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70B1 -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70B1
KR101537670B1 KR1020140012704A KR20140012704A KR101537670B1 KR 101537670 B1 KR101537670 B1 KR 101537670B1 KR 1020140012704 A KR1020140012704 A KR 1020140012704A KR 20140012704 A KR20140012704 A KR 20140012704A KR 101537670 B1 KR101537670 B1 KR 10153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separator
simulated
searcher
coordinat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1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전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제원의 항공기 및 탐색기 사이의 추적/기만 성공 여부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운행하는 항공기를 대표하는 모의 항공기; 상기 항공기가 추적을 피하기 위해 발사한 분리체를 대표하는 모의 분리체;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 중 하나를 타겟으로 인식하고 추적하는 탐색기;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공간상의 이동 경로와 상기 탐색기의 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공간상의 위치를 상기 탐색기로부터 바라본 평면상의 위치로 산출하는 탐색-뷰 산출부; 및 상기 탐색-뷰로부터 산출된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평면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항공기와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DECOYING AND CHASING SIMULATION SYSTEM BETWEEN AIRCRAFT AND SEEK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전 관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제원의 항공기 및 탐색기 사이의 추적/기만 성공 여부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現代戰)에서 전자전 능력은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전력이다.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전반에 발발했던 여러 전쟁의 결과는 전자전의 가치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시대가 지날수록 최신예 항공기는 더욱 정밀하고 복잡한 전자전 수행 능력을 갖추어가고 있지만, 그 판매 가격은 기존 항공기의 수십 배에 이르러 상당한 경제력을 갖춘 나라가 아니라면 쉽게 구입할 수도 없을 정도가 되었다. 만약, 저가의 미사일 1기에 이런 고가의 항공기가 격추된다면 이는 어마어마한 손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편에서는 고가의 항공기를 보호할 수 있는 항공 생존 장비 개발이 활발하지만, 다른 편에서는 항공기를 끝까지 추적하여 격추할 수 있는 다양한 무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768호는 "항공 생존 장비의 성능 검증을 위한 3차원 헬기 자세 시뮬레이터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헬기가 자세를 바꿈에 따라 변경되는 헬기 기동 상황별 위협 정보의 분석 여부와 이에 따른 채프/플레어 대응 수행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지를 검증하는 시뮬레이터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제안된 시뮬레이터 기술은 제약이 많은 실전 비행 환경을 대신하여 다양한 비행 자세 시험을 위해 제안된 3차원 헬기 자세 시뮬레이터 기술로서, 유도 미사일로부터 실제로 헬기가 보호된 것인지 검증할 수 있는 해결안은 제공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신무기가 개발될 때마다, 아군의 항공기가 적의 유도 미사일로부터 보호될 것인지, 아군의 유도 미사일이 적 항공기를 격추시킬 수 있을 것인지 검증하고 아군의 항공기 및 유도 미사일의 탐색기(seeker)의 기술 보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신무기체계의 제원, 알고리즘 등을 용이하게 적용하여, 추적과 기만의 성공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항공기의 생존 장비와 유도 미사일의 탐색기간 추적 및 기만의 성공 여부를 신무기체계의 개발에 발맞추어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운행하는 항공기를 대표하는 모의 항공기; 상기 항공기가 추적을 피하기 위해 발사한 분리체를 대표하는 모의 분리체;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 중 하나를 타겟으로 인식하고 추적하는 탐색기;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공간상의 이동 경로와 상기 탐색기의 경로를 고려하여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공간상의 위치를 상기 탐색기로부터 바라본 평면상의 위치로 산출하는 탐색-뷰 산출부; 및 상기 탐색-뷰로부터 산출된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평면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항공기와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탐색-뷰 산출부는 임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3차원 직교 좌표계에서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의 순간적인 위치로부터 가상 좌표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가상 좌표계의 원점은 상기 3차원 공간 좌표계에서, 상기 분리체와 높이가 같은 수평 평면에 상기 항공기를 수직으로 투영한 지점과 상기 탐색기의 위치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연장했을 때, 상기 항공기가 상기 가상의 직선상에 직교 투영되는 점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탐색-뷰 산출부는,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으로부터 상기 항공기에 이르는 직선을 제 1축으로 하고; 상기 탐색기와 상기 분리체를 지나는 직선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을 잇는 제 2축 직선으로서, 상기 임의의 점은 상기 제 2축과 상기 제 1축이 직교하고 상기 제 2축과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으로부터 상기 탐색기를 연결하는 직선이 직교하도록 선택되어 상기 제 2축을 구성하여 상기 가상 좌표계를 구성하며, 나아가, 상기 탐색-뷰 산출부는 상기 탐색기로부터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까지의 실제 거리를 시뮬레이션 공간에 맞도록 상기 가상 좌표계를 비례 축소하여 시뮬레이션 좌표계를 재구성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좌표계 상의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재산출하며,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를 상기 시뮬레이션 좌표계 상의 좌표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다음의 수식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1
여기에서,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2
은 상기 모의 분리체의 제 2축에 따른 좌표이고,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3
은 상기 모의 항공기와 상기 탐색기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4
는 상기 탐색기를 중심으로 상기 항공기와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이 이루는 각, 및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5
는 상기 탐색기를 중심으로 상기 분리체와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이 이루는 각이다.
한편, 상기 모의 항공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상기 분리체의 위치만 상대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좀 더 용이하게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항공기 및 탐색기의 제원, 및 환경 특성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비행을 제어하고 항공기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상기 탐색기가 상기 항공기 신호를 추적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상기 항공기가 상기 탐색기의 추적을 인지하고 분리체를 발사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의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를 상기 탐색기가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2차원 평면 좌표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평면 좌료를 기준으로 상기 분리체 및/또는 상기 항공기를 대표하는 모의 분리체 및/또는 모의 항공기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제원에 따라 상기 탐색기가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 중 하나를 타겟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공기 및 탐색기간 전투 결과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으며, 신무기체계가 개발되더라도 신무기체계의 기술 상세 내용을 용이하게 적용함으로써 아군 무기체계의 기술적 문제점을 용이하게 보완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및 탐지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2 및 도3은 탐색-뷰 산출부의 2차원 평면상의 매핑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및 탐지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제어부(10), 모의 항공기(20), 모의 분리체(30), 탐색기(40), 탐색-뷰 산출부(50), 및 모션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뮬레이션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및/또는 항공기, 탐색기(40), 분리체 등의 제원을 입력받아 세팅하고, 설정된 시나리오 및 무기체계의 특성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 제어부(10)는 전반적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서버 혹은 PC,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의 항공기(20)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운행하는 항공기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실제 시뮬레이터에 설치된다. 모의 항공기(20)는 시나리오에 따라서 3차원 상의 항공기 운행을 2차원 공간으로 매칭하여 움직이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또는 시뮬레이션 모델링에 따라서는 모의 항공기(20)의 위치를 고정될 수도 있다. 모의 항공기(20)의 플레어를 탐색하는 유도 미사일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경우 항공기 특유의 화염과 같은 성능을 나타내는 IR(적외선) 램프 등이 모의 항공기(20)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모의 분리체(30)는 항공기가 추적을 따돌리기 위해, 즉 기만하기 위해 발사한 분리체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채프/플레어, RF 기만기 등을 대표한다. 이러한 분리체들은 항공기의 초기 속도, 추진 가속도, 자유 낙하시 공기 저항, 분리체의 제원 등에 따라 이동 속도가 각기 다르게 결정되고, 모의 분리체(30)는 시나리오 및 분리체의 제원 등에 따라 2차원 평면 내에서 직선 및/또는 곡선을 그리며 이동한다. 분리체의 특성을 따라 이에 대응하는 IR 램프, RF(radio frequency) 생성기 등이 모의 분리체(3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탐색기(40)는 시뮬레이션의 대상이 되는 실물 또는 이에 대응하는 모의 탐색기로 구현될 수 있다. 탐색기(40)는 예컨대 지대공 IR 유도탄에 설치되는 탐색기(seeker)로서 실물 또는 동일 제원의 탐색기를 재구성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 항공기(20)와 모의 분리체(30) 중 하나를 타겟으로 인식하게 된다.
탐색-뷰 산출부(50)는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서 3차원 공간에서 이동하는 항공기와 분리체를 이동 중인 탐색기(40)에서 바라본 뷰에 대응하는 2차원 평면상으로 매핑함으로써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 허용된 공간 내에서 시뮬레이션하기 용이한 단순한 움직임으로 변환시킨다. 시뮬레이션의 최종 목적은 탐색기(40)가 항공기를 계속해서 추적하는지, 분리체에 의해 기만되어 항공기 추적을 중단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므로 공간상의 움직임을 탐색기(40)에서 바라보는 평면 형태의 뷰로 변환하는 것이다.
탐색-뷰 산출부(50)의 2차원 평면상의 매핑 알고리즘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항공기, 분리체, 탐색기(40)는 각각 A, F, M에 위치하고 있으며, 탐색기(40) 및 항공기 사이의 거리는 d이다.
3차원 공간 좌표 상에서 원점은 임의의 한 점으로 선택할 때 비행기 및 분리체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고, 이때 비행기의 좌표는 (Ax, Ay, Az)이고 분리체의 좌표는 (Fx, Fy, Fz)로 가정한다.
새롭게 구성할 2차원의 가상 좌표계 및 비행기 및 분리체의 좌표를 구하기 위하여, 2차원 가상 좌표계의 원점을 정의한다.
먼저, 분리체와 같은 높이를 갖는 임의의 평면(Y=Fy)과 항공기를 이 평면에 직교 투영할 때 만나는 교점을 A'이라고 하면 A'의 좌표는 (Ax, Fy, Az)가 된다.
다음, 탐색기(40)의 위치(M)에서 A'을 잇는 선분을 연장하여 일 직선을 구한다. 여기에서, 이 직선 위로 항공기의 위치(A)로부터 직교하는 직선을 그어 교차점(O')을 얻는다.
이 교차점(O')이 구하고자 하는 2차원 가상 좌표계의 원점으로 정의된다.
가상 좌표계의 원점(O')으로부터 항공기의 위치(A)를 연결하는 직선이 가상 좌표계의 제1 축(Y')을 구성하고, 가상 좌표계의 원점(O')으로부터 제1 축과 직교하는 직선으로서, 탐색기(40)의 위치(M)와 분리체(F)의 위치(F)를 연결한 직선과 교차하는 직선을 가상 좌표계의 제2 축(X')을 구성한다.
가상 좌표계는 X'-Y' 축으로 구성되는 평면 좌표계로서, 탐색기(40) 시점에서 바라본 평면 좌표계라고 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는 항공기의 이동 경로, 분리체의 이동 경로, 시뮬레이션 환경 예컨대, 바람, 공기저항, 등, 그리고 탐색기(40)의 접근 위치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탐색기(40)로부터 항공기의 거리(d), 탐색기(40)를 중심으로 항공기와 가상 좌표계 원점(O')이 이루는 각(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6
), 탐색기(40)를 중심으로 분리체(F)와 가상 좌표계의 원점(O')이 이루는 각(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7
)은 원점(O')을 구한 후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좌표계상 항공기의 좌표는 (0,y') 이고, 분리체의 좌표는 (x',0)가 되며, x',y'은 다음의 수학식1-2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8
Figure 112014011047697-pat00009
가상 좌표계는 항공기가 실제 상공을 비행할 때 적용되는 것이라면, 이러한 좌표계는 실제 시뮬레이터 공간으로 축소되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O'F'M 으로 구성되는 4면체와 AOFM으로 구성되는 4면체의 비례 관계를 가지며, 이에 따라 가상 좌표계(X'-Y')를 시뮬레이션 좌표계(X"-Y")로 변경할 수 있다. 즉, 가상 좌표계의 원점(O')이 시뮬레이션 좌표계의 원점(O)으로, 항공기의 좌표(0,y')가 모의 항공기(20)의 좌표(0,y")로, 분리체의 좌표(x',0)가 모의 분리체(30)의 좌표(x",0)로 변경된다.
여기에서, 비례 관계 및 삼각 함수를 이용하여 x", y" 좌표는 아래 수학식3-4와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0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1
여기에서,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2
은 탐색기(40)와 모의 항공기(20)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수학식 3]과 [수학식 4]는 탐색기(40)와 모의 항공기(20) 거리가 고정인 경우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제공한다. 즉, 모의 항공기(20) 및 모의 분리체(30)의 위치가 탐색기(40)에서 바라본 시야각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며, 이는 탐색기(40)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구 표면상으로 모의 항공기(20) 및 모의 분리체(30)가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모션 제어부(60)는 탐색기(40)에서 바라보는 뷰의 변화를, 즉 2차원적인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탐색-뷰 산출부(50)에서 연속적으로 산출되는 2차원 평면상의 위치로 모의 항공기(20) 및 모의 분리체(30)를 이동시킴으로써 연속 모션을 제어하게 된다. 모션 제어부(60)는 모의 항공기(20)와 모의 분리체(30) 각각을 2차원적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2 축 모터 및 모터 구동을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1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및 탐색기(40)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시뮬레이션 제어부(10)는 시나리오, 무기체계의 제원, 자연환경 특성 등을 설정하고(S1),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항공기의 비행을 제어하고 항공기 신호를 제어한다(S2).
항공기가 탐색기(40)와 조우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시나리오에서,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탐색기(40)가 상기 항공기 신호를 추적하도록 한다(S3).
다음,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항공기가 상기 탐색기(40)의 추적을 인지하고 분리체를 발사한다(S4).
이에, 탐색-뷰 산출부(50)는 항공기 및 분리체의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를 탐색기(40)가 항공기 및 분리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2차원 평면 좌표로 환산한다(S5). 이때 2차원 평면 좌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수행할 수 있는 수준, 즉 시뮬레이션 좌표계 수준으로 축소된다.
다음으로 모션 제어부(60)는 2차원 평면 좌표를 기준으로 분리체 및/또는 항공기를 대표하는 모의 분리체(30) 및/또는 모의 항공기(20)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S6).
탐색기(40)는 미리 결정된 제원, 즉 판정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모의 항공기(20) 및 상기 모의 분리체(30) 중 하나를 타겟으로 선택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추적에 성공했는지 탐색기(40)의 기만에 성공했는지를 평가하게 된다(S7).
분리체가 플레어인 경우, 항공기 및 분리체의 플레어 특성, 시간 경과에 따른 플레어 특성의 변화, 항공기 및 분리체의 이동 경로 등에 따라 탐색기(40)가 실제로 어떤 것을 타겟으로 인식하는지 알 수 있으며, 분리체는 타겟으로 인식한 대상을 향하여 계속해서 비행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운행하는 항공기를 대표하는 모의 항공기;
    상기 항공기가 추적을 피하기 위해 발사한 분리체를 대표하는 모의 분리체;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 중 하나를 타겟으로 인식하고 추적하는 탐색기;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공간상의 이동 경로와 상기 탐색기의 경로를 근거로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공간상의 위치를 상기 탐색기로부터 바라본 평면상의 위치로 산출하는 탐색-뷰 산출부; 및
    상기 탐색-뷰로부터 산출된 상기 항공기와 상기 분리체의 평면상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모의 항공기와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제어하는 모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뷰 산출부는 임의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3차원 직교 좌표계에서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의 순간적인 위치로부터 가상 좌표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좌표계의 원점은,
    상기 3차원 공간 좌표계에서, 상기 분리체와 높이가 같은 수평 평면에 상기 항공기를 수직으로 투영한 지점과 상기 탐색기의 위치를 잇는 가상의 직선을 연장했을 때, 상기 항공기가 상기 가상의 직선상에 직교 투영되는 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뷰 산출부는,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으로부터 상기 항공기에 이르는 직선을 제1 축으로 하고; 상기 탐색기와 상기 분리체를 지나는 직선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을 잇는 제2 축 직선으로서, 상기 임의의 점은 상기 제2 축과 상기 제1 축이 직교하고 상기 제2 축과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으로부터 상기 탐색기를 연결하는 직선이 직교하도록 선택되어 상기 제2 축을 구성하여 상기 가상 좌표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뷰 산출부는 상기 탐색기로부터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까지의 실제 거리를 시뮬레이션 공간에 맞도록 상기 가상 좌표계를 비례 축소하여 시뮬레이션 좌표계를 재구성하고, 상기 시뮬레이션 좌표계 상의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재산출하며,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를 상기 시뮬레이션 좌표계 상의 좌표 위치로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제어부는 상기 모의 분리체의 위치를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3
    식에 따라 제어하며,
    여기서, x"은 상기 모의 분리체의 제2 축에 따른 좌표이고,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4
    은 상기 모의 항공기와 상기 탐색기 사이의 거리,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5
    는 상기 탐색기를 중심으로 상기 항공기와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이 이루는 각, 및
    Figure 112014011047697-pat00016
    는 상기 탐색기를 중심으로 상기 분리체와 상기 가상 좌표계 원점이 이루는 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항공기의 위치는 고정되고 상기 분리체의 위치만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8.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항공기 및 탐색기의 제원, 및 환경 특성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항공기의 비행을 제어하고 항공기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상기 탐색기가 상기 항공기 신호를 추적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제원에 따라 상기 항공기가 상기 탐색기의 추적을 인지하고 분리체를 발사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의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를 상기 탐색기가 상기 항공기 및 상기 분리체를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2차원 평면 좌표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평면 좌료를 기준으로 상기 분리체 및 상기 항공기를 대표하는 모의 분리체 및 모의 항공기의 모션을 제어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제원에 따라 상기 탐색기가 상기 모의 항공기 및 상기 모의 분리체 중 하나를 타겟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및 탐색기간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40012704A 2014-02-04 2014-02-04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704A KR101537670B1 (ko) 2014-02-04 2014-02-04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704A KR101537670B1 (ko) 2014-02-04 2014-02-04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670B1 true KR101537670B1 (ko) 2015-07-17

Family

ID=5387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704A KR101537670B1 (ko) 2014-02-04 2014-02-04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809A (zh) * 2020-05-21 2020-10-13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协作目标激光诱偏参数测量系统与方法
CN117761678A (zh) * 2024-02-22 2024-03-26 成都鹰谷米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频段的复杂环境目标探测方法及芯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371A (ko) * 2007-11-19 2009-05-22 국방과학연구소 능동 rf 기만기 시뮬레이션 장치
KR20110030921A (ko) * 2009-09-18 2011-03-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전자 통합시험 시스템의 화력제어레이더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특성과 기능 구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20088304A (ko) * 2011-01-31 2012-08-08 국방과학연구소 항공 생존 장비의 성능 검증을 위한 3차원 헬기 자세 시뮬레이터 및 그 방법
KR101307350B1 (ko) * 2012-04-24 2013-09-11 국방과학연구소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한 다기종의 가변형 비행시뮬레이터의 계기패널 구현방법 및 구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1371A (ko) * 2007-11-19 2009-05-22 국방과학연구소 능동 rf 기만기 시뮬레이션 장치
KR20110030921A (ko) * 2009-09-18 2011-03-2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전자 통합시험 시스템의 화력제어레이더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특성과 기능 구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120088304A (ko) * 2011-01-31 2012-08-08 국방과학연구소 항공 생존 장비의 성능 검증을 위한 3차원 헬기 자세 시뮬레이터 및 그 방법
KR101307350B1 (ko) * 2012-04-24 2013-09-11 국방과학연구소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한 다기종의 가변형 비행시뮬레이터의 계기패널 구현방법 및 구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5809A (zh) * 2020-05-21 2020-10-13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一种协作目标激光诱偏参数测量系统与方法
CN117761678A (zh) * 2024-02-22 2024-03-26 成都鹰谷米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频段的复杂环境目标探测方法及芯片
CN117761678B (zh) * 2024-02-22 2024-04-26 成都鹰谷米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频段的复杂环境目标探测方法及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669B2 (en) Mechanical effects by way of software or real world engagement
US11069254B2 (en) Method for simulating live aircraft infrared seeker obscuration during live, virtual, constructive (LVC) exercises
WO2008115216A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eapon flyout modeling and target damage assesment
CN112782984A (zh) 多飞行器反拦截协同打击的制导方法、装置和飞行器
CN112580221A (zh) 一种攻防对抗仿真系统
KR101560298B1 (ko) 항공기 사격 통제 시스템 검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110110B (zh) 一种用于导弹攻防对抗的半实物仿真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560297B1 (ko) 무장 비행체의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537670B1 (ko)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58229A (zh) 一种航空自导深弹控制系统半实物仿真系统
KR101188768B1 (ko) 항공 생존 장비의 성능 검증을 위한 3차원 헬기 자세 시뮬레이터 및 그 방법
KR101560295B1 (ko) 표적 획득 시뮬레이션 장치
KR102546814B1 (ko) 유도탄의 지형 간섭 판단방법 및 이를 위한 판단장치
Starý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of missile guidance in WEBOTS simulator environment
Moran et al. Three plane approach for 3D true proportional navigation
KR100581008B1 (ko) 모의 사격 무기체계 평가 시뮬레이터
KR101667597B1 (ko) 플레어 기반 항공기 및 탐색기 간의 추적-기만 모의 장치 및 방법
Starý et al. Webots open source robot simulator capabilities for modelling and simulation of ground-based air defence
Infantano et al. A novel system to display position of explosion, shot angle, and trajectory of the rocket firing by using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ARoket: Improving safety and quality of exercise anytime, anywhere, and real time
Kuscu et al. Development of Gun Turret Drive Stabilization System with a Microcontroller and Implementation on a Model Tank
Dziopa et al. Modelling and the elements of controlled dynamics of the anti-aircraft missile launcher based onboard the warship
Zhang et al. Variable Variance Kalman Filter for Line of Sight Angle Jump Suppression
Farlik et al. Aspects of the surface-to-air missile systems modelling and simulation
Marković et al. Engagement areas of missiles in the proportional navigated flight powered by air breathing engines
Lee et al. Design of Tracking System using Bayesian Position Prediction for Highly Maneuvarable Aerial Tar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