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790A - 플러그 커넥션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790A
KR20150056790A KR1020157007462A KR20157007462A KR20150056790A KR 20150056790 A KR20150056790 A KR 20150056790A KR 1020157007462 A KR1020157007462 A KR 1020157007462A KR 20157007462 A KR20157007462 A KR 20157007462A KR 20150056790 A KR20150056790 A KR 2015005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contact
plug
condu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725B1 (ko
Inventor
크리스티앙 단딜
토마스 호프링
그리스티앙 비어만
토마스 쉬미드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5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션(plug connection)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 2 개 이상의 접촉 요소(contact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는, 상기 플러그 커넥션의 플러그 접속 상태(plug-connected state)의 접촉 포인트(contact point)에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와 접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들은,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편항될(elastically deflected) 수 있는 접촉 러그(contact lug)의 형태로 설계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션{PLUG CONNECTION}
본 발명은 제1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션(plug connectio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전송을 위한 2 개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커넥션에 대한 다중 플러그 커넥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션은, 2 개의 회로 기판 사이의 거리(spacing) 및 평행 정렬(parallel alignment)에 관해, 정의된 허용 오차(tolerance) 범위 내에서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무손실(loss-free) 전송을 가능한 한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접촉 요소(contact element)의 다른 요구조건은 경제적인 제조 및 단순한 조립을 포함한다.
2 개의 회로 기판 사이의 단순한 커넥션(즉, 라디오 주파수 신호 경로를 형성하는)은 회로 기판과 확실하게(firmly) 접속되는 2 개의 동축 플러그 커넥터(coaxial plug connector) 및 양 동축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어댑터(adapter), 소위 "불릿(bullet)"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어댑터는 축 방향(axial)과 반경 방향(radial)의 허용 오차 보상(tolerance compensation)뿐 아니라 평행 정렬에 관한 허용 오차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동축 플러그 커넥터는 SMP, Mini-SMP 또는 FMC이다.
이와 다르게, 2 개의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커넥션은 또한 단일 도전체 또는 다중 도전체 환경에서 스프링 적재 접촉 핀(spring-loaded contact pin), 소위 "포고 핀(pogo pin)"을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 적재 접촉 핀은 슬리즈(sleeve) 및 상기 슬리브 내에서 부분적으로 가이드 되는 헤드(head)뿐 아니라 상기 헤드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서 지지되는 나선형 스프링(helical spring)을 포함한다. 스프링 힘 및 블록 길이(block length)에 관해 나선형 스프링의 요구되는 특성은 비교적 긴 스프링 길이를 필요로 하고, 스프링 적재 접촉 핀의 축 방향의 구조 높이(axial construction height)에 대한 상응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일 도전체 구성에서 스프링 적재 접촉 핀을 사용하는 것은, 이것들이 만족스러운 전기적 출력을 달성하기 위해 신호 및 접지 핀으로서 특정한 패턴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음을 요구한다. 한편, 이것들의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중 도전체는 결함에 취약하고 고비용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은 향상된 플러그 커넥션을 제공하는 문제에 기초한다. 특히, 허용 오차 보상 특징(tolerance-compensating properties)에도 불구하고, 플러그 커넥션은 경제적인 제조, 단순한 구조 및/또는 단순한 조립을 통해 구별된다.
이러한 문제는 독립항 1의 청구 대상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의 이로운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청구 대상이고 아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제2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각각은 2 개 이상의 접촉 요소를 포함하고,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는 플러그 커넥션의 플러그 접속 상태(plug-connected state)의 접촉 포인트(contact point)에서 제2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와 접촉을 형성하는 이러한 일반 타입(generic type)의 플러그 커넥션에서, 본 발명에 따라 양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는, 자유 공간으로 돌출되는(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공간으로 완전히 자유롭게(completely freely) 돌출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접촉 러그(elastically deflectable contact lugs)의 형태로 설계된다.
그것의 단순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는 비교적 큰 허용 오차의 보상을 허용하며, 그 이유는 접촉(contact)의 양 측, 즉,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 및 다른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가 탄성 편향의 가능성을 통해 - 필요에 따라 - 허용 오차 보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러그(contact lug)"는, 다른 구성요소와 확실하게 접속되는 커넥션 포인트(connection point)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자유 공간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대해 접촉 요소가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기능적이고 허용 오차 보상을 하는 탄성 효과를 제공하는 접촉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접촉 러그는 그 구성 형태에 있어 (폭은 바람직하게는 길이보다 적고, 폭과 길이의 일부분의 값을 갖는 높이를 갖는) 평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은 바람직하게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전송을 의도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응용을 위해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러그는, 유리하게, 동축 접촉 요소 쌍(coaxial contact element pairs)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 러그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도전체의 각각의 일부분이고, 제2 접촉 러그는, 내부 도전체를 포위하는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외부 도전체의 각각의 일부분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내부 도전체의 접촉 러그는 외부 도전체의 접촉 러그에 의해 각각 포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단일 도전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부 도전체가, 접촉 러그 영역에서도, 외부 도전체에 의한 전자기 간섭으로부터 실딩되도록(shielded) 하고, 나아가 다중 플러그 커넥션으로서의 플러그 커넥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촉 요소 쌍들 사이의 혼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러그는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spring-loaded contact lug)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는 탄성 편향이 발생되는 접촉 러그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탄성 편향은 허용 오차 보상을 허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생될 뿐 아니라, 대응하는 반대(counter) 접촉 요소와 접촉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발생된다. 따라서,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의 기능 중 하나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접촉 포인트에 충분한 접촉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매우 큰 허용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2 개의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요소들 사이에 특히 양호하고 안전한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 중 하나의 이중(double) 접촉 러그는 다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일(single) 접촉 러그를 펜치 유사 방식(pincer-like manner)으로 고정시킬(grasp)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중 접촉 러그는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의 형태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단순하고, 따라서 경제적인 가능성은 접촉 러그 및 특히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요소(stamped and bent component)의 형태로 내부 및 외부 도전체 전체를 설계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연체가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도전체와 외부 도전체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절연체는 절연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의 안정성에도 기여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및 외부 도전체(바람직하게는 접촉 요소까지)를 포위하는 하나 또는 양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은, 예컨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와 함께 이동(plugging-together movement)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플러그 인터페이스(plug interface)의 일부분일 수 있고, 상기 플러그 인터페이스는 플러그 커넥터가 다른 것과 올바르게 정렬된 경우에만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고, 이들의 플러그 접속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에 의해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저반사(low-reflection) 전송을 달성하기 위해, 신호 도전체의 임피던스(impedance)의 변화는 회피되어야 한다. 임피던스는 신호 도전체(물질 및 단면, 특히 단면의 크기)에 의해, 그리고 이것을 둘러싸는 유전체에 의해 크게 영향받기 때문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부 도전체에 의해 형성된 접촉 러그의 단면은, 절연체에 의해 포위된 내부 도전체의 단면과 상이하도록 선택되어, 실질적으로 일정한 임피던스 결과를 가져온다. 원칙적으로, 대개 유전체로서 공기에 의해 둘러싸이는 접촉 러그의 단면 표면 영역은 절연체에 포위되는 내부 도전체의 단면의 단면 표면 영역보다 더 넓게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유리한 방식으로, 제1 플러그 커넥터 및 제2 플러그 커넥터가 복수의 내부/외부 도전체 쌍을 구비하는 다중 플러그 커넥션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다중 플러그 커넥션에서, 바람직하게는 단일한 부분으로 형성되는 절연체는, 내부/외부 도전체 쌍의 외부 도전체와 내부 도전체 사이와, 내부/외부 도전체 쌍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에 따라 다중 플러그 커넥터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그 안에 고정되거나 배치된 내부 및 외부 도전체와 단일 피스(single one-piece)의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제조 및 조립에 있어서 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은, 유리하게도, 2 개의 회로 기판의 커넥션, 즉, 소위 보드-투-보드Board-to-Board) 또는 B2B 커넥션에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도전체(들) 및/또는 외부 도전체(들), 바람직하게는 양 플러그 커넥터 모두는, 접촉 러그와 반대인 이들의 단부에서, 회로 기판의 도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와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이들 접촉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내부 및/또는 외부 도전체의 만곡되거나 각이 진 단면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절연체는 회로 기판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 수단은 예를 들어 스냅인 탭(snap-in tab)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플러그 접속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을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플러그 커넥션의 도전체 요소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커넥션의 제1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션의 제1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션의 제2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제1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 커넥션의 제2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제2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션은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를 포함한다.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1, 2)는 복수의(구체적으로는 4개의) 도전체 쌍을 포함하고, 각각의 도전체 쌍은 내부 도전체(3) 및 외부 도전체(4)를 포함하고, 이것들은 동축 구성(coaxial configuration)으로 배치된다. 플러그 커넥터(1, 2)의 내부 도전체(3) 및 외부 도전체(4)는 절연체(5) 내부에 또는 절연체(5) 상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절연체(5)는 개별적인 도전체 쌍의 외부 도전체(4)로부터 내부 도전체(3)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뿐 아니라, 도전체 쌍들을 서로로부터 절연시키고, 모든 도전체들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고, 나아가 플러그 커넥터(1, 2)를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모든 도전체는 스탬핑된 요소 또는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요소로서 제조된다. 즉, 이것들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필요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경제적인 대량 생산을 가능토록 한다. 모든 도전체는 또한, 적어도 일 측면 상에, 이것들이 연관된 절연체(5)와 인접한 단면을 갖고, 이것들과 관련하여 대부분 움직일 수 없다. 모든 도전체는 또한, 대응하는 회로 기판 상에 연관된 접촉 영역과 접촉을 형성하는 접촉 영역(6)을 형성한다. 또한, 도전체는, 다른 플러그 커넥터(1, 2)의 관련된(대응되는) 접촉 러그(7)와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포인트를 형성하는 접촉 러그(7)를 형성한다.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도전체(3)는 간단하게 스탬핑된 요소로서 설계되어, 특히 단순한 지오메트리(geometry)를 가진다. 이들은 자유 공간으로 돌출되는 비교적 넓은 측방향 접촉 표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접촉 러그(7)를 형성한다. 대응하는 회로 기판을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영역(6)은 접촉 러그(7)와 반대되는 단면 상에 제공된다.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접촉 러그(7)는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몇몇의(구체적으로 3 개의)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에 의해 펜치 유사 방식(pincer-like manner)으로 각각 접촉된다.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는 S-형상(S-shaped)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비교적 큰 스프링 변위, 즉, 측방향으로의 편향 가능성을 허용한다. 또한, 내부 도전체(3)의 3 개의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 사이에 V-자로 형성된 인테이크(V-formed intake)가 형성되어, 비교적 큰 위치 허용 오차(positioning tolerance)와 함께,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관련된 접촉 러그(7)의 펜치 유사 방식의 고정을 보장한다. S-형상은 또한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의 비교적 작은 표면 면적의 접촉 포인트를 형성한다.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절연체(5) 내에 위치한 내부 도전체(3)의 단면은 평평하게 연장되어, 약 90°를 갖는 2 개의 접촉 영역(6)의 하부 측 상에서 종결되고, 연관된 회로 기판과 접촉이 형성된다.
양 플러그 커넥터(1, 2)의 외부 도전체(4)에는, 이들이, 절연체(5)의 단면을 포위함으로써 대응하는 내부 도전체(3)를 포위하고 기계적으로 이것에 접속됨에 따라 하우징이 형성된다.
3 면의 하우징 단면을 갖는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외부 도전체(4)는 공간으로 자유롭게 돌출하고, 2 개의 마주보는 측면은 - 내부 도전체(3)의 경우와 같이 -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몇몇의(구제척으로, 3 개의) S-형태의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에 의해 펜치 유사 방식으로 접촉되는 접촉 러그(7)의 역할을 한다.
2 개의 플러그 커넥터(1, 2)의 모든 접촉 러그(7)는 설계상 비교적 길거나, 넓은 표면 영역으로 설계되고, 그 이유는 - 충분하게 강하고 이에 따라 하중을 견딜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 이것들은 플러그 커넥터(1, 2)를 함께 플러깅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비교적 멀리까지 편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교적 높은 편향 가능성은, 모든 접촉 요소가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플러그 커넥션의 특정 실시예를 통해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유연 가능성은 플러그 커넥터(1, 2)의 허용 오차의 요구 조건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그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에 의한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도전체(3)에 의해 형성된 접촉 러그(7)의 펜치 유사의 접촉은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충분한 접촉 압력 및 이에 따른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매우 큰 허용 오차를 갖는 신뢰성 있는 전송을 언제나 보장한다.
플러그 커넥션의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또한,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도전체(3)의 길이방향 축 방향으로 비교적 큰 허용 오차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이것에 의해 형성된 접촉 러그(7)의 측방향 접촉 표면이 매우 커서 이것들은, 상대적으로 넓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제1 플러그 커넥터의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8)에 의해 접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양 플러그 커넥터(1, 2)의 절연체(5)는 단일 피스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것들은 또한 이것들이 2 부분의 몰드(two-part mould)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몰드로부터의 배출 방향의 언더컷(undercut)(이것은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도전체(3)의 길이방향에 대응함)은 완전히 또는 대부분 회피된다. 따라서 절연체(5)의 사출 성형은 큰 복잡성 없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조 방법은, 스탬핑되거나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모든 도전체와 같이, 특히 플러그 커넥션의 모든 요소에 대한 경제적인 대량 연속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조립 또한 매우 단순하여 특히 자동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미 크게 미리 형성된 내부 도전체(3)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외부 도전체(4)는 절연체(5)의 대응하는 관통 개구에 단순히 밀어 넣어지면 되고 이에 따라 제자리에 고정된다.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내부 도전체(3)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외부 도전체(4)의 경우에, 접촉 영역(6)은 이러한 목적으로 구부러진다.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내부 도전체(3)의 경우에 고정부는 접착 본딩에 의한 물질 결합을 통해 영향받는다. 본질적으로, 그러나, 예컨대 스냅 로킹 요소(snap-locking element)를 통한 프릭션 로킹(friction-locking) 또는 폼 로킹(form-locking) 수단에 의한 고정 또한 가능하다.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외부 도전체(4)는 그 후 절연체(5)의 대응하는 단면 상에 밀어 넣어지고, 구부러진 로킹 탭(locking tab)(9)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며, 로킹 탭(9)은 절연체(5)의 리세스(recess)에 체결된다.
본질적으로, 구부러진 탬에 의해 고정하는 폼 로킹 대신 또는 이에 추가하여, 상기 고정은 (예컨대, 접착 본딩을 통한) 물질 결합을 통해 또는 힘-로킹(force-locking) 수단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스냅 로킹 요소에 의해 고정하는 폼 로킹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 2)와 대응하는 회로 기판의 기계적인 접속을 위해, 모든 절연체(5)는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관통 개구를 통해 밀어 넣어지고, 이것들의 자유 단부의 플라스틱 변형을 통헤 제자리에 고정되는 접촉 핀(10)을 구비한다.
1: 제1 플러그 커넥터
2: 제2 플러그 커넥터
3: 내부 도전체
4: 외부 도전체
5: 절연체
6: 접촉 영역
7: 접촉 러그
8: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
9: 구부러진 잠금 탭
10: 부착 핀

Claims (12)

  1. 제1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1) 및 제2 플러그 커넥터(2)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션(plug connection)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2 개 이상의 접촉 요소(contact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접촉 요소는, 상기 플러그 커넥션의 플러그 접속 상태(plug-connected state)의 접촉 포인트(contact point)에서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접촉 요소와 접촉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접촉 요소들은,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편항될(elastically deflected) 수 있는 접촉 러그(contact lug)(7)의 형태로 설계되는 플러그 커넥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제1 접촉 러그(7)는 내부 도전체(3)의 일부분이고,
    제2 접촉 러그(7)는 상기 내부 도전체(3)를 포위하는 외부 도전체(4)을 일부분인 플러그 커넥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전체(3)의 접촉 러그(7)는 각각의 경우에 상기 외부 도전체(4)의 접촉 러그(7)에 의해 포위되는 플러그 커넥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의 접촉 러그(7)는 스프링 적재 접촉 러그(spring-loaded contact lug)(8)로서 설계되는 플러그 커넥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 중 어느 하나의 이중(double) 접촉 러그(7)는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 중 다른 하나의 단일(single) 접촉 러그(7)를 펜치 유사 방식(pincer-like manner)으로 고정시키는(grasp) 플러그 커넥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러그(7)는 스탬핑된(stamped) 요소 또는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요소의 형태로 설계되는 플러그 커넥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의 상기 외부 도전체(4)와 상기 내부 도전체(3) 사이의 각각의 경우에 배치되는 절연체(5)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전체(3)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접촉 러그(7)의 단면은, 상기 절연체(5)에 의해 포위된 상기 내부 도전체(3)의 단면과 상이하도록 선택되어, 실질적으로 일정한 임피던스(impedance) 결과를 갖는 플러그 커넥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또는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는 복수의 내부/외부 도전체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체(5)는, 상기 내부/외부 도전체 쌍의 상기 외부 도전체(4)와 상기 내부 도전체(3) 사이와, 상기 내부/외부 도전체 쌍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러그 커넥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절연체(5)는 상기 접촉 러그(7)를 포위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션.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내부 도전체(3) 및 상기 외부 도전체(4)는, 상기 접촉 러그(7)와 반대인 상기 내부 도전체(3) 및 상기 외부 도전체(4)의 단부에서 회로 기판과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영역(6)을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러그 커넥터(1) 및 상기 제2 플러그 커넥터(2)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5)는 회로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션.
KR1020157007462A 2012-09-18 2013-09-09 플러그 커넥션 KR101926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008969U DE202012008969U1 (de) 2012-09-18 2012-09-18 Steckverbindung
DE202012008969.2 2012-09-18
PCT/EP2013/002701 WO2014044361A1 (de) 2012-09-18 2013-09-09 Steckverbi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90A true KR20150056790A (ko) 2015-05-27
KR101926725B1 KR101926725B1 (ko) 2018-12-07

Family

ID=4735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462A KR101926725B1 (ko) 2012-09-18 2013-09-09 플러그 커넥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543718B2 (ko)
EP (1) EP2898572B1 (ko)
JP (1) JP6121537B2 (ko)
KR (1) KR101926725B1 (ko)
CN (1) CN104737375B (ko)
DE (1) DE202012008969U1 (ko)
TW (1) TWM468823U (ko)
WO (1) WO2014044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6067U1 (de) 2013-07-05 2013-08-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US9692183B2 (en) * 2015-01-2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 bus
TWI735439B (zh) 2015-04-14 2021-08-11 美商安芬諾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TWI612730B (zh) * 2015-05-22 2018-01-21 格稜股份有限公司 高速連接器
US10128624B2 (en) * 2016-08-01 2018-11-1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ower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2425A (en) * 1983-07-27 1985-11-12 Amp Incorporated High current connector
US5169324A (en) * 1986-11-18 1992-12-08 Lemke Timothy A Plug terminator having a grounding member
US5057028A (en) * 1986-11-18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having a nosepeice to receive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US5160273A (en) 1991-06-24 1992-11-03 Porta Systems Corp. Connector block assembly
US5620340A (en) * 1992-12-31 1997-04-15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JPH07122335A (ja) * 1993-10-20 1995-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5888096A (en) 1994-01-25 1999-03-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tact
DE4446098C2 (de) 1994-12-22 1998-11-26 Siemens Ag Elektrischer Verbinder mit Abschirmung
US5906518A (en) * 1995-04-18 1999-05-2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314377B2 (en) * 1998-04-17 2008-01-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6471549B1 (en) 1999-10-18 2002-10-29 Lappoehn Juergen Shielded plug-in connector
US6471523B1 (en) * 2000-02-23 2002-10-29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DE60110070T2 (de) 2000-06-29 2006-05-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Verbinder für hohe übertragungsgeschwindigkeit
CN1902789B (zh) * 2003-12-31 2010-06-09 Fci公司 电源触头及包括电源触头的连接器
EP1702389B1 (en) * 2003-12-31 2020-12-09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ctrical power contacts and connectors comprising same
US7726982B2 (en) * 2006-06-15 2010-06-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s with air-circulation features
WO2008054683A1 (en) * 2006-10-30 2008-05-08 Fci Broadside-coupled signal pair configuration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7387521B1 (en) * 2006-12-22 2008-06-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end mounting panel members
US7811100B2 (en) * 2007-07-13 2010-10-1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having a continuous ground at the mating interface thereof
JP5275766B2 (ja) 2007-12-07 2013-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基板同軸接続機構および基板同軸接続装置
FR2929047B3 (fr) * 2008-03-20 2010-09-03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Connecteur electrique femelle
CN101924287B (zh) * 2009-08-05 2014-03-12 安费诺东亚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铡刀式连接器
US8496486B2 (en) 2010-07-19 2013-07-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ransceiv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2008969U1 (de) 2012-11-09
EP2898572B1 (de) 2017-11-15
CN104737375B (zh) 2018-03-30
EP2898572A1 (de) 2015-07-29
JP6121537B2 (ja) 2017-04-26
US9543718B2 (en) 2017-01-10
US20170162956A1 (en) 2017-06-08
CN104737375A (zh) 2015-06-24
US9865950B2 (en) 2018-01-09
KR101926725B1 (ko) 2018-12-07
TWM468823U (zh) 2013-12-21
US20150249309A1 (en) 2015-09-03
WO2014044361A1 (de) 2014-03-27
JP2015528637A (ja) 201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TWI795323B (zh) 提供接觸支撐和阻抗匹配特性之包覆成型導線架
US9608388B2 (en) Connector
US9865950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KR102580253B1 (ko) 커넥터
CN111029821A (zh) 插槽连接器
CN116632579A (zh) 插头组件、电连接器、连接器组件和制作插头组件的方法
TW202205761A (zh) 連接器
WO2021060189A1 (ja) コネクタ測定用プローブ及びコネクタの測定方法
CN113994545B (zh) 连接器
JP7120469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KR100998813B1 (ko)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CN112864740A (zh) 一种浮动连接器
CN110707454A (zh) 电连接器
CN217823594U (zh) 同轴开关连接器
CN219759998U (zh)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装置
WO2021201053A1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4817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5395327A (zh) 同轴连接器
KR200435070Y1 (ko) 전기연결구
JP2022049162A (ja) コネクタ組立体
TWM655743U (zh) 電連接器組合
CN115149358A (zh) 一种同轴开关连接器
KR20200039557A (ko) 플로팅 b2b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