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460A -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460A
KR20150055460A KR1020130137864A KR20130137864A KR20150055460A KR 20150055460 A KR20150055460 A KR 20150055460A KR 1020130137864 A KR1020130137864 A KR 1020130137864A KR 20130137864 A KR20130137864 A KR 20130137864A KR 20150055460 A KR20150055460 A KR 20150055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river
vehicle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408B1 (ko
Inventor
유희안
이경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4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차량 내의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을 촬상한 영상 정보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제1 및 제2 시인 영역을 추출하고, 제1 시인 영역과 제2 시인 영역 간의 위치 차이에 대응하는 숨김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 및 긴급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숨김 영역에 조사하는 영상 조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APPARATUS FOR RESCUING EMERGENCY SITUATION USING HEAD-UP DISPLAY OF VEHICLE}
본 발명은 긴급 상황 구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운전 중 운전자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 주행 정보와 주변상황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해주는 매체로 개발중인 여러 시스템이 있는데, 그 중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장치가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이나 항공기 주행 중 운전자의 정면, 즉 운전자의 주시야 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량의 주행 정보나 네비게이션 정보 등과 같은 차량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 전방의 윈드실드(windshield) 글라스 부분에 차량의 운행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투영시킨다.
한편, 차량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운송 수단이나, 반 사회적인 범죄에 이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차량을 이용하여 타인을 납치한다거나, 승객으로 가장하여 택시에 탑승한 후 운전자를 가해하는 등의 범죄 행위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긴급 상황에서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외부에 긴급 상황 구조 요청을 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 하에서 외부에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긴급 상황 구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의 주 시야선 상에 가상 이미지를 투영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에 있어서,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차량 내의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을 촬상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동승자 각각의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동승자 각각의 제1 및 제2 시인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시인 영역과 상기 제2 시인 영역 간의 위치 차이에 대응하는 숨김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 및 긴급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숨김 영역에 조사하는 영상 조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역 추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눈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눈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시인 영역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영역 추출부는 상기 제1 시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시인 영역과 상기 제2 시인 영역 간의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숨김 영역으로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숨김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시인 영역의 이동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 위치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 위치 조절 정보는 상기 시트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긴급 지원 요청을 전송하는 긴급 지원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긴급 지원 버튼부는 상기 차량 내의 핸들에 배치된 트립 버튼 및 리셋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트립 버튼 및 리셋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상기 긴급 지원 요청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의 마이크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상기 차량 내부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차량 외부의 모젠 센터에 전송하는 AVN(Audio-Video-Navigation)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젠 센터는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긴급 구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AVN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 내부의 긴급 구조 버튼을 통해 차량 외부에 긴급구조 요청을 할 수 있고, 동승자가 시인할 수 없는 운전자의 시야 영역에만 긴급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조사함으로써 납치 또는 가해 상황에서 동승자 모르게 외부의 도움을 받아 긴급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 구조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운전자 및 동승자의 시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 구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 구조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긴급 상황 구조 시스템(1)은 AVN(Audio-Video-Navigation)(10), 마이크(2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30), 모젠 센터(40),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 긴급 지원 버튼부(60) 및 영상 촬상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AVN(10)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긴급 지원 요청 수신 시 마이크(20) 및 GPS(30) 각각으로부터 음성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달 받는다.
AVN(10)은 모젠 센터(40)에 음성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지원 요청을 송신한다. 그리고, AVN(10)은 모젠 센터(40)로부터 긴급 구조 정보를 수신 받고, 긴급 구조 정보를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송신한다.
마이크(20)는 차량 내부의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한다. GPS(3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성(미도시)으로부터 거리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거리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산출한다. GPS(30)는 산출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위치 정보로 생성한다.
모젠 센터(40)는 긴급 지원 요청 수신 시 음성 신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내부의 상황 및 위치를 추적하고, 운전자의 구조에 필요한 긴급 구조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젠 센터(40)는 생성된 긴급 구조 정보를 AVN(10)에 송신한다. 여기서, 모젠 센터(40)는 긴급 지원 요청에 대응하여 경찰에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는 긴급 지원 버튼부(60)로부터 긴급 지원 요청 수신 시 영상 촬상부(70)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 정보를 수신 받는다.
그리고,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고, 긴급 구조 정보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운전자의 시인 영역과 동승자의 시인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상 조사 영역에 조사한다.
여기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운전자의 주 시야선 상에 가상 이미지를 투영하는 장치로서,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조사하는 프로젝터 모듈(미도시),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조사된 가상 이미지를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 방향으로 반사하는 비구면 또는 구면 미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는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여 동승자의 시인 영역을 제외한 운전자의 시인 영역에만 가상 이미지를 조사시킨다.
긴급 지원 버튼부(6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어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에 긴급 지원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긴급 지원 버튼부(60)는 스티어링 휠(미도시)에 배치된 트립(trip) 버튼(미도시) 및 리셋(reset) 버튼(미도시)이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긴급 지원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촬상부(70)는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영상 촬상부(70)는 광학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운전자 및 동승자의 시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영상 검출부(501), 영역 추출부(503), 시트 위치 조절부(505), 영상 조사부(507), 제어부(509) 및 통신부(511)를 포함한다.
영상 검출부(501)는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얼굴 영역의 영상을 검출한다.
영역 추출부(503)는 영상 검출부(501)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얼굴 영역 영상을 수신받고,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눈 위치를 검출한다. 영역 추출부(503)는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눈 위치에 대응하는 시인 영역을 추출한다.
예컨대, 동승자가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상황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쉴드(미도시)에 대응하는 영역(A) 중 운전자의 눈 위치에 대응하는 시인 영역(B) 및 동승자의 눈 위치에 대응하는 시인 영역(C)이 추출된다.
그리고, 영역 추출부(503)는 운전자의 시인 영역(B)과 동승자의 시인 영역(C)이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D, 이하 숨김 영역이라 함)을 운전자만 긴급 구조 정보를 시인할 수 있는 숨김 영역으로 추출한다.
시트 위치 조절부(505)는 시트 위치 조절 정보에 따라 운전자의 시트 위치를 조절한다. 여기서, 시트 위치 조절 정보는 시트의 상/하/좌/우 위치를 포함한다.
영상 조사부(507)는 긴급 구조 정보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가상 이미지를 영역 추출부(503)를 통해 추출된 숨김 영역에 조사한다.
제어부(509)는 긴급 지원 버튼부(60)로부터 긴급 지원 요청 수신 시 AVN(10)에 송신하고, 영상 촬상부(70)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 정보를 전달받는다. 제어부(509)는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 정보를 영상 검출부(501)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509)는 영역 추출부(503)로부터 숨김 영역(D)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고, 숨김 영역(D)의 크기에 따라 운전석의 시트 위치를 제어하는 시트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부(509)는 숨김 영역(D)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운전자의 시인 영역(B)의 이동 위치(B')를 설정하고, 이동 위치(B')에 대응하는 시트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시인 영역이 B'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숨김 영역(D)의 크기가 x 및 y만큼 증가한다.
또한, 제어부(509)는 AVN(10)으로부터 긴급 구조 정보를 수신 받아 영상 조사부(507)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어부(509)는 영역 추출부(503)로부터 추출된 숨김 영역(D)에만 긴급 구조 정보가 표시되도록 영상 조사부(507)의 미러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511)는 AVN(10), 긴급 지원 버튼부(60) 및 영상 촬상부(70) 각각과 통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긴급 상황 구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차량의 뒷자석에 동승자가 탑승하여 운전자에게 가해를 하는 상황인 경우 운전자는 긴급 지원 버튼부(60)를 통해 긴급 지원 요청을 한다(단계 S1).
그러면, 제어부(509)는 AVN(10)에 긴급 지원 요청을 한다. AVN(10)은 마이크(20) 및 GPS(30)로부터 음성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모젠 센터(40)에 긴급 지원 요청과 함께 음성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모젠 센터(40)는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긴급 상황을 판단하여 경찰에 신고하고, 음성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위치를 추적하고(단계 S2), 경찰과 협업하여 긴급 구조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영상 검출부(501)는 영상 촬상부(70)로부터 촬상된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얼굴 영역 영상을 검출한다. 그리고, 영역 추출부(503)는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시인 영역을 추출한다. 영역 추출부(503)는 동승자의 시인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운전자의 시인 영역을 숨김 영역으로 추출한다(단계 S3).
그러면, 제어부(509)는 추출된 숨김 영역의 크기가 운전자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크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숨김 영역의 크기를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위치로 운전자의 시인 영역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509)는 운전자의 시트를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숨김 영역의 크기가 확장된다(단계 S4).
그 다음, 제어부(509)는 AVN(10)으로부터 수신된 긴급 구조 정보를 영상 조사부(507)에 전달하고, 영상 조사부(507)의 미러 각도를 제어하여 숨김 영역에만 긴급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표시시킨다(단계 S5).
즉, 운전자는 납치 또는 가해 상황에서 동승자가 눈치챌 수 없게 긴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 수 있고, 동승자가 시인할 수 없는 숨김 영역에서 긴급 구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긴급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AVN
20: 마이크
30: GPS
40: 모젠 센터
50: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60: 긴급 지원 버튼부
70: 영상 촬상부

Claims (11)

  1. 운전자의 주 시야선 상에 가상 이미지를 투영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에 있어서,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차량 내의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영상을 촬상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동승자 각각의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동승자 각각의 제1 및 제2 시인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시인 영역과 상기 제2 시인 영역 간의 위치 차이에 대응하는 숨김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 및
    긴급 구조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숨김 영역에 조사하는 영상 조사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추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얼굴 영역 영상으로부터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눈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눈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시인 영역을 추출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추출부는
    상기 제1 시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시인 영역과 상기 제2 시인 영역 간의 중첩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상기 숨김 영역으로 추출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숨김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시인 영역의 이동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시트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 위치를 설정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위치 조절 정보는
    상기 시트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긴급 지원 요청을 전송하는 긴급 지원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지원 버튼부는
    상기 차량 내의 핸들에 배치된 트립 버튼 및 리셋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트립 버튼 및 리셋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상기 긴급 지원 요청을 생성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상기 차량의 마이크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상기 차량 내부의 음성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차량 외부의 모젠 센터에 전송하는 AVN(Audio-Video-Navigation)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젠 센터는
    상기 음성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긴급 구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AVN에 전송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촬상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KR1020130137864A 2013-11-13 2013-11-1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KR101526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64A KR101526408B1 (ko) 2013-11-13 2013-11-1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864A KR101526408B1 (ko) 2013-11-13 2013-11-1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460A true KR20150055460A (ko) 2015-05-21
KR101526408B1 KR101526408B1 (ko) 2015-06-05

Family

ID=5339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864A KR101526408B1 (ko) 2013-11-13 2013-11-13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7792A (zh) * 2021-06-08 2022-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6583B1 (en) * 1999-12-15 2006-10-2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Interactive vehicle display system
KR19990025543U (ko) * 1997-12-17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의 긴급 상황 표시장치
KR100851571B1 (ko) * 2007-04-11 2008-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운전자 시야각 판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6466A (ko) * 2008-08-29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에 따른 비디오 디스플레이각도 조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7792A (zh) * 2021-06-08 2022-12-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CN115457792B (zh) * 2021-06-08 2024-01-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非暂时性介质以及信息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408B1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8722B1 (en) Drive assistance device and drive assistance method, and moving body
CN108621923B (zh) 车辆的显示系统及车辆的显示系统的控制方法
KR101867915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US951777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based on a detected gaze
WO2010029707A2 (ja) 画像照射システム及び画像照射方法
JP6451101B2 (ja) 車両用通信装置
CN113841191B (zh) 行人装置和交通安全辅助方法
JP5277974B2 (ja) 運転支援装置
JP2007249364A (ja) 安全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安全運転支援装置
JP2009113621A (ja) 乗員画像撮像装置、運転支援装置
JP201017361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11196230B (zh) 驾驶辅助装置、可穿戴装置、驾驶辅助方法以及程序
KR20160147559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N111273765B (zh) 车辆用显示控制装置、车辆用显示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111196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N112534487B (zh) 信息处理设备、移动体、信息处理方法和程序
JP2010143411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4019390A (ja) 緊急退避装置
JP2009183473A (ja) 視線方向検出装置及び視線方向検出方法
JP2023021123A (ja) 運転支援装置、運転状況情報取得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27148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moving body, and storage medium
CN109955786A (zh) 车载主动安全监控装置
JP2011049773A (ja)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
KR101526408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구조 장치
WO2018235356A1 (ja) 操縦支援装置、操縦支援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