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273A -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 Google Patents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273A
KR20150059273A KR1020130142658A KR20130142658A KR20150059273A KR 20150059273 A KR20150059273 A KR 20150059273A KR 1020130142658 A KR1020130142658 A KR 1020130142658A KR 20130142658 A KR20130142658 A KR 20130142658A KR 20150059273 A KR20150059273 A KR 20150059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trip
heating element
roller
guide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348B1 (ko
Inventor
임용수
Original Assignee
비엘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엘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엘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348B1/ko
Priority to PCT/KR2014/011337 priority patent/WO2015076636A1/ko
Publication of KR2015005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에 비해서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트립형 벤딩 장치는 상기 폭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벤딩 롤러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에 벤딩 응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가압부, 및 상기 벤딩 가압부로부터 벤딩 응력이 인가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받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STRIP TYPE ELECTRIC HEATING WIRE BEN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HEAT GENERATING MEMBER FORMED OF STRIP TYPE ELECTRIC HEATING WIRE}
본 발명은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장치 및 벤딩 방법과 그러한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그 폭을 형성하는 주면(主面)이 전체적으로 동평면(同平面)으로 유지한 채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의 소정 부위를 벤딩하는 벤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여 형성되는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스트립형 전열선이라 함은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예컨대, 두께가 폭의 약 1/5 내지 1/10) 장방형 단면의 긴 직선형 전열선을 말한다. 본원에서 달리 한정하지 않는 한 스트립형 전열선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 본원에 있어서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을 형성하는 면을 주면이라 하고, 두께를 형성하는 면을 측면이라 한다.
스트립형 전열선의 경우, 측면에 비해서 비교적 넓은 폭의 주면을 발열면으로 사용함으로써, 필요 부위에 효율적으로 열을 인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그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으로부터 방사되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열이 적은 장점이 있다.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스트립형 전열선은 대개 니크롬 소재이다.
또한, 스트립형 전열선은 상대적으로 넓은 주면에 의해 비교적 넓은 발열면을 제공하면서도,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사용 전압도 매우 낮고 전원 공급시 단시간에 필요 온도까지 가열됨과 아울러, 전원 차단시 신속히 냉각되고, 또 소비 전력이 매우 낮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트립형 전열선을 전열 기구의 발열체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감전될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하여, 최근 스트립형 전열선의 용도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이러한 스트립형 전열선이 합성 수지 봉지(이하, 파우치라 함)를 진공 밀봉하는 파우치 실러(pouch sealer)의 발열체로서 채용되고 있다. 파우치 실러는, 예컨대 식품 등이 담긴 파우치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 진공화 한 후, 파우치의 개구부 근처의 부위를 발열체로, 예컨대 개구부와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파우치의 앞뒤면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필름의 해당 부위를 상호 융착하여 파우치 내부를 밀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파우치 실러의 발열체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트립형 전열선이 매우 효율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는 것이다.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파우치 실러에는, 예컨대 폭과 두께가 각각 1.8 mm x 0.20 mm 또는 1.6 mm x 0.16 mm 인 스트립형 니크롬 전열선이 파우치 실러의 발열체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파우치 실러의 경우, 밀봉 대상 파우치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를 직선형으로 가열, 가압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현재 시판 중인 스트립형 전열선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실질적인 변형이 없이 그대로 발열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체를 이용하여 밀봉 융착하는 경우, 파우치에는 해당 전열선의 주면의 폭에 해당하는 약 1.8 mm 또는 1.6 mm 폭의 융착선이 형성됨으로써, 파우치를 그 내부가 진공 상태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밀봉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이루어진 발열체의 경우, 주면의 폭이 길이에 비해서 비교적 좁고, 또 그 폭에 비해 측면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매우 낮고, 전원 인가시 신속히 가열되고, 전원 차단시 신속히 냉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같은 스트립형 전열선을 채용하고 있는 파우치 실러의 경우 매우 낮은(예컨대, 약 12 볼트) 직류 전압의 전원을 사용하면서도, 신속히 융착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될 뿐만 아니라, 파우치의 융착 후 신속히 냉각됨으로써, 에너지 소모가 매우 낮고, 사용자가 감전되거나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파우치에 포장 또는 보관하기에 부적절한 신선 식품, 조리 식품, 패스트 푸드 등을, 합성 수지로 형성된 일회용 용기(이하, 트레이라 함)에 밀봉 보관하기 위하여, 트레이 실러(tray sealer)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트레이 실러는, 트레이의 개구부를 밀봉 필름으로 덮은 후에, 개구부 둘레의 테두리를 따라 밀봉 필름을 융착함으로써, 트레이의 내부를 밀봉하는 장치를 말한다. 밀봉된 트레이의 내용물은 밀봉 필름에 의해 외부 환경과 차단되므로, 식품과 같은 부패하기 쉬운 내용물을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파우치 실러와 트레이 실러는 전자의 경우 얇은 파우치의 전후면 필름들을 일반적으로 직선형으로 가열 융착하여 파우치 내부를 밀봉하는 반면에, 트레이 실러의 경우, 일회용 트레이의 개구부를 밀봉 필름으로 덮은 후, 개구부 둘레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밀봉 필름을 융착하여 트레이 내부를 밀봉한다고 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트레이 실러에는 밀봉 필름을 트레이 개구부 둘레의 테두리에 융착하기 위하여 발열체가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의 테두리는 대개 소정 폭의 원형 또는 장방형 폐곡선 형태를 취하고 있다. 트레이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도록 트레이 테두리 전체에 걸쳐 밀봉 필름을 융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열체가 트레이의 테두리부 전체 길이에 걸쳐서 고르게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트레이 실러에는 파우치 실러에서와 같이 현재 시판중인 스트립형 전열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2-0057410 호에는 얇은 니크롬 판을 이용하여 폐곡선 형태로 제작된 전열선을 구비하는 트레이 실러가 개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특허 공보에는, 예컨대 장방형의 니크롬 판을 폐곡선 형태로 프레싱(타발)하여 전열선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니크롬 판을 프레싱하는 경우, 니크롬 판이 가지고 있는 인성(靭性) 때문에 절단면을 매끈하게 가공하기 어렵다. 특히, 폭이 일회용 트레이의 테두리보다 좁은 반면 길이는, 통상 약 30 cm 내지 40 cm의 테두리 전체 길이에 해당하는 긴 폐곡선 형상으로 니크롬 판을 프레싱으로 절단하는 경우, 프레싱하는 과정에서 폐곡선 형태에 해당하는 부분의 뒤틀림 변형, 파열 또는 파단이 초래되기 쉽다.
특히, 예컨대,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10 cm x 12 cm인 장방형 니크롬 판을 이용하여, 프레싱 공정을 통해서, 예컨대 둘레 길이가 40 cm 이고 폭이 약 1.8 mm (0.18 cm)인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를 제작한다고 가정하면,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를 프레싱하여 절단하고 남은 니크롬 판 소재의 약 94 %에 해당하는 나머지 부분(예컨대, 니크롬 판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 형태의 내측 부분)은 모두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서, 니크롬 판을 프레싱 공정을 통해서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를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재 낭비의 측면에서 현실적이지 못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9-0075582호에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밀봉하기 위하여 복수의 발열체를 가열판(heating plate)에 장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공보에는 상기 발열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아 명확하지 않으나, 도시된 발열체의 복잡한 형상 비추어 보면, 프레싱 가공이나, 예컨대, 레이저 절단이나 워터젯 절단 등의 특수 절단 공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프레싱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발열체의 복잡한 형상에 비추어 전술한 한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9-0075582호의 발열체의 제조시의 문제와 유사하거나 더욱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또, 특수 절단법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폐기될 소재의 비율이 매우 높고, 또 제조 공정이 복잡하며,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길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더욱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에 있어서, 폭을 형성하는 주면(主面)을 전체적으로 동평면(同平面)으로 유지한 채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側面)의 소정 부위를 원하는 형태로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벤딩할 수 있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러한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여 형성되는 발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소정 부위를 벤딩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전체적으로 동평면에 배치되어 주 발열면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를 제조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러한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를 스트립형 전열선을 이용하여 재료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러한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열 기구 등에 채용되어, 소비 전력이 낮고 감전이나 화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발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르면,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스트립형 전열선을 상기 폭을 형성하는 주면을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로 지지하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벤딩 롤러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에 벤딩 응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가압부; 및 상기 벤딩 가압부로부터 벤딩 응력이 인가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받침부를 구비한다.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전열선이 주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으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각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인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벤딩 가압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동심인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상기 벤딩 롤러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롤러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벤딩 롤러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벤딩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벤딩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벤딩 가압부와 상기 벤딩 받침부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의 상하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각각 폐쇄되거나, 또는 상기 간극의 상부는 상호 접촉한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간극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소정 부위에 수직 방향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해당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한 수직 방향 벤딩 섹션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벤딩 과정 중에, 상기 벤딩 롤러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가지 양태에 따라,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제1 벤딩 롤러를 각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스트립형 전열선에 벤딩 응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에 각각 마련되고 소정 높이를 갖는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로부터 벤딩 응력이 인가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주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각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인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동심인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각각 일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는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의 상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각각 폐쇄되거나 또는 상기 간극의 상부는 상호 접촉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 및/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간극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폐쇄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소정 부위에 수직 방향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해당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한 수직 방향 벤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2 벤딩 롤러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은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가압부, 상기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개시 부분이, 상기 벤딩 가압부와 상기 벤딩 받침부 사이의 간극 내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이 상기 벤딩 가압부와 벤딩 받침부에 각각 접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그것의 주면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을 따라 벤딩되도록 하는 벤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성형 부위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고정시키는 스트립형 전열선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은 상기 벤딩 롤러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롤러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벤딩 롤러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 단계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간극에서의 상하 방향 이동이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규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 단계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간극 내에서의 상하 방향 이동이 상호 접촉한 상기 벤딩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들과 상기 간극의 하부에 의해서 규제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소정 부위에 수직 방향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해당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의 경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이 필요한 복수의 부위에 대해서 상기 스트립형 절연선 정렬 단계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고정 단계 및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단계를 반복하여,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2 이상의 부위를 벤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제1 및 제2 벤딩 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 사이의 간극 내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에 각각 접하도록, 그리고,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배치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그것의 주면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을 따라 벤딩되도록 하는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 폭에 비해서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 전열선을 벤딩하여 형성되는 발열체로서, 상기 폭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동평면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폭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길이를 따라 2 이상의 부위에서 벤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의 각 벤딩 부위 및 각 벤딩 부위 양쪽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동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체가 제공된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은 상기 측면의 두께가 상기 주면의 폭의 1/10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폭은 3 mm 내지 1.6 mm이고, 상기 측면의 두께는 0.16 mm 내지 0.3 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은 니크롬선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체는 사행형(蛇行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상기 사행형 전체에 걸쳐 동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립형 발열체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상기 장방형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평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면의 폭에 비해 측면의 두께가 매우 얇은 직선형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상기 주면이 동평면에 유지되도록 그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소정 부위를 용이하고도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벤딩 공정을 통해,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를 제조함으로써,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의 제조 비용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립형 전열선을 넓은 폭의 주면이 전체적으로 동평면에 배치되어 넓은 발열면을 형성하는 곡선형 또는 폐곡선형 발열체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파우치 실러의 발열체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여, 트레이 실러의 발열체로서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열체는 소비 전력이 낮고, 신속하게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어, 에너지 소모가 낮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감전이나 화상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실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낮은 직류 전압(예컨대, 12 볼트)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트레이 실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우치 실러와 트레이 실러를 일체화한 실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여 제작된 발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트레이 실러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시판중인 폭과 두께가 1.6 mm x 0.16 mm 의 스트립형 니크롬 전열선을 본 발명에 따른 벤딩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로 벤딩한 전열선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실러에 적용될 수 있는 발열체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기 전의 벤딩 롤러와 가이드 롤러의 중심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이용한 벤딩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이용한 벤딩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벤딩 방법에 따라 대략 U-자 형으로 벤딩된 전열선의 양단부 중 한 부분만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벤딩한 스트립 전열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가 구비된 트레이 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트레이 실러는 2012년 11월 5일자로 본원 출원인 명의로 출원 계류중인 한국 특허출원 제2012-0124290호에 한 가지 실시예로서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트레이 실러(10)는 트레이 수용부(11a)가 형성된 베이스 유닛(11), 상기 베이스 유닛(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베이스 유닛(1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2) 및 상기 덮개(12)에 설치된 발열체(15)를 구비한다. 트레이 수용부(11a)에는 트레이(14)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14)에는 밀봉 포장될 식품 등이 담긴다. 베이스 유닛(11)의 상부 표면 일측에는 밀봉 필름(13)이 인출되는 필름 인출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 필름(13)은 베이스 유닛(11)의 내부 공간에 롤(roll)의 형태로 구비된다.
트레이(14)의 밀봉시, 사용자는 내용물이 담긴 트레이(14)를 베이스 유닛(11)의 트레이 수용부(11a)에 배치한다. 이때, 트레이(14)의 테두리(14a)는 트레이 수용부(14a)의 개구부의 둘레에 걸려, 베이스 유닛(11)의 상부 표면상에 유지된다. 사용자는 인출부(11b)로부터 필름(13)을 인출하여 트레이(14)의 상기 테두리(14a)를 포함한 상부 전체를 덮는다. 그 후, 덮개(12)를 덮으면 발열체(15)가 밀봉 필름을 사이에 두고 트레이(14)의 테두리(14a)에 겹친 상태로 배치된다. 그 후, 상기 트레이 실러(10)의 전원 스위치를 켜면, 발열체(15)가 밀봉 필름을 트레이(14)의 테두리(14a)에 융착하는 데 필요한 온도(예컨대, 밀봉 필름의 융점보다 약 5℃ 내지10℃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발열체(15)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필름(13)이 트레이(14)의 테두리(14a)에 융착된다.
그런데, 전술한 발열체(15)의 경우,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임과 아울러, 사용자의 감전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낮은 전압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 인가시 신속하게 융착에 필요한 온도(예컨대, 약 160℃ 내지 약 190℃ 범위의 온도)까지 신속히 가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없다면, 필요시에 즉시 트레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트레이 실러를 예열 상태로 두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링 작업 후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융착 후 가급적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체의 열이 가급적 융착 부위에 집중적으로 인가되고, 융착 부위는 밀봉될 트레이(14)의 테두리(14a)의 폭을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두 건의 한국 특허 공개 공보에 개시된 발명의 경우, 트레이 실러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지만,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파우치 실러의 발열체로서 이용되는 스트립형 전열선을 소재를 벤딩을 통해서, 상기와 같은 트레이 실러에 적합한, 트레이 개구부 둘레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발열체를 제조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경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완성된 발열체의 발열면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동평면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벤딩하여야 한다. 따라서, 발열체의 둘레 전체에 걸쳐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동평면에 유지될 수 있도록 벤딩 성형하여야 한다. 결국, 이러한 벤딩을 위해서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대적으로 넓은 폭의 주면을 수평으로 동평면으로 유지시키면서, 주면의 폭에 비해 얇은 측면의 소정 부위를 벤딩하여야 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예컨대, 두께와 폭이 1.6 mm x 0.16 mm(즉, 측면의 두께가 주면의 폭의 1/10) 인 장방형 단면의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경우, 그것의 주면을 동평면에 유지하면서 측면을 벤딩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데 소요되는 힘은, 이론적으로도, 그것의 측면을 동평면에 유지하면서 주면을 벤딩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데 소요되는 힘의 약 10,000 배 이상의 힘이 소요된다.
게다가, 이러한 스트립형 전열선의 경우,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벤딩 부위에서 파단되거나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변형이 발생되어, 발열체로는 사용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 두께에 비해서 폭이 넓기는 하지만, 전체 길이(약 30 cm 내지 40 cm) 에 비해서는 매우 좁기 때문에 벤딩 과정에서 뒤틀림 현상이 일어나기 쉽고, 따라서 주면을 실질적으로 동평면으로 유지하면서 측면의 소정 부위를 벤딩하기도 매우 어렵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고려할 때, 당업자라면, 이러한 벤딩을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트레이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폐곡선 형상의 절연체를 형성한다고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현실적이지 못한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폭과 두께가 비슷한 전열선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폭과 두께가 비슷한 단면의 전열선이라면, 주면을 벤딩하여 소성 변형시키거나 측면을 벤딩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힘이 비슷하고, 따라서 이러한 측면을 벤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를 형성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열선의 두께가 증가할 경우, 그에 비례하여 소비 전력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의 발열시에 주면은 물론 측면으로도 많은 열이 방사되어, 가열이 필요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열을 가하기 어렵게 된다. 예컨대, 트레이 실러에 이러한 발열체를 이용하는 경우, 밀봉 필름에 대하여, 트레이의 테두리 내의 길고 좁은 영역에 열을 집중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융착 부위 이외의 부분까지 가열함으로써 트레이 또는 밀봉 필름의 가열이 불필요한 부분까지 가열되어 변형되거나 천공될 우려도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하는 경우, 열 손실 및 그에 따른 전력 손실, 그리고 이러한 수단의 마련과 관련한 추가적인 비용 손실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발열체의 두께가 증가할 경우, 그에 비례하여 소비 전력도 상승하게 된다.
본원의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심지어 주면의 폭이 1.6 mm 내지 3 mm이고, 두께가 폭의 1/5 이하인 두께가 폭에 비해서 매우 얇은 직선형의 스트립형 전열선까지도 여러 가지 형상의 곡선 형태로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안출하였다. 도 2에는, 본원 발명자가 안출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폭 1.6 mm, 두께 0.16 mm의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스트립형 니크롬 전열선을 상온에서 대략 U-자 형으로 실제로 벤딩한 전열선의 사진이 제시되어 있다. 스트립형 전열선의 얇은 두께에 비해서 넓은 주면이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동평면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사진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3를 참고로, 도 2의 사진과 같이 벤딩 성형된 전열선을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 실러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폐곡선형 발열체(1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실러에 적용될 수 있는 발열체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고하면, 발열체(15)는 제1 전열선(15a) 및 제2 전열선(15b)를 구비한다. 제1 전열선(15a)은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된 수평 부분(21a)과, 상기 수평 부분(21a)의 양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 부분(22a)을 갖는다. 제2 전열선(15b)은 뒤집힌 U-자 형으로 형성된 수평 부분(21b)과 상기 수평 부분(21b)의 양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 부분(22b)을 가진다. 상기 제1 전열선(15a) 및 제2 전열선(15b)의 수직 부분(22a, 22b)들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게 배치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평면상에서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라운드진 장방형의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열선(15a)와 제2 전열선(15b)은 실질적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전열선(15a)의 2 개의 수직부(22a) 및 제2 전열선(15b)의 2 개의 수직부(22b)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i) 한쪽의 수직 부분(22a, 22b)을 도전성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고, 다른 쪽의 수직 부분(22a, 22b)은 비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ii) 양쪽의 수직부(22a, 22b) 모두를 비도전성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상기 방안들 중 i)의 방안의 경우는, 비도전성 접착제로 상호 접착된 수직부(22a, 22b)를 음극 및 양극의 단자로 이용하여 전원에 접속하여 전체적으로 단일의 전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ii)의 방안의 경우에는, 각 전열선(15a, 15b)의 수직부(22a, 22b)를 음극 및 양극 단자로 이용하여 전원에 접속함으로써, 각 전열선이 상호 독립된 전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열선(15a)과 제2 전열선(15b)의 상호 접착된 수직 부분(22a, 22b)을 상호 동일한 극성의 전원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부(22a, 22b)의 접착에 사용되는 도전성 접착제나 비도전성 접착제는 내열성이면서도 열전도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전도성으로 열전도성이 좋은 접착제로는, 세라믹 본드 또는 실리콘 접착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전열선(15a)과 제2 전열선(15b)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 외에도, 하나의 전열선을 벤딩하여 상기와 같은 폐곡선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전열선의 양단에 하나씩의 수직부를 형성하여, 이 수직부를 비전도성 접착제로 접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한쪽 수직부들을 전도성 접착제로 접착한 경우와 동일하게 단일 전열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전열선의 저항은 전열선의 길이에 비례하여 상승한다. 따라서, 소정의 발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일 전열 회로로 구성된 발열체의 경우, 상기 두 개의 상호 독립적인 전열 회로를 구성된 발열체에 비하여 약 2배 높은 전압을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 전압이 높아지게 되면, 그 만큼 감전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또, 본원 발명의 벤딩 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여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소정 부위를 벤딩하여 하나의 전열선으로 상기와 같은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를 형성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열선을 개별적으로 벤딩한 후에 상호 접착하는 것에 비해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진다.
이상의 두 가지 관점에서, 두 개의 전열선, 즉 제1 및 제2 전열선(15a, 15b)을 개별적으로 형성한 후, 이들의 양 단부의 수직부(22a, 22b)를 비전도성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폐곡선형 발열체가 장방형인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발열체를 장방형 외에도, 원형, 타원형, 정방형 등의 폐곡선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발열체가 적용될 물품을 트레이 실러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발열체는 예컨대 전열 패드 등 다른 전열 기구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례에는 상기 발열체가 폐곡선 형태가 아닌, 예컨대, 사행형(蛇行形) 등의 곡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께가 폭에 비해 매우 얇은 스트립형 전열선을, 그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해당 전열 기구의 주 발열면으로 작용하도록 전체적으로 동평면에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스트립형 전열선의 매우 얇은 두께의 측면의 소정 부위를 벤딩할 수 있다는 데에 주안점이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기 전의 벤딩 롤러와 가이드 롤러의 중심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30a)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30a)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30)에 장착된 원통형 벤딩 롤러(31)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은 전체적으로 대체로 편평한 상면을 구비하며, 벤딩 작업시,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곡선형 가이드 슬롯(30a)은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각도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곡률 반경(R)을 갖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립형 전열선의 도 2의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U-자형으로 벤딩하고자 하는 경우, 라운드된 형태로 나타난 모서리의 벤딩 부분에 대응하는 반경의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원호의 연장 범위 또는 중심각은 벤딩 범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슬롯(30a) 시작단에는 퇴피(退避)홈(30b)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벤딩 롤러(31)의 저면에는 벤딩 가압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벤딩 가압부(31a)는 상기 벤딩 롤러(31)와 동심의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벤딩 가압부(31a)는 상기 벤딩 롤러(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보다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벤딩 가압부(31a)는 벤딩 롤러(3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높이의 단차부를 형성한다. 벤딩 롤러(31a)와 벤딩 가압부(31a)는 동일한 소재의 강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여, 소정 높이의 벤딩 받침부(30c)가 형성된다. 도 4에는, 상기 벤딩 받침부(30c)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한 가지 예에 불과할 뿐, 벤딩 받침부(30c)는 원형 이외의 원호형 등 다양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후술될 가이드 롤러(32)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벤딩 가압부(31a)를 벤딩 롤러(3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벤딩 받침부(30c)를 가이드 롤러(32) 하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데에는 주조, 용접, 절삭, 연마 등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벤딩 가압부(31a)는 벤딩 작업시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의 그것과 마주한 측면에 벤딩 응력을 인가하고, 상기 벤딩 받침부(30c)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벤딩 가압부(31a)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점(支點)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벤딩 롤러(31)가 보다 확실하게 상기 가이드 슬롯(30a)을 추종할 수 있도록, 벤딩 롤러(31)가 가이드 슬롯(30a)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계속해서 상기 벤딩 롤러(31)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외주면을 갖는 가이드 롤러(32)가 마련될 수도 있다. 특히, 벤딩 롤러(31)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가압부(31a)가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되는 부위에 일정한 응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롤러(32)는 상기 벤딩 받침부(30c)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롤러(32)는 상기 벤딩 롤러(31)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벤딩 롤러(31)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마찰 계수가 낮은 강체로 가이드 롤러(32)와 벤딩 롤러(31)를 구성하는 경우, 가이드 롤러(32)가 반드시 회전할 필요는 없다. 또, 비록 도면에는 가이드 롤러(32)가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벤딩 롤러(31)가 상기 가이드 슬롯(30b)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롤러(31)를 지속적으로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한, 원호형이나 다른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형 전열선이 굴곡 부위를 중심으로 양쪽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그 굴곡 부위가 원호형으로 라운드되는 경우, 상기 벤딩 받침부는(30c),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30a)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가이드 슬롯(30a)의 곡률 중심각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32)는 그 회전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30a)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딩 받침부(30c)는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마주하는 측부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0a)과 평행한 곡면을 제공하여, 상기 벤딩 롤러(31)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상기 벤딩 받침부(30c)의 상호 마주한 외주부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의 간극이 계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딩 롤러(31)와 가이드 롤러(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마련된 가이드 슬롯(30a) 및 가이드 롤러 장착홀에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벤딩 롤러(31)의 하면에 마련된 상기 벤딩 가압부(31a)가 그 하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a)의 상면과 맞닿도록, 상기 벤딩 롤러(31)를 상기 가이드 슬롯(30a)에 장착한다. 상기 벤딩 롤러(31)는 가이드 슬롯(30a)의 폭과 거의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 축을 구비하고, 이 축이 상기 가이드 슬롯(30a)에 삽입되어, 상기 벤딩 롤러(31)가 회전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슬롯(3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벤딩 롤러(31)와 가이드 롤러(32)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롤러의 접촉부측 하면부 아래에는, 공간(4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32)를 장착홀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마련된 벤딩 받침부(30c)가 상기 공간(4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상기 벤딩 받침부(30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벤딩 받침부(30c)가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마주하는 측부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30a)과 평행한 곡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벤딩 롤러(31c)가 상기 가이드 슬롯(30a)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상기 상기 벤딩 받침부(30c) 사이에는 상기와 같은 간극이 계속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극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32)의 하면의 상기 벤딩 가압부(31a)의 반경 방향 외측부에 의해서 계속해서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간극의 바닥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아래에서 벤딩 공정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간극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벤딩되는 위치를 따라 계속해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에는 이 간극 내에서 벤딩 응력이 인가됨가 아울러, 벤딩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 방향이나 상하 방향 이동은 상기 간극 주위의 상기 벤딩 가압부(31a), 상기 벤딩 받침부(30c),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 및 상기 벤딩 롤러(31)의 하면에 의해서 규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립 전열선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 이동을 보다 확실히 규제하기 위해서는, 이 간극의 높이를 형성하는 벤딩 가압부(31a) 및 벤딩 받침부(30c)의 높이가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두께와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극에서의 상기 벤딩 받침부(30c)와 벤딩 가압부(31a)사이의 간격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과 거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이용한 벤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전열선 벤딩 장치를 이용한 벤딩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벤딩 롤러(31)를 가이드 슬롯(30a)의 시작단에 위치한 퇴피홈(30b)에 배치한다. 이어서,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100)을 주면(主面)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배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0)은 평면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주면 또한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일측면의 벤딩이 시작될 부위가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마련된 벤딩 받침부(30c)의 상기 퇴피홈(30b)측 외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100)을 좌우로 정렬함과 아울러, 상기 벤딩 시작 부위로부터, 예컨대 도 6a의 우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부위를 고정시킨다.
그 후, 퇴피홈(30b)에 배치된 벤딩 롤러(31)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슬롯(30a)으로 이동시켜, 벤딩 롤러(31)의 외주면이 가이드 롤러(32a)의 외주면과 접촉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100)이 상기 벤딩 받침부(30c)에 접촉된 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벤딩 가압부(31a)와 상기 벤딩 받침부(30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벤딩 시작 부위가 이 간극에 위치한다. 상기 간극의 상부는 상기 벤딩 롤러(31)의 하면의 상기 벤딩 가압부(30c)에 의해서 폐쇄된다. 즉, 스트립형 전열선(100)는 그것의 벤딩이 시작되는 지점이 그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 상기 간극 내에 갇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벤딩 롤러(31)를 화살표 A(도 6b 참조)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벤딩 롤러(31)가 상기 가이드 슬롯(30a)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벤딩 가압부(31a)는 상기 화살표 A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슬롯(30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벤딩 받침부(30c)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가압부(31a)와 마주한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측면에 지속적으로 응력을 가하게 된다. 특히, 벤딩 롤러(31)가 회전하면서, 그것보다 작은 직경의 벤딩 가압부(31a)의 외주면에 의해 벤딩 응력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스트립형 벤드(100)의 측면에는 상당한 크기의 응력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상기 벤딩 롤러(31)를 서서히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30a)를 따라 이동시킴에 따라, 스트립형 전열선(100)은 상기 벤딩 받침부(30c) 둘레 방향으로 벤딩되면서 소정 변형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벤딩 시작시에 벤딩 가압부(31a)와 벤딩 받침부(30c)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되는 부위를 따라 지속적으로 형성된다고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벤딩 과정 중에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폭 방향 이동이 상기 벤딩 가압부(31a) 및 벤딩 받침부(30c)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규제된다. 또한,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상하 방향 이동 또한 상기 벤딩 롤러(31)의 하면의 상기 벤딩 가압부(31a)의 반경 방향 외측 부분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의해서 계속해서 규제될 수 있다.
전술한 벤딩 롤러(31)의 회전 운동과 상기 가이드 슬롯(30a)을 추종하는 이동은 상기 가이드 슬롯(30a)의 종료단까지 계속된다.
이 때, 변형된 스트립형 전열선에는 탄성 응력이 잔류할 수 있으므로, 벤딩 롤러(31)가 가이드 슬롯(30a)의 종료단에 도달된 후, 스트립형 전열선(100)을 상기 벤딩 받침부 주위에 밀착된 상태로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딩 롤러(31)의 화살표 A로 지시된 회전 방향은 가이드 슬롯(30a)을 따른 진행 방향과 대응하여야 한다. 즉,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의 벤딩 롤러의 회전 방향(A)은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굴곡 방향에 해당하는 반시계 방향이어야 한다.
또, 가이드 슬롯의 곡률 반경 이나 길이, 벤딩 롤러 또는 벤딩 가압부의 직경 등의 변경을 통해서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부위 양측 부분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벤딩 공정이 종료된 후에, 벤딩 종료 부위 근처 부위를 상기 벤딩 시작시의 위치에 배치한 후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하여 스트립형 전열선을 전체적으로 원호,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벤딩할 수 있다. 또, 스트립형 전열선의 길이 방향으로 필요한 부위에서 상기와 같은 벤딩을 행하여 복수의 벤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트레이 실러에 적용할 경우에는 트레이 실러의 테두리 형상에 따라,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수평의 동평면에 위치하는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예컨대 온열 패드와 같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전열선이 배치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 동평면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지그재그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스트립형 전열선을,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실러에서 밀봉되는 트레이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장방형 폐곡선 형상으로 벤딩하여 형성된 발열체를 적용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소비 전력을 대폭 낮춤과 아울러, 사용자의 감전 또는 화상 위험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폐곡선 형상의 발열체를 형성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비 전압 또는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전체를 하나의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반원형 또는 U-자형 등으로 벤딩된 두 개의 전열선의 양단을 상호 접착하는 방식으로, 원형 또는 장방형 등의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이처럼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여 제조되는 전열선은, 예컨대 비교적 넓고 얇은 난방 또는 온열 패드 등에 적절히 채용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나타내는 스트립형 벤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는 도 7의 스트립형 벤딩 장치를 이용하여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제1 실시예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한 쌍씩 마련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 비록 앞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지만,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열선 벤딩 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는 몇 가지 선택적 또는 부가적 구성 부분도 또한 도 7에 도시된 구성에는 나타나 있다.
제2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 중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의 경우, 구성 또는 기능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제1 실시예들과 대응되는 제2 실시예의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의 참조 부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기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기능의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명칭에제1 및 제2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서수는 동작이나 조립에 있어서의 순서 등과 관련된 기술적 한정의 의도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각각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또, 제1 가이드 슬롯(30a)과 제2 가이드 슬롯(30'a)를 비롯한, 상기 서수들과 동일 명칭으로 호칭된 구성 요소들은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대칭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마련된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30a, 30'a)와, 이들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30a, 30'a)의 시작단에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 퇴피홈(30b, 30'b)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30a, 30'a)에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의 벤딩 롤러(31, 31')와, 이들 제1 및 제2 벤딩 롤러(31, 31') 하면에 각각 마련된 벤딩 가압부(31a, 31'a)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각각 형성된 벤딩 받침부(30c, 30'c)와, 벤딩 작업중 상기 벤딩 롤러(31a, 31'a)를 각각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0)에 각각 마련된 가이드 롤러(32, 3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의 경우, 앞서 제1 실시예의 스트립형 전열선에 의한 벤딩 공정을 도 7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좌우측 부분에서 동시에 수행하여, 하나의 스트립형 전열선에 양측 부분이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대략 U-자형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의 장방형 폐곡선 형태의 발열체(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U-자형으로 벤딩된 한 쌍의 전열선의 양단을 그들 전열선의 주면(主面)에 수직 방향으로 굴곡할 필요가 있다. 도 9에는 U-자 형으로 벤딩된 전열선의 일단부(22a (22b))가 벤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형 벤딩 장치에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벤딩된 스트립형 전열선의 양단을 즉시 수직 방향으로 벤딩할 수 있는 수직 방향 벤딩 섹션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 방향 벤딩 섹션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30a, 30b)의 종료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제1 및 제2 벤딩홀(30d, 30'd)과, 이들 제1 및 제2 벤딩홀(30d, 30'd)에 각각 삽입되는 가압 돌기(33a, 33'a)이 하면 양단에 마련된 누름판(33)으로 구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벤딩 장치를 이용한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방법이 도 8a 내지 도 8c에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된 단계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단계와 달리,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100)이 좌우 두 부분에서, 각각 제1 벤딩 롤러(31)의 하면에 위치한 제1 벤딩 가압부(31a)와 제1 벤딩 받침부(30c) 사이의 간극 및 상기 제2 벤딩 가압부(31'a)와 제2 벤딩 가압부(30'c)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단계에서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100)이 길이 방향 양쪽에서 동시에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벤딩 롤러(31)와 제2 벤딩 롤러(31')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각각 제1 가이드 슬롯(31) 및 제2 가이드 슬롯(31')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벤딩 롤러(31)의 회전 방향과 제2 벤딩 롤러(31')의 회전 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이 된다.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길이 방향 양쪽에서의 구성 요소간의 결합 관계나 행해지는 벤딩 동작의 경우, 좌측 부분에서는 스트립형 전열선(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되는 반면, 우측 부분에서는 스트립형 전열선(100)이 시계 방향으로 벤딩된다고 하는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길이 방향 양쪽에서 그 스트립형 전열선(100)의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31a, 31'a)와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30c, 30'c) 및 관련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벤딩 과정이 종료된 후, 스트립형 전열선의 양단부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벤딩 섹션의 제1 및 제2 벤딩홀(30d, 30'd) 위에 걸친 상태로 위치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벤딩 전의 주면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동평면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스트립형 전열선의 양측면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판(33)의 양단 하면에 마련된 제1 및 제2 가압 돌기(33a, 33'a)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홀(30d, 30'd)과 정렬되도록 상기 누름판(33)을 배치한 후 상기 누름판(33)을 눌러서, 상기 제1 및 제2 가압 돌기(33a, 33'a)가 제1 및 제2 벤딩 홀(30d, 30'd)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홀(30d, 30'd) 위에 위치하였던 스트립형 전열선의 단부 부분들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압 돌기(33a, 33'a)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힘(F) (도 9 참조)이 가해져 상기 제1 및 제2 벤딩 홀(30d, 30'd) 속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 경우에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이 넓은 수평 방향 주면 부분들이, 도 9의 우측 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므로, 실질적인 어려움 없이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부(15a, 15b)와 수직부(22a, 22b)를 갖도록, 직선형 스트립을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벤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직부(22a, 22b)를 상호 접착함으로써, 장방형의 폐곡선형 발열체를 반복적으로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당업자라면, 각 구성 요소들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벤딩 받침부(30c 또는 30'c)를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가이드 롤러(32 또는 32') 하면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벤딩 롤러(31 또는 31')의 하면에 벤딩 가압부(31a, 31a')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즉 벤딩 공정에서, 벤딩 가압부와 벤딩 받침부 사이에 벤딩 대상 스트립의 주면을 수평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폭방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간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트립형 전열선 중 하나로 니크롬선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니크롬선과 유사한 기능의 다른 전열선을 벤딩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비록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측면의 두께가 주면(主面)의 폭의, 예컨대 1/10 내지 1/5 정도로 극히 얇은 스트립형 전열선을, 주면이 실질적으로 동평면에 유지되도록 하면서,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을 굴곡하여, 복수의 굴곡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곡선형 절연체를 용이하고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작된 발열체가 적용되는 물품의 경우,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빈번하게 취급하는, 예컨대 트레이 실러 등에 채용될 경우, 사용자의 고전압에 의한 감전이나, 전열선의 잠열에 의한 화상 위험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30: 베이스 플레이트 30a, 30'a:가이드 슬롯
30c, 30'c: 벤딩 받침부 30d, 30d': 벤딩 홀
31, 31': 벤딩 롤러 31a, 31'a: 벤딩 가압부
32, 32': 가이드 롤러 33: 누름판
33a, 33'a: 가압 돌기

Claims (50)

  1. 폭에 비해서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로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폭을 형성하는 주면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벤딩 롤러를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벤딩 대상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에 벤딩 응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가압부; 및
    상기 벤딩 가압부로부터 벤딩 응력이 인가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주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으로 도시하였을 때,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각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인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압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동심인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롤러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롤러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벤딩 롤러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에 위치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압부와 상기 벤딩 받침부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상하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각각 폐쇄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상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간극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소정 부위에 수직 방향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해당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한 수직 방향 벤딩 섹션을 더 구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롤러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5.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로서,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폭을 형성하는 주면이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의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제1 벤딩 롤러를 각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측면에 벤딩 응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에 각각 마련되고 소정 높이를 갖는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로부터 벤딩 응력이 인가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주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각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인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동심인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각각 일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는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에 각각 위치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상하부는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각각 폐쇄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상부는 상호 접촉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들 및/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롤러의 하면들에 의해서, 그리고 상기 간극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소정 부위에 수직 방향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해당 부위를 수직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한 수직 방향 벤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벤딩 롤러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29. 주면에 비해서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으로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을 형성하는 주면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벤딩 롤러와,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가압부, 상기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개시 부분이, 상기 벤딩 가압부와 상기 벤딩 받침부 사이의 간극 내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두께를 형성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양 측면이 상기 벤딩 가압부와 벤딩 받침부에 각각 접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을 따라 벤딩되도록 하는 벤딩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 성형 부위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고정시키는 스트립형 전열선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으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각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인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압부는 상기 벤딩 롤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동심인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 받침부는, 평면도로 도시하였을 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가이드 슬롯의 중심각 이상의 중심각을 갖는 원호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롤러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벤딩 롤러의 외주면과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벤딩 롤러를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를 마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회전 중심이 상기 가이드 슬롯의 곡률 중심에 위치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받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8.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가압부와 상기 벤딩 받침부의 높이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단계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간극에서의 상하 방향 이동이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단계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간극 내에서의 상하 방향 이동이 상호 접촉한 상기 벤딩 롤러의 하면 및/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4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소정 부위에 수직 방향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을 수직 방향으로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4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단계에서, 상기 벤딩 롤러를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벤딩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43. 제29항에 있어서, 스트립형 전열선의 벤딩이 필요한 복수의 부위에 대해서 상기 스트립형 절연선 정렬 단계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고정 단계 및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단계를 반복하여,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2 이상의 부위를 벤딩하는 것인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44. 폭에 비해 폭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형 전열선을 벤딩하기 위한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으로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을 형성하는 주면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지지하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선형 가이드 슬롯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장착되는 원통형 제1 및 제2 벤딩 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의 하면에 마련되는 소정 높이의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소정 높이의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폭의 간극이 형성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을,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 사이의 간극 내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상기 두께를 형성하는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양 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와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에 각각 접하도록, 그리고,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배치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벤딩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 외주면 사이에 상기 간극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롤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이 그것의 주면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벤딩 받침부의 외주면을 따라 벤딩되도록 하는 벤딩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방법.
  45. 폭에 비해서 두께가 얇은 장방형 단면의 스트립 전열선을 벤딩하여 형성되는 발열체로서,
    상기 폭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동평면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폭을 형성하는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길이를 따라 2 이상의 부위에서 벤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의 각 벤딩 부위 및 각 벤딩 부위 양쪽에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이 동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발열체.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두께가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폭의 1/10 내지 1/5 인 발열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의 폭은 1.6 mm 내지 3 mm이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측면의 두께는 0.16 mm 내지 0.3 mm 인 발열체.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은 니크롬선인 발열체.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사행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상기 사행형 전체에 걸쳐 동평면에 위치하는 것인 발열체.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형 발열체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형 전열선의 주면은 상기 장방형의 전체 둘레에 걸쳐 동평면에 배치되는 것인 발열체.
KR1020130142658A 2013-11-22 2013-11-22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KR10155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58A KR101559348B1 (ko) 2013-11-22 2013-11-22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PCT/KR2014/011337 WO2015076636A1 (ko) 2013-11-22 2014-11-24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58A KR101559348B1 (ko) 2013-11-22 2013-11-22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273A true KR20150059273A (ko) 2015-06-01
KR101559348B1 KR101559348B1 (ko) 2015-10-12

Family

ID=5317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58A KR101559348B1 (ko) 2013-11-22 2013-11-22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9348B1 (ko)
WO (1) WO2015076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21B1 (ko) * 2023-04-27 2023-10-12 주식회사 젠코리아산기 철근 자동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1822B (zh) * 2015-11-18 2017-09-12 宁波泰尔汽车部件有限公司 自动折弯落料机构
CN105251820B (zh) * 2015-11-18 2017-09-12 宁波泰尔汽车部件有限公司 用于折弯落料的机构
CN106694699B (zh) * 2017-02-15 2018-07-24 福建三锋汽车饰件有限公司 汽车玻璃卡条弯曲装置及其加工成型方法
CN108746278A (zh) * 2018-05-30 2018-11-06 芜湖同创模具机械有限公司 一种受力均匀钢管折弯设备
CN108746277A (zh) * 2018-05-30 2018-11-06 芜湖同创模具机械有限公司 一种钢管折弯设备
CN110280686A (zh) * 2019-07-30 2019-09-27 马秀辉 一种钢筋弯折装置
CN112935033A (zh) * 2021-03-29 2021-06-11 南通理工学院 一种同步折弯装置
WO2023028379A1 (en) * 2021-08-27 2023-03-02 Marshall Composite Technologies, Ll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a reinforcing ba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6646B2 (ja) * 1992-08-21 1998-01-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加工機械
KR200216085Y1 (ko) 2000-08-14 2001-03-15 강흥일 철근 절곡 장치
KR100685834B1 (ko) 2006-02-28 2007-02-26 이남수 금속부재 절곡장치
KR101034025B1 (ko) * 2008-07-02 2011-05-11 이남수 금속부재 절곡장치
KR101196957B1 (ko) * 2010-11-26 2012-11-05 김준기 밀폐포장장치 및 밀폐포장장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21B1 (ko) * 2023-04-27 2023-10-12 주식회사 젠코리아산기 철근 자동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6636A1 (ko) 2015-05-28
KR101559348B1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348B1 (ko) 스트립형 전열선 벤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스트립형 전열선으로 형성된 발열체
CN102908192B (zh) 组织融合仪器,特别地为组织融合镊子
EP2505339B1 (en) Impulse sealer heater covered with ceramics
US10267551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20120080418A1 (en) Impulse sealer including ceramic-covered heater
JPH072234A (ja) 熱可塑性材料をヒートシールする装置
JP2015536881A (ja) トレイ封止装置及びそのためのヒータユニット
WO2009142076A1 (ja) インパルスシーラーのセラミックでカバーされたヒーター
US6425848B2 (en) Cutting or sealing plastics material
WO2019073199A1 (en) STACKING APPARATUS
WO2000075018A1 (fr) Fil chauffant pour dispositifs tels que des thermoscelleurs a impulsions
TW393422B (en) Heat sealing apparatus plastic bags
US202300532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Secondary Battery
JP2015205419A (ja) ヒートシー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4944B2 (ja) 接触型加熱装置
CN108860814B (zh) 密封装置
KR20180068395A (ko) 차량용 컵홀더
JP2017098022A (ja) セパレータ溶着装置
CN112736274B (zh) 包膜装置和包膜设备
GB2567450A (en) A hair styling appliance
CN111699568B (zh) 用于二次电池的密封装置
JP6722931B1 (ja) 熱溶着チップおよび熱溶着ユニット
US10384821B2 (en) Structure of heater for packing machine
JP6038680B2 (ja) ブレーカ装置
JP2016110768A (ja) 捲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