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526A -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526A
KR20150057526A KR1020130140991A KR20130140991A KR20150057526A KR 20150057526 A KR20150057526 A KR 20150057526A KR 1020130140991 A KR1020130140991 A KR 1020130140991A KR 20130140991 A KR20130140991 A KR 20130140991A KR 20150057526 A KR20150057526 A KR 20150057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728B1 (ko
Inventor
유재승
김준수
최홍수
김미경
정태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14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7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망,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되며, 포집망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홀을 가지는 포집장치, 배출홀과 연결되어 포집망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이송하는 이송관,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중앙 처리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그리고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이송관으로부터 해충을 전달받는 수용장치, 및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그리고 계수 정보와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가지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포집기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대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서버 및 단발기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Smart apparatus for grasping harmful insect and harmful ins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성 해충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포집기에서 포집된 해충에 관한 정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충에 의하여 농작물에 대한 피해가 발생되고 있으므로,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고, 해충의 종류 및 계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중 포집기가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바람이 강한 날이나 비가 오는 날 등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는 원활하게 포집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사 요원이 직접 공중 포집기의 설치 현장을 방문하여 공중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 기타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중 포집기를 관리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공중 포집기는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공중 포집기를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집기에 포집된 해충에 대한 해충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지역에 배치된 다수의 포집기로부터 해충 정보를 수집하거나 포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후 조건 좋지 않은 날에도 해충을 포집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해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시스템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망,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되며, 포집망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홀을 가지는 포집장치, 배출홀과 연결되어 포집망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이송하는 이송관,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중앙 처리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그리고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이송관으로부터 해충을 전달받는 수용장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그리고 계수 정보와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가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 통신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그리고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중앙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가지며, 제어신호는 제3 통신부로부터 제1 통신부에 전달되거나 제3 통신부로부터 제2 통신부와 제1 통신부에 순착적으로 전달되며, 중앙 처리부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입력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포집 장치는, 포집망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포집망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포집망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포집망 프레임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포집망 프레임은, 배출홀과 이송관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장치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제1 필터를 더 가지며, 제1 필터는, 내부에 소정의 분리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해충 및 물을 분리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분리 공간에 장착되며,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해충과 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망, 분리망에 의하여 분리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분리망에 의하여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장치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필터를 더 가지며, 제2 필터는, 내부에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이뤄지는 항온항습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해충 및 공기를 항습항습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해충 및 항온항습 공간에서 항온항습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앙 처리부는, 해충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계수 센서,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및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가 생성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앙 처리부는, 안내관을 통과하는 해충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중앙 처리부의 배출구과 연결되며, 수용공간으로 해충을 유입시키는 유입구, 수용 공간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수용망,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해충을 수용망으로 유도하는 흡입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카메라는, 수용망에 포집된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스마트 포집기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대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서버 및 단발기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소수의 인력을 이용하여,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셋째,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서버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넷째, 기후 조건이 좋지 않은 날에도 해충을 포집하여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포집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포집망 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수용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1 필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2 필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중앙 처리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수용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포집 정보 관리 시스템(1)은, 해충을 포집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스마트 포집기(10), 스마트 포집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버(20), 및 서버(20)로부터 해충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단말기(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스마트 포집기(10)를 통해 해충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20)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해충 정보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포집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포집망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포집기(10)는 해충을 포집하여 수용하고, 포집된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포집 장치(40), 이송관(50), 지지대(70), 수용 장치(60)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0)와 수용 장치(6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바닥면 위에 설치할 수 있다.
포집 장치(40)는 외부의 해충을 포집하여 후술할 이송관(50)에 전달할 수 있으며, 포집망(42), 배출홀(44), 포집망 프레임(46), 연통홀(4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집망(42)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으며, 배출홀(44)은 포집망(42)의 일측에 형성되며, 포집망(42)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42)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개구된 전면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어 포집될 수 있다. 배출홀(44)은 포집망(42)의 후면에 형성되며, 포집망(42)을 통해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포집망(4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포집망(42)의 외측면과 결합될 수 있고, 연통홀(4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을 둘러쌀 수 있는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포집망(42)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포집망(42)의 외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포집망 프레임(46)은 포집망(42)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포집망(42)을 외부로부터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도 포집망(42)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어 해충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다.
연통홀(48)은 포집망 프레임(46)은 후면에 마련되며,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후술할 이송관(50)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통홀(48)의 내부에 포집망(42)의 배출홀(44)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연통홀(48)은 후술할 이송관(50)과 결합됨으로써,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이송관(5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송관(50)은 배출홀(44)과 연결되어 포집망(42)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이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50)은 포집망(42)의 배출홀(44)과 연통되어, 포집망(42)의 배출홀(44)에서 배출된 해충을 후술할 수용 장치(60)로 안내할 수 있다.
지지대(70)는 포집 장치(40) 및 포집 장치(40)와 연결된 이송관(50)이 쓰러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풀리(72), 제2 폴리(73), 와이어 로프(74), 및 손잡이(7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0)는 하단부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풀리(72)는 지지대(7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폴리(73)는 지지대(7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72)는 포집망(42)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지지대(7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폴리(73)는 포집망(42)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지지대(7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로프(74)는 일단은 포집망(42)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포집망(42)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와이이 로프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부는 포집망(42)의 상단부로부터 시작되어 제1 풀리(72)와 제2 폴리(73)에 순차적으로 감긴 후에 포집망(42)의 하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손잡이(76)는 와이어 로프(7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74)의 일단은 포집망 프레임(46)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포집망 프레임(46)의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부는 제1 풀리(72)와 제2 폴리(73)에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다. 즉, 와이어 로프(74)와 포집망 프레임(46)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 로프(74)와 포집 장치(4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대(70)에 의하여 포집 장치(40) 및 포집 장치(40)와 연결된 이송관(50)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76)는 와이어 로프(74)의 중간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76)를 파지한 후에, 손잡이(7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집 장치(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포집 장치(40)는 이송관(50)과 연결되어있으므로, 포집 장치(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송관(50)의 길이 또한 함께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송관(50)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주름관의 형상을 가지며, 포집 장치(40)와 연동되어 포집 장치(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의하여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이송관(50)을 길이 조정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76)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포집 장치(40)의 설치 높이와 이송관(50)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나 높이에 맞추어 포집 장치(40)의 높이와 이송관(50)의 길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수용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1 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제2 필터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중앙 처리부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수용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수용 장치(60)는 제1 필터(80), 제2 필터(90), 중앙 처리부(100), 수용부(110), 제1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80)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81), 유입구(83), 분리망(85), 배출구(87), 배출 밸브(8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1)은 내부에 소정의 분리 공간(81a)이 형성되며, 유입구(83)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하우징(81)의 분리 공간(81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망(85)은 분리 공간(81a)에 장착되며,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해충과 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은 제1 필터(8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의 분리가 이뤄지는 분리 공간(81a)이 형성된다. 유입구(83)는 이송관(50)과 연결되며, 포집 장치(40)를 통해 포집된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외부의 물을 하우징(81)의 분리 공간(81a)을 안내할 수 있다. 분리망(85)은 분리 공간(81a)의 하부에 장착되며,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그물망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해충은 분리망(85)은 통과하지 못하고, 물만 분리망(85)을 통과하여 분리망(85)의 하부 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충과 함께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해충과 분리시킬 수 있다.
배출구(87)는 분리망(85)에 의하여 분리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배출 밸브(89)는 분리망(85)에 의하여 분리된 물을 외부로 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87)는 분리망(85)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하우징(81)의 측면에 형성되며, 배출 밸브(89)는 분리망(85)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하우징(8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망(85)을 통과하지 못한 해충은 배출구(87)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분리망(85)을 통과한 물은 배출 밸브(89)를 통해 수용 장치(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필터(90)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우징(92), 유입구(94), 배출구(9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92)은 내부에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이뤄지는 항온항습 공간(9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94)는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항온항습 공간(92a)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배출구(96)는 해충 및 항옹항습 공간에서 항온항습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92)은 제2 필터(9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수행되는 항온항습 공간(9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항온항습 공간(92a)에는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의 온도와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항온항습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구(94)는 제1 필터(80)의 배출구(87)와 연결되며, 제1 필터(80)의 배출구(87)에서 배출된 해충 및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항온항습 공간(92a)에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94)를 통해 공기는 항온항습이 이뤄진 상태에서 해충과 함께 배출구(9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중앙 처리부(100)는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101), 안내관(102), 유입구(103), 배출구(104),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조명(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중앙 처리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안내관(102),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있고, 안내관(102)은 해충에 대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충을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유입구(103)는 안내관(102)에 해충을 유입시키며, 배출구(104)는 안내관(102)을 통과한 해충을 배출시킨다.
또한, 계수 센서(105)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카메라(106)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조명(미도시)은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필터(90)의 배출구(96)와 연결된 유입구(103)를 통해 안내관(102)의 내부로 해충이 유입될 수 있다. 계수 센서(105)는 안내관(102)의 경로 상에 설치되며,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감지하고,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해충의 계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계수 센서(105)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Area Beam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106)는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하여 해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안내관(102)은 카메라(106)가 안내관(102)을 통과하는 해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을 가지는 투명창(102a)으로 이뤄질 수 있다. 조명(미도시)은 카메라(106)가 해충의 영상 정보를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안내관(102)의 통과하는 해충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수 센서(105)와 카메라(106)에 의하여 각각 형성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는 서버(20)와 단말기(30)에 각각 전달됨으로써, 해충 정보를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용부(110)는 해충을 수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112), 유입구(114), 수용망(116), 흡입팬(1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2)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112a)이 형성되며, 유입구(114)는 중앙 처리부(100)의 배출구(104)와 연결되며, 하우징(112)의 수용 공간(112a)으로 해충을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망(116)은 하우징(112)의 수용 공간(112a)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유입구(114)를 통해 유입된 해충을 포집할 수 있고, 흡입팬(118)은 수용 공간(112a)의 공기를 흡입하여 해충을 수용망(116)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2)은 수용부(11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2a)이 형성된다. 유입구(114)는 안내관(102)의 배출구(104)와 연결되어 안내관(102)으로부터 배출된 해충을 하우징(112)의 수용 공간(112a)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수용망(116)은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를 가지며, 유입구(114)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팬(118)은 하우징(112)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용 공간(112a)의 공기를 흡입하여 수용 공간(112a)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입팬(118)의 흡입력에 의하여 수용 공간(112a)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유입구(114)를 통해 유입된 해충은 수용망(116)에 걸려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106)는 수용망(116)에 포집된 해충들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보다 많은 개체수의 해충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스마트 포집기(1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는 중앙 처리부(100)에서 수집된 해충 정보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on)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포집기(10)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대한 해충 정보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포집기(10), 서버(20), 단말기(30) 사이에는 해충 정보 및 제어신호가 교환될 수 있다.
서버(20)는 스마트 포집기(10)에서 포집된 해충들에 해충 정보를 통합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는 스마트 ㅍ포집기의 제1 통신부로부터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전송받고, 저장부에 저장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단말기(3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는 기억 매체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격된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10)로부터 각각 전송된 계수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30)는 서버(20)에 접속하여 서버(2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받고, 스마트 포집기(10)의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제3 통신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 입력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3 통신부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단말기(30)와 서버(20) 사이 또는 단말기(30)와 스마트 포집기(10) 사이에 정보를 각각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통신부는 서버(20)의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30)의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3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영상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포집기(10)와 이격된 장소에서도 단말기(30)를 통해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여러 지역을 직접 돌아다닐 필요없이 복수의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포집기(10)에서 수집된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영상 출력을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가 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입력 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30)에 입력부가 마련됨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중앙 처리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 기타 스마트 포집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를 통해 계수 센서(105), 및 카메라(106), 조명 등의 ON/OFF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계수 센서(105), 카메라(106), 및 조명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신호는 단말기(30)의 제3 통신부로부터 스마트 포집기(10)의 제1 통신부로 직접으로 전달되거나 단말기(30)의 제3 통신부로부터 서버(20)의 제2 통신부와 스마트 포집기(10)의 제1 통신부에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포집기(10)의 제어부에 의하여 중앙 처리부(100)는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 포집기(10)의 설치 장소를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이 한 명의 사용자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포집기(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포집기(10)의 관리에 필요한 인력이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0 : 스마트 포집기
20 : 서버 30 : 단말기
40 : 포집 장치 42 : 포집망
44 : 배출홀 46 : 포집망 프레임
48 : 연통홀 50 : 이송관
60 : 수용 장치 70 : 지지대
72 : 제1 풀리 74 : 와이어 로프
76 : 손잡이 80 : 제1 필터
81 : 하우징 81a : 분리 공간
83 : 유입구 85 : 분리망
87 : 배출구 89 : 배출 밸브
90 : 제2 필터 92 : 하우징
92a : 항온항습 공간 94 : 유입구
96 : 배출구 100 : 중앙 처리부
101 : 하우징 102 : 안내관
102a : 투명창 103 : 유입구
104 : 배출구 105 : 계수 센서
106 : 카메라 110 : 수용부
112 : 하우징 112a : 수용 공간
114 : 유입구 116 : 수용망
118 : 흡입팬

Claims (12)

  1.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망, 상기 포집망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망에 의하여 포집된 해충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홀을 가지는 포집장치;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어 상기 포집망에 의하여 포집된 상기 해충을 이송하는 이송관;
    상기 해충의 계수 정보와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중앙 처리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제1 통신부, 그리고 상기 해충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해충을 전달받는 수용장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그리고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가지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하여 송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그리고 상기 제3 통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상기 계수 정보와 상기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중앙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제1 통신부에 전달되거나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부에 순착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포집망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포집망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포집망의 외측면과 결합되는 포집망 프레임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망 프레임은,
    상기 배출홀과 상기 이송관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해충 및 상기 해충과 함께 유입된 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제1 필터를 더 가지며,
    상기 제1 필터는,
    내부에 소정의 분리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해충 및 상기 물을 상기 분리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분리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상기 해충과 상기 물을 분리시키는 분리망;
    상기 분리망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및
    상기 분리망에 의하여 분리된 상기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해충과 함께 유입된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필터를 더 가지며,
    상기 제2 필터는,
    내부에 상기 공기에 대한 항온항습이 이뤄지는 항온항습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해충 및 상기 공기를 상기 항습항습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 및
    상기 해충 및 상기 항온항습 공간에서 항온항습된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해충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감지하고, 상기 해충의 마리수를 측정하여 상기 계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계수 센서;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상기 계수 정보 및 상기 영상 정보가 생성된 상기 해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안내관을 통과하는 상기 해충에 대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중앙 처리부의 상기 배출구과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해충을 유입시키는 유입구;
    상기 수용 공간에 장착되며,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수용망;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해충을 상기 수용망으로 유도하는 흡입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수용망에 포집된 상기 해충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30140991A 2013-11-19 2013-11-19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57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91A KR101570728B1 (ko) 2013-11-19 2013-11-19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91A KR101570728B1 (ko) 2013-11-19 2013-11-19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526A true KR20150057526A (ko) 2015-05-28
KR101570728B1 KR101570728B1 (ko) 2015-11-23

Family

ID=5339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991A KR101570728B1 (ko) 2013-11-19 2013-11-19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643A (ko) * 2014-11-17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WO2017175927A1 (ko) * 2016-04-04 2017-10-12 오석재 해충 포집 기능을 갖는 광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07B1 (ko) * 2016-11-23 2018-06-04 이선희 해충 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643A (ko) * 2014-11-17 2016-05-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WO2017175927A1 (ko) * 2016-04-04 2017-10-12 오석재 해충 포집 기능을 갖는 광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728B1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KR101651917B1 (ko)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570728B1 (ko) 스마트 포집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476256B1 (ko)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기
JP4600888B2 (ja) ガス検知管撮影装置、ガス検知管測定装置、ガス濃度測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642711B1 (ko)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CN106614440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作物害虫智能测报系统
CN108589868A (zh) 自动尿检的智能马桶及其控制系统
CN104918007A (zh) 基于计算机视觉的大田虫情监控采样装置及采样方法
CN108669018A (zh) 既定范围内单一目标昆虫的统计方法及适用于种植区飞虫统计的杀虫灯
KR101642715B1 (ko) 모기 원격 계측 시스템 및 모기 영상으로부터 모기를 종류별로 인식하는 방법
CN11066365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作物害虫智能监测预警系统
KR101642712B1 (ko) 모기의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
US7880874B2 (en) Surface particle counter
CN110547271B (zh) 害虫高空诱控捕杀装置
CN111202035B (zh) 一种用于农林业虫害预测的害虫自动收集装置及方法
CN208639408U (zh) 微小迁飞害虫诱集监测装置
CN211881841U (zh) 基于微信平台的烟草害虫测报系统
CN205692002U (zh) 无线智能仓虫监测系统
JP7273613B2 (ja) 捕虫システム、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捕虫装置
CN103975911A (zh) 一种基于害虫引诱技术的仓虫自动检测装置及系统
CN212174955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农业机械病菌孢子自动捕捉设备
CN211581296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粮仓虫害抓拍装置
CN107264604A (zh) 智能监测设备、系统及智能婴儿车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