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106B1 -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 Google Patents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106B1
KR101097106B1 KR1020100076228A KR20100076228A KR101097106B1 KR 101097106 B1 KR101097106 B1 KR 101097106B1 KR 1020100076228 A KR1020100076228 A KR 1020100076228A KR 20100076228 A KR20100076228 A KR 20100076228A KR 101097106 B1 KR101097106 B1 KR 10109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ravity
waist
traction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10007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1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PURPOSE: A traction device for the backbone is provided to reduce the burden of weight applied to the lumbar and to minimize pain according to a long time use. CONSTITUTION: A traction device for the backbone comprises: a traction unit(10)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a fixing unit(20) which is combined with the traction unit and is attached in order to be fixed while surrounding the waist of a user; and a position correction unit(30)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fixing unit, is expande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ser, and is able to be drawn downward in order to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ing unit.

Description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본 발명은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요법을 응용하여 실질적인 척추 교정과 장기적인 척추 치료가 가능하도록 의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traction device using grav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inal traction device using gravity attached to a chair to enable substantial spine correction and long-term spine treatment by applying traction therapy.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요통은, 운동부족으로 허리 기능이 약화되거나 과다한 부하로 인해 요추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 및 원활하지 못한 혈액순환, 요추부를 지지하고 있는 근육과 인대의 연부 조직 약화로 척추의 지지력이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협착과 그에 따른 신경의 압박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며,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수술을 하게 되지만 대부분의 요통에서는 요추부의 단순견인을 통한 치료가 가능하며, 이러한 견인요법은 척추 간을 넓혀주는 적절한 강도의 견인력으로 요통을 치료하는 것이다.Commonly known low back pain is muscle weakness and ligament stiffness due to lack of exercise or excessive load, resulting in stiffening of the muscles and ligaments of the lumbar spine and inadequate blood circulation, soft tissues of the muscles and ligaments supporting the lumbar region. The weakening occur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narrowing of the spinal support and consequent pressure on the nerves. If the degree is severe, surgery is performed. However, most back pains can be treated by simple towing of the lumbar region. Traction therapy is the treatment of back pain with adequate traction to widen the spine.

한편, 현대인들은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 운전을 한다거나 자동차나 비행기 등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이동을 하거나, 직장인 학생 등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장시간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척추에 많은 무리를 주게 되어 척추나 허리에 관련된 많은 질병들을 유발하게 되고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현대인의 생활이 허리와 요추의 질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땅한 예방이나 치료장치가 개발되어있지 않아 병원에서 일시적으로 견인치료를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modern people spend a lot of time sitting on chairs for a long time. Modern people who spend a lot of time driving or sitting in a chair such as a car or airplane for a long time, or liv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such as an office worker, have a lot of diseases related to the spine or lower back becau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ck gives a lot of pressure to the spine for a long time. And cause fatigue. As such, even though the life of modern people is exposed to diseases of the lower back and lumbar spine, due to the fact that no proper prevention or treatment device has been develop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ction treatment is temporarily received at the hospital.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의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허리 견인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0368705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을 견인할 수 있을 정도의 튼튼한 천이나 가죽으로 된 복대(1)의 양단에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버클(3, 3-1)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용 스토퍼(2, 2-1)를 형성하고 그 위쪽과 아래쪽에 의자의 등받이에 걸거나 고정시킬 수 있는 와이어(끈)(4, 5) 등의 고정장치로 형성되어 의자에 장착함으로써 허리를 견인할 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진다.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68705 discloses a waist traction device used to attach to a chai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nfiguration is made of a strong cloth or leather enough to tow a person as shown in FIG. The buckle (3, 3-1) and the adjustable length stopper (2, 2-1)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on both ends of the bag (1) is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ckle (1) It is formed of a fixing device such as a wire (string) (4, 5) that can be fixed or fixed to a chair made of a device that can pull the waist.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허리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However, such a lumbar traction device has the following inconveniences in use.

첫째, 상기와 같은 허리 견인장치는 와이어의 길이를 조정한 후 이를 의자에 고정부착하여 사용하여야 함으로써 초기 위치가 고정되는 복대를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사용중에는 그 조정이 매우 불편하다.First, the waist tra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used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to be fixed to the chair, it is not easy to fit the abdominal band of the initial position is fixed to the user's waist area of course, the adjustment is very easy during use Uncomfortable.

둘째, 항상 복대의 위치가 고정되어 사용자의 체중에 따른 견인력만을 제공함으로써 복대에 체중의 대부분이 치중되며 인체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집중되어 장시간 착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Second, the position of the abdomen is always fixed to provide only the traction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most of the weight is weighted on the abdomen, the traction force applied to the human body has been concentrated and difficult to wear for a long time.

셋째, 복대가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동일압력으로 지지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압력의 집중현상이 발생되어 장시간 사용이 힘들다. Third, the stomach band is supported by the same pressure on the waist of the user is a concentration phenomenon of the press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i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견인하여 요추부에 가해진 체중부담을 감소시킴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통증을 최소화시키며 의자에 설치시 허리에 맞춤 설정이 편리한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weight burden applied to the lumbar region by tow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gravity, as well as to minimize the pain caused by long-term use and using the convenience of gravity setting convenient to the waist when installed in the chair The problem is to provide a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단부 지지체에 지지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양측면 부위로 배치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견인수단; 상기 견인수단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부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과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의 허리 양측면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수단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향 견인가능한 위치보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end support is disposed in both sides of the waist side of the user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upward; Fixing means coupled to the traction means, the fixing means is attached to be fixed to surround the waist of the user; And it is made integral with the fixing means, and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waist side of the user provides a traction device for gravity using a gravity comprising a downward retractable position correction means to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

여기서, 상기 위치보정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며 상기 견인수단과 일직선상에 배치된 그립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의자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허리 상측에 배치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탄성 반발력이 작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의자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osition correcting means is preferably made of a grip member which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disposed in line with the towing means. In addition, the towing means, the elastic member having a length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ist of the user from the upper end of the chair and the elastic repulsion force is applied to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e elastic member is detachable to the upper end of the chair It is preferably made of a fastening member to fasten.

더욱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 폭 이상의 폭을 가지면서 양단부에 벨크로의 암수가 각각 구비되어 탈부착가능한 벨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부위의 마찰력을 완화시키도록 탄성 재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된 탄성패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fixing means has a width greater than the waist width of the user, and both ends of the velcro male and female a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belt member, the fixing means is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coupled to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한편, 상기 상단부 지지체는, 상기 의자의 하부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견인수단이 결합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바는 공압식 실린더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support, the support bar is detachab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hair,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comprising a connecting bar coupled to the traction means, the support bar is a pneumatic cylinder Is preferred.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착용한 사용자의 상체를 의자의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사용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의자에 앉아있는 자세를 교정함은 물론 척추 간을 이완시킴으로써 요통 등의 척추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raighten the upper body of the user while straighten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while reducing the load on the user's waist and spine by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wearing the fixing means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r to correct the posture sitting on the chair Of course, by relaxing the spinal liver to treat spinal diseases such as back pain.

둘째, 본 발명의 견인장치는 탄성재질의 탄성부재에 의해 견인력을 발생시키므로 착용 후에도 활동성이 우수하여 사무, 학습에 용이하며 허리 후방에서 당겨짐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허리 및 등이 펴지며, 필요시 의자로부터 떨어질 수도 있다. Second, the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raction force by the elastic member of the elastic material is excellent in activity even after wearing it is easy for office work, learning and naturally stretched back and back due to the pull back from the back, if necessary fall from the chair It may be.

셋째, 본 발명의 견인장치는 다양한 의자에 용이하게 탈착됨은 물론 사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위치보정수단을 잡아당김으로써 허리 부위에 고정수단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위치에 따라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의 압박에 따른 마찰력을 완화시키는 탄성패드가 더 구비됨으로써 통증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하는데에도 불편함이 없다.Third, the 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because it can be easily detached to various chairs, as well as by using the position fixing means to precisely position the waist portion by pulling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upper body length of the user. The traction can be adjust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pad to alleviat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pressing of the fixing means to minimize the pain,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use for a long time.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견인장치의 견인수단이 의자의 상단부에 결합가능하게 제공될 뿐만 아니라 의자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지지바 및 연결바를 포함한 별도의 상단부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의자에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Fourth, the traction means of the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hair, but also compatible with the general chair by using a separate upper support including a support bar and a connection bar that can b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chair. Can be applied.

도 1은 종래의 의자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허리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에 각각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A-A' 방향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ist traction device used to attach to a conventional chai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pplicable to each of the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 direction in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100)는 견인수단(10), 고정수단(20) 및 위치보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traction device 100 using gravit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ction means 10, a fixing means 20 and a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Is done.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고정수단(20)의 초기 위치를 편리하게 설정하도록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위치보정수단(30)을 가지며 이러한 위치보정수단(30)의 위치 조정을 가능하게 하면서 견인력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견인수단(10)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that can be pulled by the user to conveniently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20 and the adjustment of the traction force while enabling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It is provided with a traction means 10 having an elastic force to facilitate.

상세히, 상기 견인수단(10)은 의자(110)의 상단부 등과 같은 상단부 지지체에 지지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120)의 허리 양측면 부위로 배치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In detail, the traction means 10 is detachably coupled to be supported by an upper end support such as an upper end of the chair 110 and is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waist of the user 120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upward.

이를 위하여, 상기 견인수단(10)은 상기 의자(11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120)의 허리 상측에 배치되는 길이(L)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120)의 체중에 따른 중력에 대한 탄성 반발력이 작용되는 탄성부재(11)와, 상기 탄성부재(11)를 상기 의자(110)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13)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traction means 10 has a length (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ist of the user 120 from the upper end of the chair 110 and the elastic repulsion force against gravit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11 to be applied, and the fastening member 13 for detachably fastening the elastic member 11 to the upper end of the chair 110.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1)는 고무, 용수철 등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상, 밴드 형상 등으로 상기 고정수단(20)에 결합된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탄성부재(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120)의 양측 옆구리 측에 배치되며 사용자(120)의 체중을 견인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Here, the elastic member 11 is coupled to the fixing means 20 in a wire shape, a band shape or the like as shown using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spring, such elastic member 11 is a pair It is made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ser side of the 120 and has a sufficient rigidity to pull the weight of the user 120.

이와 같이, 상기 견인수단(10)이 탄성재질의 탄성부재(11)에 의해 견인력을 발생시키므로 착용 후에도 활동성이 우수하여 사무, 학습에 용이하며 허리 후방에서 당겨짐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허리 및 등이 펴지며, 필요시 의자로부터 떨어질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ction means 10 generates the traction force by the elastic member 11 of the elastic material, so the activity is excellent even after wearing, so it is easy for office work and learning, and the waist and the back are naturally stretched by being pulled from the back of the waist, If necessary, you can fall off the chair.

또한, 상기 체결부재(13)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상기 탄성부재(11)의 단부에 결합되면서 내측에 고리부(13a)가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고리부(13a)가 차량시트 등의 헤드레스트(head rest,111)가 구비된 의자(110)의 연결스틱(11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체결부재(13)를 통하여 상기 견인장치(100)를 상기 의자(110)에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13 refers to a ring portion 13a formed inside while being coupled to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1 as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owing device 100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tick 112 of the chair 110 provided with a head rest 111 such as a vehicle seat. It can be installed in the chair (110).

한편, 상기 견인수단(10)의 탄성부재(11)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사용자(120)의 허리 부위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0)과 상기 탄성부재(11)의 결합지점은 착용자의 척추를 기준으로 등허리 양측에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11)가 착용자의 등허리 양측의 볼록한 근육부분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척추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착용시 척추에 접촉됨에 따른 불쾌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20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11 of the traction means 10 is attached to be wrapped around the waist of the user 120 is fixed. Here, the coupling point of the fixing means 20 and the elastic member 11 is preferably connected in pairs at positions symmetrical on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wearer. Through this, the elastic member 11 is in contact with the convex muscles on both sides of the wearer's back, so that it is not in contact with the spin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iscomfort due to contact with the spine when worn.

상세히, 상기 고정수단(20)은 상기 사용자(120)의 허리 폭(W) 이상의 폭(W'), 바람직하게는 10cm 이상의 상하폭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배의 특정부분이 조여짐에 따라 위장에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하폭을 넓게 형성된 고정수단(20)의 양단부에 벨크로(21)의 암수가 각각 구비되어 탈부착가능한 벨트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ans 20 has a width W 'of the waist width W of the user 120 or more, preferably an upper and lower width of 10 cm or more, thereby widening the contact area. This can prevent the burden on the stomach as a certain part of the stomach is tighten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le and female of the velcro 2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20 having the wide upper and lower widths, respectively, to be made of a detachable belt member.

또한, 상기 고정수단(20)의 결합방식은 상기 벨크로(velcro,2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수단의 양측 단부에 버클(buckle)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러한 버클은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일일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반면에 상기 벨크로(21)는 그의 길이를 충분히 구비하면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추도록 조이면서 바로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method of the fixing means 20 is not limited to the velcro (velcro) 21,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buckle (buckle) at both ends of the fixing means, but such a buckle to fi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user While there is a hass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elt one by one, the Velcro 21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ttached directly while tightening to fit the waist of the user if it has enough length.

물론, 상기 고정수단의 일측 단부에 단추나 걸림핀을 장착하면서 타측 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슬릿(slit)을 형성하여 고정수단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xing means by forming a plurality of slits (slit) at regular intervals at the other end while mounting a button or a locking pin on one end of the fixing means.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0)은 천, 가죽은 물론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상기 사용자(120)가 착용시 편안함을 느끼도록 가벼우면서도 척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의료용으로 견인요법에 사용되는 견인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And, since the fixing means 20 may be made of cloth, leather, as well as other synthetic resins, but not limited to th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spine lightly and lightly so that the user 120 feels comfortable to wear. For example, a traction belt used for traction therapy for medical purposes may be used.

한편, 상기 고정수단(20)과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는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은 상기 사용자(120)의 허리 양측면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수단(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향 견인가능하게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coupled to be made integrally with the fixing means 20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waist of the user 120 is downward to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20 It is made towable.

즉,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은 상기 고정수단(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손잡이 역할을 하여 사용자(120)가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고정수단(20)이 허리 부위를 정확하게 감싸도록 돕는다.That is,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serves as a handl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20 by pulling the user 120 to help the fixing means 20 to accurately wrap the waist portion.

여기서,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은 상기 사용자(120)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grip)이 가능하며 상기 견인수단(10)과 일직선상에 배치된 그립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sition correcting means 30 is a grip (grip)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120 by the hand (grip) is preferably made of a grip member disposed in line with the towing means (10).

예를 들어,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된 밴드의 양측 단부가 고정수단(20)에 중첩되게 결합되어 중앙 부위가 겹쳐지면서 고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120)의 손가락 또는 손을 상기 고리에 끼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그립부재를 말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position correcting means 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nd made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verlapping the fixing means 20 to form a ring while overlapp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nger of the user 120 or It refers to a grip member that can be used as a handle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ring. Of course, the shape of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은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using and the effect of the spinal traction device using gravity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의자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의자는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어도 안락감과 편안함을 가지도록 등받이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거나 헤드레스트, 팔걸이, 조절장치 등의 각종 편의장치를 구비하면서 사용자가 앉거나 기대는 부위에는 필수적으로 탄성을 갖는 쿠션부재를 사용한다.First, chairs come in various types and forms. These chairs are elastically cushioned at the user's seated or reclining area while the backrest is elastically bent or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such as headrests, armrests, and adjusting devices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and comfortable even if the user is sitting for a long time. Use the member.

이러한 쿠션부재에 지지하여 장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면서 허리와 척추에 서서히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통증을 완화시킴은 물론 앉아있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사용한다.When sitting for a long time by supporting such a cushion member, the user's posture is disturbed, causing pain in the lower back and spine. To relieve such pain as well as to correct the sitting posture, the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용 의자나 일반 의자의 헤드레스트(111)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13)의 고리부(13a)를 연결스틱(112)에 끼워 견인장치(100)를 의자(110)에 설치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the hook portion 13a of the fastening member 1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tick 112 in a state in which the headrest 111 of the vehicle chair or the general chair is separated from the chair 100. 110).

이때, 상기 체결부재(13)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띠 형상으로 구비된 탄성부재(11)는 사용자(120)의 등 부위와 간섭을 최소화하여 견인력을 저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척추 부위에 효과적인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사용자(120)의 허리 양측면 즉 옆구리 측으로 배치되며 초기에는 사용자(120)의 허리 상측에 배치되는 길이(L)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11 provided in the form of a pair of bands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member 13 minimizes interference with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120 and does not inhibit the tract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 traction force to the spinal region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ist side, that is, the side of the user 120 so as to operate, and initially has a length (L)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ist of the user 120.

상기와 같이, 견인장치(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120)가 착석하되, 도시된 점선과 같이 상체를 앞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위치보정수단(30)을 양손으로 잡고 도시된 화살표 1과 같이 하방으로 당기면 상기 탄성부재(11)가 신장되면서 상기 고정수단(20)이 하측으로 이동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120 is se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traction device 100 is installed, while holding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with both hands in a state where the upper body is inclined forward as shown in the dotted line shown below, as shown by arrow 1. When pulled, the fixing member 20 is moved downward while the elastic member 11 is extended.

이때,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은 상기 탄성부재(11)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탄성력이 작용되는 힘의 방향과 동일선상의 반대 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고정수단(20)을 허리 부위에 맞추기가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is dispos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elastic member 11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same line as th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the elastic force is easy to fit the fixing means 20 to the waist portion. Do.

한편, 하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고정수단(20)이 사용자(120)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위치에서 사용자(120)의 상체를 도시된 화살표 2와 같이 럼버서포트(lumber support,113)에 기대면 상기 고정수단(20)은 사용자(120)의 상체 무게에 의하여 의자의 등받이와 사용자의 허리부위 사이에서 가압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되며 이때, 사용자(120)는 위치보정수단(30)으로부터 손을 풀어 고정수단(20)의 벨크로(21)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견인장치(100)는 사용자(120)의 허리 부위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30)을 사용자의 허벅지 아래까지 당겨서 허벅지 하측에 가압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수단(20)의 벨크로(21)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견인장치(100)는 사용자(120)의 허리 부위 하부에 배치된 채로 고정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20 is moved to the lower side when the upper body of the user 120 at the position surrounding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120 leaning on the lumber support (lumber support, 113) as shown in the arrow 2 shown in the fixed The means 20 is pressurized between the back of the chair and the waist of the user by the weight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120 to be temporarily fixed. At this time, the user 120 releases his hand from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to fix the fixing means ( By attaching the Velcro 21 of the 20, the traction device 100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nd fixed to the waist of the user 120. Of course, by pulling the fixing means 30 to the bottom of the user's thigh, the traction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user 120 by attaching the velcro 21 of the fixing means 20 in a temporarily fixed state. It may be fixed while being disposed below the waist region of the.

이때, 상기 탄성부재(13)는 처음 길이(L)보다 늘어난 길이(L')를 가짐으로써 탄성 복원력이 작용되어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고정수단(20)을 당기게 되며 상기 고정수단(20)이 당겨지면 상기 고정수단(20)이 감싸는 사용자(120)의 허리 부위가 자연스럽게 당겨지면서 척추 사이에 이완력이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20)의 폭(W')이 허리 폭(W)보다 넓어 사용자가 기대면서 접촉되는 지지면적이 넓어지므로 상기 고정수단(20)의 이탈이 방지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13 has a length (L ') extending than the initial length (L)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pull the fixing means 20 while pulling upwards and the fixing means 20 is pulled As the lumbar region of the user 120 wrapped by the fixing means 20 is naturally drawn, a relaxat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vertebrae. Here, the width W 'of the fixing means 20 is wider than the waist width W so that the support area that the user contacts while leaning is widened, thereby preventing the fixing means 20 from being separated.

즉, 사용자(120)의 체중에 따른 중력을 이용하며 이에 대한 탄성 반발력으로 사용자(120)의 요추 부위를 상측으로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by using the gravit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user 120, the lumbar region of the user 120 is pulled upward by the elastic repulsion force.

더욱이, 이러한 견인력이 작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120)가 의자(110)에 기대는 밀착력으로 상기 고정수단(20)을 허리 부위에 잡아 두는 것이 전제되므로 사용자의 허리 양측면 즉 양쪽 옆구리로부터 잡아당겨도 접촉 지지면이 넓게 분포되어 상기 고정수단(20)의 마찰력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며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in order for such a traction to be applied, the user 12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chair 110 by the force of the fastening means 20. The surface is widely distributed to minimize the loss due to the friction of the fixing means 20 can be effectively tow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견인장치(100)는 사용자(120)의 허리 부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중에도 상기 위치보정수단(30)을 통하여 상기 고정수단(20)의 위치를 보정가능함으로써 정확한 견인 위치를 편리하게 보정하여 실시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ra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ufficient traction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waist of the user 120, the fixing means 20 through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in use By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correct towing position can be conveniently corrected and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100)는 사용자의 상체를 의자의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킨다. 이를 통하여, 착용자가 의자에 앉아있는 자세를 교정함은 물론 척추 간을 이완시켜 요통 등의 척추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Therefore, the traction device 100 for gravity using the gra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s waist and spine by traction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user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ir. Through this, the wearer can not only correct the posture of sitting on the chair, but also relax the spine to treat spinal diseases such as back pain.

예를 들어, 운전을 하거나 사무를 보거나 혹은 공부를 하기 위해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 피로감을 덜어주어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자연스런 허리 라인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For example, if you are sitting in a chair for long periods of time driving, working, or studying, you can relieve fatigue and promote safe driving and maintain a natural waist lin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raction device for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fastening memb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지 않은 의자(510)의 경우에는 체결부재(43)를 고리부(43a)가 형성되는 체결밴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in the case of the chair 510 is not provided with a headrest,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member 43 is composed of a fastening band formed with a ring portion (43a).

즉, 견인수단(10), 고정수단(20) 및 위치보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견인장치(400)에서 체결부재(43)의 형태를 달리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의자에도 설치할 수 있다.That is,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astening member 43 in the traction device 400 consisting of the traction means 10, the fixing means 20 and the position correction means 30 can be installed in other chair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사용방법 및 작용효과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헤드레스트가 없는 의자(510)인 경우에 탄성부재(11)의 단부에 각각 체결밴드로 이루어진 체결부재(43)를 구비하여 럼버서포트(513)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을 감싸도록 끼워 상하로 배치되게 하여 견인장치(400)를 설치한다.Referring to the use method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4 and 5, in the case of the chair 510 without a headrest, the fastening members each consisting of a fastening band at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11 It is provided with a 43 so as to surround th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umber support 513 to be arranged up and down to install the traction device 400.

이때, 탄성부재(11)의 상단은 상기 럼버서포트(513)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상방으로 견인력을 제공하기가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1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lumber support 513 because it is advantageous to provide a traction upwards.

또한, 상기 체결부재(43)는 럼버서포트(513)의 길이가 달라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신축성의 밴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또한, 버클 등을 이용하여 밴드의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43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band to be installed even if the length of the lumber support 513 is different,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and using a buckle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부재(43)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의자에 상기 견인장치(4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The fastening member 43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traction device 400 to be mounted on a chair having various shape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installation.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에 각각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pplicable to each of the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본 실시예의 탄성패드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elastic pad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20)에는 사용자의 허리와 마찰에 따른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탄성 재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된 탄성패드(20a)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6 and 7, the fixing means 2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ad 20a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and coupled to at least one position to alleviate pain caused by friction with the user's waist. desirable.

즉,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소정의 탄성을 부여하도록 탄성패드(20a)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패드(20a)는 커버지(20a-1)와 그 내측에 삽입되는 탄성 재질인 스펀지(20a-2)로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at is, an elastic pad 20a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ing means 20 to impart predetermined elasticity while preventing slipping. The elastic pad 20a is preferably made of a cover 20a-1 and a sponge 20a-2 which is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therein.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20)에서 사용자의 등 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의 외면에는 척추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복수 개의 탄성패드(20a)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부착되는 것이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elastic pads 20a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ans 20 on both sides of the fixing means 20 at predetermined sides with respect to the spine.

이와 같이, 고정수단(20)이 사용자의 등 부위를 가압할 때 상기 탄성패드(20a)가 가압에 따른 마찰 통증을 완화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수단(20)을 통한 압박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통증을 최소화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xing means 20 pressurizes the user's back, the elastic pad 20a minimizes the pain caused by the pressing by the fixing means 20 by alleviating the frictional pain caused by the pressing. You can feel comfortable even for long time use.

이와 더불어, 상기 탄성패드의 내측에는 자석, 옥 등의 혈액순환 촉진물질(6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다수 개의 원반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혈액순환 촉진물질(61)을 상기 스펀지(20a-2)의 내측 곳곳에 삽입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blood circulation promoting material 61, such as a magnet, jade, etc. inside the elastic pad, that is, the blood circulation promoting material 61 having a plurality of disk forms of the sponge 20a-. It is inserted in the inner part of 2).

이러한 구성은 상기 탄성패드(20a)의 마찰 완화 기능과 더불어 탄성적으로 가압밀착되어 허리 부위의 혈액순환을 돕게 되므로 기존의 고정수단(20)에 직접 구비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Such a configuration may be more effective than providing directly to the existing fixing means 20 because the elastic pad 20a is elastically press-contacted to assist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waist region.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부 지지체의 구조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조는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ction device for the spine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sic structure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upper support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견인장치(800)는 의자 등받이 내지 별도의 고정구조가 없는 의자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상단부 지지체를 제공한다. As shown in FIG. 8, the traction device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eparate upper end support to be applied to a chair back to a chair without a separate fixing structure.

상세히, 상기 상단부 지지체는 지지바(140)와 연결바(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140)는 의자의 하부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140)는 팽창되는 방향으로 팽창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공압식 실린더(141)에 결합된 지지로드(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upper end support includes a support bar 140 and a connection bar 150. Here, the support bar 140 is detachably fix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chair. Here, the support bar 140 preferably includes a support rod 145 coupled to the pneumatic cylinder 141 to provide an expansion restoration force in the direction of expansion.

또한, 상기 연결바(150)는 상기 지지바(140)의 상단 연결부(136)에 연결되며, 상기 견인수단이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바(150)에는 클램프(112)에 의해 고정된 탄성부재(111)로 이루어진 견인수단(110)이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150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136 of the support bar 140, the towing means is coupled. In detail, the connecting bar 150 is connected to the traction means 110 made of an elastic member 111 fixed by the clamp 112.

그리고, 상기 공압식 실린더의 하단 연결부(135)에는 의자 하부 양측의 지지부재에 결합되도록 체결홀(130a,130b)이 형성된 프레임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홀(130a,130b)을 관통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상기 의자의 지지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상단부 지지체가 상기 의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on portion 135 of the pneumatic cylinder is provided with a frame formed with fastening holes (130a, 130b)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s on both sides of the lower chair.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30a and 130b,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s of the chair, such that the upper end support may be firmly fixed to the chai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400,600: 견인장치 10: 견인수단
11: 탄성부재 13,43: 체결부재
13a,43a: 고리부 20: 고정수단
20a: 탄성패드 20a-1: 커버지
20a-2: 스펀지 21: 벨크로
30: 위치보정수단 61: 혈액순환 촉진물질
110,510: 의자 111: 헤드레스트
113,513: 럼버서포트 120: 사용자
100,400,600: towing device 10: towing means
11: elastic member 13,43: fastening member
13a, 43a: ring portion 20: fixing means
20a: elastic pad 20a-1: cover paper
20a-2: sponge 21: velcro
30: position correction means 61: blood circulation promoting substance
110,510: Chair 111: Headrest
113,513: Lumber Support 120: User

Claims (5)

의자의 상단부 지지체에 지지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 양측면 부위로 배치되면서 상방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견인수단;
상기 견인수단에 결합되되,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며 고정되도록 부착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과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의 허리 양측면 부위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수단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향 견인가능한 위치보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Traction means detachably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support of the chair and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upward while being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waist of the user;
Fixing means coupled to the traction means, the fixing means is attached to be fixed to surround the waist of the user; And
It is made integral with the fixing means, and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waist of the user to the pull device using a gravity comprising a position correction means to be pulled downward to se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수단은 상기 사용자가 그립 가능하며 상기 견인수단과 일직선상에 배치된 그립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 correcting means is a traction device for gravity using the grav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grip and made of a grip member disposed in line with the trac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의자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허리 양측에 배치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한 쌍으로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탄성 반발력이 작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의자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owing means,
An elastic member provided as a pair to have a length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aist of the user from an upper end of the chair, and an elastic member to which an elastic repulsion force is applied to the weight of the user;
Traction device for gravity using a gravity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astening member for detachably fastening the elastic member to the upper end of the ch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 폭 이상의 폭을 가지면서 양단부에 벨크로의 암수가 각각 구비되어 탈부착가능한 벨트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와 접촉되는 부위의 마찰력을 완화시키도록 탄성 재질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결합된 탄성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means has a width greater than the waist width of the user, and both ends of the Velcro male and female are provided as a removable belt member,
The fixing means is a traction device for gravity using a gr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ad coupled to at least one position and elastic material to reliev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지지체는,
상기 의자의 하부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견인수단이 결합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바는 공압식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척추용 견인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nd support,
A support bar detachably fix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chair;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including the connecting bar is coupled to the towing means,
The support bar is a traction device for gravity using gravit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neumatic cylinder.
KR1020100076228A 2010-08-09 2010-08-09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KR101097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228A KR101097106B1 (en) 2010-08-09 2010-08-09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228A KR101097106B1 (en) 2010-08-09 2010-08-09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106B1 true KR101097106B1 (en) 2011-12-22

Family

ID=4550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228A KR101097106B1 (en) 2010-08-09 2010-08-09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10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399B1 (en) * 2012-04-30 2013-08-16 김정원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WO2015076596A1 (en) * 2013-11-20 2015-05-28 남연성 Active spinal traction apparatus
KR20160046338A (en) 2014-10-20 2016-04-29 김정원 Lumbar traction apparatus assembly
KR101683097B1 (en) * 2016-09-01 2016-12-06 이경노 Spine stretching belt
KR102561579B1 (en) * 2022-03-23 2023-08-01 정동출 Auxiliary chair for supporting human bod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689A (en) 1985-03-15 1986-08-05 Horner John A Patient operated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traction to the lower back vertebra of a patient in a seated position
JP2000210318A (en) 1999-01-25 2000-08-02 Tokyo Kaseihin Co Ltd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KR200368705Y1 (en) 2004-08-20 2004-12-03 권형철 Installation for hauling lo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689A (en) 1985-03-15 1986-08-05 Horner John A Patient operated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traction to the lower back vertebra of a patient in a seated position
JP2000210318A (en) 1999-01-25 2000-08-02 Tokyo Kaseihin Co Ltd Instrument for treating low back pain
KR200368705Y1 (en) 2004-08-20 2004-12-03 권형철 Installation for hauling loi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399B1 (en) * 2012-04-30 2013-08-16 김정원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WO2015076596A1 (en) * 2013-11-20 2015-05-28 남연성 Active spinal traction apparatus
KR101621084B1 (en) * 2013-11-20 2016-05-13 신재훈 Device for fulling backbone vertically
KR20160046338A (en) 2014-10-20 2016-04-29 김정원 Lumbar traction apparatus assembly
KR101683097B1 (en) * 2016-09-01 2016-12-06 이경노 Spine stretching belt
WO2018043959A1 (en) * 2016-09-01 2018-03-08 이경노 Spine stretching belt mounted and used on vehicle seat
KR102561579B1 (en) * 2022-03-23 2023-08-01 정동출 Auxiliary chair for supporting human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1666B (en) Reclining orthosis with tightening strap
US4394783A (en) Body cushion
US7140691B2 (en) Chair with torso support system
US20100318010A1 (en)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KR101097106B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the lumbar using gravity
KR101297399B1 (en) Traction apparatus for lumbar using elastic recovery
KR200466476Y1 (en) Band for protection of waist of chiropractic type
KR101449243B1 (en) Waist protector
JP5750396B2 (en) Spinal deformity orthosis
GB2089217A (en) Harness for eliminating tensions in the neck muscles
KR20150025851A (en) hanging apparatus for lumbar traction apparatus on seat
AU2011339028B2 (en) Neck relief device, and piece of headgear intended therefore
JP6403275B2 (en) Cervical spine orthosis and cervical spine orthosis unit
KR100999933B1 (en) A posture correction assistance means
EP2943167B1 (en) Back support
KR101574902B1 (en) Disc Decompression Balancer Combined Face Pillow with Breast Support
US20160311354A1 (en) Back support device and system
KR20020011618A (en) 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JPH0717214U (en) Posture correction band
KR101683097B1 (en) Spine stretching belt
JP6949308B2 (en) Orthodontic tightening waist belt and its tightening method
JP3217593U (en) Pain belt
KR20170003359U (en) Correction belt for backbone
KR20180089181A (en) Lumbar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