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966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966A
KR20150058966A KR1020130142369A KR20130142369A KR20150058966A KR 20150058966 A KR20150058966 A KR 20150058966A KR 1020130142369 A KR1020130142369 A KR 1020130142369A KR 20130142369 A KR20130142369 A KR 20130142369A KR 20150058966 A KR20150058966 A KR 2015005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m
main body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704B1 (ko
Inventor
이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월드
Priority to KR1020130142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70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드는 물통; 상기 물통의 상단에 결합되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뚜껑; 및 상기 물통의 하단에 결합되며, 전원과 송풍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통은,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 상기 물 저장부의 하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 상기 초음파 진동부의 구동을 위한 발진회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와 상기 발진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접속구, 상기 초음파 진동부, 상기 발진회로 및 상기 전기 접속구를 보호하는 물 무화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 무화부; 상단부가 상기 물 저장부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송풍구가 내장된 손잡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물통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프레임부; 상기 내측 테두리와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 상기 전기 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 접속돌출부;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관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상기 송풍구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관;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회로; 및 전원 온/오프, 송풍, 가습량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손잡이에 송풍구가 내장되고, 이러한 손잡이를 사용하여 물통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세척 및 물공급이 편리할 수 있고, 또한, 물통을 본체에 안착시키기 위한 내/외측 테두리로 물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 무화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내/외측 테두리에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물통의 손잡이만으로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거나, 물통만 들어올릴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내/외측 테두리의 접촉부를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물통을 본체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또한,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물통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관의 출구에 구비되는 역류 방지턱과 송풍구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물통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물이 송풍구를 통해 역류 시 역류된 물이 송풍팬과 전원 제어회로가 설치된 본체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기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쾌적하고 인체에 유익한 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습수를 무화시켜 공기 중에 분사하는 장치로서, 겨울철 혹은 실내의 메마르고 건조한 공기로 인한 호흡기 질환, 아토피 질환 등을 해소하기 위해 빈번히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가습기를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면, 가습기의 물통에 곰팡이나 세균 등의 번식에 의한 오염이 심각하게 발생되어 건강을 위한 가습기가 오히려 실내공기 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습기를 자주 세척해 주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세척이 용이하고 편리한 분리형 가습기가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10-0513693의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물통(10)과 별도로 가습용기(11)가 하우징(17)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가습용기(11)에는 물통(10)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12)와 유입된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 진동부(15), 송풍팬(18)으로부터 생성된 바람이 가이드관(19)을 따라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물통(10)과 가습용기(11) 사이의 급수연결 수단으로 복잡한 유체접속관(13)을 사용하고 있어 물의 이동경로 상에서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송풍구(14)가 가습용기(11)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공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가습기가 흔들리거나 충격을 받는 등의 문제로 가습용기(11)의 내부의 물이 송풍구(14)를 통해 하우징(17)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어 송풍팬(18)의 손상 및 전자회로(20)의 절연상태 손상에 기인하는 가습기의 고장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로우며 세척 및 물공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물통 내부의 물이 본체의 송풍팬 및 전원 제어회로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판을 이용하여 뚜껑을 자유롭고 안전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에서 발생된 증기의 유동을 회전판 삽입구 쪽으로 안내하여 가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과 본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물통의 전기 접속구용 접지단과 본체의 전기 접속돌출부용 접지단을 압착시켜 전기 접속 불량을 방지하고, 가이드관을 송풍구에 밀착시켜 송풍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구를 통해 역류되는 물통의 물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좁은 수납 공간에서 청소솔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때 편리하고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습기는,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드는 물통; 상기 물통의 상단에 결합되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뚜껑; 및 상기 물통의 하단에 결합되며, 전원과 송풍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통은,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 상기 물 저장부의 하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 상기 초음파 진동부의 구동을 위한 발진회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와 상기 발진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접속구, 상기 초음파 진동부, 상기 발진회로 및 상기 전기 접속구를 보호하는 물 무화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 무화부; 상단부가 상기 물 저장부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송풍구가 내장된 손잡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물통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프레임부; 상기 내측 테두리와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 상기 전기 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 접속돌출부;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관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상기 송풍구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관;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회로; 및 전원 온/오프, 송풍, 가습량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물통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리브; 및 상기 덮개의 상면 일부분에 결합 구비되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의 상기 손잡이로 상기 본체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물통만 들어올리도록, 상기 내측 테두리는, 일부분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테두리는,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피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체결부재는, 돌기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테두리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하측부의 상기 외측 테두리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의 상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ㄱ"자 형상의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체결부재는, 걸쇠홈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걸쇠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내측 테두리 쪽으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측 테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외압을 받을 때 복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수철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쇠홈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쇠의 일단부는 "∠"자 형상의 상기 걸쇠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에서, 상기 내측 테두리는 네거티브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외측 테두리는 포지티브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에서, 상기 내측 테두리 또는 상기 외측 테두리에 아이들 롤러를 장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송풍구를 통해 역류되는 물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역류 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역류 방지턱과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덮개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리브; 상기 리브의 내측 부분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증기 가이드 부재; 상기 증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 부분에 구비되는 회전판 삽입구; 및 상기 덮개의 상면 일부분에서 상기 회전판 삽입구에 삽입 결합되고,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 삽입구는, 내주면에 걸림편 레일과 걸림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은, 하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 홈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걸림편 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편 레일과 결합되는 제1 걸림편; 및 하면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 홈 및 상기 제1 걸림편보다 크기가 크고, 상기 걸림편 레일과 결합되는 제2 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은, 상면에 회전판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손잡이의 상부에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모양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은, 상기 내측 테두리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물 무화부 테두리;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며,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역류수로; 및 상기 역류수로와 연통되며,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역류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고, 내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과 밀착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보호방벽; 상기 역류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을 따라 상기 본체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배수공;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으로서,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며, 상기 보호방벽과 상기 배수로 사이에 형성되는 테두리 밀착부; 및 상기 보호방벽으로 둘러싸여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은, 돌출 구조를 이루는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압 돌기; 상기 내측 테두리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물 무화부 테두리; 및 상기 전기 접속구의 단부로서,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의 내측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접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고, 내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과 밀착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보호방벽; 및 상기 전기 접속돌출부의 단부로서, 상기 보호방벽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지단과 접속되는 제2 접지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물통을 상기 본체에 결합시킬 때 슬라이딩 되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다가 일정 부분부터는 단면적이 같아지는 반원 기둥 또는 반타원 기둥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방벽은, 상기 물통을 상기 본체에 안착 결합시킬 때, 상기 물통의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 및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이 슬라이딩되도록, 상단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지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공은, 상기 역류수공이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를 통해 역류된 물을 상기 본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통은, 상기 내측 테두리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물 무화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고, 내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과 밀착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보호방벽; 및 상기 보호방벽으로 둘러싸여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안착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청소솔을 보관하는 청소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솔 수납부는, 상기 보호방벽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를 구비하여 마련되는 수납 공간에 구비되는 고정막을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는, 중간 부분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은, 상기 청소솔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청소솔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인 손잡이;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솔;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봉은, 단부가 칼날 모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손잡이에 송풍구가 내장되고, 이러한 손잡이를 사용하여 물통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세척 및 물공급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물통을 본체에 안착시키기 위한 내/외측 테두리로 물통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 무화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내/외측 테두리에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물통의 손잡이만으로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거나, 물통만 들어올릴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내/외측 테두리의 접촉부를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물통을 본체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물통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관의 출구에 역류 방지턱을 구비하고, 송풍구와 연결되며 물통의 저면에 역류수로 및 역류수공을 형성하고, 본체의 상면에 배수공 및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써, 물통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물이 송풍구를 통해 역류 시 역류된 물이 송풍팬과 전원 제어회로가 설치된 본체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기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뚜껑의 밑면에 증기 가이드 부재를 구비시킴으로써, 물통에서 발생된 증기의 유동을 회전판 삽입구 쪽으로 안내하여 가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물통의 내벽 쪽으로 증기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어, 증기가 뚜껑 틈새로 누수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구로 응축수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뚜껑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구성하고, 손잡이 부분에 돌기가 형성되어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회전판을 구성함으로써, 회전판을 이용하여 뚜껑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물통의 물 무화부 하우징 측면에 복수 개의 가압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 안착부를 이루는 보호방벽의 모서리를 라운딩지게 형성함으로써, 물통과 본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물통의 전기 접속구용 접지단과 본체의 전기 접속돌출부용 접지단을 압착시킬 수 있어, 전기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관을 송풍구에 밀착시킬 수 있어, 송풍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솔의 손잡이 부분을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수납 공간의 칸막이 중간 부분에 요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좁은 수납 공간에서 청소솔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때 편리하고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외측 테두리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서 뚜껑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2에서 회전판의 확대 정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2에서 회전판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2에서 물통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물통의 배면도이다.
도 10a는 도 2에서 본체의 확대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청소솔 수납부 및 청소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결합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피체결부재와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내/외측 테두리의 슬라이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서 뚜껑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2에서 회전판의 확대 정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2에서 회전판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고, 도 9a는 도 2에서 물통의 확대 배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물통의 배면도이고, 도 10a는 도 2에서 본체의 확대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청소솔 수납부 및 청소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뚜껑(100), 물통(200), 본체(300)를 포함한다.
뚜껑(100)은, 후술할 물통(2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세척 및 물 공급시 간단히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100)은, 덮개(110), 리브(120), 회전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110)는, 가장자리 부분이 후술할 물통(200)의 상단에 밀착 결합될 수 있으며, 세척 및 물 공급시 물통(200)으로부터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덮개(110)는,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후술할 리브(120)가 구비될 수 있고, 리브(120)의 내측에 후술할 증기 가이드 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고, 상면 일부분에 후술할 회전판(130)이 구비될 수 있다.
리브(120)는, 덮개(110)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뚜껑(100)과 후술할 물통(200) 사이의 실링을 확보하기 위해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를 이룬다.
증기 가이드 부재(122)는, 리브(120)의 내측 부분에서 후술할 회전판 삽입구(124)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물통(200)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유동을 후술할 회전판 삽입구(124) 쪽으로 안내하기 위해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증기 가이드 부재(122)는, 후술할 물통(200)에서 발생된 증기의 유동을 후술할 회전판 삽입구(124) 쪽으로 안내할 수 있어, 가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물통(200)의 내벽 쪽으로 증기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어, 증기가 뚜껑(100)의 리브(120) 틈새로 누수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통(200)의 내벽에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시켜 후술할 송풍구(241)로 응축수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회전판 삽입구(124)는, 후술할 회전판(130)이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증기 가이드 부재(122)의 내측 부분에서 덮개(110)의 중앙 또는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 삽입구(124)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걸림편 레일(126) 및 후술할 걸림편 홈(128)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편 레일(126)은, 후술할 회전판(13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걸림편(133, 134)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후술할 걸림편 홈(128)에 의해 개곡선 형태를 이룬다.
걸림편 홈(128)은, 걸림편 레일(126)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편 홈(128)은, 후술할 회전판(130)의 제1 걸림편(133)보다는 크고, 제2 걸림편(134)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제1 걸림편(133)만 출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130)은, 덮개(110)의 상면 일부분에서 회전판 삽입구(124)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물통(200)으로부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130)은, 후술할 물통(200) 내에 물부족 시 물의 양을 소량씩 공급해줄 수 있도록 덮개(110)로부터 간단히 착탈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물통(200) 내부에 생성된 증기를 증기 배출구(131)를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덮개(11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에 용이하도록 전체 형상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증기 배출구(131)는, 회전판(130)을 중심으로 편향된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130)은, 상면에 회전판 손잡이(1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면에 제1 걸림편(133)과 제2 걸림편(134)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판 손잡이(132)는, 회전판(130)을 덮개(110)로부터 착탈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130)의 상면 중앙부분에 지느러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 손잡이(132)는, 상부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모양의 돌기(13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판(130)을 덮개(110)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착탈 또는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판(130)이 덮개(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100)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제1 걸림편(133)은, 회전판(130)이 회전판 삽입구(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편 레일(126)에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회전판(130)의 하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편(133)은 걸림편 홈(128)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편 레일(126)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걸림편 홈(128)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편(134)은, 회전판(130)이 회전판 삽입구(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편 레일(126)에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회전판(130)의 하면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편(134)은, 제1 걸림편(133)과 닮은 꼴일 수 있으나, 회전판(30)을 회전할 때 걸림편 레일(126)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적어도 걸림편 홈(12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걸림편(133, 134)각각은, 걸림편 레일(126)에 결합되어 회전판(130)을 회전 안내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지만, 이 기능에 더하여 제1 걸림편(133)은 회전판(130)을 덮개(110)로부터 착탈할 수 있게 하고, 제2 걸림편(134)은 회전판(130) 회전 시 또는 뚜껑(100)을 열고 닫을 때 회전판(130)이 덮개(110)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2 걸림편(134)을 제1 걸림편(133)과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제2 걸림편(134) 역시 걸림편 홈(128)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및 제2 걸림편(133, 134)일 때보다 회전판(130)이 덮개(110)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다.
물통(200)은, 후술할 본체(300)의 상단에 안착 결합되며, 상부는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할 수 있고, 하부는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세척 및 물공급 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컵의 형상을 하고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반투명 플라스틱 재질에 눈금이 형성되어, 물공급 시 또는 가습이 진행 중에 물통(200)의 물의 양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통(200)은, 물 저장부(210), 내측 테두리(220), 물 무화부(230), 손잡이(240), 가이드관 삽입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 저장부(210)는, 물통(2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뚜껑(100)이 결합되는 상면이 개방되고, 측면 및 하면이 밀폐된 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 저장부(210)는, 세척 및 물공급 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컵의 형상을 하고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반투명 플라스틱 재질에 눈금이 형성되어, 물공급 시 또는 가습이 진행 중에 물통(200)의 물의 양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저장부(210)의 측면 상부에는 후술할 손잡이(240)의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물 저장부(210)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의 후술할 내측 테두리(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물 저장부(210)의 하면 일부분에는 후술할 물 무화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내측 테두리(220)는, 후술할 본체(300)의 상단에 물통(200)을 안착 결합시킬 수 있도록, 물 저장부(210)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테두리(220)의 일부분에는 피체결부재(4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피체결부재(410)는 후술할 외측 테두리(320)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2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테두리(220)의 일부분에는 후술할 손잡이(240)의 하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내측 테두리(220)의 크기를 물 저장부(2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연결 부분에는 단턱(2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단턱(211)의 폭은 후술할 외측 테두리(32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내측 테두리(220)와 후술할 외측 테두리(320)를 결합했을 때, 외측 테두리(320)의 상단부가 단턱(211) 밀착되면서 가습기의 외측면이 굴곡 없이 일직 선상을 이루게 되어 가습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테두리(220)는, 후술할 본체(300)의 외측 테두리(320)와 함께 물통(200)이 후술할 본체(300)에 안착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내/외측 테두리(220, 3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물 무화부(230)는, 물 저장부(210)의 하면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통(200)의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231), 초음파 진동부(231)의 구동을 위한 발진회로(232), 초음파 진동부(231)와 발진회로(23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접점전력방식의 전기 접속구(233), 및 내측 테두리(2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구성 요소들(231, 232, 233)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 무화부 하우징(2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240)는, 물통(200)의 일측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부가 물 저장부(210)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내측 테두리(220)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40)는 플라스틱 재질로 물통(200)의 세척 및 물공급 시 휴대성이 용이한 기능을 가질뿐만 아니라, 후술할 본체(300)의 송풍팬(340)으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물 저장부(210)의 내부 상단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송풍 통로의 역할을 하는 중공 형태의 송풍구(241)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관 삽입부(250)는, 후술할 가이드관(35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물 무화부 하우징(234)과 손잡이(240)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내측 테두리(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물통(200)에는 수위센서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위센서부는 일정 부분 이하로 수위가 떨어지게 되면 가습기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장치라 정의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습기의 수위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통(200)의 하단은, 전술한 물 무화부 하우징(234), 가압 돌기(235), 물 무화부 테두리(236), 역류수로(238), 역류수공(239), 제1 접지단(233a), 전술한 가이드 삽입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 무화부 하우징(234)는, 후술할 물 무화부 테두리(23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237)에서 후술할 본체(300)의 하우징 안착부(356)에 대응되도록 돌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물통(200)과 본체(300) 결합시, 후술할 하우징 안착부(356)에 안착될 수 있다.
가압 돌기(235)는, 물 무화부 하우징(234)의 측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본체(300)의 보호방벽(355) 또는 후술할 청소솔 수납부(500)의 칸막이(510)에 밀착 삽입될 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다가 일정 부분부터는 단면적이 같아지는 반원 기둥 또는 반타원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압 돌기(235)는, 후술할 제1 접지단(233a)과 후술할 본체(300)의 제2 접지단(233b)을 상호 압착시키고, 또한 송풍구(241)와 후술할 본체(300)의 가이드관(350)을 상호 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압 돌기(235)는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지만, 후술할 본체(300)의 보호방벽(355)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235)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하고, 후술할 청소솔 수납부(500)의 칸막이(510)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235)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후술할 보호방벽(355)의 상부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형태여서 가압 돌기(235)가 작더라도 용이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지만, 후술할 칸막이(510)는 수직벽을 이루고 있어 이와 밀착되는 가압 돌기(235)를 크게 하여야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 무화부 테두리(236)는, 내측 테두리(220)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물 무화부 테두리(236)의 하단부는 후술할 본체(300)의 테두리 밀착부(354)의 상단부와 밀착될 수 있고, 내측부는 후술할 본체(300)의 보호방벽(355)의 외측부와 밀착될 수 있다.
역류수로(238)는, 물 무화부 테두리(236) 내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역류수로(238)는, 송풍구(241) 및 후술할 역류수공(239)과 각각 연통될 수 있으며, 송풍구(24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역류수공(239)으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역류수공(239)은, 물 무화부 테두리(236)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역류수공(239)은, 역류수로(238)와 연통될 수 있으며, 역류수로(238)를 통해 흐르는 물을 후술할 본체(300)의 배수로(352) 및 배수공(353)으로 보내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제1 접지단(233a)은, 전기 접속구(233)의 단부로서, 물 무화부 테두리(236)의 내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지단(233a)은, 후술할 본체(300)의 제2 접지단(233b)과 접속되어 물 무화부(230) 내부의 전기 장치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관 삽입부(250)는,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물통(200)의 하단은, 물통(200)을 후술할 본체(300)에 안착시킬 때, 본체(300)의 상단과 밀착되는데, 본체(300)의 상단 구성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어, 하기에서 본체(300)의 상단 구성을 설명함에 의해 그 구성이 더 구체화될 것이다.
본체(300)는, 상부에 물통(200)을 안착시켜 가습기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물 무화부(230)를 구동시키는 전원 수단과 무화상태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 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0)는, 프레임부(310), 외측 테두리(320), 전기 접속돌출부(330), 송풍팬(340), 가이드관(350), 스위치(360), 전원 제어회로(370), 전원코드 케이블(3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310)는,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후술할 외측 테두리(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 일부분에 후술할 가이드관(350)이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후술할 전기 접속돌출부(330), 후술할 송풍팬(340)을 수용할 수 있고, 측면에 후술할 스위치(360), 후술할 전원코드 케이블(380)이 구비될 수 있다.
외측 테두리(320)는, 상부에 물통(200)을 안정적으로 안착 결합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부(31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시에 내측 테두리(220)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외측 테두리(220, 320)는, 초음파 진동부(231), 발진회로(232), 전기 접속구(233) 등이 설치되는 물 무화부(2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측 테두리(320)의 일부분에는 체결부재(4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420)는 내측 테두리(220)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410)에 대응될 수 있다.
내/외측 테두리(220, 320)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410)와 체결부재(420)는, 물통(200)의 손잡이(240)만으로 본체(300)를 들어올릴 수 있거나, 물통(200)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테두리(220)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410)가 돌기(411)일 경우, 외측 테두리(320)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20)는 돌기(411)가 삽입되도록 외측 테두리(320)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홈(421)과, 가이드홈(421) 하측부의 외측 테두리(320)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돌기(411)의 상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ㄱ"자 형상의 걸쇠(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쇠(422)는 일측부에 구비되는 축(42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축(424) 주변에 탄성부재(423)가 장착되어 걸쇠(422)의 타측부가 외압을 받을 때 복귀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결부재(420)는, 물통(200)을 본체(300)에 결합할 때 걸쇠(422)의 타측부가 돌기(411)의 인입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리게되어 가이드홈(421)이 개방되고, 돌기(411)가 가이드홈(411) 하부에 위치되었을 때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422)의 타측부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귀되어 돌기(411)으로 잡아주게 된다. 반대로, 물통(200)을 본체(300)로부터 분리할 때 걸쇠(422)의 타측부가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리게되어 가이드홈(421)이 개방되고, 이때 돌기(411)를 가이드홈(421)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미는 힘을 빼는 순간 탄성부재(423)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422)의 타측부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최초 상태로 복귀됨은 물론이다.
걸쇠(422)의 타측부는 단부로 가면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물통(200)을 본체(300)에 안착시킬 때 돌기(411)가 걸쇠(422)의 타측부에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가이드홈(421) 하부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테두리(220)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410)가 걸쇠홈(412)일 경우, 외측 테두리(320)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20)는, 걸쇠홈(4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외측 테두리(320)로부터 내측 테두리(220) 쪽으로 돌출되고, 물통(200)을 본체(300)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타단부가 외측 테두리(320)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걸쇠(425)와, 걸쇠(425)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외압을 받을 때 복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수철(4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쇠(425)는 중심부에 구비되는 축(42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체결부재(420)는, 물통(200)을 본체(300)에 결합할 때 걸쇠(425)의 일단부가 내측 테두리(220)의 인입력에 의해 밀게되어 외측 테두리(320) 내부로 들어가고, 걸쇠(425)의 일단부가 걸쇠홈(412)에 위치되었을 때 용수철(426)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425)의 일단부가 걸쇠홈(412)으로 삽입된다. 반대로, 물통(200)을 본체(300)로부터 분리할 때 걸쇠(425)의 타단부가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밀게되어 외측 테두리(320) 내부로 들어가면서, 걸쇠(425)의 일단부가 걸쇠홈(412)으로부터 이탈된다.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빼는 순간 용수철(426)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425)의 타단부가 외측 테두리(320)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됨은 물론이다.
걸쇠홈(412)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걸쇠(425)의 일단부는 "∠"자 형상의 걸쇠홈(4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데, 이는 물통(200)을 본체(300)에 안착시킬 때 걸쇠(425)의 일단부가 내측 테두리(220)의 단부에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외측 테두리(320)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고, 걸쇠(425)의 일단부가 걸쇠홈(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물통(200)의 손잡이(240)만으로 본체(300)를 들어올릴 때 본체(300)를 용이하게 잡아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내/외측 테두리(220, 320)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410)와 체결부재(420)를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피체결부재(410)와 체결부재(4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착탈 가능한 모든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외측 테두리(320)는, 물통(200)을 본체(300)에 인입하거나 인출할 때 서로 쉽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테두리(220)와 외측 테두리(320)가 접촉하는 접촉부(430)에서, 내측 테두리(220)는 네거티브 경사면을 이루고, 외측 테두리(320)는 포지티브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물통(200)의 본체(300) 인입 또는 인출 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테두리(220)와 외측 테두리(320)가 접촉하는 접촉부(430)에서, 내측 테두리(220) 또는 외측 테두리(320)에 아이들 롤러(440)를 장착하여 물통(200)의 본체(300) 인입 또는 인출 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게 한다.
전기 접속돌출부(330)는, 프레임부(3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기 접속구(233)와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340)은, 프레임부(3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프레임부(310)의 하면에 구비되는 공기 흡입구(39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할 가이드관(350), 손잡이(240)의 송풍구(241)를 통해 물 저장부(210)의 상부로 바람을 보내어 무화상태의 증기가 증기 배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관(350)은, 프레임부(310)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물통(200)의 가이드관 삽입부(250)에 결합되어 송풍팬(340)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송풍구(241)로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관(350)은, 송풍팬(340)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손잡이(240)의 송풍구(241)로 효율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출구가 송풍구(241)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관(350)은, 물통(200)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물통(2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송풍구(241)를 통해 역류 시, 역류된 물이 송풍팬(340)과 전원 제어회로(370)가 설치된 본체(300)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역류 방지턱(351)이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360)는, 프레임부(3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전원 온/오프, 송풍, 가습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전원 제어회로(370)는, 프레임부(3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가습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300)의 상단은, 전술한 가이드관(350), 배수로(352), 배수공(353), 테두리 밀착부(354), 보호방벽(355), 하우징 안착부(356), 제2 접지단(233b), 청소솔 수납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가이드관(350)은,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배수로(352)는, 외측 테두리(320)의 내측을 따라 본체(300)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로(352)는, 역류수공(239) 및 후술할 복수 개의 배수공(353)과 각각 연통될 수 있으며, 역류수공(239)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배수공(353)으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한다.
배수공(353)은, 외측 테두리(320)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역류수공(239)이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배수공(353)은, 배수로(352)와 연통될 수 있으며, 배수로(352)를 통해 흐르는 물을 본체(300)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역류수로(238), 역류수공(239), 배수로(352), 배수공(353)은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통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풍구(241)를 통해 역류된 물이 이들 통로(238, 239, 352, 353)를 통해 본체(30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한다.
테두리 밀착부(354)는, 본체(300) 상단의 기저면으로서, 후술할 보호방벽(355)을 형성함에 의해 배수로(352)와 후술할 보호방벽(3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밀착부(354)의 상단부는 물 무화부 테두리(236)의 하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보호방벽(355)은, 외측부가 물 무화부 테두리(236)와 밀착될 수 있고, 내측부가 물 무화부 하우징(234)과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 테두리(320)의 내측에 위치되며, 본체(300)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방벽(355)은, 물통(200)을 본체(300)에 안착 결합시킬 때, 물통(200)의 물 무화부 테두리(236) 및 물 무화부 하우징(234)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단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지게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안착부(356)는, 보호방벽(355)을 형성함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보호방벽(355)으로 둘러싸여 물 무화부 하우징(234)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안착부(356)는, 물 무화부 하우징(234)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접지단(233b)은, 전기 접속돌출부(233)의 단부로서, 보호방벽(355)의 외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지단(233b)은, 물통(200)의 제1 접지단(233b)과 접속되어 물 무화부(230) 내부의 전기 장치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청소솔 수납부(500)는, 청소솔(600)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우징 안착부(356)의 일측부에 형성할 수 있다. 청소솔 수납부(500)는, 보호방벽(355)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칸막이(510)를 구비하여 수납 공간(520)을 마련하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청소솔(600)을 보관할 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납 공간(520)에 고정홈(535)이 형성된 고정막(530)이 구비될 수 있다.
청소솔(600)을 용이하게 청소솔 수납부(500)로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칸막이(510)의 중간 부분에 요홈(510a)이 형성될 수 있다.
청소솔(600)은, 몸체(610)와, 몸체(6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손잡이(620)와, 몸체(610)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솔(630)과, 손잡이(620)로부터 연장되며 고정홈(535)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봉(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청소솔 수납부(500)는, 한정된 공간에 형성되므로, 청소솔(600)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좁은 공간일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청소솔(600)을 청소솔 수납부(500)에 넣고 빼내기가 불편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청소솔(600)의 손잡이(620)의 단면 형상을 마름모꼴로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으로 청소솔(600)을 눌렀을 때 좌측 또는 우측 공간을 확보하여 할 수 있어, 좁은 수납 공간(520)에서 청소솔(600)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때 편리하고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청소솔(600)로서 가습기를 청소할 때, 솔(630)로 잘 지워지지 않는 찌든 때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고정봉(640)의 단부(641)를 칼날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잡이(240)에 송풍구(241)가 내장되고, 이러한 손잡이(240)를 사용하여 물통(200)을 본체(300)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이동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세척 및 물공급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물통(200)을 본체(300)에 안착시키기 위한 내/외측 테두리(220, 320)로 물통(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물 무화부(2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습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외측 테두리(220, 320)에 피체결부재(410)와 체결부재(420)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물통(200)의 손잡이(240)만으로 본체(300)를 들어올릴 수 있거나, 물통(200)만 들어올릴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외측 테두리(220, 320)의 접촉부(430)를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물통(200)을 본체(300)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송풍팬(340)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물통(20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관(350)의 출구에 역류 방지턱(351)을 구비하고, 송풍구(241)와 연결되는 물통(200)의 저면에 역류수로(238) 및 역류수공(239)을 형성하고, 본체(300)의 상면에 배수로(352) 및 배수공(353)을 형성함으로써, 물통(200)의 충격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물이 송풍구(241)를 통해 역류 시 역류된 물이 송풍팬(340)과 전원 제어회로(370)가 설치된 본체(300)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습기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뚜껑(100)의 밑면에 증기 가이드 부재(122)를 구비시킴으로써, 물통(200)에서 발생된 증기의 유동을 회전판 삽입구(124) 쪽으로 안내하여 가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물통(200)의 내벽 쪽으로 증기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어, 증기가 뚜껑 틈새로 누수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구(241)로 응축수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결합된 상태에서는 뚜껑(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구성하고, 손잡이(132) 부분에 돌기(132a)가 형성되어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회전판(130)을 구성함으로써, 회전판(130)을 이용하여 뚜껑(100)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물통(200)의 물 무화부 하우징(234) 측면에 복수 개의 가압 돌기(235)를 형성하고, 하우징 안착부(356)를 이루는 보호방벽(355)의 모서리를 라운딩지게 형성함으로써, 물통(200)과 본체(3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물통(200)의 전기 접속구용 접지단(233a)과 본체(300)의 전기 접속돌출부용 접지단(233b)을 압착시킬 수 있어, 전기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관(350)을 송풍구(241)에 밀착시킬 수 있어, 송풍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습기를 청소하기 위한 청소솔(600)의 손잡이(620) 부분을 단면이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수납 공간(520)의 칸막이(510) 중간 부분에 요홈(510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좁은 수납 공간(520)에서 청소솔(600)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때 편리하고 용이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물통 11: 가습용기
13: 유체접속관 14: 송풍구
15: 초음파 진동부 16: 하우징
17: 송풍팬 18: 가이드관
19: 전자회로
100: 뚜껑 110: 덮개
120: 리브 122: 증기 가이드 부재
124: 회전판 삽입구 126: 걸림편 레일
128: 걸림편 홈 130: 회전판
131: 증기 배출구 132: 회전판 손잡이
132a: 돌기 133: 제1 걸림편
134: 제2 걸림편 200: 물통
210: 물 저장부 211: 단턱
220: 내측 테두리 230: 물 무화부
231: 초음파 진동부 232: 발진회로
233: 전기 접속구 233a: 제1 접지단
233b: 제2 접지단 234: 물 무화부 하우징
235: 가압 돌기 236: 물 무화부 테두리
237: 공간부 238: 역류수로
239: 역류수공 240: 손잡이
241: 송풍구 250: 가이드관 삽입부
300: 본체 310: 프레임부
320: 외측 테두리 330: 전기 접속돌출부
340: 송풍팬 350: 가이드관
351: 역류 방지턱 352: 배수로
353: 배수공 354: 테두리 밀착부
355: 보호방벽 356: 하우징 안착부
360: 스위치 370: 전원 제어회로
380: 전원코드 케이블 390: 공기 흡입구
410: 피체결부재 411: 돌기
412: 걸쇠홈 420: 체결부재
421: 가이드홈 422, 425: 걸쇠
423: 탄성부재 424, 427: 축
426: 용수철 430: 접촉부
440: 아이들 롤러 500: 청소솔 수납부
510: 칸막이 510a: 요홈
520: 수납 공간 530: 고정막
535: 고정홈 600: 청소솔
610: 몸체 620: 손잡이
630: 솔 640: 고정봉
641: 단부

Claims (22)

  1.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드는 물통;
    상기 물통의 상단에 결합되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뚜껑; 및
    상기 물통의 하단에 결합되며, 전원과 송풍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물통은,
    초음파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
    상기 물 저장부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
    상기 물 저장부의 하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물을 무화상태의 증기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 상기 초음파 진동부의 구동을 위한 발진회로, 상기 초음파 진동부와 상기 발진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접속구, 상기 초음파 진동부, 상기 발진회로 및 상기 전기 접속구를 보호하는 물 무화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물 무화부;
    상단부가 상기 물 저장부의 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내측 테두리의 일부분에 연결되며, 송풍구가 내장된 손잡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내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물통의 상단에 밀착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프레임부;
    상기 내측 테두리와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
    상기 전기 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 접속돌출부;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송풍팬;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관 삽입부에 결합되어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나온 바람을 상기 송풍구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이드관;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회로; 및
    전원 온/오프, 송풍, 가습량을 조절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덮개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리브; 및
    상기 덮개의 상면 일부분에 결합 구비되며,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상기 손잡이로 상기 본체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물통만 들어올리도록,
    상기 내측 테두리는, 일부분에 설치되는 피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테두리는, 일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피체결부재와 대응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재는, 돌기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테두리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개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 하측부의 상기 외측 테두리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돌기의 상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ㄱ"자 형상의 걸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부재는, 걸쇠홈이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걸쇠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내측 테두리 쪽으로 돌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측 테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외압을 받을 때 복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수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홈은,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쇠의 일단부는 "∠"자 형상의 상기 걸쇠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에서,
    상기 내측 테두리는 네거티브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외측 테두리는 포지티브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두리와 상기 외측 테두리가 접촉하는 접촉부에서,
    상기 내측 테두리 또는 상기 외측 테두리에 아이들 롤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송풍구를 통해 역류되는 물이 상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출구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역류 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역류 방지턱과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 사이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덮개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리브;
    상기 리브의 내측 부분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증기 가이드 부재;
    상기 증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 부분에 구비되는 회전판 삽입구; 및
    상기 덮개의 상면 일부분에서 상기 회전판 삽입구에 삽입 결합되고,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삽입구는,
    내주면에 걸림편 레일과 걸림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하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 홈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걸림편 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편 레일과 결합되는 제1 걸림편; 및
    하면 타측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 홈 및 상기 제1 걸림편보다 크기가 크고, 상기 걸림편 레일과 결합되는 제2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면에 회전판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 손잡이의 상부에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내측 테두리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물 무화부 테두리;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며,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역류수로; 및
    상기 역류수로와 연통되며,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역류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고, 내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과 밀착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보호방벽;
    상기 역류수공과 연통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을 따라 상기 본체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배수공;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으로서,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며, 상기 보호방벽과 상기 배수로 사이에 형성되는 테두리 밀착부; 및
    상기 보호방벽으로 둘러싸여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돌출 구조를 이루는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압 돌기;
    상기 내측 테두리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물 무화부 테두리; 및
    상기 전기 접속구의 단부로서,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의 내측 일부에 형성되는 제1 접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고, 내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과 밀착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보호방벽; 및
    상기 전기 접속돌출부의 단부로서, 상기 보호방벽의 외측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지단과 접속되는 제2 접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물통을 상기 본체에 결합시킬 때 슬라이딩 되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다가 일정 부분부터는 단면적이 같아지는 반원 기둥 또는 반타원 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방벽은,
    상기 물통을 상기 본체에 안착 결합시킬 때, 상기 물통의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 및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이 슬라이딩되도록, 상단 모서리부분을 라운딩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상기 역류수공이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를 통해 역류된 물을 상기 본체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내측 테두리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물 무화부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테두리와 밀착되고, 내측부가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과 밀착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본체 상단의 기저면에 형성되는 보호방벽; 및
    상기 보호방벽으로 둘러싸여 상기 물 무화부 하우징이 안착되는 하우징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안착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며, 청소솔을 보관하는 청소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솔 수납부는,
    상기 보호방벽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칸막이; 및
    상기 칸막이를 구비하여 마련되는 수납 공간에 구비되는 고정막을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는,
    중간 부분에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막은,
    상기 청소솔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솔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단면 형상이 마름모꼴인 손잡이;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솔;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단부가 칼날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30142369A 2013-11-21 2013-11-21 가습기 KR10161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69A KR101610704B1 (ko) 2013-11-21 2013-11-21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369A KR101610704B1 (ko) 2013-11-21 2013-11-21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966A true KR20150058966A (ko) 2015-05-29
KR101610704B1 KR101610704B1 (ko) 2016-04-08

Family

ID=5339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369A KR101610704B1 (ko) 2013-11-21 2013-11-21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77B1 (ko) * 2015-10-23 2016-11-18 주식회사 엠엔 분리형 살균 가습기
CN110513804A (zh) * 2019-09-06 2019-11-29 缙云新阳工艺品有限公司 一种保持文物湿度的空气加湿器
CN115235015A (zh) * 2022-05-06 2022-10-25 湖南星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调控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048B1 (ko) * 2016-07-25 2017-10-23 아스코코리아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851B1 (ko) * 2008-08-20 2008-11-13 안석환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
KR101180598B1 (ko) * 2009-08-23 2012-09-06 안석환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677B1 (ko) * 2015-10-23 2016-11-18 주식회사 엠엔 분리형 살균 가습기
CN110513804A (zh) * 2019-09-06 2019-11-29 缙云新阳工艺品有限公司 一种保持文物湿度的空气加湿器
CN115235015A (zh) * 2022-05-06 2022-10-25 湖南星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调控空调
CN115235015B (zh) * 2022-05-06 2023-10-24 湖南星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调控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704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48B1 (ko) 가습기
CA2628573C (en) 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AU2004202941B2 (en) Complex type cleaner
KR100868851B1 (ko) 방향기능이 겸비된 세척이 간편한 초음파 가습기
CN101749821B (zh) 加湿器
US773518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with water cleaning function
KR101610704B1 (ko) 가습기
KR20170051276A (ko) 가습공기청정기
RU2675093C1 (ru) Пылесос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ой
KR101180598B1 (ko)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JP7205858B2 (ja) 加湿空気清浄機
US20090183333A1 (en) Vacuum Dust Collector
CN215457682U (zh) 一种扫地机器人基站与扫地机器人系统
JP2012013361A (ja) 小型加湿機および静電霧化手段搭載の小型加湿機
KR20200000264U (ko) 핸디형 진공청소기
KR20080095580A (ko) 향기발생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120015477A (ko) 로봇청소기
JP6960566B2 (ja) 加湿装置
CN216876265U (zh) 一种气液分离装置及回收箱
JP2013032866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101222723B1 (ko) 청소기의 노즐
JP2013068352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CN220069632U (zh) 抽吸装置和清洁设备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KR10125335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