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26Y1 -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26Y1
KR200489726Y1 KR2020180005904U KR20180005904U KR200489726Y1 KR 200489726 Y1 KR200489726 Y1 KR 200489726Y1 KR 2020180005904 U KR2020180005904 U KR 2020180005904U KR 20180005904 U KR20180005904 U KR 20180005904U KR 200489726 Y1 KR200489726 Y1 KR 200489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bookshelf
m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열
Original Assignee
유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열 filed Critical 유지열
Priority to KR2020180005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독서대의 주받침대;
상기 주받침대의 하부에 구성된 보조받침대:
상기 보조받침대의 양단부의 홀과 상기 주받침대의 양단부의 홀을 구성하여 볼트체결부로 체결하되,
상기 볼트체결부는 책장지지대본체, 볼트지지부, 상기 보조받침대 및 상기 주받침대를 순서대로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Bracket coupling structure of reading book}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책장지지대안착부에 탄성력을 적용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독서대에 거치된 책의 페이지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는 독서대와 보조받침대 및 주받침대를 결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안의 기술은 독서대는 책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책상 등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지지하는 거치대와;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책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장착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책의 페이지가 넘어간 후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는 가압구(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독서대에 있어서, 받침대는 지지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이 받침대의 상부에 책을 거치하여 독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에는 스프링 방식의 가압구(9)가 배치됨으로써 탄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구(9)는 받침대의 내부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11)과; 회전축(11)의 양단에 구비되어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12)와; 받침대에 배치되어 회전축(11)을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 (16)를 포함한다.
받침대의 내부에는 회전축(11)이 관통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받침대의 양단에는 이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1)이 이 개구를 통하여 받침대의 내부로 진입한 후 타측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됨으로써 회전축(11)은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압바(12)는 회전축(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회전축(11)이 회전할 때 한 쌍의 가압바(12)도 같이 회전하여 책의 페이지를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압바(12)는 회전축(11)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가압바(12)와, 회전축(11)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가압바(12a)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는 회전축(11)의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를 용접 등에 의하여 회전축(1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는 힌지핀에 의하여 회전축(11)의 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의 단부에는 캡(Cap;13)이 장착됨으로써 페이지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캡(13)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가압바(12,12a)의 단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도 있고, 페이지에 과도한 힘으로 접촉하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캡(13)은 반드시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독서대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탄성부재(16)는 회전축(11)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어 회전축(11)을 원주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회전축(11)이 젖혀진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탄성부재(16)는 양측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일측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탄성부재(16)는 다양한 방식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을 의미한다. 즉,코일 스프링은 회전축(11)의 외부면을 감싸는 코일부(Coil portion;17)와; 코일부(17)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축(11)에 고정되는 일측단(21)과; 코일부(17)의 타단에 구비되어 받침대에 고정되는 타측단(22)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부(17)는 코일이 회전축(11)의 외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회 감긴 형상이다. 그리고, 일측단(21)은 회전축(11)상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혹은 일측단(21)은 캡(13)과 회전축(11)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측단(21)은 용접, 혹은 삽입 등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축(11)에 고정가능한 방식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17)의 타측단(22)은 받침대의 내부에 돌출된 지지리브(Supporting rib;19)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리브(19)는 받침대의 내부 공간 바닥면에 돌출되며 상면에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타측단(22)이 이 지지리브(19)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제 1탄성부재(16)의 일측단(21)은 회전축(11)에 고정되고, 타측단(22)은 받침대의 지지리브(19)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회전축(11)이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록 코일이 점차로 감겨짐으로써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 상태에서 제 1탄성부재(16)를 회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회전축(11)은 축적된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11)은 제 1탄성부재(16)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음으로, 사용자가 책을 읽을 때 페이지를 넘기고자 하는 경우, 손으로 제 1가압바(12) 혹은 제 2가압바(12)를 사용자 방향으로 당겨서 회전축(11)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한 후, 페이지를 넘기고 한 후, 제 1가압바(12) 혹은 제 2가압바(12)를 놓음으로써 회전축(11)이 제 1탄성부재(1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캡(13)이 다시 페이지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탄성부재(16)는 회전축(11)의 양단에 배치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탄성부재는 잦은 사용에 의하여 탄성부재가 열화되고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조립의 난해함과 더불어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원고안은 이런배경하에서 착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1207295(2012.12.03)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1615328(2016.04.25)
첫번째 과제로는 책장지지대, 보조받침대, 볼트지지부 및 주받침대를 관통하는 볼트체결부를 통하여 체결하므로 반영구적인 결합을 갖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과제로는 탄성력이 있는 책장지지대를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체결부가 느슨해지지 않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합구조를 가진다.
독서대의 주받침대;
상기 주받침대의 하부에 구성된 보조받침대:
상기 보조받침대의 양단부의 홀과 상기 주받침대의 양단부의 홀을 구성하여 볼트체결부로 체결하되,
상기 볼트체결부는 책장지지대본체, 볼트지지부, 상기 보조받침대 및 상기 주받침대를 순서대로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독서대의 받침대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받침대는 중앙부에 책장지지대안착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받침대와 상기 보조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홀부를 두개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책장지지대본체는 상단부에 결합돌기부를 구성하여 구름부지지대의 결합홈부와 결합하고 상기 구름부지지대는 구름부와 볼트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볼트지지부는 볼트상부홀과 볼트하부홀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하부홀은 상기 볼트상부홀보다 크기가 더 큰 것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책장지지대본체는 하단부에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을 구성하여 상기 볼트체결부로 결합하되 상기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의 상부에 금속와셔 및 부직포와셔를 더 구성하고 상기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과 상기 볼트지지부 사이에 부직포와셔,금속와셔, 금속링 및 너트의 순서대로 결합하도록 추가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장지지대, 보조받침대, 볼트지지부 및 주받침대를 관통하는 볼트체결부를 통하여 체결하므로 반영구적인 결합을 갖는 효과를 가진다.
탄성력이 있는 책장지지대를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체결부가 느슨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a도는 주받침대, 보조받침대 및 책장지지대의 결합을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에서 책장지지대를 책장지지대 안착부에 안착시킨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2a도는 보조받침대와 책장지지대를 제거한 독서대의 주받침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2b도는 보조받침대와 책장지지대 및 볼트체결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보조받침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보조받침대의 일단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3c도는 보조받침대의 중앙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책장지지대,볼트체결부 및 볼트지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볼트지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제5a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볼트체결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7a도는 책장지지대본체와 구름부 및 구름부지지대를 보이는 도이다.
제7b도는 구름부 및 구름부지지대를 결합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7c도는 구름부지지대의 결합홈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1a,1b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독서대의 주받침대(100)
상기 주받침대(100)의 하부에 구성된 보조받침대(200)
상기 보조받침대(200)의 양단부의 홀과 상기 주받침대(100)의 양단부의 홀을 구성하여 볼트체결부(340)로 체결한다.
도2a,2b,3a,3b,3c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주받침대는 양단의 홀이 두개(110,140) 및 중간부에 홀이 두개(120,130) 구성되어있다.
보조받침대에도 이에 상응되도록 홀이 4개(210,220,230,240)가 구성되어있다.
상기 보조받침대(200)는 중앙부에 책장지지대안차부(250)를 두개구성한다.
도2b도는 책장지지대(300)와 보조받침대(200)가 결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상기 주받침대(100)와 상기 보조받침대(2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홀부를 두개 더 구성한다.(120,130,220,230)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4개의 홀과 결합하는 볼트체결부(340)를 둔다.
주받침대(100)의 홀에는 제2홀(120)과 제3홀(130)을 더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보조받침대는 제20홀(220)과 제30홀(230)을 더 구성한다.
부받침대와 보조받침대를 결합하는 데에는 양단에서 책장지지대본체를 결합함으로 두개이면 족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볼트결합은 느슨하여 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일이다.
본 고안은 2개의 책장지지대본체결합과 중간부에서 두개의 홀을 구성하여 볼트결합하는 것이다.
도4 내지 도6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볼트체결부(340)는 책장지지대본체(350), 볼트지지부(360), 상기 보조받침대(200) 및 상기 주받침대(100)를 순서대로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볼트지지부(360)는 볼트상부홀(362)과 볼트하부홀(364)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하부홀(364)은 상기 볼트상부홀(362)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성한다.
그렇게 구성하여 볼트하부홀이 있는 면과 주받침대의 접촉면이 틈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책장지지대본체(350)는 하단부에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352)을 구성하여 상기 볼트체결부(340)로 결합하되 상기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352)의 상부에 금속와셔(348) 및 부직포와셔(347)를 더 구성하고 상기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352)과 상기 볼트지지부(360) 사이에 부직포와셔(346),금속와셔(345), 금속링(344) 및 제2너트(343)의 순서대로 결합하도록 추가 구성한다.
즉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352)을 전후로 하여 부직포와셔 두개(346,347)를 삽입하고 두개의 부직포와셔에 인접하여 각각 금속와셔(345,348)를 배치하며 금속와셔(345)의 하부에 금속링(344)을 구성하고 제2너트(343)를 구성한다.
그리고 너트의 하부에 볼트지지부(360)를 구성하고 그 하부에 주받침대(100)를 통과하여 제1너트(342)로 체결한다.
부직포와셔가 보다 밀접하게 결합하되 책장지지대본체(350)를 자주 상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352)의 주위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면서 밀접하게 연결되어 내구성이 있고 보다 자유도를 가지고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너트(343)를 배치한 것도 잦은 책장지지대본체(350)의 이동에 의하여도 볼트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부직포와셔 대신에 종이와셔나 플라스틱제와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7a,7b,7c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책장지지대본체(350)는 상단부에 결합돌기부(354)를 구성하여 구름부지지대(320)의 결합홈부(322)와 결합하고 상기 구름부지지대(320)와 구름부(310)는 볼트(330)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볼트(330)로 결합하되 느슨하게 결합하여 구름부(310)가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주받침대 110:제1홀 120:제2홀 130:제3홀 140:제4홀
200:보조받침대 210:제10홀 220:제20홀 230:30홀 240:제40홀
250:책장지지대안착부
300:책장지지대 310:구름부 320:구름부지지대 322:결합홈부
330:체결1부 340:볼트체결부 342:제1너트 343:제2너트 344:금속링부 346,347:부직포와셔부 345,348:금속와셔부 349:볼트머리부
350:책장지지대본체 352: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 354:결합돌기부
360:볼트지지부 362:볼트상부홀 364:볼트하부홀

Claims (6)

  1. 독서대의 주받침대;
    상기 주받침대의 하부에 구성된 보조받침대:
    상기 보조받침대는 중앙부에 책장지지대안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주받침대와 상기 보조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홀부를 더 구성하며,
    상기 보조받침대의 양단부의 홀과 상기 주받침대의 양단부의 홀을 구성하여 볼트체결부로 체결하되,
    상기 볼트체결부는 책장지지대본체, 볼트지지부, 보조받침대, 주받침대 및 제1너트(342)를 순서대로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책장지지대본체(350)의 이동에 의하여도 볼트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책장지지대본체와 상기 볼트지지부 사이에 제2너트(343)를 추가결합구성하고,
    상기 볼트지지부는 볼트상부홀과 볼트하부홀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하부홀이 있는 면과 상기 주받침대의 접촉면이 틈새없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하부홀은 상기 볼트상부홀보다 크기가 더 크도록 구성하며,
    상기 책장지지대본체는 상단부에 결합돌기부를 구성하여 구름부지지대의 결합홈부와 결합하고 상기 구름부지지대는 구름부와 볼트로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장지지대본체는 하단부에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을 구성하여 상기 볼트체결부로 결합하되 상기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의 상부에 금속와셔 및 부직포와셔를 더 구성하고 상기 책장지지대본체결합홀과 상기 볼트지지부 사이에 부직포와셔,금속와셔, 금속링 및 상기 제2너트의 순서대로 결합하도록 추가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KR2020180005904U 2018-12-18 2018-12-18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KR200489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04U KR200489726Y1 (ko) 2018-12-18 2018-12-18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04U KR200489726Y1 (ko) 2018-12-18 2018-12-18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26Y1 true KR200489726Y1 (ko) 2019-10-01

Family

ID=6816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904U KR200489726Y1 (ko) 2018-12-18 2018-12-18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81B1 (ko) * 2020-03-02 2021-09-02 주식회사 지아이엘 암나사겸볼트부
KR20230007134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지아이엘 독서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38U (ko) * 2007-07-20 2009-01-23 임지현 시력보호용 독서대
KR101207295B1 (ko) 2010-04-27 2012-12-03 정종천 독서대 받침대
KR101615328B1 (ko) 2013-11-22 2016-04-25 조영희 독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738U (ko) * 2007-07-20 2009-01-23 임지현 시력보호용 독서대
KR101207295B1 (ko) 2010-04-27 2012-12-03 정종천 독서대 받침대
KR101615328B1 (ko) 2013-11-22 2016-04-25 조영희 독서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481B1 (ko) * 2020-03-02 2021-09-02 주식회사 지아이엘 암나사겸볼트부
KR20230007134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지아이엘 독서대
KR102557117B1 (ko) * 2021-07-05 2023-07-20 주식회사 지아이엘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778Y1 (ko) 독서대의 책장지지대 결합구조
KR200489726Y1 (ko) 독서대의 받침대 결합구조
JP5730887B2 (ja) 家具用コンピュータテーブル
KR102177629B1 (ko) 독서대의 변형 방지구조
US3102616A (en) Support construction
KR20170003052U (ko) 등받이 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1292104B1 (ko) 절첩식 책상
US4925256A (en) Convertible sofa table
US20060261646A1 (en) Lower chair shelf
US782366A (en) Supporting-bracket for messenger-wires.
KR101221356B1 (ko) 가변선반책상
KR102435630B1 (ko) 독서대
JP3141129U (ja) 高さ調整可能な折畳み机
CN202496657U (zh) 一种桌子及其桌架
JP3821827B2 (ja) 机の引出し固定装置
US812547A (en) Bicycle-support.
KR101244518B1 (ko) 서랍용 측면패널 고정장치
CN100456995C (zh) 高度调节装置
US3285639A (en) Chair construction
US767132A (en) Copy-holder.
CN104106867A (zh) 一种可变换鞋及其使用方法
US1401960A (en) Rotatable machine board
JP4377201B2 (ja) テーブル
JP2000161318A (ja) 縦板部材と横板部材との取付構造
JP3206593U (ja) 脇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