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730A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730A
KR20150058730A KR1020130141835A KR20130141835A KR20150058730A KR 20150058730 A KR20150058730 A KR 20150058730A KR 1020130141835 A KR1020130141835 A KR 1020130141835A KR 20130141835 A KR20130141835 A KR 20130141835A KR 20150058730 A KR20150058730 A KR 20150058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us bar
cut
battery cell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8730A/ko
Priority to CN201410187371.5A priority patent/CN104659315B/zh
Priority to US14/488,457 priority patent/US9577241B2/en
Publication of KR2015005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의 파단을 유발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음극 탭과 양극 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탭과, 음극 탭과 양극 탭을 연결하는 버스바로 구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버스바는 배터리 셀의 팽창에 의해 파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바의 파단을 유발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여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비롯하여 전기자동차나 연료전지 자동차에는 차량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고전압 배터리는 다수의 단위전지 또는 모듈을 연결하여 고전압을 만들 수 있는 배터리팩이 구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높은 전력을 발생시킨다.
배터리팩으로는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또는 파우치형 전지 등이 주로 사용되며, 배터리팩의 단위전지(배터리셀)로는 용량 대비 고출력을 제공하는 리튬 이온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온전지는 근본적으로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파우치형 전지의 경우 전지케이스의 기계적 강성이 낮고 밀봉부가 분리되었을 때 전해액 등 발화성 물질이 누설되어 화재의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특히, 셀 내부에 전해액이 주입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가 과충전되면 전압이 상승하게 되고, 과열로 인해 셀 내부의 전해액이 분해되어 가연성 가스가 셀 내부적으로 발생됨으로써, 파우치 자체가 팽창되는 스웰링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배터리의 발화 및 폭발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배터리의 과충전에 따른 스웰링 현상 발생시 배터리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의 과충전 시 내부의 가스 발생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팽창시 버스바에 형성된 절단부를 파단시켜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음극 탭과 양극 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탭과, 음극 탭과 양극 탭을 연결하는 버스바로 구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버스바는 배터리 셀의 팽창에 의해 파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는 절단부를 파단할 수 있는 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파단부의 일단은 절단부에 접하고, 타단은 배터리 셀에 구비되어, 배터리 셀의 팽창시 절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절단부는 버스바의 폭 방향으로 절취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파단부와 접하는 절단부의 두께가 파단부와 접하지 않는 절단부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파단부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버스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커버가 버스바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따르면, 배터리 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에 절취선 형상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배터리의 팽창시 파단부가 절단부를 가압하여 파단시킴으로써, 배터리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200)는 배터리 모듈(210), 전극 탭(220), 버스바(230), 커버(240), 및 파단부(250)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210)은 판 형상으로 복수개의 배터리 셀(2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된다.
전극 탭(220)은 음극 탭(222) 및 양극 탭(224)으로 구성되며, 전극 탭(220)의 각각은 배터리 셀(212)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버(240)는 평판 형상으로 버스바(230) 파단시 늘어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버스바(2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커버(240)는 상부 커버(242)와 하부 커버(244)로 구성되며, 전극 탭(220) 상단에 구비된다.
상 하부 커버(242, 244)의 중심에는 홀들(246, 248)이 형성되며, 이 홀들(246, 248)은 파단부(250)가 버스바(23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파단부(25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 커버(244)의 상면에는 버스바(2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249)이 형성된다.
버스바(230)는 "ㄷ" 형상으로 상부 커버(242)와 하부 커버(244) 사이에 배치되어, 버스바(23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부 커버(244)의 홈(249)에 설치된다.
또한, 버스바(230)에는 배터리 모듈(210)의 팽창에 의해 파단되는 절단부(232)가 구비되며, 특히, 절단부(232)는 버스바(230) 전면 중에서 상 하부 커버(242, 244)의 홀(246, 248)에 위치되는 버스바(230)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 1 및 도 2에서 버스바(230)의 형상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버스바가 어떠한 형상이든 버스바 상에 절단부가 형성되어 파단될 수 있으면 된다.
파단부(250)는 절단부(232)의 파단을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파단부(250)의 일단은 절단부(232)에 접하고, 타단은 배터리 모듈(210)의 일측에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단부(250)는 하부 커버(244)의 홀에 대응하여 위치되되, 홀(248)을 통하여 하부 커버(244)의 홀 상부에 위치되는 절단부(232)와 접한다.
여기서, 절단부(2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30)의 폭 방향으로 절취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단부(250)와 접하는 절단부(232)의 두께가 파단부(250)와 접하지 않는 절단부(232)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 하부 커버(242, 244) 및 파단부(250)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고분자 부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210) 충전시 과충전을 하게 되면, 배터리 셀(212)의 온도가 발열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배터리 셀(212)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면서 배터리 셀(212)이 팽창하게 된다.
배터리 셀(212)의 팽창에 의해 배터리 모듈(210) 전방에 결합되는 파단부(250)는 하부 케이스(244)가 위치된 방향(화살표 C)으로 이동하게 되며, 파단부(250)는 하부 케이스(244)의 홀(248)을 관통한다.
이후, 파단부(250)는 파단부(250)의 일측에 접한 절단부(232)를 가압하게 되며, 절단부(232)는 절취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파단부(250)가 가하는 힘에 의해 쉽게 절단되고, 이에 배터리 모듈(21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더 이상의 과충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터리 셀에 전원을 공급하는 버스바에 절취선 형상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배터리의 팽창시 파단부가 절단부를 가압하여 파단시킴으로써, 배터리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200 :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210 : 배터리 모듈
212 : 배터리 셀 220 : 전극 탭
230 : 버스바 232 : 절단부
240 : 커버 242 : 상부 커버
244 : 하부 커버 246, 248 : 홀
249 : 홈 250 : 파단부

Claims (7)

  1.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음극 탭과 양극 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탭과, 및 상기 음극 탭과 상기 양극 탭을 연결하는 버스바로 구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팽창에 의해 파단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는 상기 절단부를 파단할 수 있는 파단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의 일단은 상기 절단부에 접하고, 타단은 상기 배터리 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팽창시 상기 절단부를 가압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버스바의 폭 방향으로 절취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와 접하는 상기 절단부의 두께가 상기 파단부와 접하지 않는 상기 절단부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는 부도체 재질로 형성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커버가 상기 버스바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0130141835A 2013-11-21 2013-11-21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KR20150058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835A KR20150058730A (ko) 2013-11-21 2013-11-21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CN201410187371.5A CN104659315B (zh) 2013-11-21 2014-05-06 电池过充防止装置
US14/488,457 US9577241B2 (en) 2013-11-21 2014-09-17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of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835A KR20150058730A (ko) 2013-11-21 2013-11-21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30A true KR20150058730A (ko) 2015-05-29

Family

ID=5317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835A KR20150058730A (ko) 2013-11-21 2013-11-21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77241B2 (ko)
KR (1) KR20150058730A (ko)
CN (1) CN10465931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543A (ko)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20180035255A (ko) * 2016-09-28 2018-04-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90079923A (ko) * 2017-12-28 2019-07-08 세방전지(주) 과충전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베터리
WO2019156390A1 (ko) * 2018-02-09 2019-08-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차단부를 구비한 버스바 및 그것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WO2020246675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54107B1 (en) * 2015-10-06 2018-09-12 Samsung SDI Co., Ltd. Busbar
KR102298105B1 (ko) * 2019-01-08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웰링 게이지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2582699B (zh) * 2021-01-14 2021-09-03 高唐融知融智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防止过充放电的蓄电池安装设备
CN113692674B (zh) * 2021-03-23 2023-05-02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及包括该电池模组的电子装置
CN113363684B (zh) * 2021-05-31 2022-07-12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组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0994A (en) * 1995-11-02 1998-06-23 Cooper Industries, Inc. Fuse element for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CN200950452Y (zh) * 2006-08-23 2007-09-19 深圳华粤宝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断路防爆阀及其防爆电池
JP5037308B2 (ja) * 2006-11-21 2012-09-26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US8080328B2 (en) * 2006-11-21 2011-12-20 Hitachi Vehicle Energy,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connection breal off mechanism in case of abnormal battery operation
KR101128423B1 (ko) * 2008-04-28 2012-03-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충방전 시스템
KR101608694B1 (ko) * 2009-07-20 2016-04-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KR101279994B1 (ko) * 2010-10-15 2013-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리드에 안전부재가 위치한 구조의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전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4543A (ko) 2015-12-22 2017-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20180035255A (ko) * 2016-09-28 2018-04-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90079923A (ko) * 2017-12-28 2019-07-08 세방전지(주) 과충전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베터리
WO2019156390A1 (ko) * 2018-02-09 2019-08-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차단부를 구비한 버스바 및 그것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US11139543B2 (en) 2018-02-09 2021-10-05 Lg Chem, Ltd. Bus bar including current breaking portion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20246675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59315A (zh) 2015-05-27
US9577241B2 (en) 2017-02-21
US20150140390A1 (en) 2015-05-21
CN104659315B (zh)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8730A (ko)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JP7041810B2 (ja) ベンティングガスを用いてコネクターを破断する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1294168B1 (ko)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102272264B1 (ko) 단락 연결부를 갖는 전지 모듈
EP2768047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KR10091483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EP2741391B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EP2741348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KR101182284B1 (ko) 이차 전지
US11046206B2 (en) Battery module with short-circuit unit,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5575761B2 (ja) 安全性を改良し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30337297A1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KR20100076699A (ko) 이차 전지
KR20060116424A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KR101944837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KR20090131573A (ko) 배터리 과충전시 전원차단장치
KR101825782B1 (ko) 전지팩
US10651457B2 (en) Battery module
KR101968345B1 (ko) 이차 전지
US9843032B2 (en) Battery module
JP2013003136A (ja) バッテリー過充電防止装置
KR101927398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20056812A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JP2014527703A (ja) 電池
KR101500233B1 (ko) 차량의 고전압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