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040A -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040A
KR20150062040A KR1020130146571A KR20130146571A KR20150062040A KR 20150062040 A KR20150062040 A KR 20150062040A KR 1020130146571 A KR1020130146571 A KR 1020130146571A KR 20130146571 A KR20130146571 A KR 20130146571A KR 20150062040 A KR20150062040 A KR 2015006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hermoelectric
heat
temperature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866B1 (ko
Inventor
정진만
정우석
Original Assignee
정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만 filed Critical 정진만
Priority to KR102013014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8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부수적인 에너지의 소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온대상에 적합한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흡열전극판 및 방열전극판 사이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 열원인 보온대상의 열기로 인한 전이 온도 차로부터 기전류을 일으키는 열전모듈로 구비된 열전발전기와, 상기 열전발전기로부터 기전류가 인가되게 연결되고, 상기 보온대상 주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온대상을 재가열하도록 구비된 핫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Device For Thermal Insulation using the thermoelements}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부수적인 에너지의 소비 없는 것은 물론, 보온대상에 적합한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열할 수 있도록 된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전발전이란, 열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로써, 두 종류의 서로 다른 금속을 접속한 소자 양단에 소정의 온도 차가 생기면 기전력을 일으키는 제벡(Seebeck) 효과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제벡(Seebeck) 효과라는 것은, 접속된 소자의 상단 접합부에 열을 가하여 하부 즉, 비접합부와의 온도차(
Figure pat00001
)를 부여하면, 서로 다른 금속 중 어느 한쪽의 소자에서는 전자가, 다른 쪽 소자에서는 정공이 열에너지를 받아 전체 에너지가 높아지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일으키는 기전효과를 말한다.
서로 다른 두 소자에서는 전자가 유입되는 저온 측과 정공이 유입되는 고온 측이 각각 상반되게 (-) 및 (+)로 대전되면,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양쪽의 소자 하부 즉, 전이되는 열과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는 비접합부에서는 각각 (+) 및 (-)의 공간전하를 형성하여 소정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양분지단 전극에 부하저항(R)을 연결하면, 전류(I)가 흘러 전압(
Figure pat00002
)이 발생하는데, 이 전압을 열기전력(thermoelectromotive force)이라 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열전소자에 대한 고효율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열전소자의 경우, 보일러 등 공정 중에 유발되는 폐열 등의 재활용을 통해 열효율을 높이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의 접목을 시도하는 기술들이 계속 개시되고 있다.
일 예로 든다면, 열원과 보온단열재 사이에 발생하는 열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보온단열재-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0-0008387 호(2010.8.25 공개)-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보일러 등에 적용되는 보온단열재 내에 상기 열전소자 관련 기술을 접목시킨 것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열전소자에 따른 발전기능으로부터 유발되는 열효율적 성능을 높이는 것 이외에 별다른 어떤 목적도 달성할 수 없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특히 상기의 종래기술에 따른 보온단열재는 열손실을 줄이기 위한 보일러 이외에 다른 용도로의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제약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부터 착안 된 것으로, 내용물의 폐열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부수적인 에너지의 소비 없이 보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보온대상에 적합한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열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지속적인 보관 및 보온효과는 물론, 변질이나 상태 변화와 같은 이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열전소자와 같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산업기술의 발전 및 확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는 흡열전극판 및 방열전극판 사이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 열원인 보온대상의 열기로 인한 전이 온도 차로부터 기전류을 일으키는 열전모듈로 구비된 열전발전기와, 상기 열전발전기로부터 기전류가 인가되게 연결되고, 상기 보온대상 주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온대상을 재가열하도록 구비된 핫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발전기 및 핫코일 간에는 상기 보온대상의 온도에 따라 열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제어환경설정모듈, 온도감지모듈 및 작동인가모듈로 이루어지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마그네슘 실리콘 물질과 아연계 화합 물질을 소자화한 것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전발전기는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생산되는 전하량을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의하면, 장시간 지속적인 보온과 함께 온도조절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보온대상의 본연의 성질을 오랫동안 유지함으로써, 보관 및 보온대상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의하면, 보온대상의 폐열을 이용, 별도의 부수적인 에너지 소비 없이 보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지구온난화나 고유가에 대응하는 그린에너지 기술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의하면,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CO2 배출이 전혀 없고, 소음이나 진동 또한 발생하지 않는데 따른 환경친화적인 기술의 실현을 도모하는 효과를 얻는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의하면, 열전소자와 같은 기술의 융합을 통해 산업기술의 발전 및 확장을 도모하는 등의 기술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의 제어부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의 발전원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적용한 제1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정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적용한 제2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는, 도 1 내지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보온대상을 열원으로 하여 기전류를 일으키는 열전모듈(10a)을 포함하는 열전발전기(10)와, 이에 연계된 핫코일(2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별도의 에너지 소비 없이 상기 보온대상으로부터 비롯되는 자체 폐열을 이용하여 보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장치라 할 수 있다.
상기 열전발전기(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처럼 열전모듈(10a) 외에 흡열전극판(11) 및 방열전극판(12)을 포함, 구성된다.
상기 열전모듈(10a)은 상기 흡열전극판(11)과 상기 방열전극판(12) 사이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 구성한다.
이때, 상기 흡열전극판(11)은 상기 보온대상으로부터 직접 맞닿아 전이되는 열을 받아들이기 위한 것으로, 열에 대한 전도성이 좋은 재질의 단일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방열전극판(12)은 상기 흡열전극판(11)으로부터 받아들인 열이 상기 열전모듈(10a)을 통과하고 난 이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열전극판(11)과 달리 상기 열전모듈(10a)별로 각각 별도로 구비된 복수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열전모듈(10a)은 소위 말하는 펠티에 소자 등과 같은 실시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N형 단자에서 P형 단자 방향으로 소정의 전류를 흘려보내면, 펠티에 효과에 의해 상기 흡열전극판(11)에 해당하는 윗면에서 흡열하고, 상기 방열전극판(12)에 해당하는 아랫면에서 발열하는 일종의 히트펌프 기능을 발휘한다.
도 1이나 도 2에서처럼 상기 열전모듈(10a)은 상기 흡열전극판(11)을 가열해서 상기 방열전극판(12)으로 소정의 열이 통과하는 동안 상기 흡열전극판(11) 및 방열전극판(12) 간에 발생하는 온도차(
Figure pat00003
)로 인한 제백(Seebeck)효과로부터 소정의 기전력을 일으키게 된다. 즉, 상기 열전모듈(10a)은 열원인 보온대상의 열기로 인한 전이 온도 차로부터 기전류을 일으키는 기술구성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열전모듈(10a)에 따른 개방기전력(V0[V])은
Figure pat00004
가 작은 범위에서는
Figure pat00005
에 비례하여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α는 제백계수[V/K]이다.
상기 열전모듈(10a)에 의한 발생 전류(I[A])는, 내부저항을 Ri[Ω], 외부저항을 R0[Ω]이라고 한다면,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pat00007
이에 따라, 상기 열전모듈(10a)의 발전출력 P[W]는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08
위 수학식 3에서 상기 열전모듈(10a)의 발전출력 P[W]는 상하면 즉, 상기 흡열전극판(11)에 해당하는 윗면과 상기 방열전극판(12)에 해당하는 아랫면의 온도차(
Figure pat00009
)의 2승에 비례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출력을 충분히 얻으려면 상기 흡열전극판(11)에 해당하는 윗면과 상기 방열전극판(12)에 해당하는 아랫면 간의 온도차를 크게 유지하는 중요하다.
도 4에서와 같은 발전원리에 따라 상기 열전모듈(10a)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속, 구성한 일반적인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저온과 중온에서 열전 변환 효율이 높은 재료를 접속, 구성한 적층형 복합 모듈 구조 등이 좋다.
여기서, 적층형 복합 모듈 구조란, 저온 및 중온용 소자를 이중 배치한 구조로, 상기 흡열전극판(11)에 해당하는 윗면과 상기 방열전극판(12)에 해당하는 아랫면 간의 온도차를 극대화하여 궁극적으로는 상기 열전모듈(10a)에 의한 열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소정의 구조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열전모듈(10a)은 마그네슘 실리콘 물질과 아연계 화합 물질을 소자화한 형태 또는, Mg2Si계, Zn4Sb3계, AgSbTe2, Bi2Te3계의 물질 군 중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 물질을 소자화한 것 등의 형태를 통해 열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열전모듈(10a)을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열전발전기(10)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별도의 연료소비는 물론, 가동 부분이 없어 진동이나 소음 및 이산화탄소에 대한 배출이 없다. 그래서, 지구 온난화나 고유가 정책기조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 그린에너지 기술로 각광받을 수 있다.
그리고, 기술구성 간의 마찰이나 마모가 없으므로 메인티넌스(maintenance)가 자유롭게 되는 기술적 특징을 발휘한다.
이외에도 열원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낮은 열원에서도 작동 가능하므로 효율이 설비 규모와 상관없고, 무엇보다 소형화 및 경량화가 유리한 친환경 기술이라는데 기술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핫코일(20)은 상기 열전발전기(10)로부터 기전류가 인가되게 연결, 구성된다.
상기 핫코일(20)은 상기 열전발전기(10)로부터 인가되는 기전류로부터 소정의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의 열전코일 형태로, 도 5 내지 도 6의 용기나 의류에서처럼 상기 보온대상 주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핫코일(20)의 경우, 상기 보온대상을 재가열하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상기 보온대상으로 소정의 열을 가하는 역할을 도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는 별도의 연료공급 없이도 쾌적하고 안전한 기전력을 이용한 자체 내의 가열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는 고체 전자 회로를 이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태양광이나 풍력 등 기후 변화에 따라 제한을 받는 대체에너지원들에 비해 다양한 열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통해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발전가능한 장점을 가지므로 지구 온난화나 고유가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대체 그린에너지 기술을 채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를 도 5에서와 같은 소정의 보온 용기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소정의 밀폐 커버를 갖춘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온 용기의 몸체는 내형단 및 외형단의 2중 구조를 적용, 상기 열전발전기(10)나 상기 핫코일(2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내형단 및 외형단 간의 측벽은 사이 공간이 없는 일체형이나 상호 간의 단열을 위한 소정이 진공공간이 더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온 용기의 몸체, 상기 내형단의 경우에는 열전도성이 좋은 재질을 적용하는 반면, 상기 외형단의 경우에는 열도전성이 낮은 소재를 각각 적용,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내형단의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이 좋고, 상기 외형단의 경우에는 각종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열전발전기(10) 및 핫코일(20) 간에는 상기 보온대상의 온도에 따라 열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3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도 3에서처럼 소정의 디스플레이모듈(31)과 제어환경설정모듈(32), 온도감지모듈(33) 및 작동인가모듈(34)을 포함하는 소정의 전기 및 전자 부속품이 집적된 모듈 형태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소정의 제어 프로세스가 탑재된 마이콤 등에 의한 제어 흐름을 자동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1)은 상기 제어부(30)의 작동모드 별로 사용자의 설정환경 및 제어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면, LCD나 LED 등과 같은 패널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1)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 각각의 작동모드별 화면제어가 가능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모드라는 것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프로세스상의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간략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핫코일(20)에 의한 상기 보온대상의 가열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제한하는 등과 같은 제어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어환경설정모듈(32)에 따른 환경설정 모드나 상기 제어환경설정모듈(32)에서의 설정환경에 따라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작동상태를 표시해 사용자가 제어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상태 진행 모드 등에 해당하는 모드를 말한다.
상기 제어환경설정모듈(32)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1)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온대상에 적합한 가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환경설정 모드를 제공하는 일련의 모듈장치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모듈(33)은 상기 보온대상의 열원을 감지하는 디지털 온도센서(33a)를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디지털 온도센서(33a)와 연계되게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33a)는 상기 보온대상의 온도를 계측하고, 상기 온도감지모듈(33)은 상기 온도센서(33a)에서 계측된 상기 보온대상의 온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1)을 통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감지모듈(33)은 상기 온도센서(33a)에서 계측된 상기 보온대상의 온도와 상기 제어환경설정모듈(32)에서 설정된 사용자 요구 온도를 비교한 후 상기 작동인가모듈(34)의 전류 인가 여부를 정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내보는 기능 또한 담당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작동인가모듈(34)은 상기 제어환경설정모듈(32) 및 온도감지모듈(33)을 통해 상기 열전발전기(10)로부터 상기 핫코일(2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일련의 스위치 모듈에 해당된다.
상기 작동인가모듈(34)은 상기 열전발전기(10)와 핫코일(30) 상호 간의 전류의 세기나 인가 여부 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온/오프(ON/OFF)식 점등 스위치나 온도변화에 따라 형상이 변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전발전기(10)는 상기 열전모듈(10a)로부터 생산되는 전하량을 저장하는 축전지(13)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축전지(13)와 상기 핫코일(20) 사이에 배치하여 양자 간의 전류 인가 여부 등에 대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는 도 5나 도 6에서 표시한 바와 같은 보온 용기나 방한용 의류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외에도 각종 아웃도어 용품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등산용 침낭의 경우에는 방한복과 마찬가지로 추운 날씨의 야외활동에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체온과 외부 온도차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그에 따른 발전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잇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정도는 본 발명의 범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열전발전기 10a: 열전모듈 11 : 흡열전극판
12 : 방열전극판 13 : 축전지 20 : 핫코일
30 : 제어부 31 : 디스플레이모듈 32 : 제어환경설정모듈
33 : 온도감지모듈 33a: 온도센서 34 : 작동인가모듈

Claims (9)

  1. 흡열전극판 및 방열전극판 사이에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 열원인 보온대상의 열기로 인한 전이 온도 차로부터 기전류을 일으키는 열전모듈로 구비된 열전발전기와;
    상기 열전발전기로부터 기전류가 인가되게 연결되고, 상기 보온대상 주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온대상을 재가열하도록 구비된 핫코일을 포함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발전기 및 핫코일 간에는 상기 보온대상의 온도에 따라 열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동모드 별로 사용자의 설정환경 및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온대상에 적합한 가열온도 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모드를 제공하는 제어환경설정모듈;
    상기 보온대상의 열원을 감지하는 디지털 온도센서와 연계되는 온도감지모듈;
    상기 제어환경설정모듈 및 온도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열전발전기로부터 상기 핫코일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작동인가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마그네슘 실리콘 물질과 아연계 화합 물질을 소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저온 및 중온용 소자를 이중 배치한 적층형 복합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Mg2Si계, Zn4Sb3계, AgSbTe2, Bi2Te3계의 물질 군 중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 물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용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발전기는 상기 열전모듈로부터 생산되는 전하량을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KR1020130146571A 2013-11-28 2013-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KR10152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71A KR101528866B1 (ko) 2013-11-28 2013-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571A KR101528866B1 (ko) 2013-11-28 2013-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040A true KR20150062040A (ko) 2015-06-05
KR101528866B1 KR101528866B1 (ko) 2015-06-15

Family

ID=5349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571A KR101528866B1 (ko) 2013-11-28 2013-11-28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1026A (zh) * 2021-08-24 2021-11-23 浙江理工大学 一种无线传输热电器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127B2 (ja) * 2002-11-26 2009-09-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JP4114528B2 (ja) * 2003-03-26 2008-07-09 ヤマハ株式会社 熱発電装置
JP2006237544A (ja) * 2005-02-24 2006-09-07 Nobuyuki Inoue 自律式熱発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1026A (zh) * 2021-08-24 2021-11-23 浙江理工大学 一种无线传输热电器件
CN113691026B (zh) * 2021-08-24 2024-05-24 浙江理工大学 一种无线传输热电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866B1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99321A1 (ja) 熱電発電装置
Rinalde et al. Development of thermoelectric generators for electrification of isolated rural homes
EP2829944B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olar cell module
CN204168184U (zh) 温差生电装置
CN105340124B (zh) 用于运行高温电池的控制设备和方法
CN206193565U (zh) 一种蓄电池的恒温控制装置
CN205878674U (zh) 一种制冷制热及发电杯垫
CN106816893B (zh) 利用热电转换效应的充放电装置
CN105573379A (zh) 一种基于温差电效应的智能温控系统及其控温方法
JPH11176491A (ja) 電子機器の充電システム
KR101528866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장치
WO2002101912A1 (fr) Dispositif a effet thermoelectrique, systeme direct de conversion d'energie, et systeme de conversion d'energie
Shams et al. Solar powered air cooling for idle parked cars: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KR20110042884A (ko) 자동차 실내온도 조절시스템
CN106224124B (zh) 一种基于塞贝克效应的热机装置
KR20220070856A (ko) 고효율 열전발전모듈
CN109393898A (zh) 一种利用热电材料供电的热电智能水杯
KR101233883B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대체에너지 전용 냉.온풍기
JP2019129598A (ja) 熱電発電装置
JP2013078202A (ja) 発電装置及び発電方法
CN205725527U (zh) 具有温差发电功能的电视机遥控器
KR20120118529A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냉온컵
KR20150062041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보온 용기
CN205829501U (zh) 基于塞贝克效应的热电发电结构和浮空器
KR20150123651A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혼합형 솔라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