14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집중회로 소자(141)는 상기 제어부(143)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단락 핀(111)과 상기 접지면(130)을 선택적으로 단락 혹은 개방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상기 집중회로 소자(141) 역시 본 발명의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가 적용되는 장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131)과 상기 단락 핀(111)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43)에 의해 상기 집중회로 소자(141)가 닫힌 상태(ON)가 되어 상기 단락 핀(111)과 상기 접지면(130)을 연결하게 되면, 결국 상기 접지면(130)은 상기 단락 핀(111)을 통해 상기 방사 패치(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143)에 의해 상기 집중회로 소자(141)가 열린 상태(OFF)가 되어 상기 단락 핀(111)과 상기 접지면(130)의 연결을 차단하게 되면, 결국 상기 접지면(130)과 상기 방사 패치(120)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는 상기 유전체(110)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마련되는 급전부(1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급전부(112)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 선로(112a) 및 급전 점(112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급전 점(112b)은 상기 급전 선로(112a)의 끝단으로 상기 방사 패치(120)와 접촉된 영역이다.
상기 급전부(112)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전파의 방사 특성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기 유전체층(11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는 접지면(130)에 형성되는 슬롯(131), 단락 핀(111) 및 급전부(112)의 급전 점(112b)을 포함하는데, 상기 슬롯(131), 상기 단락 핀(111) 및 상기 급전부(112)의 급전 점(112b)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방사 방향의 제어를 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43)는 상기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가 적용되는 장비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집중회로 소자(141)를 제어하게 되므로, 상기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는 상기 제어부(143)와 연결되며, 외부 장비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연결부(14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는 무선 장비와 같이 통신이 이루어지는 장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장비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100)는 외부 장비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15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전체층(110)에는 상기 커넥터(150)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되는 연장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113)는 상기 접지면(13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연장부(113)에 결합되어, 상기 접지면(130)의 하면에 마련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면(130)에는 슬롯(13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지면(130)은 상기 슬롯(131)에 의해 구획되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들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의해 단락 핀(111)을 접지면(130)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방사 패치(120)의 일부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전 점(112b)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140)의 제어에 의해 방사 패치(120)의 일부 영역을 접지시켜, 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지면(130)은 상기 슬롯(131)에 의해 구획되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들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슬롯(131) 영역에서 커플링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를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110 : 유전체층 111 : 단락 핀
112 : 급전부 112a : 급전 선로
112b : 급전 점 113 : 연장부
120 : 방사 패치 130 : 접지면
131 : 슬롯 140 : 제어 모듈
141 : 집중회로 소자 143 : 제어부
145 : 연결부 150 : 커넥터

Claims (7)

  1. 유전체층;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방사 패치;
    상기 방사 패치가 형성된 상기 유전체층의 일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과 절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을 연결하는 단락 핀을 포함하는 것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 사이에 연결되며, 외부 신호에 따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집중회로 소자; 및
    상기 집중회로 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집중회로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방사 패치와 상기 접지면을 선택적으로 단락 혹은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부가 상기 유전체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마련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외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급전 선로; 및
    상기 급전 선로의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방사 패치와 접촉되는 급전 점을 포함하는 것인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의 하면에 마련되며, 외부 장비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KR1020130147174A 2013-11-29 2013-11-29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KR10204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174A KR102040709B1 (ko) 2013-11-29 2013-11-29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US14/299,870 US9742062B2 (en) 2013-11-29 2014-06-09 Small switchable directional control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174A KR102040709B1 (ko) 2013-11-29 2013-11-29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483A true KR20150062483A (ko) 2015-06-08
KR102040709B1 KR102040709B1 (ko) 2019-11-06

Family

ID=5326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174A KR102040709B1 (ko) 2013-11-29 2013-11-29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42062B2 (ko)
KR (1) KR102040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4454A (zh) * 2017-09-11 2019-03-19 苹果公司 具有共享天线结构和分离返回路径的电子设备
KR20220113108A (ko) * 2021-02-05 2022-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이동체 적용을 위한 전방향성 수직빔 방향 제어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8423B (zh) * 2018-01-24 2021-06-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改善天线辐射指标的方法
JP7229452B2 (ja) * 2019-02-26 2023-02-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到来波受信装置
CN113422619B (zh) * 2021-06-18 2022-05-27 安徽安努奇科技有限公司 一种调谐电路及通讯设备
US11882456B2 (en) * 2021-07-09 2024-01-2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LAN router,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4663A1 (en) * 2007-10-19 2010-08-05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Variable frequency patch antenna
KR101116133B1 (ko) * 2010-01-22 2012-03-05 (주)소노비젼 선반형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4387B2 (en) * 2003-05-12 2007-01-16 Hrl Laboratories, Llc Compact tunable antenna
EP2630692B1 (en) 2010-10-21 2017-10-04 Locata Corporation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mote beam
KR101348452B1 (ko) 2012-01-11 2014-01-16 한국과학기술원 스위치 모드 빔성형 안테나의 다면체 배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4663A1 (en) * 2007-10-19 2010-08-05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Variable frequency patch antenna
KR101116133B1 (ko) * 2010-01-22 2012-03-05 (주)소노비젼 선반형 안테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4454A (zh) * 2017-09-11 2019-03-19 苹果公司 具有共享天线结构和分离返回路径的电子设备
US10804617B2 (en) 2017-09-11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shared antenna structures and split return paths
CN109494454B (zh) * 2017-09-11 2020-11-24 苹果公司 具有共享天线结构和分离返回路径的电子设备
KR20220113108A (ko) * 2021-02-05 2022-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이동체 적용을 위한 전방향성 수직빔 방향 제어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5625A1 (en) 2015-06-04
US9742062B2 (en) 2017-08-22
KR102040709B1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2385B2 (en) Feed network of base station antenna, base station antenna, and base station
KR101908063B1 (ko) 방향 제어 안테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40709B1 (ko) 소형 스위칭 방향 제어 안테나
CN110114938B (zh) 可重配置径向线缝隙天线阵列
EP2290746B1 (en) Planar antenna with isotropic radiation pattern
JP2001036337A (ja) アンテナ装置
CN112018494B (zh) 一种天线及移动终端
US10840610B2 (en) Antenna device
US10854996B2 (en) Dual-polarized substrate-integrated beam steering antenna
US11095029B2 (en) Antenna device
KR20160052275A (ko) 안테나 구조체
CN105874648B (zh) 具有径向波导的宽带灵活圆柱形天线阵列的装置和方法
CN109994815A (zh) 一种电子设备及无线信号收发方法
US7839344B2 (en) Wideband multifunction antenna operating in the HF range, particularly for naval installations
EP4071927A1 (en) Reconfigurable antenna and network device
US10903569B2 (en) Reconfigurable radial waveguides with switchabl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CN112166526B (zh) 用于基于光控制电磁波的传输的方法及其设备
EP29925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antenna with adjustable resonant frequencies and radiation pattern
CN110212299B (zh) 可调式元素因子的阵列天线模组
KR20190015419A (ko) 방사기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보드 조립체
KR20110063280A (ko) 안테나 장치
CN106374229A (zh) 天线装置及移动终端
RU2771751C2 (ru) Цепь питания антенны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антенна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CN218867384U (zh) 振子单元及基站天线
TWI706600B (zh) 可調式元素因子的陣列天線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