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498A -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498A
KR20150055498A KR1020130137931A KR20130137931A KR20150055498A KR 20150055498 A KR20150055498 A KR 20150055498A KR 1020130137931 A KR1020130137931 A KR 1020130137931A KR 20130137931 A KR20130137931 A KR 20130137931A KR 20150055498 A KR20150055498 A KR 2015005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terminal
information
gesture information
imag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3013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498A/ko
Publication of KR2015005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스쳐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에서 전화가 수신된 경우,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에 제스쳐를 입력함으로써, 단말에 수신된 전화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은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단계 및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의 전화 수신 시,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특정 메시지의 전송이나 녹음된 음성의 전송 등 휴대용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RMINAL BY USING GESTURE}
본 발명은 제스쳐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에서 전화가 수신된 경우,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에 제스쳐를 입력함으로써, 단말에 수신된 전화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smart phone) 또는 태블릿 (Tablet)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을 포함한 다양한 휴대용 단말의 종류가 증가하고 그 기능 또한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 중이거나 운전 중에, 또는 업무의 수행 중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휴대용 단말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의 전화 수신 시, 전화 수신이 중단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직접 메뉴를 눌러 특정 기능을 실행해야 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활용하여 업무의 수행 중이었거나 휴대용 단말을 네비게이션 (navigation) 으로 활용하여 운전 중인 경우 등 복합적인 상황에서는 전화 수신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말에서 전화 수신 시, 손가락 모양과 같은 간단한 제스쳐에 따라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의 전화 수신 시,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단말에 수신된 전화를 제어함으로써, 직접 메뉴를 누르거나 또는 전화 수신이 중단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의 전화 수신 시,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특정 메시지의 전송이나 녹음된 음성의 전송 등 휴대용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은,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단계 및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활성화 조건을 설정하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연속된 복수개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복수개의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명령을,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단계는,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키지 못한 경우, 제스쳐 정보에 근접한, 한 개 이상의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고,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고,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활성화 조건을 설정하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연속된 복수개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복수개의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복수개의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명령을,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키지 못한 경우, 제스쳐 정보에 근접한, 한 개 이상의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는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부 및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단말의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고,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의 전화 수신 시,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단말에 수신된 전화를 제어함으로써, 직접 메뉴를 누르거나 또는 전화 수신이 중단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의 전화 수신 시, 간단한 제스쳐를 통해 특정 메시지의 전송이나 녹음된 음성의 전송 등 휴대용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알고리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한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의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해 전화 수신을 제어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해 전화 수신을 제어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해 전화 수신을 제어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이란, 스마트폰 및 태블릿 (Tablet) 등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성 및 영상 인식장치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디바이스라면, 어느 특정한 디바이스로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전화란, 통신을 요청한 사용자에 의해 요청을 수신한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락을 대기중인 상태의 요청을 말하며, 제스쳐란, 손이나 얼굴, 몸 등을 이용해서 표현된 동작을 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알고리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통한 단말 제어 알고리즘이 구현되는 수신제어 장치 (100) (이하 ‘제스쳐기반 통화제어 장치’라 함) 는 수신부 (110) 및 제어부 (120) 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스쳐기반 통화 제어 장치 (100) 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Tablet) 등과 같은 음성 및 영상 인식장치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이러한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 그 자체일 수 있다.
먼저, 수신부 (110) 는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한다. 수신부 (110) 는 후술할 제어부 (120) 에 단말의 영상인식장치가 활성화된 경우 제스쳐를 인식하며, 인식한 제스쳐를 기반으로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 (120) 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는 단말의 카메라 또는 조도센서와 함께 동작하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말하며, 단말에 포함되거나 연결되어 기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스쳐 정보란, 수신부 (110) 가 인식한 제스쳐를 미리 선정된 기준 등에 따라 생성된 제스쳐의 평면화된 정보 또는 영상인식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를 말하며, 이때 인식된 제스쳐를 기반으로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은,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인식된 사물의 윤곽, 이미지 변화 또는 이미지 등 사물을 통해 식별 가능한 모든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 (120) 는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에 수신된 제스쳐의 제스쳐 정보를 수신부 (110) 로 부터 전송 받는다. 또한, 제어부 (120) 는 전송받은 제스쳐 정보를 명령활성화 정보와 대응시키며, 수신된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한다.
여기서, 명령활성화 정보란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정보를 말하며, 예를 들면 손가락을 한 개 펴고 있는 제스쳐에 대응하는 명령활성화 정보가 통화를 거절하고 ‘회의중’ 이라는 음성을 전달하도록 저장되어 있다면, 수신부 (110) 에 의해 손가락을 한 개 펴고 있는 제스쳐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 (110) 는 통화를 거절하고 ‘회의중’ 이라는 음성을 전달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이러한 명령활성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단말에 저장 될 수 있고, 사용자에 따라 상이한 명령활성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 (120) 는 전화가 수신되면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 한다 (S100). 이때, 제어부 (120) 는 활성화 조건을 설정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가 수신되면 즉시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 시키거나, 일정시간 동안 전화에 대해 어떠한 입력도 없을 경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 시키도록 설정 할 수 있다.
제어부 (120) 에 의해 영상인식장치가 활성화 되면 (S100), 수신부 (110) 는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고 (S110), 인식된 제스쳐를 기반으로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 (120) 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부 (110) 가 인식하는 제스쳐는 복수개일 수 있고, 복수개의 제스쳐는 영상인식장치가 활성화 된 후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제스쳐를 인식하거나, 일정시간 동안 인식된 제스쳐의 변화를 인식한 후,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 (120) 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 (110) 에 의해 제스쳐 정보가 전송되면, 제어부 (120) 는 수신된 제스쳐 정보와 기 저장된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킨다 (S120). 이때, 제어부 (120) 는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키지 못한 경우, 수신된 제스쳐에 근접한 대응되는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제스쳐를 선택 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가락을 2개만 펼친 상태의 제스쳐를 입력했을 경우,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제스쳐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활성화 정보가 없을 경우, 제어부 (120) 는 손가락을 1개 또는 3개 펼친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먹을 쥐었을 경우 첫 번째 메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거나 손을 펼쳤을 경우에 두번째 메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등, 메뉴 인터페이스가 발생했을 경우의 제스쳐 입력을 설정하여, 간단한 제스쳐의 입력으로 수신된 전화에 대해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 (120) 는 수신된 제스쳐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활성화 정보의 명령을 실행한다 (S130). 예를 들면, 손가락을 한 개만 펼쳤을 경우에 ‘회의 중 입니다’ 라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 하거나, 손가락을 두 개 펼쳤을 경우에 ‘회의 중 입니다’ 라는 문자로 된 메시지를 전송 하여 수신된 전화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화가 수신 되었을 때 사용자의 단말이 소리가 나지 않는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 하여 일정시간 동안 제스쳐가 수신되지 않거나 사용자에 의해 어떠한 입력도 없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을 소리가 나도록 전환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20) 는 현재 실행중인 기능에 대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제스쳐가 올바르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보여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한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의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단말 (300) 의 디스플레이 화면 (310) 에서, 전화가 수신된 경우 ‘거절’ 및 ‘통화’ 메뉴가 활성화된, 전화가 수신된 단말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화면 (310) 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단말의 영상인식장치가 활성화되고 ‘제스쳐를 입력하세요’ 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영상인식장치가 활성화 되어 제스쳐의 입력이 가능함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해 전화 수신을 제어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는 단말 (300) 의 영상인식장치 (305) 를 통해 제스쳐 (410) 를 입력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제스쳐 (410) 의 입력에 따라 ‘통화거절 회의 중 음성 전달중’ 이라는 메시지 (411) 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전화를 수신하지 않았고, 전화를 수신하지 못한 이유를 음성으로 전송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해 전화 수신을 제어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는 단말 (300) 의 영상인식장치 (305) 를 통해 제스쳐 (510) 를 입력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제스쳐 (510) 입력에 따라 ‘회의 중’ 이라는 메시지 (511) 를 문자로 전송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 및 도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스쳐에 대응하는 기능을 미리 설정하여, 전화를 수신했을 경우 요청을 거절하고 해당이유를 음성 또는 문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설정 가능한 기능은 전화 수신 요청을 수락하거나 영상통화의 요청 등, 단말에서 수행이 가능한 기능이라면 어느 특정 기능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또한 손가락을 한 개 펼치는 제스쳐 (410) 를 입력한 후, 손가락을 두 개 펼치는 제스쳐 (510) 를 입력하여 ‘회의 중’ 이라는 음성 메시지와 문자 메시지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에 의해 전화 수신을 제어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도 5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300) 의 영상인식장치 (305) 를 통해 제스쳐 (510) 를 입력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인식된 제스쳐의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키지 못한 경우, 인식된 제스쳐에 근접한, 대응되는 제스쳐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611) 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두개의 손가락을 펼친 제스쳐를 (510) 를 입력했지만 해당 제스쳐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활성화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입력된 제스쳐가 정확하지 않아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지 못한 경우, 해당 제스쳐에 근접한 손가락을 한 개 펼친 제스쳐와 손가락을 두 개 펼친 제스쳐의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611)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공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고,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제스쳐 (410) 를 입력함으로써, 수신된 전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d는 도 6c에서 입력된 제스쳐 (410) 에 의해 도 4b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거절 회의 중 음성 전달중’ 이라는 메시지 (411) 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전화를 수신하지 않았고, 전화를 수신하지 못한 이유를 음성으로 전송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일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스쳐기반 통화 제어 장치
110: 수신부
120: 제어부
300: 단말
305: 단말의 영상인식장치
310: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311, 411, 511, 611: 제스쳐를 통한 단말에서의 전화 수신제어에 의해 전화 수신이 제어된 일 태양
410, 510: 사용자의 손을 이용한 제스쳐

Claims (9)

  1.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단말의 활성화된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상기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활성화 조건을 설정하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연속된 복수개의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여 복수개의 상기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명령을, 수신된 상기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쳐 정보와 상기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키지 못한 경우, 상기 제스쳐 정보에 근접한, 한 개 이상의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5.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단말의 활성화된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고,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상기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활성화 조건을 설정하여 설정한 조건에 따라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연속된 복수개의 상기 제스쳐를 인식하여 복수개의 상기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복수개의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명령을, 수신된 상기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는,
    상기 제스쳐 정보와 상기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시키지 못한 경우, 상기 제스쳐 정보에 근접한, 한 개 이상의 제스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9. 단말의 활성화된 영상인식장치를 통해 제스쳐를 인식하여 제스쳐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부; 및
    상기 단말에 수신된 전화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영상인식장치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스쳐 정보와 명령활성화 정보를 대응하고, 상기 제스쳐 정보와 대응되는 명령을, 수신된 상기 전화에 대응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KR1020130137931A 2013-11-13 2013-11-13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55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931A KR20150055498A (ko) 2013-11-13 2013-11-13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931A KR20150055498A (ko) 2013-11-13 2013-11-13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498A true KR20150055498A (ko) 2015-05-21

Family

ID=5339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931A KR20150055498A (ko) 2013-11-13 2013-11-13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4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2733B2 (en) 2015-10-26 2021-02-16 Sk Planet Co., Ltd. Pay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nd pay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4257641A (zh) * 2020-09-23 2022-03-29 阿瓦亚管理有限合伙公司 基于手势的呼叫中心代理状态更改控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2733B2 (en) 2015-10-26 2021-02-16 Sk Planet Co., Ltd. Paym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nd paym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816717B2 (en) 2015-10-26 2023-11-14 Sk Planet Co., Lt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payment information
CN114257641A (zh) * 2020-09-23 2022-03-29 阿瓦亚管理有限合伙公司 基于手势的呼叫中心代理状态更改控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1096B2 (en) Quick screen splitt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display UI, and storage medium
EP3567584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3062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smart devices with hand gestures
KR102152754B1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11281313B2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1701235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touch of terminal with touch screen
EP31097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haracter
AU2019203256B2 (en) Fingerprint event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CN104317402A (zh) 描述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2014071762A (ja) 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81152B1 (ko) 호 전달 방법, 단말기 및 휴대형 전자 기기
EP3419262A1 (en) Initialization method and device for a smart device
CN105335061A (zh) 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KR102256290B1 (ko) 통신 그룹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55498A (ko) 제스쳐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73125A (ko) 기능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1687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keyboard style
RU2673464C1 (ru)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бытовой техникой мобильным телефоном и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2017533479A (ja) ファイル送信方法および装置
US20150043311A1 (en) Execution of commands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2022700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function of distinguishing working state of option men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80831A (ko) 스마트기기 간 양방향 원격 입출력 제어가 가능한 가상키보드
KR1016677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7453111B (zh) 一种触控响应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357280A (zh) 视频通话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