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93B1 - 휴대기기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593B1
KR102179593B1 KR1020180098001A KR20180098001A KR102179593B1 KR 102179593 B1 KR102179593 B1 KR 102179593B1 KR 1020180098001 A KR1020180098001 A KR 1020180098001A KR 20180098001 A KR20180098001 A KR 20180098001A KR 102179593 B1 KR102179593 B1 KR 10217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aft
seating portion
insertion groove
pl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175A (ko
Inventor
백지혜
Original Assignee
백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지혜 filed Critical 백지혜
Priority to KR102018009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5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에 장착되면서, 상기 휴대기기를 지면에 일정각도로 세워져 고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휴대기기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판(10)의 연결부재(30)에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일단에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 가압판안착부(31)를 형성하면서, 중심선상에 요(凹)형상의 회전축삽입홈(33)을 성형하고, 상기 가압판안착부(31)의 선단에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되는 결속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21)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져 회전축(21)과 맞닿으면서 가압하는 누름편(41)이 내측으로 돌출형성성된 가압판(40)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지면서, 상기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된 결속돌기(32)를 압입성형해 일체 구성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받침대{portable machine and holder}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에 장착되면서, 상기 휴대기기를 지면에 일정각도로 세워져 고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은 앱(Ap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스마트폰의 화면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근막통증증후군 등과 같은 휴대폰 증후군의 발생 비율이 증가하면서 스마트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거치대가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제시된 바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을 크게 설명하면, 본체부재의 후면부에 지지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지지부재의 벌어짐에 따라서 본체부재의 경사각도를 조정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로 안정되게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 본체부재와 지지부재가 결합부는 단순히 힌지부에 힌지핀이 결합된 것으로, 지지부재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지지부재를 바닥에 접지되게 하는 지지편이 별도로 구성되어야 함으로써, 구성물이 복잡하고 부피가 증가되어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지지편에 의해서 지지부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였으나, 본체부재에 거치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무게 및 진동, 바닥면의 재질 등에 따라 지지편, 또는 본체부재가 미끄러지면서 휴대용단말기가 쓰러지면서 거치대와 분리되거나 심하면 바닥에 낙하되면서 고가의 휴대용단말기가 파손되는 폐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6305호. 휴대 용단말기 거치대(공개일자 2012년 09월 12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폰 또는 휴대폰을 보호하는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착탈식으로 장착하면서, 상기 휴대기기의 거치각도를 안정적으로 조정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에 장착되는 고정판에는 거치고리가 연결부재를 통해 힌지결합되게 구비하면서, 상기 연결부재 내에 거치고리의 회전축을 일정하게 가압하여, 거치고리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하는 휴대기기용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기기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판(10)의 연결부재(30)에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일단에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 가압판안착부(31)를 형성하면서, 중심선상에 요(凹)형상의 회전축삽입홈(33)을 성형하고, 상기 가압판안착부(31)의 선단에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되는 결속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21)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져 회전축(21)과 맞닿으면서 가압하는 누름편(41)이 내측으로 돌출형성성된 가압판(40)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지면서, 상기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된 결속돌기(32)를 압입성형해 일체 구성하여 달성된다.
또, 연결부재(30)의 가압판안착부(31) 선단면에는 결속돌기(32)가 관통되는 이탈방지홀(51)이 구비된 마감판(50)이 더 구비되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진 가압판(40)의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져 가압판(40)의 누름편(41)과 외경면이 선접촉되는 회전축(21)에는, 간섭방지면(21a)이 절개 성형되어 누름편(41)과 면접촉시켜 회전축(21)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고리의 회전축을 가압판의 누름편이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거치고리는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그 각도를 고정할 수 있어, 받침대에 거치된 휴대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 받침대를 보관하는 상태에서는 거치고리를 고정판에 평행하게 젖혀진 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휴대기기 거치시 거치고리를 일정외력으로 잡아당겨야만 젖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을 가압하는 가압판을 연결부재와 고정판의 결합으로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탈착가능한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다양한 휴대기기에 사용이 가능한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받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받침대는, 휴대폰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단말기에 장착되면서, 상기 휴대기기를 지면에 일정각도로 세워져 고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받침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휴대기기용 받침대(100)는 크게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휴대기기의 배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에 일체 결합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거치고리(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성형되면서 일측에 연결부재(30)와의 결합을 위한 결속홀(11)이 형성되며, 휴대기기와 마주하는 일면에 접착부재(12)가 구비되어 상기 휴대기기에 탈착가능하다.
또, 거치고리(20)는, 회전축(21)이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링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리 및 지지대 등의 형상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부재(30)는, 상기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판(10)에 일체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고정판(10)과 마주하는 일단에 가압판안착부(31)를 형성하면서, 중심선상에 요(凹)형상의 회전축삽입홈(33)을 성형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내측으로 단턱지게 성형된 가압판안착부(31)를 형성하여, 이 가압판안착부(31)의 단턱면에 가압판(40)이 놓여지게 한다.
또, 상기 가압판안착부(31)의 선단에는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되는 결속돌기(32)가 돌출형성되는데, 후술(後述)되는 거치고리(20)와 연결부재(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돌기(32)를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고정판(10)의 타측에서 상기 결속돌기(32)를 압입 성형해 리벳과 같이 결속돌기(32)가 벌어져 고정판(10)과 연결부재(30)가 일체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을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운 다음에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누름편(41)이 탄력을 갖고 돌출 형성시킨 가압판(40)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지게 되는데, 상기 누름편(41)이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져 있어 가압판(40)의 유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연결부재(30)에 성형된 회전축삽입홈(33)은 선단부가 반원형상을 갖고 있어 삽입된 회전축(21)의 일측은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축(21)의 타측은 누름편(41)이 선접촉되면서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누름편(41)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정해지는데, 비교적 소형인 휴대기기의 무게에 대향할 수 있는 외력이 회전축(21)에 전달되어 거치고리(20)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30)의 회전축삽입홈(33)에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을 삽입하고,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이동을 간섭하는 누름편(41)을 갖는 가압판(40)이 연결부재(30)에 적층된 상태에서, 전술(前述)한 상기 연결부재(30)의 결속돌기(32)를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판(10)의 타측에서 상기 결속돌기(32)를 압입 성형해 고정판(10)과 거치고리(20) 및 연결부재(30)가 일체 구성된다.
본 발명인 휴대기기용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판(10)에 구비된 접착부재(12)를 이용해 휴대기기의 배면에 받침대(100)를 부착 설치한 상태는, 상기 연결부재(30)의 가압판안착부(31)에 가압판(4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30)의 결속돌기(32)를 압입해 고정판(10)에 결속된 것으로, 가압판(40)의 누름편(41)이 회전축(21)의 일면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21)은 누름편(41)이 가압하는 타측은 선접촉되고, 연결부재(30)의 회전축삽입홈(33)과는 면접촉되면서, 회전축(21)과 일체구성된 거치고리(20)가 회전이동에 하는데 있어 일정외력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거치고리(20)가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부재(30)의 가압판안착부(31) 선단면에는 결속돌기(32)가 관통되는 이탈방지홀(51)이 구비된 마감판(50)이 더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30)를 고정판(10)에 일체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마감판(50)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진 가압판(4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즉, 상기 마감판(50)은, 결속돌기(32)가 관통하는 이탈방지홀(51)이 플레이트에 성형되어, 가압판안착부(31)와 고정판(10)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으로서, 누름편(41)의 탄력에 의해 유동되는 가압판(40)을 상기 마감판(50)이 고정지지함과 아울러 회전축삽입홈(33)을 마감판(50)이 차폐시켜 이물질의 유입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회전축삽입홈(33)에 삽입되는 회전축(21)에 간섭방지면(21a)을 절개 성형시켜 누름편(41)과 선접촉 또는 면접촉 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즉, 도 4a와 같이 상기 거치고리(20)를 펼쳐 받침대에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동작에서는, 상기 회전축(21)의 외경에 상기 누름편(41)이 선접촉되면서 전술(前述)한 바와 같이 각도를 조절한 거치고리(2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4b와 같이 받침대의 휴대 및 보관 등을 위해 거치고리(20)를 고정판(10)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회전축삽입홈(33)에 삽입된 회전축(21)의 간섭방지면(21a)이 누름편(41)과 면접촉되는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누름편(41)이 탄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간섭방지면(21a)에 면접촉하여, 거치고리(20)를 펼치기 위한 동작에서 상기 간섭방지면(21a)과 면접촉된 누름편(41)을 밀어내기 위해 소정의 외력을 더하여 상기 거치고리(20)를 잡아당겨야 한다.
그러므로, 고정판(10)에 일체 구성된 거치고리(20)의 초기상태 즉 고정판(10)과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휴대기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거치고리(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고정판 11. 결속홀
20. 거치고리 21. 회전축
21a. 간섭방지면 30. 연결부재
31. 가압판안착부 32. 결속돌기
33. 회전축삽입홈 40. 가압판
41. 누름편 50. 마감판
51. 이탈방지홀 100. 받침대

Claims (3)

  1. 휴대기기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판(10)의 연결부재(30)에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받침대(10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일단에 내측으로 절곡 성형된 가압판안착부(31)를 형성하면서, 중심선상에 요(凹)형상의 회전축삽입홈(33)을 성형하고, 상기 가압판안착부(31)의 선단에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되는 결속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거치고리(20)의 회전축(21)이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21)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져 회전축(21)과 맞닿으면서 가압하는 누름편(41)이 내측으로 돌출형성성된 가압판(40)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지면서, 상기 고정판(10)의 결속홀(11)에 삽입된 결속돌기(32)를 압입성형해 일체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30)의 가압판안착부(31) 선단면에는 결속돌기(32)가 관통되는 이탈방지홀(51)이 구비된 마감판(50)이 더 구비되어 가압판안착부(31)에 놓여진 가압판(40)의 위치가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기기용 받침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축삽입홈(33)에 끼워져 가압판(40)의 누름편(41)과 외경면이 선접촉되는 회전축(21)에는, 간섭방지면(21a)이 절개 성형되어 누름편(41)과 면접촉시켜 회전축(21)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받침대.
KR1020180098001A 2018-08-22 2018-08-22 휴대기기용 받침대 KR10217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01A KR102179593B1 (ko) 2018-08-22 2018-08-22 휴대기기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01A KR102179593B1 (ko) 2018-08-22 2018-08-22 휴대기기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75A KR20200022175A (ko) 2020-03-03
KR102179593B1 true KR102179593B1 (ko) 2020-11-16

Family

ID=6993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01A KR102179593B1 (ko) 2018-08-22 2018-08-22 휴대기기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5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03Y1 (ko) *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305U (ko) 2011-03-03 2012-09-12 신경희 휴대용단말기 거치대
KR20160063599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쏘랜드 코리아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03Y1 (ko) *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75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10152028B2 (en)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CN111133739B (zh) 移动设备放置装置
US92047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 object on a surface
EP2249074B1 (en) Holder
JP6980111B2 (ja) フリップアウト電話ホルダ及びスタンド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206243A2 (en) Stand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090231797A1 (en) Multi-step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2000677B1 (ko)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케이스
US20180375980A1 (en) Phone Stand Case
US7567829B2 (e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stop member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102179593B1 (ko) 휴대기기용 받침대
KR200471605Y1 (ko) 고정과 거치가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477798Y1 (ko) 스틱용 전자기기 홀더
KR200495448Y1 (ko) 충전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200470995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KR200464019Y1 (ko) 받침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파우치
KR1018564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0452288Y1 (ko) 핸드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