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429A -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429A
KR20150059429A KR1020130143007A KR20130143007A KR20150059429A KR 20150059429 A KR20150059429 A KR 20150059429A KR 1020130143007 A KR1020130143007 A KR 1020130143007A KR 20130143007 A KR20130143007 A KR 20130143007A KR 20150059429 A KR20150059429 A KR 20150059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icon image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459B1 (ko
Inventor
문필봉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주)유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브릿지 filed Critical (주)유브릿지
Priority to KR102013014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4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이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공유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METHOD FOR USER INTERFACE INTEGRATION BETWEEN PLURALITY OF TERMINALS USING USER GESTURE,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파일 폴더, 파일 등을 복수의 단말 사이에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을 기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무실, 자동차, 가정 등의 장소에 따라 데스크탑 PC,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정보 통신 단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데이터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각종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GPS 모듈, 가속도 센서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CPU, GPU, 메모리 성능이 데스크탑 PC에 못지 않게 고사양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은 휴대성 측면에서 데스크탑 PC, 네비게이션 등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정보 통신 기기에 비해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데스크탑 PC 등이 있는 사무실이나 내비게이션이 있는 차량 내에서와 같은 환경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화면이 큰 데스크탑 PC나 네비게이션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017866호에는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을 통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도중에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10-1017866호에 개시된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컨텐츠를 네비게이션을 통해 동일하게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네비게이션이 자체 보유한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한국등록특허 10-1017866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당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단말에서도 사용자가 해당 기능이 제공되는 것과 같이 느끼면서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은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가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실행 명령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일 폴더 표시 및 콘텐츠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상기 아이콘 이미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사용자 액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사용자 액션은, 상기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화면에 드로잉하는 액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가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실행 명령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되게 하며, 상기 외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당 기능을 보유하지 않은 단말에서도 사용자가 해당 기능이 제공되는 것과 같이 느끼면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사용자로부터 간단한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단말 사이에 기능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공유 선택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노트북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크탑 PC, 네비게이션, IPTV 등과 같이 비교적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휴대형 단말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3G, 4G, 와이브로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서로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 서비스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 결과로 구성되는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 결과로 구성되는 화면이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자신의 화면에는 출력하지는 않고,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여 출력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자신에 구비된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터치값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에 반영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제2 사용자 단말(200)은 터치 패널뿐만 아니라 마우스, 키보드 등의 다른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달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에 반영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이 되면, 자신이 보유한 기능을 제2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을 공유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바탕 화면에 표시되게 한다.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바탕 화면에서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실제로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그 결과 해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과 같이 느끼면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수신 기능이 있고 제2 사용자 단말(200)에는 DMB 방송 수신 기능이 없는 경우에, 제2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DMB 시청 아이콘이 표시되게 하고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DMB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파일이 저장된 폴더 중에서 특정 폴더를 제2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하고자 할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이 통신 연결되면 해당 폴더 아이콘이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 폴더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폴더에 담겨 있는 파일 목록이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달하여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치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것과 같이 느끼면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동영상, 음악, 영화 등의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 이미지도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바탕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부(110), 표시부(130), 화면 구성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원거리 무선 및 유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을 연결시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표시부(1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패널, LED 패널, AM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바탕 화면에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보유한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구성부(15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GPU(Graphic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과 관련한 각종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버튼,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소정의 사용자 제스처(gesture)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는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액션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공유 선택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기능, 예컨대 DMB 시청 기능을 제2 사용자 단말(200)과 공유하고자 할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DMB 시청 아이콘 이미지(1)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화면에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드로잉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마우스로 해당 아이콘 이미지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스크린의 경우 해당 아이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더블 터치하는 등의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마우스 클릭 또는 터치 입력을 통해 해당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으로 기능 공유 선택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해당 기능 공유 대상 아이콘 이미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과 같은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해당 아이콘 이미지를 일정 시간 이상 마우스 클릭을 유지하거나 터치를 유지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능 공유를 확인받을 수 있는 사용자 유아이(UI)가 화면에 생성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한 기능 공유 선택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입력 방법은 일 예일뿐이며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특정 아이콘 이미지(1)에 대해 상기한 것과 같은 제스처 입력을 받으면, 그 결과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해당 아이콘 이미지(1)가 전송되어 표시된다. 이에 대해서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아이콘 이미지에 대해서 기능 공유 선택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가 입력되면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해당 아이콘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되어 화면에 표시된 기능 공유 대상 아이콘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었다는 정보를 전송받으면, 해당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면 구성부(150)에서 구성된 해당 기능 수행에 따른 화면을 통신부(110)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아이콘 이미지 전송 실행 명령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90)는 제2 사용자 단말(200)에 기능 공유를 위해 전송된 아이콘 이미지의 식별 정보 및 실행 경로를 대응시켜놓은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모듈(210), 표시 모듈(230), 입력 모듈(250) 및 제어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근거리 무선, 원거리 무선 및 유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을 연결시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표시 모듈(23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패널, LED 패널, AM OLE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모듈(2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특정 기능 실행에 따라 구성되어 전송된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모듈(25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터치 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모듈(27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27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를 바탕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70)은 사용자로부터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해당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전달받아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7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화면이 표시된 영역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입력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되어 그에 따른 동작을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아이콘 이미지를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동작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설정받을 수 있다(S305). 단계(S305)에서 사용자 제스처 설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폴트로 제공되는 제스처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패턴의 제스처를 입력받아 아이콘 이미지 전송 실행 명령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로 설정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이미지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소정의 사용자 제스처를 입력받으면(S310),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가 아이콘 이미지 전송 실행 명령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인지 판단한다(S315).
이후 아이콘 이미지 전송 실행 명령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인 경우(S315-Y), 제1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아이콘 식별 정보 및 실행 경로를 대응시켜놓은 테이블을 생성 또는 갱신한다(S320). 여기서 아이콘 식별 정보는 단순히 다른 공유 기능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부여된 숫자나 문자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당 아이콘 선택 시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기능의 실행 경로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아이콘에 실행 경로를 아이콘 이미지와 함께 전송하는 경우 단계(S320)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기능 공유 대상으로 선택된 아이콘 이미지를 식별 정보 또는 실행 경로와 함께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S325).
다음으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아이콘 이미지를 바탕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330).
이후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되어 제2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를 선택하면(S335-Y), 제2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아이콘 식별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S340).
이후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선택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345). 단계(S340)에서 식별 정보로 실행 경로가 전송된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바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 경로가 아닌 경우 해당 식별 정보에 맵핑되어 있는 실행 경로를 파악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S345)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S347). 그러면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화면을 표시한다(S350).
이후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S355-Y), 이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S357). 예컨대 표시 모듈(230)이 터치 패널의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에 대해 사용자 터치 입력값이 있으면 이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영역(I)의 소정 위치(Po)를 기준으로 구해지는 좌표값(x,y)을 사용자 터치 입력값으로 변환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이 구성하여 출력한 화면 중에서 어느 위치에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마우스 커서를 통한 사용자 입력도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화면에 텍스트 입력 영역이 있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영역 내에서 입력된 텍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S337)에서 전송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S360), 그에 따른 화면을 다시 제2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S365), 표시되게 할 수 있다(S370).
한편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제2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 연결이 종료되면, 제2 사용자 단말(200)은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를 화면에서 제거하고, 자신이 보유한 기능에 대응하여 기존에 바탕 화면에 등록된 아이콘 이미지만을 남겨두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 중 일부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의 바탕 화면에 유지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해당 아이콘 이미지가 특정 콘텐츠 재생 기능에 대응하고, 해당 콘텐츠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2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저장된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해당 공유 기능 아이콘 이미지 및 해당 콘텐츠 파일은 제2 사용자 단말(200)에서 통신 연결이 종료되더라도 삭제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사용자 제스처 기반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가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실행 명령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외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스처 기반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일 폴더 표시 및 콘텐츠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스처 기반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3. 제 1 항에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상기 아이콘 이미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사용자 액션인 제스처 기반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4. 제 3 항에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액션은,
    상기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화면에 드로잉하는 액션을 포함하는 제스처 기반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5.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 제스처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제스처가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실행 명령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되게 하며, 상기 외부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 이미지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아이콘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구성되는 화면을 상기 외부 단말에 전송하여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6. 제 5 항에서,
    상기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일 폴더 표시 및 콘텐츠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7. 제 5 항에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상기 아이콘 이미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사용자 액션인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서,
    상기 소정의 사용자 액션은,
    상기 포인팅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아이콘 이미지를 둘러싸는 폐곡선을 화면에 드로잉하는 액션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30143007A 2013-11-22 2013-11-22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KR10208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007A KR102088459B1 (ko) 2013-11-22 2013-11-22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007A KR102088459B1 (ko) 2013-11-22 2013-11-22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429A true KR20150059429A (ko) 2015-06-01
KR102088459B1 KR102088459B1 (ko) 2020-03-12

Family

ID=5349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007A KR102088459B1 (ko) 2013-11-22 2013-11-22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651A (ko) * 2015-08-24 2017-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66B1 (ko)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JP2011259259A (ja) * 2010-06-10 2011-12-22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機器および操作キーの割当方法
KR20120003537A (ko) * 2010-07-05 201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0680A (ko) * 2012-02-06 201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9259A (ja) * 2010-06-10 2011-12-22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機器および操作キーの割当方法
KR20120003537A (ko) * 2010-07-05 201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17866B1 (ko)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KR20130090680A (ko) * 2012-02-06 201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651A (ko) * 2015-08-24 2017-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459B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5014A1 (en) System and method of page sharing by a device
CN108845782B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JP6210975B2 (ja) 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間の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装置
CN107736031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EP2911050A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54027B2 (ja) 移動端末機の画面出力最適化のためのコンテンツ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AU2014201856B2 (en) APP operating method and device and app output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94950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for selected area using dynamic touch interaction
US20140123043A1 (en) Selecting Devices for Data Transactions
KR102080146B1 (ko) 휴대단말과 외부 표시장치 연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994678B2 (en)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KR201200208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67540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KR20150049583A (ko)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26026B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KR20150026132A (ko)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04713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및 장치
US20180267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KR201600577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719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기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1891A (ko) 질문 메시지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4417A (ko) 복수의 단말 간 사용자인터페이스 통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
KR20140062190A (ko)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3818A (ko)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