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014A -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014A
KR20150060014A KR1020130143898A KR20130143898A KR20150060014A KR 20150060014 A KR20150060014 A KR 20150060014A KR 1020130143898 A KR1020130143898 A KR 1020130143898A KR 20130143898 A KR20130143898 A KR 20130143898A KR 20150060014 A KR20150060014 A KR 20150060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phyrin
graphene oxide
trans
mixture
aldehy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원
한형순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0014A/ko
Publication of KR2015006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01N27/3277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being a redox reaction, e.g. detection by cyclic voltam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트랜스 포르피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신규한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고,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그래핀과 결합하여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합성한 후, 전기환원반응 처리를 하여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각각 또는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novel trans porphyrin, ER (graphene oxide-porphyrin) sensor containing the same, method for producing thereby}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고,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그래핀과 결합하여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합성한 후, 전기환원반응 처리를 하여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각각 또는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파민(Dopamine) 및 세로토닌(Serotonin)은 생체 내 대사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로서 또는 생의약적 물질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파민은 가장 많이 알려진 카테콜 아민계의 물질로, 생체내 신경계의 신호전달을 조정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약물중독 및 파킨슨병의 주요 치료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로토닌은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에서 유도된 화학물질로서, 혈액이 응고할 때 혈소판으로부터 혈청 속으로 방출되는 혈관 수축작용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세로토닌이 결핍하면 우울증, 불안증 등이 생기게 된다. 또한 세로토닌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식욕이 떨어지게 되고, 일정수준 이하로 감소할 경우에는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각종 병증의 초기 진단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체내에서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는 상기 도파민 및 세로토닌을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화학적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도파민 및 세로토닌 물질들에 대하여 매우 빠르고,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및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을 그래핀과 결합하여, 도파민과 세로토닌에 대한 넓은 선형성과 높은 검출한계를 도출할 수 있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1의 구조를 갖는 트랜스 포르피린을 제공한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1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의 색상은 보라색을 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 포르피린에 그래핀이 결합된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싸이클릭볼타메트리법 (CV), 시차펄스 폴라로그래피법 (DPV) 및 크로노암페로메트리(CA)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파민과 세라토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으로서, 피롤(pyrrole)과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pentafluorobenzaldehyde)를 혼합하여 다이피롤메탄(dipyrromethane)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다이피롤메탄을 알데하이드(aldehyde)와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 2의 구조를 갖는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를 염화주석 수화물(SnCl2*2H2O)과 반응시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조식 2]
Figure pat00002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다이피롤메탄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트리플로로아세트산(TFA)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하는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는 단계; 반응이 종결된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더 첨가하여 유기층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수분이 제거된 유기층에 남아있는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과 상기 피롤을 제거하여 유기기름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유기기름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상기 다이피롤메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롤,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및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은 25:1:0.1의 당량비로 반응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다른 작용기를 가지는 알데하이드를 다이클로로 메탄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하는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2,3-디클로로-5,6-디시아노-파라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는 단계; 반응이 종결된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남아있는 다이클로로 메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클로로 메탄이 제거된 상기 다이프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메탄올로 세척하여 트랜스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데하이드는 4-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4-Nitrobenzaldehyde)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피롤메탄, 상기 알데하이드 및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을 2:2:1.78의 당량비로 반응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염화주석 수화물을 1:4의 당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상기 염화주석 수화물의 혼합물을 염산에서 아르곤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이 종료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상기 염화주석 수화물의 혼합물을 PH 8로 조절하여 침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내려 클로로포름층을 받아내는 단계; 및 상기 클로로포름층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 Oxide)를 합성하는 단계; 및 합성된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를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핀옥사이드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는 단계;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가 용해된 상기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상기 포르피린과 히드라진 솔루션 및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위 0.8V 에서 -0.8V, 주사속도 50 mV/s, 30사이클의 조건에서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을 시킨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기화학적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도파민 및 세로토닌 물질들을 대하여 매우 빠르고,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넓은 선형성과 높은 검출한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기 위한 다이피롤메탄의 합성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기 위한 트랜스포르피린A의 합성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 포르피린의 합성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옥사이드-포르피린의 합성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이용하여 도파민 측정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이용하여 세로토닌 측정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이용하여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동시 측정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이용하여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크로노암페로메트리법으로 측정한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 트랜스 포르피린]
본 발명의 트랜스 포르피린은 신규한 물질로, 색상은 보라색을 뛰며, 하기 구조식 1의 구조를 갖는다.
[구조식 1]
Figure pat00003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으로는 다이피롤메탄을 합성하는 단계,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 및 트랜스포르피린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1) 다이피롤메탄을 합성하는 단계
도 1은 상기 다이피롤메탄을 합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피롤과 펜타플루오르벤즈알데하이드를 25:1의 당량비로 혼합한다.
이때 상기 피롤과 펜타플루오르벤즈알데하이드를 건조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아르곤 가스를 이용하여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혼합한다.
이후,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르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0.1 당량비의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을 천천히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이후에 0.1M의 수산화 나트륨을 더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다.
다음으로, 반응이 종결된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를 더 첨가한 후 생성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층에 존재하는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다.
그리고, 수분이 제거된 유기층에 남아있는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과 상기 피롤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유기기름을 얻는다.
이때 상기 유기기름에 존재하는 불순물은 증류하여 제거될 수 있으며, 불순물이 제거된 유기기름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투명의 다이피롤메탄을 합성한다.
2)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
도 2는 본 발명의 트랜스 포르피린A를 합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된 투명의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다른 작용기를 가지는 알데하이드를 2:2의 당량비로 다이클로로메탄 용매에 혼합한다.
이때 상기 알데하이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4-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4-Nitrobenzaldehyde)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피롤메탄, 상기 알데하이드, 상기 다이클로로메탄 혼합물에 5분 내지 15분 정도 질소를 통과시킨 후에 상기 혼합물에 1.78 당량의 트리 플로로 아세트산을 천천히 가하여 반응을 개시시킨다.
이때 반응이 개시되면서 혼합물의 색상은 서서히 어두워지며, UV로 400nm이후에 피크가 관찰이 되면 충분히 반응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에 1.5 당량비의 DDQ(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다.
이후 반응이 종결된 상기 혼합물에 남아있는 다이클로로 메탄용매를 제거한다. 이때 다이클로로메탄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필터링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클로로 메탄이 제거된 상기 혼합물에 메탄올로 세척하여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한다.
3) 트랜스 포르피린을 생성하는 단계
도 3은 본 발명의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염화주석 수화물을 1:4의 당량비로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상기 염화주석 수화물의 혼합물을 염산에서 아르곤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약 한시간 동안 65℃에서 반응시킨다.
이후 반응이 종료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상기 염화주석 수화물의 혼합물을 실온으로 옮기고, NH4OH로 적정하여 PH 8로 조절하여 침전물을 생성시킨다.
상기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내려 클로로포름층을 받아낸 후, 상기 클로로포름층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트랜스 포르피린을 제조한다. 이때 컬럼을 이용하여 보다 순수한 트랜스 포르피린을 제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 포르피린과 그래핀 옥사이드와 결합시키고,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을 처리하여 제조되며, 상기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빠르고 용이하게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또한, 상기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를 합성하는 단계와 합성된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 처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합성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의 트랜스 포르피린의 합성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랜스 포르피린에 그래핀 옥사이드를 합성하는 모식도를 보여준다.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를 합성하는 단계는 먼저 아르곤 가스 기체에서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녹인다. 이후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가 용해된 상기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상기 포르피린과 히드라진 솔루션 및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70℃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아르곤 가스에서 반응시킨다.
그 후에 원심분리 및 초음파단계를 통하여 미반응된 포르피린을 제거한다.
미반응된 포르피린이 제거되고 생성된 물질을 건조시켜,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합성한다.
그리고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위는 0.8V 에서-0.8V, 주사속도는 50mV/s, 30 사이클의 조건에서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을 시켜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제조하였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를 이용하여 싸이클릭볼타메트리법 (CV), 시차펄스 폴라로그래피법 (DPV)과 크로노암페로메트리(CA)를 통해 도파민, 및 세로토닌을 각각, 동시에 검출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 및 도 6에 싸이클릭볼타메트리법 (CV)을 사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도파민을 검출한 결과, 산화포텐셜 188mV, 산화전류가 4.662μA이며, 세로토닌을 검출한 결과 산화포텐셜 373mV, 산화전류 11.52μA로 나타났다.
도 7에 시차펄스 폴라로그래피법 (DPV)을 사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0.1 ~ 100μM의 농도에서 동시에 검출한 결과, 직선상관계수 값이 각각 0.991, 0.995로 좋은 선형성을 보였다.
도 8에 크로노암페로메트리(CA)를 사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각각 0.1 ~ 500μM과 0.1 ~ 200μM의 농도를 검출한 결과, 직선상관계수 값이 각각 0.9953, 0.9919로 좋은 선형성과 낮은 검출한계를 보였다.
즉 기존의 전극과 비교했을 때 넓은 선형성과 낮은 검출한계를 지님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GCE와 다른 문헌들의 전기화학적인 센서로서의 도파민 및 세로토닌 검출을 비교한 자료이다.
전극 농도범위(?) 검출 한계(?) 저자 문헌정보
도파민 세로토닌 도파민 세로토닌
MWNT-DHP/GCE 0.05-5.0 0.02-5.0 1.1X10-2 5.0X10-3 K. Wu, J. Fei, S. Hu, Anal. Biochem.318 (2003) 100-06
MWNT-IE/GCE 0.5-10.0 1.0-15.0 0.1 0.2 Z. Wang, Q. Liang, Y. Wang, G. Luo J. Electroanal. Chem. 540 (2003) 129-34
acetylcholine/GCE 0.7-5.0 1.0-30.0 0.3 0.5 G. Jin, X. Lin, J. Gong J. Electroanal. Chem. 569 (2004) 135-42
DNA/nano-AU/VFME 2.0-500 0.8-200 0.2 0.8 L. Lu, S. Wang, X. Lin Anal. Chem. 20 (2004) 1131-135
DNA-PPyox/CFE 0.01-1.0 0.3-10.0 7.0X10-3 5.0X10-2 X. Jiang, X. Lin, Anal. Chim. Acta 537 (2005)145-51.
5-HTP/GCE 0.5-35.0 5.0-35.0 0.31 1.7 Y. Li, X. Huang, Y. Chen, L. Wang, X. Lin Microchim. Acta 164 (2009) 107-12
MWNTs-IL-GEL/GCE 0.1-12.0 0.02-7.0 6.0X10-2 8.0X10-3 Y. Sun, J. Fei, J. Hou, Q. Zhang, Y. Liu, B. Hu Microchim. Acta 165 (2009) 373-79
본 발명 0.1-500 0.1-300 3.5X10-2 4.9X10-3 본 발명 본 발명
최근에 발표된 논문 정보와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GCE가 농도범위와 검출 한계(detection limit)에서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 포르피린을 이용하여 합성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은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도파민과 세로토닌을 검출하는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하기 구조식 1의 구조를 갖는 트랜스 포르피린.
    [구조식 1]
    Figure pat00004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의 색상은 보라색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
  3. 제1항 또는 제 2항의 트랜스 포르피린에 그래핀이 결합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는 CVs법을 통해 도파민과 세라토닌을 검출하는 바이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트랜스 포르피린,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의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의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으로서,
    피롤(pyrrole)과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pentafluorobenzaldehyde)를 혼합하여 다이피롤메탄(dipyrromethane)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다이피롤메탄을 알데하이드(aldehyde)와 반응시켜 하기 구조식 2의 구조를 갖는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를 염화주석 수화물(SnCl2*2H2O)과 반응시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구조식 2]
    Figure pat00005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피롤메탄을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트리플로로아세트산(TFA)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하는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는 단계;
    반응이 종결된 상기 피롤과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더 첨가하여 유기층을 생성시키는 단계;
    상기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
    수분이 제거된 유기층에 남아있는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과 상기 피롤을 제거하여 유기기름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유기기름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상기 다이피롤메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롤, 상기 펜타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및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은 25:1:0.1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다른 작용기를 가지는 알데하이드를 다이클로로 메탄 용매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하는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2,3-디클로로-5,6-디시아노-파라벤조퀴논(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DDQ)을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는 단계;
    반응이 종결된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남아있는 다이클로로 메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클로로 메탄이 제거된 상기 다이피롤메탄과 상기 알데하이드의 혼합물에 메탄올로 세척하여 트랜스포르피린A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데하이드는 4-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4-Nitrobenzaldehy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피롤메탄, 상기 알데하이드 및 상기 트리플로로아세트산을 2:2:1.78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염화주석 수화물을 1:4의 당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상기 염화주석 수화물의 혼합물을 염산에서 아르곤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반응이 종료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A와 상기 염화주석 수화물의 혼합물을 PH 8로 조절하여 침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씻어내려 클로로포름층을 받아내는 단계; 및
    상기 클로로포름층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포르피린의 제조방법.
  12. 제 3항 또는 제 4항의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 Oxide)를 합성하는 단계; 및
    합성된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과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를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핀옥사이드를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는 단계;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가 용해된 상기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상기 포르피린과 히드라진 솔루션 및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의 제조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을 전위 0.8V 에서 -0.8V, 주사속도 50mV/s, 30 사이클의 조건에서 전기화학적인 환원반응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30143898A 2013-11-25 2013-11-25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50060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898A KR20150060014A (ko) 2013-11-25 2013-11-25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898A KR20150060014A (ko) 2013-11-25 2013-11-25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014A true KR20150060014A (ko) 2015-06-03

Family

ID=5350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898A KR20150060014A (ko) 2013-11-25 2013-11-25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0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2452A (zh) * 2017-03-27 2017-07-07 盐城工学院 石墨烯‑卟啉类有机物纳米材料修饰电极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064277A (zh) * 2017-06-23 2017-08-18 湖北民族学院 一种电化学传感器的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2452A (zh) * 2017-03-27 2017-07-07 盐城工学院 石墨烯‑卟啉类有机物纳米材料修饰电极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064277A (zh) * 2017-06-23 2017-08-18 湖北民族学院 一种电化学传感器的制备方法及应用
CN107064277B (zh) * 2017-06-23 2018-03-20 湖北民族学院 一种电化学传感器的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Pd-Au@ carbon dots nanocomposite: Facile synthesis and application as an ultrasensitive electrochemical biosensor for determination of colitoxin DNA in human serum
Li et al. A metal-organic frameworks@ carbon nanotubes based electrochemical sensor for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Wang et al. Highly sensitive photoelectrochemical biosensor for kinase activity detection and inhibition based on the surface defect recognition and multiple signal amplification of metal-organic frameworks
Jiang et al. Microwave-assisted preparation of N-doped carbon dots as a biosensor for electrochemical dopamine detection
Yu et al. A fluorescent ratiometric nanosensor for detecting NO in aqueous media and imaging exogenous and endogenous NO in live cells
Schatzschneider et al. Cellular Uptake, Cytotoxicity, and Metabolic Profiling of Human Cancer Cells Treated with Ruthenium (II) Polypyridyl Complexes [Ru (bpy) 2 (N N)] Cl2 with N N= bpy, phen, dpq, dppz, and dppn
Sahyar et al. Electrochemical xanthine detection by enzymatic method based on Ag doped ZnO nanoparticles by using polypyrrole
Zhong et al. In situ spontaneous reduction synthesis of spherical Pd@ Cys-C 60 nanoparticles and its application in nonenzymatic glucose biosensors
Kothur et al. A low pH sensor from an esterified pillar [5] arene
Kumaravel et al. A treatise on benzimidazole based Schiff base metal (II) complexes accentuating their biological efficacy: Spectroscopic evaluation of DNA interactions, DNA cleavage and antimicrobial screening
Yang et al. MOF/COF heterostructure hybrid composite-based molecularly imprinted photoelectrochemical sensing platform for determination of dibutyl phthalate: a further expansion for MOF/COF application
Cai et al. Chemodosimeter-based fluorescent detection of L-cysteine after extracted by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
Yuan et al. Construction of an electrochemical aptasensor based on a carbazole-bearing porous organic polymer for rapid and ultrasensitive detection of penicillin
Mutharani et al.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antipsychotic drug chlorpromazine in biological samples based on poly-N-isopropylacrylamide microgel
CN112939957A (zh) 一种苯并吲哚衍生物In-XY1及其合成方法和应用
Görçay et al.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paracetamol by a novel derivative of formazan modified pencil graphite electrode
CN111205242A (zh) 一种苯并噻唑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Pari et al.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dopamine based on an interface platform comprising tetra-substituted Zn2+ phthalocyanine film layer with embedment of reduced graphene oxide
Zhao et al. Chiral induction in carbazole-conjugated covalent organic frameworks: a supersensitive fluorescence sensing platform for chiral recognition
Lei et al. In-situ benzoxazine-isocyanide chemistry (BIC)/sol-gel preparation and Pb (II) electrochemical probing investigation of modified polyamide/silica composite
KR20150060014A (ko) 새로운 구조의 트랜스 포르피린, 상기 트랜스 포르피린을 함유하는 전기화학적인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포르피린) 센서 및 이들의 제조방법.
Wu et al. Ultrasensitive sensor for L-penicillamine with chirality-induced amplification of benzo [3] uril electrochemiluminescence via supramolecular interactions
CN109142486B (zh) 一种用于microRNA检测的光电化学生物传感器的制备方法
Yang et al. N-butyl-4-hydrazino-1, 8-naphthalimide-loaded chitosan self-assembled nanoparticles as fluorescent ratiometric chemosensors for detection of formaldehyde
Yarkaeva et al. Voltammetric sensor based on molecular imprinted polymer for lincomycin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