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717A -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 Google Patents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717A
KR20150057717A KR1020130141425A KR20130141425A KR20150057717A KR 20150057717 A KR20150057717 A KR 20150057717A KR 1020130141425 A KR1020130141425 A KR 1020130141425A KR 20130141425 A KR20130141425 A KR 20130141425A KR 20150057717 A KR20150057717 A KR 20150057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motor
chair
ground
tensil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1084B1 (en
Inventor
남연성
정래상
신재훈
하진석
최지연
Original Assignee
남연성
하진석
최지연
신재훈
정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연성, 하진석, 최지연, 신재훈, 정래상 filed Critical 남연성
Priority to KR102013014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084B1/en
Priority to PCT/KR2014/011218 priority patent/WO2015076596A1/en
Publication of KR2015005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7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9Thorax
    • A61H2201/162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 A61H2230/805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which automatically and manually lifts a backbone to erect a backbone. The apparatus includes: a frame unit which is extend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can be detachably joined with a chair; a motor which is arranged on the frame and provides tensile strength to a pulling rope; the pulling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wearable part; and the wearable part which is joined with one end of the pulling rope and is worn on an upper body of a patient in order to pull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apparatus lifts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ith tensile strength, provided by the motor to the pulling rope in order to erect the backb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on area, acting as a lifting point, is located on the weight center of a triangle having angular points of a first thoracic vertebrae and both shoulder blades. Therefore, when the apparatus lifts the action area, the backbone of the patient is erected and lifted vertically. Moreover, the apparatus provides a lifting degree efficient for disc treatment as the motor provides tensile strength based on the measured weight of the patient. In addition, the apparatus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hair and is portable. The apparatus can conveniently lift a backbone in daily life becaus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chair is not needed. Furthermore, a user can adjust a lifting degree by using a controller according to a condition of a body of the user.

Description

능동형 척추 견인 장치{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vertebral-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으로 척추를 기립하도록 견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manually pulling up a spine.

일반적으로 현대인은 사무실, 학교, 운전중과 같이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의자에 앉아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자세가 쉽게 흐트러지게 되어 계속하여 흐트러진 자세를 바로 잡아 주기 위하여 신경을 써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흐트러진 자세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게 될 경우 척추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직장인은 업무 효율이 저하되게 되고, 공부에 집중을 하여야 하는 학생들도 공부에 집중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장시간 운전을 해야 하는 운전직 종사자들 또한 자세가 쉽게 흐트러지게 되어 척추 변형 및 척추 질환으로 통증으로 인한 운적직을 포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modern people are sitting on chairs for most of the day, such as during office, school, and driving. However,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the posture becomes easily disturbed, and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to pay attention to correct the disrupted posture continuously. When the user sit in the chair for a long time in a disheveled postu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students who have to concentrate on study can not concentrate on the study. Also, the driver who has to drive for a long time is also easily distracted from the postur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giving up luck.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게 되는 경우, 척추 질환으로는 디스크가 대표적이며 디스크는 척추 사이의 추간판(디스크)이 척추의 후측방에 있는 신경근을 압박하고 자극하여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디스크로 인해 상기 신경근이 지배하는 어깨, 팔, 손, 엉덩이, 다리, 발 등이 당기거나 저리는 방사통이 발생하고 악화될 경우, 감각 이상에 이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sitting on a chair for a long period of time, a disc is a typical example of a spinal disease, and a disc is an intervertebral disk between the vertebrae. If the disk is pulled by the nerve roots, arms, hands, hips, legs, feet, or the like, the nerve roots may develop and become worse, it can lead to sensory abnormalities.

따라서, 디스크 치료의 일환으로 견인 치료는 척추의 하중을 감소시켜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박 완화 및 디스크를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고, 디스크가 있는 척추 간격을 어느 정도 유지되게 한다. 견인 치료 후에 다시 돌출 되어 나오려는 디스크는 위와 같은 올바른 자세로써 다시 자극 받지 않게 하여야 한다. Thus, traction therapy, as part of disc therapy, reduces the load on the vertebrae, thereby relieving pressure on the disc and returning the disc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maintaining the disc spine gap to a certain degree. After the traction treatment, the disk that is going to protrude again should not be irritated again with the correct position as above.

기존의 견인 치료의 경우,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견인 방식은 별도의 모터가 구비되지 않고, 견인용 와이어에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 후 의자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척추를 수동적으로 견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의자의 높낮이가 변경되므로 착석한 상태에서 업무를 행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수동 조작에 의하므로 디스크 치료 효과가 있는 적절한 견인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수동적 견인이 이루어짐으로, 체중이 적게 나가는 환자의 경우 견인이 이루어지는 인장력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견인 방식은 견인 지점에 있어서, 환자의 양측 겨드랑이 또는 가슴 부위에 작용하여 견인시 인장력이 척추에 효율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raction therapy, the user's body weight traction system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motor, and the user's upper body is fixed to the traction wire, and then the spine is manually trac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hair. In such a case, since the height of the chair is change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performing work in a seated sta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degree of traction with the effect of treating the disc due to manual operation. In addition, since passive traction is performed using the weight of the user, there is a limit to the tensile force at which the traction is performed in a patient having a low body weigh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raction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pulling force acts on both sides of the patient's side or the chest area at the traction point, so that the pulling force does not act efficiently on the spine.

본 발명은 환자의 척추를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능동적으로 견인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척추의 견인 정도에 있어서 디스크 치료에 효율적인 견인 정도를 제시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ely pull the spine of a patient so as to stand uprigh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ective degree of traction in the treatment of the disc in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spine.

더 나아가, 의자에 부착하여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일 없이 척추의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traction of the spine without attaching to the chair and causing discomfort to the daily lif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상체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여 척추가 기립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고, 의자와 탈부착 결합될 수 있는 프레임부; 일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기 착용구에 연결되는 견인줄;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견인줄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모터; 환자의 상체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구;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 측정부; 및 상기 체중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 및 상기 프레임부 하단에 부착되어 프레임부의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한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in which a vertebral body is pulled u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ground surface of a patient.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includes: a fram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ground surface and detachably coupled to a chair; A pull string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otor and at the other end to a wearer; A motor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and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pull string; A wearer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o pull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weight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ti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based on the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moving mean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to move and stop the frame portion.

이때, 상기 모터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위치하거나,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프레임부 하단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프레임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에 의해 견인줄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상체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된다. 도르래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견인줄은 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신장되어 상기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도르래의 외측에 감겨 견인줄의 타단이 착용구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르래는 견인줄이 감겨 견인줄의 인장력 방향을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활을 한다. At this time, the motor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part or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art. When the motor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art, the motor may be positioned forward or rearward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part. The pulley may further include a pulley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and switching the tension direction provided by the motor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when the motor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pu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rough a tensile force provided on the pull string by the motor. In the case of including a pulley, the tow line may extend parallel to the frame portion so that the pulley is wound on the outside of the pulley so that the pulley can rotate, and the other end of the tow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wearer. In other words, the pulley is wound around the pulley and serves to change the tension direction of the pulley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round.

본 발명의 체중 측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가 의자에 부착되는 경우 의자의 안장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체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 The weight measur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art, and when the frame part is attached to the chair, it can be attached to the seat of the chair to measure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본 발명의 제어부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의 10% 내지 20%를 인장력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otor so as to provide tensile force of 10% to 20% of the measured patient's weight parameter.

본 발명에 따른 견인줄의 일부 또는 전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견인줄로부터 상체로 가해지는 인장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갑작스런 견인력에 의한 환자의 허리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r all of the pull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Therefore,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upper body from the pull string increases linearly, thereby reducing the patient's waist load due to sudden pulling force.

이때, 상기 견인줄의 타단은 착용구의 작용점에 연결되어, 작용점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환자의 척추가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pull string is connected to a point of action of the wearer so that the point of action can be pu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patient's spine can stand up.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의자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척추 기립 견인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 척추 기립 견인 의자는, 안장부 및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의자; 상기 안장부 하부에 위치하고 견인줄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하나 이상의 도르래; 일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기 착용구에 연결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도르래의 외측에 감겨 신장되는 견인줄;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 측정부; 상기 체중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 환자의 상체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구; 및 상기 프레임부 하단에 부착되어 프레임부의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한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ebral standing traction chair integrally coupled to a chair. Wherein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chair comprises: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and a backrest; A motor positioned below the securing portion and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pull string; One or more pulleys for converting the tensile force direction provided by the motor into a vertical direction to the ground; A tow line extending at one end to th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earer, the at least one pulley being wound around the at least one pulley so that the at least one pulley is rotatable; A weight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tient;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based on a body weight parameter measured by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A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ler; A wearer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o pull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moving means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to move and stop the frame por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르래는 상기 의자의 안장부 하부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도르래 및 상기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도르래를 포함한다. 상기 안장부 하부는 환자가 착석하여 엉덩이가 밀착되는 안장부의 반대측 부분이고, 여기서 안장부의 후방이란 안장부와 등받이부가 결합하는 '┛'형상의 모서리 부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은 환자의 착석시 환자의 머리부분보다 높게 위치하는 부분이다.More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pulley includes a first sheave located behind the seat bottom of the chair and a second shear located at the top of the seat back of the chair. The lower portion of the safety seat is the opposite side portion of the saddle portion where the patient is seated and the butt is tightly attached. Here, the rear side of the seat portion is a corner portion of the '┛' shape in which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re engag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is a portion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ad portion of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is seated.

따라서, 상기 의자의 안장부 하부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도르래는 안장부 하부에 위치한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지면과 수직한 방향(하강 방향)으로 전환한다. 또한, 등받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도르래는 제1 도르래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180˚전환하여, 인장력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상승 방향)으로 전환되게 한다. Therefore, the first sheave locat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seat of the chair switches the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to a direction (descend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Further, the second sheav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unit switches the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first sheave to 180 degrees,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switch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upward direction).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의 위치에 따라, 일단이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착용구의 작용점에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에 감긴 견인줄이 착용구의 작용점을 지면과 수직 방향(상승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Wherein the pulley is wound around the pulley so that the pulley is rotat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urfa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

본 발명의 체중 측정부는 의자의 안장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체 체중을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measur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seat of the chair to measure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의 10% 내지 20%를 인장력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motor so as to provide tensile force of 10% to 20% of the measured patient's weight paramet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견인줄의 일부 또는 전부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견인줄로부터 상체로 가해지는 인장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게된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r all of the pull st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Therefore, the tensile force applied from the pull string to the upper body linearly increases.

본 발명에 따르면, 견인 지점으로 작용하는 작용점이 환자의 제1 흉추와 양 견갑골의 구상돌기를 잇는 삼각변의 무게 중심의 위치하여, 작용점의 수직 견인시 환자의 척추가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인장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of action acting as the pulling poi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iangle connecting the first thoracic and the semicircular projections of the scapular bone of the patient, so that the pulling force of the patient's vertebrae .

또한, 척추의 견인 정도에 있어서 모터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을 기초로 인장력을 제공하므로 체중에 따라 최적화된 견인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erms of the degree of traction of the spine, the motor provides a tensile force based on the measured body weight of the patient, thus providing a degree of traction optimized for we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이동이 가능하며, 견인함에 있어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일상 생활 중 편리하게 척추의 견인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umbar standing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hair, capable of moving, and capable of traction of the spine conveniently in daily life since there is no ne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hair in towing.

또한,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상황에 적합하게 수동으로 견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controller to manually adjust the degree of traction to suit the patient's body cond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한 척추 기립 견인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복수로 구성되는 견인줄 및 도르래가 착용구와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구와 견인줄이 연결되는 착용구의 작용점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구의 작용점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의자에 부착된 척추 기립 견인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안장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한 척추 기립 견인 장치를 나타낸다.
도 7은 일반 의자에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견인 장치가 부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FIG. 1 shows a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ulleys and a pulley are connected to a wearer.
Figure 3 shows the point of action of the wearer to which the wearer and the towline are conn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int of action of the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u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Figure 5 shows a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attached to a chai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having an anchor and a back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vertebral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common chai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lso,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or clarified natural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본 발명에 있어서, 하단은 지면측 방향을 의미하고, 상단은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은 의자에 앉았을 때 시선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상기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하단, 상단, 전방 및 후방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means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side, and the upper end mean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addition, the front means a direction of sight when sitting on a chair, and the rear mean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The lower end, the upper end,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한 척추 기립 견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pinal standing traction devic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chair.

도 1의 (a)를 참조하면,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프레임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된 형태를 가지고, 의자와 탈부착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01)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부 상단에는 견인줄(70)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모터(50)가 위치한다. 견인줄(70)의 일단은 상기 모터(50)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착용구(30)에 연결된다. 착용구(30)는 환자의 상체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환자의 상체에 착용된다. 프레임부(10)의 하단 또는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체중 측정부(90)는 환자가 그 위에 올라가 체중을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상기 체중 측정부(90)에 의해서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상기 제어부(8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801) 및 상기 프레임부(10) 하단에 부착되어 프레임부의 이동 및 정지를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a),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includes a frame portion 10. The frame portion 10 has a shape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01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with a chair. At the top of the frame part, a motor 50 is provided which provides a tensile force against the pull string 70. One end of the pull string 70 is connected to the motor 5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wear mouth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wearer 30 is worn on the patient's upper body to pull the patient's upper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portion 10 or the body weight measuring portion 90, which can be positioned independently, measures the body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climbs over the body weight.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50 based on the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90.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includes a controller 801 that can remotely control the control unit 80 and a moving unit 103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unit 10 to enable movement and stopping of the frame unit, . ≪ / RTI >

도 1의 (b)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모터(50')는 프레임부(10)의 하단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50')가 프레임부(10)의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하단에 위치한 모터(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프레임부의 상단에 도르래(60)가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은 지면과 수직 방향(하강 방향)으로 작용하며, 도르래(60)에 의해 상기 인장력은 180˚전환되어, 지면과 수직 방향(상승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모터(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의 방향은 도르래(60)에 의해 지면에 수직한 상승 방향으로 전환된다. 이 때, 견인줄(70)은 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신장되어 상기 도르래(60)가 회전 가능하도록 도르래의 외측에 감겨 착용구(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모터(50')의 위치 및 도르래(60)의 구성을 제외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상술한 도1 (a)와 같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b), the motor 50 'may be located behind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When the motor 5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the tension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5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motor 50 ' ). More specifically, the tensile force provided by the motor ac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downward) to the ground, and the tension is switched 180 degrees by the pulley 60 to ac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50 'is switched by the pulley 60 in the upwa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pull string 70 may extend parallel to the frame portion and be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pulley so that the pulley 60 can rotate, so that the pull string 70 can be connected to the wear mouth 30.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motor 50 'and the structure of the pulley 60 described above,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G. 1 (a).

도 1에 따르면, 체중 측정부(90) 및 모터(50, 50')는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801)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체중 측정부(90)로부터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 및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정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0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모터(50, 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의 정도를 조정 가능한 조작부(8013)를 포함한다. 1,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90 and the motors 50 and 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 The controller 801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801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ler 80. The controller 80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90 and a degree of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8011). In addition, the controller includes an operation portion 8013 that can adjust the degree of the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s 50 and 50 '.

상기 프레임부(10) 하단에 부착된 이동 수단(103)은 회전 가능한 바퀴와 상기 바퀴를 가압하여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가압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조작에 따라 상기 가압 수단을 통해 바퀴를 가압함으로써, 프레임부(10)를 원하는 위치에 정지 및 고정이 가능하다.
The moving means 103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includes a rotatable wheel and a pressing means (not shown) which can stop the movement by pressing the wheel. The user presses the wheel through the press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o that the frame portion 10 can be stopped and fixed at a desired position.

도 2는 모터(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래(60) 및 상기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에 감겨 착용구와 연결되는 견인줄(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b)과 같이, 모터(50')가 프레임부(10) 하부에 위치한 경우, 도르래(60) 및 견인줄(70)은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pulley 60 for switching the tensile force direction provided from the motor 5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pull string 70 connected to the wearer by being wound around the pulley so as to be rotatable. Referring to FIG. 2, when the motor 50 'is positioned below the frame unit 10 as shown in FIG. 1 (b), the pulley 60 and the tow line 70 may be plural.

일 실시예로 도 2의 (a)와 같이, 도르래(60) 및 견인줄(70)이 복수로 이루어진 경우, 도르래(60) 및 견인줄(70)은 같은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줄(70) 각각의 일단은 모터(50')에 연결된다. 상기 도르래(60) 각각은 프레임부(10)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견인줄(70)은 각각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신장되어 각각의 도르래(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에 감겨 착용구(3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견인줄(70)은 착용구(30)에 연결되기 전 결합되어(701) 단일 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복수의 견인줄(70) 타단은 지면에 수직한 상승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착용구(30)에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A, when the pulley 60 and the tow line 70 are plurally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ey 60 and the tow line 70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One end of each of the tow lines 70 is connected to a motor 50 '. Each of the pulleys 60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In this case, the tow lines 70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ram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each pulley 50 may be wound around the pulley 50 so as to be rotatable and connected to the wearer 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ow lines 70 are combined 701 in a single direction before being connected to the wearer 30.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tow lines 70 can be connected to the wearer's mouth 30 so that a tensile force acts in an upwa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의 (b)과 같이, 도르래(60) 및 견인줄(70)은 한 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도르래(60)는 프레임부(10) 상단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줄(70)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프레임부와 평행하게 신장되며 상기 도르래(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에 감겨 착용구(30)와 연결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B, the pulley 60 and the pull string 70 may be formed as one pie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ey 6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The pull string 70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ram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may be wound around the pulley 60 so that the pulley 60 is rotatable.

도 3은 견인이 이루어지는 착용구의 작용점을 나타낸다. 도 3를 참조하면, 인체의 제1 흉추(301)와 양 견갑골의 구상돌기(303(a)(b))를 잇는 삼각변의 무게 중심을 견인이 이루어지는 작용점(305)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줄(70)의 일단은 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착용구(30)의 상기 작용점(305)에 연결된다. 상기 작용점(305)에 견인줄(70)이 연결되어 지면과 수직 방향의 견인이 이루어짐으로써, 척추는 수직으로 기립한다. 또한, 인장력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분산되지 않고 작용점(305)에 집중되어 효율적인 척추 기립이 가능하다.Fig. 3 shows the point of action of the wearer in which the traction takes place. 3,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iangle connecting the first thoracic vertebrae 301 of the human body and the spherical projections 303 (a) and (b) of both scapular bones is the action point 305 at which traction is performed. One end of the pulling string 70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ction point 305 of the wearer's mouth 30. The pulling line (70) is connected to the action point (305) and the pull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is performed, so that the vertebrae stand vertically. In addition, the tensil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action point 305 without being dispersed to other parts of the body, thereby enabling effective standing of the spine.

도 4는 제어부(80) 및 모터(50)에 의해 착용구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을 참조하면, 견인줄(40)은 모터(50)로부터 인장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견인줄(70)은 착용구(30)의 작용점(305)을 지면과 수직 방향(상승 방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모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 상단(50) 또는 하단(50')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프레임부 상단에 위치한 도르래(60)(도1(b))에 의해 견인줄(70)은 착용구(30)를 지면과 수직 방향(상승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모터(50)와 체중 측정부(90)에 연결되어,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의 10% 내지 20%를 모터의 인장력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컨트롤러(801)를 통해 원격으로 인장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wearer pul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by the control unit 80 and the motor 50. Fig. Referring to FIG. 4, the pull string 40 is provided with a tensile force from the motor 50, and the pull string 70 pulls the action point 305 of the wear mouth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upward direction) with the ground. The motor may be located at the upper end 50 or the lower end 50 'of the frame 10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pulley 60 (FIG. 1 (b))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The pulling cord 70 can pull the weare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direction) to the ground. The control unit 80 is connected to the motor 50 and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90 to provide 10% to 20% of the measured body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as a tensile force of the motor. Also, the controller 80 can manually control the tensile force remotely through the controller 801 using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체중 측정부(90)는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거나, 환자의 상체 체중을 측정한다. 측정된 환자의 체중 또는 상체 체중 파라미터에 따른 인장력(견인 정도)은 다음과 같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90 measures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or measures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The tensile force (degree of trac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body weight or upper body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is as follows.

체중(Kg)Weight (Kg) 상체 체중(Kg)Body weight (Kg) 견인정도(Kg)Towing degree (Kg) 견인정도(N)The degree of traction (N)

남자




man


5050 3030 66 58.858.8
6060 3636 7.27.2 70.5670.56 7070 4242 8.48.4 82.3282.32 8080 4848 9.69.6 94.0894.08 9090 5454 10.810.8 105.84105.84 100100 6060 1212 117.6117.6

여자




Woman


5050 2525 55 4949
6060 3030 66 58.858.8 7070 3535 77 68.668.6 8080 4040 88 78.478.4 9090 4545 99 88.288.2 100100 5050 1010 9898

상기 표의 체중은 몸 전체의 체중으로서 환자가 서있는 상태에서 측정된 체중이고, 상체 체중은 의자에 앉았을 때 상체 부분의 체중을 측정한 것이다. 상체 체중을 측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남자는 체중의 약 60%, 여자는 체중의 약 50%를 상체 체중으로 할 수 있다. 환자의 체중 또는 상체 체중은 체중 측정부(30)에서 측정이 이루어지거나, 컨트롤러(801)의 조작부(8013)를 통하여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견인을 위한 인장력을 조작부(8013)를 통해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 조작 가능한 인장력의 범위는, 상체 체중의 0 ~ 20%가 바람직하다.
The body weight of the table is the body weight of the whole body, the body weight measured in a state where the patient is standing, and the upper body weight is the body weight of the upper body part when sitting on a chair. As another method of measuring upper body weight, about 60% of the body weight of a man and about 50% of a body weight of a woman can be the upper body weight. The body weight or the upper body weight of the patient can be measured by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30 or manually input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8013 of the controller 801. [ When the pulling force for traction is manually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8013, the range of the operable tensile force is preferably 0 to 20% of the body weight.

도 5는 도 1에 따른 척추 기립 견인 장치가 의자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lumbar standing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Fig. 1 attached to a chair.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도 5의 (a)는, 도 1의 (a)에 대응하는 실시예로서, 모터(50)가 프레임부(10) 상단에 위치한 척추 기립 견인 장치가 의자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b)는, 도 1의 (b)에 대응하는 실시예로서, 모터(50')가 프레임부(10) 하단에 위치한 척추 기립 견인 장치가 의자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른 결합부(101)는 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의자의 등받이와 프레임부(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프레임부가 의자와 고정되는 경우, 체중 측정부(90)는 환자의 상체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도록 의자의 안장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 is an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1 (a), in which the spinal standing traction device in which the motor 5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is attached to a chair . 5 (b) shows another embodiment corresponding to Fig. 1 (b), in which a spinal standing traction device with a motor 50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10 is attached to a chair . 5 may have various shapes so as to be attached to the frame part so that the backrest and the frame part 10 of the chair can be fixed (see FIG. 7). When the frame is fixed to the chair,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measuring unit 90 is positioned in the seat of the chair so as to accurately measure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기립 장치의 사용 태양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환자는 도 1에 따라 서 있는 자세에서 척추 견인이 가능하다. 이 경우, 환자는 착용구(30)를 착용하고, 체중 측정부(90) 위에 선다. 이때, 체중 측정부(90)로부터 환자의 체중이 측정된다. 제어부(80)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을 기초로 전체 체중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초기 상체 체중을 산출한다(도 4 참조). 또는, 상기 초기 상체 체중 파라미터는 컨트롤러(801)의 조작부(8013)를 통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80)는 환자의 초기 체중 파라미터의 10% 내지 20%를 모터의 인장력으로 제공한다. 제공된 인장력은 견인줄(70)에 의해 지면과 수직 방향(상승 방향)으로 작용점(305)에 작용한다. 따라서, 환자의 척추는 기립하여 견인된다. 이때, 환자는 컨트롤러(801)의 디스플레이부(8011)를 통해 전체 체중 파라미터, 상체의 체중 파라미터 및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고, 조작부(8013)를 통해 인장력의 정도를 상체 체중의 0% 내지 20%의 범위내에서 수동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8013)를 통해 척추의 견인을 중단 또는 시작할 수 있으며, 중단이 이루어지는 경우 초기 측정된 환자의 상체 체중 파라미터는 초기화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use of the spinal standing-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The patient is able to traverse the vertebrae in the standing position according to Fig. In this case, the patient wears the wearer's mouth 30 and stands on the weight measuring section 90. At this time,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is measured from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90. The control unit 80 calculates an overall body weight parameter based on the measured body weight of the patient, and calculates an initial body weight based on the calculated total body weight parameter (refer to FIG. 4). Alternatively, the initial body weight parameter can be manually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8013 of the controller 801. [ Thereafter, the control unit 80 provides 10% to 20% of the initial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as the tensile force of the motor. The applied tensile force acts on the point of action 305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direction) to the ground by the pull string 70. Thus, the spine of the patient is standing and towed. At this time, the patient can confirm the entire body weight parameter, the body weight parameter of the upper body and the tensile force through the display portion 8011 of the controller 801, and the degree of the tensile force is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portion 8013 by 0% to 20% You can manually adjust within range. Further, traction of the vertebra can be stopped or star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8013, and when the interruption is made, the initial measured patient's upper body weight parameter is initialized.

또한, 환자는 도 5에 따라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척추 견인이 가능하다. 이 경우, 프레임부(10)는 의자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103)에 의해 이동되고, 프레임부의 결합부(101)에 의해 의자와 고정된다. 환자는 이후 상기 척추 기립 견인 장치가 부착된 의자에 착용구(30)를 상체에 착용하여 착석한다. 이때, 의자의 안장부에 위치한 체중 측정부(90)로부터 환자의 초기 상체 체중이 측정된다. 환자의 초기 상체 체중값이 측정되거나 조작부(8013)로부터 입력되면 이후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환자의 의자 높이를 조절할 필요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기립 장치가 능동적으로 척추를 견인하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 지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atient can traverse the spine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chair according to Fig. In this case, the frame portion 10 is moved by the moving means 103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hair, and fixed to the chair by the engaging portion 101 of the frame portion. The patient then seats with the wearer (30) on his / her upper body to the chair to which the vertebral standing traction device is attached. At this time, the initial upper body weight of the patient is measured from the weight measuring unit 90 located in the seat of the chair. When the initial body weight value of the patient is measured or inputted from the operation unit 8013, the following procedure i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since the spinal sta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tively pulls the spine withou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tient's chai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indrance to daily life.

도 6는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안장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한 의자와 일체화 된 척추 기립 견인 장치를 나타낸다. 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 which is a lumbar standing traction device integrated with a chair having an insole and a backrest.

도 6를 참조하면, 척추 기립 견인 장치는 안장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한 의자를 구비한다. 상기 의자의 안장부 하부에는 모터(50'')가 위치하고 견인줄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터(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하강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안장부 하부 후방에 제1 도르래(601)가 위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도르래(601)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상승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제2 도르래(603)가 위치한다. 견인줄(70)은 일단이 상기 모터(50)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기 착용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측에 감겨 하기 착용구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착용구(30)는 환자의 상체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줄의 일단과 연결되고 환자의 상체에 착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중 측정부(90)는 의자의 안장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체 체중을 측정하고, 상기 체중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환자의 상체 체중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50'')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801) 및 상기 의자 다리에 부착되어 의자가 이동 및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umbar standing traction device includes a chair having a backrest and a backrest. A motor 50 " is located below the seat of the chair and provides a pulling force on the pull string. In addition, the first pulley 601 is positioned at the lower rear side of the securing portion in order to switch the tensile force direction provided from the motor 50 " to the vertical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to the ground. Further, the second pulley 603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ackrest of the chair so as to switch the tensile force direction provided from the first pulley 601 to the vertical directio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pull string 7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otor 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earer so that the wearer pulls the wear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heaves can be rotated. The wearer 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ull string and is worn on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o pull the patient's upper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90 is attached to the seat back of the chair to measure the upper body weight of the patient, and calculates the body weight parameter of the motor 50 '' based on the upper body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measured by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And a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driving unit 80. [ Further,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ler 801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and a moving unit 103 attached to the chair leg to enable movement and stopping of the chair.

도 7은 결합부(101)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01)는 의자의 등받이에 부착되어 프레임부(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7의 (a)를 참조하면, 결합부(101)는 봉 형태의 의자 등받이에 고정되는 경우 봉 외측을 감아 조일 수 있는 조임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결합부(101)는 의자 등받이에 부착할 수 있는 너트(101(a))를 포함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0)에 부착된 볼트(101(b))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를 회전함으로써 의자 등받이에 고정된 너트에 결합되어 프레임부가 고정될 수 있다.Fig. 7 shows a state of the coupling portion 101. Fig. Referring to FIG. 7, the engaging portion 101 may have various shapes so that the frame portion 10 can be fixed to the backrest of the chair. Referring to FIG. 7 (a), the joining portion 101 may be formed as a fastener that can be wound around the outside of the bar when it is fixed to a bar-shaped chair back. 7 (b), the coupling portion 101 includes a nut 101 (a) that can be attached to a chair back,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frame portion 10 Bolt 101 (b). By rotating the bolt, the frame part can be fixed to the nut fixed to the seat back.

10: 프레임부 101: 결합부
101(a): 너트 101(b): 볼트
103: 이동 수단 30: 착용구
301: 제1 흉추 302(a,b): 견갑골 구상돌기
50: 모터 60: 도르래
601: 제1 도르래 603: 제2 도르래
70: 견인줄 80: 제어부
801: 컨트롤러 8011: 디스플레이부
8013: 조작부 90: 체중 측정부
10: frame part 101:
101 (a): Nut 101 (b): Bolt
103: means of movement 30:
301: First thoracic 302 (a, b): Scapular bulb
50: motor 60: pulley
601: 1st pulley 603: 2nd pulley
70: pull line 80:
801: Controller 8011:
8013: Operation part 90: Weight measuring part

Claims (13)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고, 의자와 탈부착될 수 있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견인줄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모터(50;50');
일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기 착용구에 연결되는 견인줄; 및
환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구;를 포함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로서,
상기 모터에 의해 견인줄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상체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됨으로써 척추가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A frame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detachable from the chair;
A motor (50; 50 ')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and providing tension to the tow line;
A pull string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otor and at the other end to a wearer; And
A spinal standing traction device comprising a wearable worn on a body of a patient,
Wherein the vertebral body is pu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rough a tensile force provided on the pull string by the motor to thereby stand the vertebra.
안장부 및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의자;
상기 안장부 하부에 위치하고 견인줄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모터(50'');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하나 이상의 도르래;
일단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기 착용구에 연결되는 견인줄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르래의 외측에 감겨 하기 착용구를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하는 견인줄; 및
환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착용구;를 포함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로서,
상기 모터에 의해 견인줄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통해 환자의 상체가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됨으로써 척추가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A chair including a backrest and a backrest;
A motor (50 ")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nderside and providing a tensile force on the traction line;
One or more pulleys for converting the tensile force direction provided by the motor into a vertical direction to the ground;
A pulling line connected to the motor at one end and connected to a wearer at the other end, the pulling line pulling the wear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pulling line being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at least one pulley; And
A spinal standing traction device comprising a wearable worn on a body of a patient,
Wherein the vertebral body is pu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rough a tensile force provided on the pull string by the motor to thereby stand the vertebr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르래는,
상기 의자의 안장부 하부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도르래; 및
상기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위치하는 제2 도르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pulley comprises:
A first pulley positioned at a lower back of the seat back of the chair; And
And a second pulley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backrest of the ch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50)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5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ram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50')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 방향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tor 5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pulley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frame portion and converting the tension direction provided by the motor into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체중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weight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ti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측정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의자에 부착되는 경우 의자의 안장부에 부착되어 환자의 상체 체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ody weight measuring unit is attached to the seat back of the chair when the frame is attached to the chair to measure the body weight of the patie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ensile force provided from the motor based on a weight parameter of the patient measured by the weight measuring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환자의 체중 파라미터의 10% 내지 20%를 인장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provides tensile force of 10% to 20% of the measured patient ' s weight parame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줄의 일부 또는 전부는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part or all of the pull string is an elastic mem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줄의 타단이 착용구의 작용점과 연결되고,
상기 착용구의 작용점은 환자의 제1 흉추와 양 견갑골의 구상돌기를 잇는 삼각변의 무게 중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string is connected to a point of action of the wearer,
Wherein the point of action of the wearer is a center of gravity of a triangle connecting the first thoracic vertebrae of the patient and the spherical protrusions of both scapula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줄은 상기 작용점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환자의 척추가 수직으로 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ull string pulls the point of a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vertebrae of the patient are standing uprigh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기립 견인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KR1020130141425A 2013-11-20 2013-11-20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KR1016210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425A KR101621084B1 (en) 2013-11-20 2013-11-20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PCT/KR2014/011218 WO2015076596A1 (en) 2013-11-20 2014-11-20 Active spinal tra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425A KR101621084B1 (en) 2013-11-20 2013-11-20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717A true KR20150057717A (en) 2015-05-28
KR101621084B1 KR101621084B1 (en) 2016-05-13

Family

ID=5317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425A KR101621084B1 (en) 2013-11-20 2013-11-20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1084B1 (en)
WO (1) WO2015076596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231B1 (en) * 2016-02-22 2016-06-03 박종덕 towing device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KR101642247B1 (en) 2016-02-19 2016-07-29 박진한 Spine traction device
KR20220043951A (en) * 2020-09-28 2022-04-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ssistant apparatus for spine rehabilitation using a drone and using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5219B (en) * 2017-04-10 2019-05-10 张爱萍 A kind of wearable cervical vertebra massager
KR102232711B1 (en) * 2019-12-06 2021-03-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diagnosing pain
KR102567254B1 (en) * 2021-06-09 2023-08-16 황지성 Traction apparatus including headgear
CN113425484B (en) * 2021-06-25 2023-06-06 廖仕川 Forward-hanging traction be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5A (en) * 2000-08-22 2001-01-05 김윤태 Auxiliary protection tire
JP2004329278A (en) * 2003-04-30 2004-11-25 Kochi Univ Of Technology Body lifting implement and walking train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same
KR200329856Y1 (en) * 2003-07-23 2003-10-10 노인규 a traction and treatment apparatus for the lumbar with fixing type using gravity
KR200444415Y1 (en) * 2008-02-05 2009-05-07 (주) 하성메카트로닉스 Body lift traction
KR101097106B1 (en) * 2010-08-09 2011-12-22 김정원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KR20120014652A (en) * 2010-08-10 2012-02-20 최지환 Backbone correcting chair with body weighting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247B1 (en) 2016-02-19 2016-07-29 박진한 Spine traction device
WO2017142168A1 (en) * 2016-02-19 2017-08-24 박진한 Spinal traction device
KR101627231B1 (en) * 2016-02-22 2016-06-03 박종덕 towing device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KR20220043951A (en) * 2020-09-28 2022-04-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ssistant apparatus for spine rehabilitation using a drone and us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084B1 (en) 2016-05-13
WO2015076596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084B1 (en)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US8430910B2 (en) Adjustable spinal rehabilitation device
US4531514A (en) Orthopedic traction apparatus
CN106109067B (en) Lumbar supporting device
CN202682114U (en) Automatic cervical traction treatment chair
CN105266944A (en) Novel human body stretching draft gear
KR20030032791A (en) A chair for rectifing the spine
CN202179647U (en) Multifunctional restraining bed
CN103598961A (en) Simulate intelligent electric massage chair for spine health-care and treatment
KR20180016066A (en) apparatus for self-adjustable spinal traction
KR20090055662A (en) Spinal correction equipment using one's own weight
CN201119936Y (en) Multifunctional folding type dragging device for human body correction
CN210169455U (en) Self-gravity holding, pressure-reducing, correcting, vertebra-protecting and spine-correcting multi-functional health-care seat device
CN205307179U (en) Device is unfolded to medical cervical vertebra and vertebra
CN211884302U (en) Novel scoliosis traction wheelchair
CN106726067B (en) Multifunctional suspension type vertebra traction rehabilitation therapeutic machine
CN105997324A (en) Medical traction chair
JP2000210318A (en)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KR102006783B1 (en) Self-traction medical device
CN206792530U (en) Multi-functional hanging type spinal distractor rehabilitation therapy machine
CN211750328U (en) Cervical vertebra tractor
CN219846986U (en) Upper trunk lifting device
CN111053657A (en) Novel scoliosis traction wheelchair
CN220459468U (en) Multifunctional tractor
CN210019845U (en) Resetting mechanism for protrusion of cervical and lumbar vertebral dis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