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371A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371A
KR20150059371A KR1020130142870A KR20130142870A KR20150059371A KR 20150059371 A KR20150059371 A KR 20150059371A KR 1020130142870 A KR1020130142870 A KR 1020130142870A KR 20130142870 A KR20130142870 A KR 20130142870A KR 20150059371 A KR20150059371 A KR 2015005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rotary shaft
shaft
support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328B1 (ko
Inventor
조영희
Original Assignee
조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희 filed Critical 조영희
Priority to KR102013014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독서대는 책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책상 등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와;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와; 그리고 받침대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서대{Reading desk}
본 발명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가압구에 코일 스프링를 적용하여 가압구가 원형궤적을 따라 거치대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독서대에 거치된 책의 페이지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을 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책을 잡는 일 없이 편하게 독서를 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러한 독서대는 오랜 시간 독서를 하는 사람에게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빠른 피로가 오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정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독서대는 통상적으로 책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책상 등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와,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장착되어 책의 페이지가 임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가압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독서대는 가압구가 받침대에 단순히 힌지구조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이므로 페이지를 넘길 때 가압구를 젖혀서 책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페이지를 넘기고 가압구를 수동으로 원위치시킴으로써 다시 페이지를 눌러서 고정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가압구간의 간격이 고정적이어서 가변이 어려우므로 책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가압구가 적절하게 가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구를 사용하지 않고 독서를 하고자 하는 경우, 가압구가 배치되어 있음으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릴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의 손이 독서대에 접근할 때 가압구와 간섭될 수도 있다.
특허출원 제10-2009-18206호(명칭:이동 및 분리가능한 가압고정부를 갖는 독서대)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구에 스프링을 적용함으로써 페이지를 넘긴 후에도 탄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용이하게 페이지를 넘길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킴으로써 가압구를 일정 각도에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가압구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책의 넓이에 따라 가압구를 조절할 수 있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서대의 가압구가 필요없을 경우, 이 가압구를 접거나 분리함으로써 시야를 확보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 등과 간섭되지 않는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는 책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책상 등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와;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와; 그리고
받침대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가압구의 회전축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여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원형궤적을 따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압구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긴 후 놓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구가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다시 페이지에 접촉하여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둘째, 회전축을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양단 혹은 가운데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독서대의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회전축에 또 하나의 스프링을 장착하고, 받침대에 삽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압구를 잡고 당길 때, 회전축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축방향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한 후 이 삽입구에 삽입됨으로써 가압구가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서, 그 동안 페이지를 넘기거나 다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회전축과 가압구를 분리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필요시 가압구의 삽입축을 회전축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하여 양단에 장착되는 가압구의 간격을 책의 넓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책을 가압하는 가압구를 회전축과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필요시 가압구를 젖혀서 시야를 확보하거나, 손과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방식의 가압구가 구비된 독서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압구가 받침대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장착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구의 다른 실시예로서, 코일 스프링이 회전축의 중간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 1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압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축이 한 쌍의 지지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압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회전축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가압구의 다른 실시예로서, 회전축이 지지롤러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가압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구가 회전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가압구 및 회전축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삽입축과 회전축의 수납홈의 단면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1에 도시된 가압구 및 회전축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삽입축과 회전축의 수납홈의 단면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가압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구가 회전축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방식의 가압구가 구비된 독서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독서대(1)는 책을 지지하는 지지대(3)와; 지지대(3)를 책상 등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5)와; 지지대(3)의 하부에 배치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7)와; 받침대(7)에 장착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책의 페이지가 넘어간 후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는 가압구(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독서대(1)에 있어서, 받침대(7)는 지지대(3)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 받침대(7)의 상부에 책을 거치하여 독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7)에는 스프링 방식의 가압구(9)가 배치됨으로써 탄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구(9)는 받침대(7)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1)과; 회전축(11)의 양단에 구비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12)와; 받침대(7)에 배치되어 회전축(11)을 원주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16)를 포함한다.
받침대(7)의 내부에는 회전축(11)이 관통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받침대(7)의 양단에는 이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h)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1)이 이 개구(h)를 통하여 받침대(7)의 내부로 진입한 후 타측 개구(h)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회전축(11)은 받침대(7)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압바(12)는 회전축(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회전축(11)이 회전할 때 한 쌍의 가압바(12)도 같이 회전하여 책의 페이지를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압바(12)는 회전축(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가압바(12)와, 회전축(11)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가압바(12a)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는 회전축(11)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하여 회전축(1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는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축(11)의 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의 단부에는 캡(Cap;13)이 장착됨으로써 페이지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캡(13)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의 단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도 있고, 페이지에 과도한 힘으로 접촉하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캡(13)은 반드시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독서대(1)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탄성부재(16)는 회전축(1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축(11)을 원주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축(11)이 젖혀진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탄성부재(16)는 양측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일측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탄성부재(16)는 다양한 방식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의미한다. 즉, 코일 스프링은 회전축(11)의 외부면을 감싸는 코일부(Coil portion;17)와; 코일부(17)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축(11)에 고정되는 일측단(21)과; 코일부(17)의 타단에 구비되어 받침대(7)에 고정되는 타측단(22)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17)는 코일이 회전축(11)의 외부에서 원주방향(a)을 따라 다수회 감긴 형상이다. 그리고, 일측단(21)은 회전축(11)상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혹은 일측단(21)은 캡(13)과 회전축(11)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측단(21)은 용접, 혹은 삽입 등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11)에 고정가능한 방식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7)의 타측단(22)은 받침대(7)의 내부에 돌출된 지지 리브(Supporting rib;19)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리브(19)는 받침대(7)의 내부 공간 바닥면에 돌출되며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타측단(22)이 이 지지리브(19)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제 1탄성부재(16)의 일측단(21)은 회전축(11)에 고정되고, 타측단(22)은 받침대(7)의 지지리브(19)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전축(11)이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a)을 따라 회전할 수록 코일이 점차로 감겨짐으로써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 상태에서 제 1탄성부재(16)를 회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회전축(11)은 축적된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11)은 제 1탄성부재(16)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책을 읽을 때 페이지를 넘기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제 1가압바(12) 혹은 제 2가압바(12)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겨서 회전축(11)이 원주방향(a)을 따라 회전되도록 한 후, 페이지를 넘기고 한 후, 제 1가압바(12) 혹은 제 2가압바(12)를 놓음으로써 회전축(11)이 제 1탄성부재(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캡(13)이 다시 페이지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탄성부재(16)는 회전축(11)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의 중간에 제 1탄성부재(24)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 1탄성부재(24)의 코일부(24)는 회전축(11)의 중간에 원주방향(a)으로 감기고, 일측단(25)은 회전축(11)에 고정되고, 타측단(26)은 받침대(7)의 지지리브(27)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축(11)은 중간에 배치된 제 1탄성부재(24)에 의하여 원주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도 이러한 제 1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탄성부재는 2개의 스프링(90,92)을 포함함으로써 회전축(11)을 원주방향(a)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2개의 스프링(90,92)은 회전축(11)에 돌출된 브라켓(9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제 1스프링(90) 및 제 2스프링(92)은 일단(91,93)은 브라켓(94)에 연결되고, 타측은 받침대(7)에 구비된 지지 브라켓(96)을 관통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스프링(90,92)은 하부는 지지 브라켓(9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는 브라켓(94)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회전축은 제 1 및 제 2스프링(90,92)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젖혀진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탄성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탄성부재는 하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가 아니라 각각 받침대에 고정된 구조이다.
즉, 제 1탄성부재는 제 1 및 제 2스프링(100,102)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스프링(100,102)의 일단(112,114)은 회전축(11)에 돌출된 브라켓(113)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1스프링(100)의 타단(108)은 받침대(7) 일측의 지지리브(104)에 삽입되고, 제 2스프링(102)의 타단(110)은 받침대(7) 타측의 지지리브(106)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스프링(100,102)은 하부는 2개의 지지리브(104,10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는 브라켓(113)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회전축은 제 1 및 제 2스프링(100,102)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젖혀진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독서대(1)의 가압바(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원주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작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작용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구(9)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일정 위치에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는 가압바(12)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책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구(9)는 받침대(7)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1)과; 회전축(1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0,31)와; 회전축(11)의 양단에 구비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12)와; 받침대(7)에 배치되어 회전축(11)을 원주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33)와; 받침대(7)와 회전축(11)을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회전축(11)을 축방향(a1)으로 이동시키는 제 2탄성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1)과 가압바(12) 및 제 1탄성부재(33)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 하므로 이하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부(30,31)는 한 쌍의 지지 브래킷, 즉 제 1 및 제 2지지브래킷(Supporting bracket;30,3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지지브래킷(30,31)은 받침대(7)의 내부 공간 바닥면에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 브래킷(30,31)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상부에 오목한 안착홈(32)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11)은 한 쌍의 지지 브래킷(30,31)에 형성된 안착홈(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원주방향(a)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탄성부재(33)는 회전축(11)의 외부를 감싸도록 권선되며, 일측단(40)은 회전축(11)에 고정되고, 타측단(41)은 받침대(7)의 지지리브(4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축(11)은 제 1탄성부재(33)에 의하여 원주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축(11)을 사용자 방향으로 당긴 후 힘을 해제하면 원위치인 독서대(1)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복귀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34)는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축(11)을 축방향(a1)을 따라 당기게 된다. 이러한 제 2탄성부재(34)는 바람직하게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구조는 제 1탄성부재(16)와 유사하다.
즉, 제 2탄성부재(34)의 일측단(36)은 회전축(11)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단(38)은 받침대(7)의 일측 내면(W)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2탄성부재(34)는 회전축(11)을 당김으로써 회전축(11)이 축방향(a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받침대(7)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h)의 테두리 상에는 걸림홈(h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걸림홈(h1)는 가압바(12)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폭과 넓이를 갖는다.
따라서, 가압바(12)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회전축(11)이 원주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압바(12)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걸림홈(h1) 위치에 도달하면, 제 2탄성부재(34)가 회전축(11)을 당기는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11)이 축방향(a1)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바(12)가 걸림홈(h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바(12)가 걸림홈(h1)에 고정되어 걸림으로써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독서대(1)의 사용중, 가압바(12)를 일정 각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페이지를 넘기거나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를 해제하여 가압바(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바(12)를 축방향(a1)으로 따라 받침대(7)의 외측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가압바(12)가 외측으로 당겨김으로써 가압바(12)는 걸림홈(h1)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가압바(12)에는 제 1탄성부재(33)에 의한 원주방향(a) 탄력성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가압바(12)는 걸림홈(h1)으로부터 이탈된 후, 제 1탄성부재(16)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제 2탄성부재(34)가 지지 브래킷과 가압바(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탄성부재(56)가 한 쌍의 지지 브래킷(30,31)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탄성부재(56)는 전술한 제 2탄성부재(34)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압축 스프링을 의미한다.
즉, 제 2탄성부재(56)의 일측단(60)은 제 1지지브래킷(30)의 타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단(58)은 회전축(1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2탄성부재(56)는 회전축(11)을 축방향(a1)을 따라 제 2지지 브래킷(31)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가압구(9)에 있어서, 가압바(12)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회전축(11)이 원주방향(a)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압바(12)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걸림홈(h1) 위치에 도달하면, 제 2탄성부재(56)가 회전축(11)을 당기는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11)이 축방향(a1)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바(12)가 걸림홈(h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바(12)가 걸림홈(h1)에 고정되어 걸림으로써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를 해제하여 가압바(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압바(12)를 축방향(a1)을 따라 받침대(7)의 외측으로 당긴다. 이때, 제 2탄성부재(56)는 제 1지지브래킷(30) 방향으로 가압되어 수축된다.
따라서, 가압바(12)가 외측으로 당겨김으로써 가압바(12)는 걸림홈(h1)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고, 제 1탄성부재(56)에 의하여 원주방향(a) 회전됨으로써 페이지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압구(9)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0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지지 브래킷의 구조를 변경하여 롤러방식으로 적용한 차이점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은 한 쌍의 지지롤러(42)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축방향(a1)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롤러(42)는 받침대(7)의 내부 바닥면에 회전핀(44)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롤러(42)의 외주면은 오목하게 안착홈(43)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축(11)이 이 안착홈(43)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이동가능하다.
상기한 지지롤러(42) 이외의 회전축(11), 제 1 및 제 2탄성부재(33,34), 가압구(9) 등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11)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브라켓 방식 혹은 지지롤러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제품의 설계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바(12)를 회전축(11)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적용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바(12)의 하부에는 삽입축(74)이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이 가압바(12)는 하부가 삽입축(74)에 힌지결합 된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가압바(12)는 회전축(1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하나의 가압바(12)만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삽입축(74)의 외주면 상부 및 하부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돌기(89a,89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축(74)이 회전축(11)의 내부로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89a,89b)가 회전축(11)에 형성된 가이드홈(84,85)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여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11)은 일측면에 수납홈(82)이 형성됨으로써 삽입축(74)이 수납홈(8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납홈(82)의 내주면 상하부에는 가이드홈(84,85)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축(74)이 수납홈(82)에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89a,89b)가 이 가이드홈(84,85)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일정 방향으로 안정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납홈(82)의 내부에는 판 스프링(87)이 배치되며, 이 판 스프링(87)은 다수개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형상이다. 따라서, 삽입축(74)이 수납홈(82)의 내부에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89a,89b)가 이 판 스프링(87)에 순차적으로 걸리게 된다.
결국, 삽입축을 회전축(11)의 내부에 삽입할 때, 가이드 돌기(89a,89b)가 이 판 스프링(8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삽입축이 목표하는 깊이에 도달하면 가이드 돌기(89a,89b)가 해당 깊이에 배치된 판 스프링(87)의 요철부에 걸림으로써 삽입축이 회전축(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축을 회전축(11)의 내부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함으로써 가압바(12)를 결합할 수 있다.
결국은 회전축(11)의 양단에 결합되는 삽입축은 책의 넓이에 따라 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삽입축이 회전축(11)에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의 단면형상을 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삽입축(74)은 육각단면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회전축(11)의 수납홈(72)의 내부도 육각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삽입축(74)이 회전축(11)의 수납홈(72)에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고, 이때 각형으로 인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독서대(1)는 스프링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페이지를 가압하는 가압구(9)가 보다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또한 책의 넓이에 따라 그 폭을 적절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압바(12)는 회전축(11)에 삽입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방식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한 쌍의 가압바(12)의 하부가 받침대(7)를 관통하는 회전축(11)의 일단에 힌지핀(P)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한 쌍의 가압바(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받침대(7)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가압바(12)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의 원형궤적을 따라 독서대의 중심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압바(12)를 힌지핀을 중심으로 젖힘으로써 사용자가 독서대에 손 등을 접근시킬 때 가압바(12)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가압바(12)가 책을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독서대
7: 받침대
11: 회전축
16,24: 제 1탄성부재
34: 제 2탄성부재

Claims (9)

  1. 책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책상 등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와;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책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와; 그리고
    받침대에 배치되어 회전축을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가압바가 삽입됨으로써 일정 각도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삽입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독서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회전축을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회전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바를 받침대의 삽입구에 삽입시키는 제 2탄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독서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바를 받침대의 회전축에 힌지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한 쌍의 가압바를 시계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우거나 젖힐 수 있는 힌지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독서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회전축의 외부면을 감싸는 코일부(Coil portion)와; 코일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축에 고정되는 일측단과; 코일부의 타단에 구비되어 받침대에 고정되는 타측단을 포함하는 독서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며 상부에는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및 제 2지지 브래킷이거나,
    받침대의 내부 바닥면에 회전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오목한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지롤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독서대.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부재는 일측단은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단은 받침대의 일측 내면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이거나,
    일측단은 제 1지지 브래킷의 타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회전축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독서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바는 받침대의 회전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되,
    상기 회전축은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수납홈과; 수납홈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수납홈의 내부에 배치되며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바는 회전축의 수납홈에 삽입되는 삽입축과; 삽입축의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삽입축이 회전축의 수납홈에 삽입될 때, 가이드 돌기가 회전축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여 삽입되며, 가이드 돌기가 판스프링의 다수개 요철중 소정 요철에 걸림으로써 고정되는 독서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바는 받침대의 회전축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되,
    상기 회전축은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다각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바는 회전축의 수납홈에 삽입되는 다각형상의 삽입축을 포함하는 독서대.









KR1020130142870A 2013-11-22 2013-11-22 독서대 KR10161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70A KR101615328B1 (ko) 2013-11-22 2013-11-22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70A KR101615328B1 (ko) 2013-11-22 2013-11-22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71A true KR20150059371A (ko) 2015-06-01
KR101615328B1 KR101615328B1 (ko) 2016-04-25

Family

ID=5349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870A KR101615328B1 (ko) 2013-11-22 2013-11-22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88A1 (ko) * 2022-07-28 2024-02-01 김성원 독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26Y1 (ko) 2018-12-18 2019-10-01 유지열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KR200489778Y1 (ko) 2019-01-07 2019-08-06 유지열 독서대의 책장지지대 결합구조
KR102435630B1 (ko) 2020-02-12 2022-08-25 주식회사 지아이엘 독서대
KR200495807Y1 (ko) 2020-03-13 2022-08-24 주식회사 지아이엘 독서대
KR20220031292A (ko) 2020-09-04 2022-03-11 주식회사 지아이엘 접이식 거치대 및 그를 이용한 독서대
KR20230021521A (ko)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지아이엘 독서대
KR20230022537A (ko)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지아이엘 경사조절독서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2037C (en) * 1992-02-28 2003-01-14 Beverley Sheremetta Adjustable book rest
KR200310981Y1 (ko) * 2003-01-14 2003-04-21 최학문 독서대
KR200330838Y1 (ko) * 2003-08-04 2003-10-17 정연철 일(一)자 구조인 책장 고정대를 갖는 다기능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88A1 (ko) * 2022-07-28 2024-02-01 김성원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328B1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328B1 (ko) 독서대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KR101381608B1 (ko) 다기능 거치대
KR200479333Y1 (ko) 학습용 멀티 거치대
KR101625354B1 (ko) 독서대의 누름도구
TWI536837B (zh) 顯示器高度調節裝置
KR102107950B1 (ko) 다양한 두께의 책을 거치할 수 있는 독서대
JP2017510759A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支持物
KR200474671Y1 (ko) 독서대
KR101996553B1 (ko) 탈부착 및 접이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보면대
KR102198928B1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CA2566162C (en) Book holder
KR20130142373A (ko) 롤러형 책 홀더
KR101370009B1 (ko) 태블릿 pc의 분리형 거치대
CN208941298U (zh) 一种便于取书的书箱
KR20130096429A (ko) 팝콘용기 홀더
KR102409967B1 (ko) 원핸드 북그립
KR200432732Y1 (ko) 학생용 책상 탈부착식 독서대
KR102179593B1 (ko) 휴대기기용 받침대
KR20080026452A (ko) 학생용 책상 탈부착식 독서대
KR20210103824A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KR200184749Y1 (ko) 책받침대
KR20120027908A (ko) 책 고정용 받침대
KR20110011762U (ko) 독서대
KR20032737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절첩식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