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334A -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334A
KR20150061334A KR1020130145324A KR20130145324A KR20150061334A KR 20150061334 A KR20150061334 A KR 20150061334A KR 1020130145324 A KR1020130145324 A KR 1020130145324A KR 20130145324 A KR20130145324 A KR 20130145324A KR 20150061334 A KR20150061334 A KR 20150061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target
armed
image
f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297B1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32Devices for testing or che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2Motion systems for aircraft sim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장 비행체에서 표적 훈련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에서 표적 훈련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 및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 지형정보 데이터로부터 지형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가상 표적을 상기 지형 영상에 삽입하여 가상 표적 영상으로 생성하는 과정; 상기 가상 표적 영상에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 표적 훈련 영상을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하는 과정;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무장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 무장 항공기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lockon)받아 가상으로 무장 발사하는 과정; 가상 무장의 발사가 이루어진 후,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른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Method for simulation target training in armed flying bodie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장 비행체에서 표적 훈련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에서 표적 훈련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법 및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일특허공보 제2008023955B4호는 비행체, 육상 차량, 또는 선박의 이벤트 및 프로세스를 시뮬레이션하는 방법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발명은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단지 비-실시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서 가용해짐에도 불구하고,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 장치를 작동시키는 목적에 기초하며, 데이터 관리자에 의해 야기되는 대기 시간(latency time)은 보상되어야 한다.
또한 국제특허공보 제96/26512A호(대응 유럽 특허의 번역문이 가용 - DE696 23410T2)는 비행체를 기동시킬 때 파일럿이 감지하는 실제 움직임을 더욱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하는 문제점에 기초한 비행 시뮬레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비행체를 운항할 때 비행에 관련한 시뮬레이터에 관해서 게시하고 있으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즉, 공중 비행 시에 가상의 표적을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Multi Function Display)에 발생시켜, 파일럿으로 하여금 가상 표적을 파괴하도록 하는 표적 획득 훈련 프로그램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아파치와 같은 무장 헬기의 경우 TADS(Target Acquisition and Designation System)을 활용하여 실제로 표적 획득 훈련을 하기에는 많은 공간적, 시간적, 비용적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가상의 표적 획득 훈련에 관련 시뮬레이터가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4591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행중인 비행체에서 표적 획득 훈련을 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행중인 비행체에서 표적 획득 훈련을 하는데 있어서 공간적, 시간적, 비용적 제한을 극복하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 지형정보 데이터로부터 지형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가상 표적을 상기 지형 영상에 삽입하여 가상 표적 영상으로 생성하는 과정; 상기 가상 표적 영상에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 표적 훈련 영상을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하는 과정;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무장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 무장 항공기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lockon)받아 가상으로 무장 발사하는 과정; 가상 무장의 발사가 이루어진 후,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른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은,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에 탑재된 위성항법장치(GPS) 및 관성항법장치(INS)를 적용한 복합항법장치에 의하여 파악된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의 지형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형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무장 비행체 조종사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가상 표적이 표시되는 지형 표시뷰, 극좌표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무장 비행체 조종사에 의해 락온되는 가상 표적의 거리, 가상 표적의 형상, 가상 표적의 이동 속도를 표시한다.
상기 가상 무장을 선택받는 것은, 미리 설정된 임무 시나리오에 의해 무장 비행체에 장착될 수 있는 무장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여 가상 무장을 선택받는다.
상기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것은, 공격 가상 표적을 향해 가상 발사할 때의 무장 비행체의 운항 속도, 무장 비행체의 발사 조준 각도 및 고도, 가상 발사 횟수를 포함하는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다.
상기 지형 영상, 가상 표적 영상, 표적 훈련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가상 표적을 생성하는 가상 표적 생성부; 생성된 가상 표적을 지형 영상에 삽입하고, 아울러 상기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형 영상에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하는 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 생성된 표적 훈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기능 시현 표시부;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가상 무장 선택부; 무장 비행체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받아 가상으로 무장 발사하는 가상 무장 발사부;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장 비행체 조종사에게 통보하는 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는,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발사가 이루어질 때의 가상 표적이 완파, 반파, 파괴 실패가 되었는지를 영상으로 생성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행중인 비행체에서 실제로 표적 획득하여 무장을 발사하지 않고, 가상의 표적 획득 및 가상 발사를 통하여 조종사의 표적 획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표적 획득 훈련으로 인하여, 공간적, 시간적, 비용적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 영상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표적 영상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 훈련 영상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무장 비행체는 아파치와 같은 무장 헬기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공중에서 비행하며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탑재한 비행체를 말한다. 무장 비행체는 조종사(파일럿)의 조종에 의하여 항공을 비행하며 표적 훈련을 수행하는 비행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는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에 탑재되어 가상의 표적을 무장 비행체의 조종사가 탐지하여 표적 파괴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가상 시뮬레이션 장치인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이다. 이하에서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이란 조종사가 주어진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서 제공하는 지형 영상(3차원 지형 영상) 위에서, 가상의 표적의 발생을 확인하고, 센서 장비를 제어하고, 무장을 선택하고 발사하여, 가상 표적의 파괴를 확인할 수 있는 훈련 시뮬레이션을 말한다.
또한 표적 획득 훈련이라 함은, 공격할 가상 표적을 탐지하여 결정하고, 탐지된 가상 표적에 대하여 가상 무장을 발사하여 가상 표적의 명중 훈련을 하는 것을 말한다.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는 위치 파악부(120), 가상 표적 생성부(130), 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140), 다기능 시현 표시부(150), 가상 무장 선택부(160), 가상 무장 발사부(170), 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110)를 포함한다.
위치 파악부(120)는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러한 무장 비행체에는 위성항법장치(GPS) 및 관성항법장치(INS)를 적용한 복합항법장치가 탑재되어 있어, 무장 비행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가상 표적 생성부(130)는 가상 표적을 생성한다. 가상 표적은 경도, 위도 및 고도에 따라서 다양한 가상 표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경도, 위도 및 고도별의 가상 표적 위치에 다양한 가상의 적군 헬기, 적군 장갑자, 적군 함정 등을 생성한다. 이러한 가상 표적은 훈련 시나리오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140)는 생성된 가상 표적을 지형 영상에 삽입하고, 아울러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지형 영상에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한다. 지형 영상은 다양한 지형정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지형정보 데이터인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를 활용할 수 있다. DTED는 지형의 고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서, 레벨별로 지형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level 2의 경우 1 arc second의 단위로 고저 데이터가 저장되며, level2 경우는 3 acr second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지역의 DTED를 활용하여 지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140)는 DTED로부터 생성한 지형 영상에 가상 표적을 삽입하는데, 가상 표적 위치에 가상 표적을 삽입하는 것이다. 아울러 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는 가상 표적 위치가 표시된 지형 영상에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한다.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에 설치된 위치 파악부(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가상 표적 위치가 표시된 지형 영상에 함께 표시하여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한다. 참고로 상기의 지형 영상 및 표적 훈련 영상은 3차원으로 표시하여, 입체감을 극대화하여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기능 시현 표시부(150;MFD)는 생성된 표적 훈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무장 비행체를 조종하는 조종사(파일럿)이 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다기능 시현 표시부(150;MFD;Multifunction Display)는 무장 비행체 내의 조종석 전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화면 장치로서,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는 주로 무기 시스템 관리 기능 무기적재정보, 레이더 정보와 무기 전자-광학 화면을 표시하는데 쓰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표적이 표시된 표적 훈련 영상을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표시하고 있어 조종사(파일럿)가 가상 표적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가상 무장 선택부(160)는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무장 비행체의 조종사로부터 선택받는다. 예를 들어, 파괴하고자 하는 가상 표적이 장갑차의 경우 철갑을 파괴할 수 있는 제1미사일이 선택되며, 파괴하고자 하는 가상 표적이 지상 건물인 경우 콘크리트를 파괴할 수 있는 제2미사일이 가상 무장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또한 가상 발사 조건은 무장 비행체와 가상 표적 간의 발사 순간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발사시의 발사 조준각도를 설정받을 수 있으며, 또는 무장 비행체인 무장 헬기의 비행 기울기각 등을 설정받을 수 있으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고도 등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밖에, 공격 가상 표적을 향해 가상 발사할 때의 무장 비행체의 운항속도, 가상 발사 횟수 등의 가상 발사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가상 무장 발사부(170)는 무장 비행체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받아 가상으로 발사한다.
일반적으로 실제로 공격이 이루어질 때, 무장 비행체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받는다. 락온(lockon)은 공격하고자 하는 가상 표적을 결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무장 비행체에 표시된 표적들 중에서 무장 비행체의 조종사가 트리거(trigger)를 눌러서 특정 표적을 락온(lockon)하게 되면, 이때부터 락온된 표적에 대해서 무장 비행체 외부에 구비된 레이저 포인터가 타겟을 따라가며 추적하기 시작한다. 무장 비행체 내장 컴퓨터가 미사일의 최적 경로를 GIS(지리 정보 시스템)와 연동하여 계산하고, 계산이 끝나면(약1~2초소요)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를 통해서 발사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해준다. 이러한 신호를 확인한 조종사가 다시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발사를 승인하게 되며, 미사일은 계산된 항로를 따라 비행하며 표적을 명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무장 발사부(170)는, 조종사의 선택에 의하여 공격 가상 표적이 락온되면, 공격 가상 표적에 대하여 선택된 가상 발사 조건에 맞추어 가상의 무장을 발사한다.
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110)는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른 가상 표적의 파괴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무장 비행체 조종사에게 통보한다.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가상 표적에 가상 무장이 명중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가상 표적으로의 명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고도보다 너무 낮은 고도의 발사 조건에서 가상적으로 발사되는 경우 명중에 실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명중 여부에 따른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무장 비행체의 조종사에게 통보한다.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의 통보는,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발사가 이루어질 때의 가상 표적이 완파, 반파, 파괴 실패가 되었는지를 영상으로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에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조준각도가 가상 표적에 명중되도록 설정되어 발사되는 경우는 표적의 완파가 되었음을 표시하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조준각도가 가상 표적에 일부 명중되도록 설정되어 발사되는 경우에는 표적의 반파가 되었음을 표시하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조준각도가 가상 표적에 빗나가도록 설정되어 발사되는 경우에는 표적을 빗나가 표적의 파괴가 실패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비행중인 무장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가진다(S210). 무장 비행체에는 위성항법장치(GPS) 및 관성항법장치(INS)를 적용한 복합항법장치가 탑재되어 있어, 하늘을 활주하는 무장 비행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지형 정보 데이터로부터 지형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가진다(S220). 지형 영상은 지형정보 데이터인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를 활용할 수 있다. DTED는 지형의 고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서, 레벨별로 지형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DTED와 같은 지형 정보를 활용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형(1)이 나타난 지형 영상을 생성한다. 지형 영상은 비행 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형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형 영상을 생성한다. 따라서 비행 중인 무장 비행체의 움직임에 따라 지형 영상이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지형 영상은 2차원으로 표시하였지만,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지형 영상을 3차원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4의 가상 표적 영상, 도 5의 표적 훈련 영상 역시 2차원으로 표시하겠지만, 3차원으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지형 영상은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의 지형 정보 데이터로부터 지형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지형 영상을 생성(S220)한 후에는, 가상 표적을 지형 영상에 삽입하여 도 4과 같은 가상 표적 영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가진다(S23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가상 표적(2)은 경도, 위도 및 고도의 위치별로 다양한 가상 표적이 생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경도, 위도 및 고도별의 가상 표적 위치에 다양한 가상의 적군 헬기, 적군 장갑자, 적군 함정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표적은 훈련 시나리오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되는 가상 표적은 지형 영상 내의 가상 표적 위치에 삽입되어, 가상 표적 영상으로 생성된다. 또한 가상 표적은 정지된 표적이 아니라 시나리오에 의해 이동되는 표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가상 표적(2)을 동일한 형태의 타겟으로 표시하였지만 가상 표적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상의 타겟으로 표시할 수 있다.
가상 표적 영상을 생성(S230)한 후에는, 가상 표적 영상에 무장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현재 위치와 가상 표적을 지형 영상에 함께 표시한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한다(S240).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표적 영상에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3)를 실시간으로 표시한 표적 훈련 영상을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표시한다. 다기능 시현 표시부는 무장 비행체에 구비되어 있어 비행 중인 현재 위치(3)와 더불어 가상의 표적(2)을 표시하여, 조종사가 비행중인 위치에서 인접한 가상의 표적들의 위치 및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무장 항공기 조종사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가상 표적이 표시되는 지형 표시뷰, 극좌표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되는 방향 관점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표적 훈련 영상에 표시되는 지형 표시뷰(display view)가 하늘에서 내려다 보는 지형 형상뷰일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지표면에서 수평으로 바라보는 지형 형상뷰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서 북쪽 방향(N)을 전방 12시 방향으로 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동쪽 방향(E)을 전방 12시 방향으로 하여 표시하는 등 극좌표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가상 표적이 표시된 표적 훈련 영상이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표시된 후에는,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무장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가진다(S250). 예를 들어, 파괴하고자 하는 가상 표적이 장갑차의 경우 철갑을 파괴할 수 있는 제1미사일이 선택되며, 파괴하고자 하는 가상 표적이 지상 건물인 경우 콘크리트를 파괴할 수 있는 제2미사일이 가상 무장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가상 발사 조건은 무장 비행체와 가상 표적 간의 발사 순간의 거리가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발사시의 발사 조준각도를 설정받을 수 있으며, 또는 무장 비행체인 무장 헬기의 비행 기울기각 등을 설정받을 수 있으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고도 등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밖에, 공격 가상 표적을 향해 가상 발사할 때의 무장 비행체의 운항속도, 가상 발사 횟수 등의 가상 발사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가상 무장 및 가상 발사 조건 선택은 미리 설정된 임무 시나리오에 의해 무장 비행체에 장착될 수 있는 무장의 종류 및 무장 발사 조건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받을 수 있다. 무장 비행체마다 실제로 탑재할 수 있는 무장의 종류와 발사 조건이 제한되기 때문에, 무장 비행체에 적용할 수 있는 가상 무장 및 가상 발사 조건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선택받는 것이다.
무장 선택(S250)이 이루어지고 나서, 무장 항공기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lockon)받아 가상으로 무장 발사하는 과정을 가진다(S260).
일반적으로 무장 비행체에서 실제로 공격이 이루어질 때, 무장 비행체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받는다. 락온(lockon)은 공격하고자 하는 가상 표적을 결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표시된 표적들 중에서 무장 비행체의 조종사가 트리거(trigger)를 눌러서 특정 표적을 락온(lockon)하게 되면, 이때부터 락온된 표적에 대해서 무장 비행체 외부에 구비된 레이저 포인터가 타겟을 따라가며 추적하기 시작한다. 락온이 이루어지고 나면 락온되는 가상 표적의 거리, 가상 표적의 형상, 가상 표적의 이동 속도를 표시한다. 이러한 락온된 가상 표적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조종사는 이러한 정보를 참조하여 발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락온된 후, 무장 비행체 내장 컴퓨터가 미사일의 최적 경로를 GIS(지리 정보 시스템)와 연동하여 계산하고, 계산이 끝나면(약1~2초소요)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를 통해서 발사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해준다.
본 발명은 다기능 시현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의 표적들 중에서 트리거(trigger)를 눌러서 어느 특정의 가상 표적에 대하여 락온되면, 가상 발사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를 확인한 조종사가 다시 트리거를 누름으로써 가상 발사를 승인하게 되며, 가상의 무장이 계산된 항로를 따라 가상 비행하며 가상 표적을 향하게 될 때의 궤도를 산출한다.
가상 무장의 발사(S260)가 이루어진 후,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른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디스플레이한다(S270). 즉,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가상 표적으로의 명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고도보다 너무 낮은 고도의 발사 조건에서 가상적으로 발사되는 경우 명중에 실패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명중 여부에 따른 가상 표적의 파괴 성공 여부를 무장 비행체의 조종사에게 통보한다. 또한 지상의 관제탑에 가상 표적의 명중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의 통보는,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발사가 이루어질 때의 가상 표적이 완파, 반파, 파괴 실패가 되었는지를 영상으로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에 표시하여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조준각도가 가상 표적에 명중되도록 설정되어 발사되는 경우는 표적의 완파가 되었음을 표시하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조준각도가 가상 표적에 일부 명중되도록 설정되어 발사되는 경우에는 표적의 반파가 되었음을 표시하며, 또는 무장 비행체의 가상 발사시의 조준각도가 가상 표적에 빗나가도록 설정되어 발사되는 경우에는 표적을 빗나가 표적의 파괴가 실패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 120:위치 파악부
130:가상 표적 생성부 140: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
150:다기능 시현 표시부 160:가상 무장 선택부
170:가상 무장 발사부

Claims (9)

  1.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
    지형정보 데이터로부터 지형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
    가상 표적을 상기 지형 영상에 삽입하여 가상 표적 영상으로 생성하는 과정;
    상기 가상 표적 영상에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한 표적 훈련 영상을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하는 과정;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무장 선택이 이루어지는 과정;
    무장 항공기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lockon)받아 가상으로 무장 발사하는 과정;
    가상 무장의 발사가 이루어진 후,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른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은,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에 탑재된 위성항법장치(GPS) 및 관성항법장치(INS)를 적용한 복합항법장치에 의하여 파악된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며,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의 지형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지형 영상을 생성하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하여 다기능 시현 표시부(MFD)에 제공하는 과정이 있은 후에, 무장 비행체 조종사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가상 표적이 표시되는 지형 표시뷰, 극좌표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장 비행체 조종사에 의해 락온되는 가상 표적의 거리, 가상 표적의 형상, 가상 표적의 이동 속도를 표시하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무장을 선택받는 것은,
    미리 설정된 임무 시나리오에 의해 무장 비행체에 장착될 수 있는 무장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하여 가상 무장을 선택받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것은,
    공격 가상 표적을 향해 가상 발사할 때의 무장 비행체의 운항 속도, 무장 비행체의 발사 조준 각도 및 고도, 가상 발사 횟수를 포함하는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형 영상, 가상 표적 영상, 표적 훈련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하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8. 비행중인 무장 비행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가상 표적을 생성하는 가상 표적 생성부;
    생성된 가상 표적을 지형 영상에 삽입하고, 아울러 상기 무장 비행체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형 영상에 실시간으로 삽입하여 표적 훈련 영상으로 생성하는 표적 훈련 영상 생성부;
    생성된 표적 훈련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기능 시현 표시부;
    가상 표적을 파괴할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을 선택받는 가상 무장 선택부;
    무장 비행체 조종사로부터 공격할 대상인 공격 가상 표적을 락온받아 가상으로 무장 발사하는 가상 무장 발사부;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가상 표적의 명중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장 비행체 조종사에게 통보하는 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
    를 포함하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상 표적 명중 판단부는,
    선택된 가상 무장과 가상 발사 조건에 따라서 발사가 이루어질 때의 가상 표적이 완파, 반파, 파괴 실패가 되었는지를 영상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30145324A 2013-11-27 2013-11-27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56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24A KR101560297B1 (ko) 2013-11-27 2013-11-27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324A KR101560297B1 (ko) 2013-11-27 2013-11-27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334A true KR20150061334A (ko) 2015-06-04
KR101560297B1 KR101560297B1 (ko) 2015-10-14

Family

ID=5349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324A KR101560297B1 (ko) 2013-11-27 2013-11-27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93B1 (ko) * 2015-09-22 2017-01-09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031319B1 (ko) * 2019-04-26 2019-10-11 한화시스템(주) 드론을 이용한 탐지시스템
KR102031320B1 (ko) * 2019-04-26 2019-10-11 한화시스템(주) 드론탐지시스템을 이용한 대상탐지방법
KR20200058050A (ko) * 2018-11-19 2020-05-27 전자부품연구원 X-Plane를 이용한 HMD 기반 공간정위상실 체험 시뮬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134B1 (ko) 2020-06-11 2022-05-09 국방과학연구소 플레이북 형태의 모의공격도구 구현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93B1 (ko) * 2015-09-22 2017-01-09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00058050A (ko) * 2018-11-19 2020-05-27 전자부품연구원 X-Plane를 이용한 HMD 기반 공간정위상실 체험 시뮬레이터
KR102031319B1 (ko) * 2019-04-26 2019-10-11 한화시스템(주) 드론을 이용한 탐지시스템
KR102031320B1 (ko) * 2019-04-26 2019-10-11 한화시스템(주) 드론탐지시스템을 이용한 대상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297B1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5337B2 (ja) 遠隔検知した標的地帯の画像を表示する双方向兵器照準システム
KR101560297B1 (ko)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US11189189B2 (en) In-flight training simulation displaying a virtual environment
US6283756B1 (en) Maneuver training system using global positioning satellites, RF transceiver, and laser-based rangefinder and warning receiver
EP0448622B1 (en) System for in-flight training of aircraft operators
KR102076616B1 (ko) 대로켓 시스템
US9014958B2 (en)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operative op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1560298B1 (ko) 항공기 사격 통제 시스템 검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60295B1 (ko)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KR20150063610A (ko) 헬멧 시현 장비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RU2757094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оружением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х самолетов такт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30140441A1 (en) Target acquisition system for an indirect-fire weapon
CN113467516B (zh) 基于无人机对地攻击的模拟控制方法、系统及终端
JP5508075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537670B1 (ko)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RU2315940C2 (ru) Способ обстрела боевой машиной групповой цели с закрытых огневых позиций неуправляемыми снарядами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84959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RU261881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условий возможного пуска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oe et al. Air-to-air and air-to-ground engagement modeling for the KAI embedded training system
RU218468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вухместный высокоманевренный самолет такт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WO2002084201A1 (en) Maneuver training system using global positioning satellites, rf transceiver, and laser-based rangefinder and warning receiver
Barnes Tactical Applications Of The Helmet Display In Fighter Aircraft.
RU2748133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ооружением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х самолетов такт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00017755A (ko) 항공기용 3d 표적모델을 이용한 전술 임무수행 훈련방법
Coyle Is Missile Defense on Tar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