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595A -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 Google Patents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595A
KR20150061595A KR1020140166492A KR20140166492A KR20150061595A KR 20150061595 A KR20150061595 A KR 20150061595A KR 1020140166492 A KR1020140166492 A KR 1020140166492A KR 20140166492 A KR20140166492 A KR 20140166492A KR 20150061595 A KR20150061595 A KR 20150061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nector
stator
plate por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야 오카다
신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6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로의 결선부 접속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을 제공한다.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은 모터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장착된다.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은 원주를 따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를 가짐과 동시에, 외주측에서 상기 커넥터부에 연통하는 대략 원형의 도체판부와, 결선부를 제외한 도체판부를 덮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한다. 복수의 결선부 각각은 압착 단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복수의 결선부는 도체판부의 원주의 180°범위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Stator frame for mo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3상 모터 등의 모터에 이용되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모터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는 모터에 형성된 원형 스테이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접속용 커넥터와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용 다극 커넥터는 모터 내부의 각 여자(勵磁)권선의 단말부를 직접 접속하는 권선유지부를 갖는 도체부와, 외부 접속용 커넥터와의 감합 시에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접속부를 일체의 콘택트로 하여 갖는다.
상기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에 의하면, 복수 개의 여자권선의 각 단말부와 외부전력 공급장치로부터의 케이블과의 접속을 다른 중계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특개2001-14532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모터용 다극형 커넥터의 경우에는 당해 커넥터의 도체부에 접속되는 각 여자권선이 마그넷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체부에 대한 접속 시에 마그넷 와이어의 피복을 벗길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각 여자권선의 도체부로의 접속자동화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대한 결선부의 접속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은 모터의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장착됨과 동시에, 외주부에 커넥터부를 갖는 대략 원형의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에 있어서, 원주를 따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결선부를 가짐과 동시에, 외주측에서 상기 커넥터부에 연통하는 대략 원형의 도체판부와, 상기 결선부를 제외한 상기 도체판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에 장착되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결선부 각각이 압착 단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결선부는 상기 도체판부의 원주의 180°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상기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의 피복을 관통하는 피복관통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상기 도체판부의 중심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가 상기 도체판부의 일면에서 돌출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의 면은 상기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상기 하우징의 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커넥터 프레임에 의하면, 복수의 결선부 각각이 압착단자로 구성되므로,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대한 결선부 접속을 압착 작업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일로에 대한 결선부의 접속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선부가 도체판부의 원주의 180°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결선부를 압착하는 때에 압착 설비의 크림퍼가 목적하는 결선부 이외의 결선부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압착 작업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을 구비한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감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커넥터부와 모터측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감합한 상태에 있어 록기구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록기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감합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9-9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테이터에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을 장착하고,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크림퍼가 동작하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테이터에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을 장착하고,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크림퍼가 동작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결선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결선부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압착한 후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13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는 도시하지 않는다.
도 14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감합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다만, 도 14에 있어서 모터 케이스 및 스테이터 코일은 도시하지 않는다.
도 15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의 커넥터부에 모터측 커넥터를 감합한 후, 모터측 커넥터에 외부접속용 커넥터를 감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모터용 커넥터(4)를 구비한 모터(1)가 도시되어 있다. 모터(1)는 3상 모터이며, 스테이터(3)와 도시하지 않은 로우터와,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일(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3), 로우터 및 스테이터 코일은 케이스(2)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3)의 끝면에는 대략 원형의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30;이하, 단순히 스테이터 프레임이라 한다.)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 프레임(30)은 외주부의 일부에 커넥터부(10)를 구비하고 있다(도 3 및 도 7 참조).
커넥터부(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에는 모터측 커넥터(20)가 감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커넥터부(10)와 모터측 커넥터(20)로 모터용 커넥터(4)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프레임(30)은 도 1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원형의 도체판부(31)와 절연성 하우징(3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대략 원형」이란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30) 및 도체판부(31) 내주가 중심을 O로 한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테이터 프레임(30) 및 도체판부(31)의 외주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환상(環狀)을 의미한다.
도체판부(3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판부(31g), U상 접속판부(31u), V상 접속판부(31v), W상 접속판부(31w) 및 중성점 접지판부(31n)를 구비하고, 대략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지판부(31g), U상 접속판부(31u), V상 접속판부(31v), W상 접속판부(31w) 및 중성점 접지판부(31n)는 이들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접지판부(31g), U상 접속판부(31u), V상 접속판부(31v), W상 접속판부(31w) 및 중성점 접지판부(31n)는 각각 서로 절연되어 있다. 도체판부(31)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U상 접속판부(31u) 내주부에는 스테이터 코일 중 U상 코일(Wu)의 일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u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V상 접속판부(31v) 내주부에는 V상 코일(Wv)의 일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va)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W상 접속판부(31w) 내주부에는 W상 코일(Ww)의 일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w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성점 접지판부(31n) 내주부에는 U상 코일(Wu)의 타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n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성점 접지판부(31n) 내주부에는 V상 코일(Wv)의 타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nb)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중성점 접지판부(31n) 내주부에는 W상 코일(Ww)의 타단말부에 접속되는 결선부(31n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일면에서 돌출하는 압착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는 도체판부(31) 내주의 180°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평면에서 보아 가장 떨어져 있는 결선부(31na)의 외측단과 도체판부(31)의 중심(O)을 잇는 선(L1)과, 결선부(31nc)의 외측단과 도체판부(31)의 중심(O)을 잇는 선(L2)이 이루는 각도(θ)를 생각한다. 이 각도(θ)가 180°미만이 되도록,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도(θ)가 약 165°가 되도록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중심(O)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2)은 도 1 내지 4 및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제외한 도체판부(31)를 덮듯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체판부(31)는 인서트 성형되어 하우징(32)에 덮여진다. 하우징(32)의 외주에 있어서의 대향부에는 하우징(32)을 스테이터(3)의 끝면에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장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장착부(33)에는 장착용 나사(미도시)가 관통하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부(10)는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30)의 외주부 일부에 설치되고,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의 외측에서 모터측 커넥터(20)가 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부(10)는 절연성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장착된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를 구비하고 있다.
접지용 콘택트(12g)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외주측에서 도체판부(31)에 연통하도록 도체판부(31)의 접지판부(31g)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U상용 콘택트(12u)는 도체판부(31)의 외주측에서 도체판부(31)에 연통하도록 도체판부(31)의 U상 접속판부(31u)에서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V상용 콘택트(12v)는 도체판부(31)의 외주측에서 도체판부(31)에 연통하도록 도체판부(31)의 V상 접속판부(31v)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W상용 콘택트(12w)는 도체판부(31)의 외주측에서 도체판부(31)에 연통하도록 도체판부(31)의 W상 접속판부(31w)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은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모터측 커넥터(2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하우징(21)과, 하우징(21)에 장착된 복수의 콘택트(2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1)은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1감합부(21a)와, 후술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7:도 15참조)가 감합하는 대략 원통형의 제2감합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감합부(21a)와 제2감합부(21b)와의 사이에는 플런지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콘택트(22)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의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의 각각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22a)를 갖는다. 제1접촉부(22a)는 제1감합부(21a) 내에 돌출하고 있다. 또한 각 콘택트(22)는 외부접속용 커넥터(7)의 각 콘택트(미도시)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22b)를 갖는다. 제2접촉부(22b)는 제2감합부(21b) 내에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 케이스(2)에는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에,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1) 케이스(2)와 커넥터부(10)에 감합된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기능부(5)가 설치된다. 상기 방수기능부(5)는 모터(1) 케이스(2)의 개구(2a)에 형성되는 방수면(2b)과,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의 외주에 설치된 O링(24)을 구비하고 있다.
O링(24)은 당해 방수면(2b)에 접촉하여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를 봉지한다. 또한 방수기능부(5)는 케이스(2)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면(2c)과,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의 하면에 설치된 원형의 씰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씰부재(2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한 때에 케이스(2)의 상면에 형성된 방수면(2c)에 닿는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 하면과 케이스(2)의 방수면(2c)과의 사이를 봉지한다.
더욱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 및 모터측 커넥터(20)에는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의 록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록기구(6)는 커넥터부(10)에 설치된 돌기(13a)와, 모터측 커넥터(20)에 설치되어, 돌기(13a)를 잠그는 탄성 록편(23d)을 갖는 록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13a)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0)의 하우징(11)에 고정된 금속편(13)에 형성되어 있다. 금속편(13)은 인서트 성형되어 하우징(11)에 고정된다. 돌기(13a)를 갖는 금속편(13)은 하우징(11)의 좌우방향 양측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부재(2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의 좌우방향에 제1감합부(21a)의 표면을 따라 연재하는 기판부(23a)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부(23a)의 좌우방향 양단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5에는 기판부(23a)의 좌우방향 한쪽 끝만을 도시), 기판부(23a)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판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판부(23b)의 상단에서 압입고정부(23c)가 연장되고, 압입고정부(23c)의 대략 중앙부의 하측둘레에서 하방으로 탄성 록편(23d)이 연장되어 있다. 탄성 록편(23d)에는 돌기(13a)가 파고 들어가는 록용 개구(23e)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23)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록부재(2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입고정부(23c)를 제1감합부(21a)에 형성된 압입용 구멍(21e)에 압입함으로써 제1감합부(21a)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스테이터에 대한 스테이터 프레임의 장착,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대한 결선부의 접속 및 커넥터부에 대한 모터측 커넥터의 감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프레임(30)을 스테이터(3)의 끝면에 장착한다. 상기 스테이터 프레임(30)의 스테이터(3)에 대한 장착 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용 나사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프레임(30)의 각 장착부(33)의 관통공(34)을 통해 행한다.
이어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루(41) 및 크림퍼(42;crimper)를 이용하여 우선 U상 코일(Wu)의 일단말부에 결선부(31ua)를 압착한다. 이어서 스테이터 프레임(30)을 장착한 스테이터(3)를 도 10에 나타내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V상 코일(Wv)의 일단말부에 결선부(31ua)의 이웃 결선부(31va)를 압착한다. 나아가 상기 스테이터(3)를 더욱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W상 코일(Ww)의 일단말부에 결선부(31va)의 이웃 결선부(31wa)를 압착한다. 그 후, 상기 스테이터(3)를 더욱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U상 코일(Wu)의 타단말부에 결선부(31wa)의 이웃 결선부(31na)를 압착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터(3)를 더욱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V상 코일(Wv)의 타단말부에 결선부(31na)의 이웃 결선부(31nb)를 압착한다. 더욱 마찬가지로 상기 스테이터를 더욱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고, W상 코일(Ww)의 타단말부에 결선부(31nb)의 이웃 결선부(31nc)를 압착한다. 다음으로 모터(1) 케이스(2) 내에 스테이터(3)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의 각각이 압착 단자로 구성되어,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V상 코일(Wv)의 각 단말부에 대한 결선부의 접속을 압착 작업으로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V상 코일(Wv)의 각 단말부에 대한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의 접속자동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는 도체판부(31) 내주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V상 코일(Wv)의 각 단말부에 대한 결선부의 접속 시에,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V상 코일(Wv)의 회전량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V상 코일(Wv)은 스테이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도체판부(31) 내주측에서 결선부로 끌려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일의 권선 회전에 기인하는 모터의 출력 손실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가 도체판부(31) 내주의 180°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착 작업 시에 압착 설비의 크림퍼(42)가 목적하는 결선부 이외의 결선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있어, 압착 작업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가 도체판부(31) 내주의 180°범위를 벗어난 곳에 배치되어 있으면, 압착 작업 시에 크림퍼가 목적하는 결선부 이외의 결선부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체판부(31)의 중심(O)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루(41) 및 크림퍼(42)에 의한 압착 작업 시에 스테이터 프레임(30)을 장착한 스테이터(3)를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스테이터 코일에 압착할 수 있다. 압착 단자의 개구가 향하고 있는 방향이 압착 단자 사이에서 달라지면, 모루(41) 및 크림퍼(42)의 위치를 그때마다 바꿀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압착자동화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와 분리되어 있고, 나아가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의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은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루(41) 및 크림퍼(42)에 의한 압착 시에, 스테이터 프레임(30) 및 커넥터부(10)가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다. 바꿔 말하면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와 당초부터 일체로 되어 있으면 모터측 커넥터(20)가 방해가 되어 압착 단자를 모루(41) 근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스테이터 프레임(30)의 하우징(32)의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이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커넥터부(10)가 방해가 되어 압착 단자를 모루(41) 근방에 위치시킬 수 없거나 혹은 하우징(32)이 방해가 되어 크림퍼(42)의 동작에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압착 단자를 구성하는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12에는 결선부(31ua)만 도시),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35a) 및 돌기상의 피복관통부(35b)를 구비하고 있다.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은 마그넷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각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의 단말부에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압착하면 피복관통부(35b)가 마그넷 와이어의 에나멜 피복을 뚫고 심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마그넷 와이어의 피복 제거 작업이나 납땜 접속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결선 작업의 자동화를 행하는 데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U상 코일(Wu), V상 코일(Wv) 및 W상 코일(Ww)의 결선 작업이 완료된 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도체판부(31) 상에 겹치도록 되접어 꺽는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터(1) 케이스(2)와 커넥터부(10)와의 사이에 수지를 충진하여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사이의 절연을 확실하게 한다. 그 후,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에 모터용 커넥터(4)가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를 커넥터부(10)에 감합하면 모터측 커넥터(20)의 각 콘택트(22)가 커넥터부(10)의 접지용 콘택트(12g), U상용 콘택트(12u), V상용 콘택트(12v) 및 W상용 콘택트(12w)의 각각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와 커넥터부(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에 설치된 탄성 록편(23d)이 돌기(13a)에 의해 일단 외측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감합 완료 시에는 돌기(13a)가 록용 개구(23e)에 파고들고, 탄성 록편(23d)이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가 커넥터부(10)에 대해 잠겨진다. 이 때문에 스크류 클램프(screw clamp) 등을 행하지 않고, 모터측 커넥터(20)의 커넥터부(10)에 대한 감합 해제를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록편(23d)이 돌기(13a)를 잠그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측 커넥터(20)를 커넥터부(10)에 대해 용이하게 잠글 수 있다.
그리고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하는 때에는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케이스(2)에 형성된 개구(2a)를 통과하여 커넥터부(10)에 감합한다. 이 때 방수기능부(5)를 구성하는 모터측 커넥터(20)측의 O링(24)이 케이스(2)의 방수면(2b)에 접촉하여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를 봉지한다. 이에 따라 모터(1)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또한 모터측 커넥터(20)의 제1감합부(21a)가 커넥터부(10)에 감합한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 하면에 있는 씰부재(25)가 케이스(2)의 상면에 형성된 방수면(2c)에 닿는다. 이에 따라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 하면과 케이스(2)의 방수면(2c)과의 사이를 봉지한다. 이 때문에 모터(1) 케이스(2)와 모터측 커넥터(20)의 플런지부(21c)와의 사이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측 커넥터(20)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접속용 커넥터(7)가 감합된다. 외부접속용 커넥터(7)는 모터측 커넥터(20)의 제2감합부(21b)와 감합하는 커넥터 감합부(7a)와, 도시하지 않은 전력 공급 장치에 접속된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7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전력 공급 장치에 접속된 외부접속용 커넥터(7)를 모터측 커넥터(20)에 감합함으로써 모터(1)측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용 커넥터(4)와 모터용 커넥터(4)의 모터측 커넥터(20)와 감합하는 외부접속용 커넥터(7)로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8)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결선부(31ua, 31va, 31wa, 31na, 31nb, 31nc)를 구성하는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하우징(32)의 면 및 커넥터부(10)의 면이 반드시 동일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커넥터부(10)의 면은 하우징(32)의 면보다 돌출하지 않고 오목하게 패여 있어도 좋다.
또한 스테이터 프레임(30)은 스테이터(3)가 아니라 케이스(2)에 장착되어도 좋다.
더욱이 복수의 결선부는 스테이터 프레임(30)의 내주부 대신에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복수의 결선부는 도체판부(31)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1 모터
3 스테이터
10 커넥터부
30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31 도체판부
31ua, 31va, 31wa, 31na, 31nb, 31nc 결선부
32 하우징
35b 피복관통부
O 도체판부의 중심
Wu U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Wv V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Ww W상 코일(스테이터 코일)

Claims (4)

  1. 모터의 스테이터 또는 케이스에 장착됨과 동시에 외주부에 커넥터부를 갖는 대략 원형의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에 있어서,
    원주를 따라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복수의 결선부를 가짐과 동시에, 외주측에서 상기 커넥터부에 연통하는 대략 원형의 도체판부; 및,
    상기 결선부를 제외한 상기 도체판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터에 장착되는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결선부 각각이 압착 단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결선부는 상기 도체판부의 원주의 180°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상기 스테이터 코일의 단말부의 피복을 관통하는 피복관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는 상기 도체판부의 중심을 향해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단자가 상기 도체판부의 일면에서 돌출함과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의 면은 상기 압착 단자가 돌출하는 측의 상기 하우징의 면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KR1020140166492A 2013-11-27 2014-11-26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KR20150061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5318A JP2015104284A (ja) 2013-11-27 2013-11-27 モータ用ステータ枠
JPJP-P-2013-245318 2013-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595A true KR20150061595A (ko) 2015-06-04

Family

ID=5304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492A KR20150061595A (ko) 2013-11-27 2014-11-26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45360A1 (ko)
JP (1) JP2015104284A (ko)
KR (1) KR20150061595A (ko)
CN (1) CN104682600A (ko)
DE (1) DE102014117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6715B (zh) * 2014-12-02 2016-06-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一種電機集電裝置
DE102015014942B4 (de) * 2015-11-18 2017-05-24 Audi Ag Verfahren zur Montage von Anbauteilen an einer elektrischen Maschine
JP6674847B2 (ja) * 2016-06-02 2020-04-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モータのステータ組立方法およびモータのステータ構造
JP2019030030A (ja) * 2017-07-25 2019-02-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DE102017214774A1 (de) * 2017-08-23 2019-02-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Anschlussvorrichtung und Elektromotor
CN110266138B (zh) * 2019-07-15 2024-05-17 尼得科凯宇汽车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电机出线结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6345B2 (ja) 1999-11-18 2009-06-10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多励磁巻線型小型モータ及びモータ用多極コネクタ
JP2010154701A (ja) * 2008-12-26 2010-07-08 Showa Corp 回転電機用ターミナル
KR101080768B1 (ko) * 2009-12-03 2011-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구동모터의 집중권 코일 결합 구조물
FR2996072B1 (fr) * 2012-09-26 2016-07-29 Sonceboz Automotive Sa Ensembl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moteur sans balai
JP6073702B2 (ja) * 2013-02-22 2017-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モータの集中配電部材
CN105556804B (zh) * 2013-09-17 2019-02-2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无刷直流电动机以及搭载了该无刷直流电动机的鼓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17231A1 (de) 2015-05-28
JP2015104284A (ja) 2015-06-04
US20150145360A1 (en) 2015-05-28
CN104682600A (zh)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662B1 (ko) 모터용 커넥터 및 모터용 커넥터 조립체
KR20150061595A (ko) 모터용 스테이터 프레임
EP2672117B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5467850B2 (ja) L字型コネクタ
JP6419126B2 (ja) 電線接続構造、ノイズ低減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4789676B2 (ja) 回転電機用端末モジュールおよび回転電機
KR20150093850A (ko) 접속 단자, 접속 단자 유닛 및 전동기
US10110086B2 (en) Motor and female connector
US10270310B2 (en) Motor with wiring board formed by crimp-connecting winding
JP6187788B2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ケーブル引き出し方向の変更方法
JP2010094014A (ja) 電気モータインタフェース、そのための電気プラグ部品、電気モータ端子、及び電気モータ
KR102327471B1 (ko) 접속 장치 및 전기 모터
JP4493652B2 (ja) 電動機固定子
CN109417336B (zh) 旋转电机的定子构造、以及旋转电机的定子构造的组装方法
CA2996274A1 (en) Terminal block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01196145A (ja) 回転コネクタ装置
KR101569432B1 (ko) 와이어리스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유닛
JP4313290B2 (ja) 接続端子
CN108886295B (zh) 马达和马达的制造方法
JP4654061B2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035976A1 (ja) 回転電機、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そのアセンブリ方法
KR20190117924A (ko) 버스바 커넥터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모터
JP2001297845A (ja) ケーブルリール
CN214674605U (zh) 旋转电机
JP2010067476A (ja) シールド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