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298A -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 Google Patents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298A
KR20150055298A KR1020130137464A KR20130137464A KR20150055298A KR 20150055298 A KR20150055298 A KR 20150055298A KR 1020130137464 A KR1020130137464 A KR 1020130137464A KR 20130137464 A KR20130137464 A KR 20130137464A KR 20150055298 A KR20150055298 A KR 2015005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inner tube
tube
outer tub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박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범 filed Critical 박희범
Priority to KR102013013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298A/ko
Publication of KR2015005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통 교체형 소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는, 소변기를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수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개구부와 통하며 내통이 결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외통; 상기 외통의 수납공간에 대응되는 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외통에 교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유지비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소변기를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하여 소변이 직접 닿는 내통을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정 기간 사용 후 내통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Replaceable inner tube urinal}
본 발명은 내통 교체형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을 본 후에 별도로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아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변기를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하여 소변이 직접 닿는 내통을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되는 소변기는 소변을 본 후 세척수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도기의 내면을 씻어내면서 잔여 소변을 세척하여 배수되도록 하여 세척과 배출이 동시에 수행된다.
그러나 이렇게 사용되는 세척수는 결국 수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므로 근래에는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가 출시되어 있고, 아울러 내통 교체형 소변기의 배수구에 장착되어 소변의 배출은 유도하되 역류되는 악취는 차단하기 위한 배수체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서 국내 공개특허 10-2010-0112452호에는 「물을 사용하지않는 소변기」(선행기술 1)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단턱이 형성되고 하방에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의 일측에는 걸림편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걸림편에 걸림 고정되고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 단턱부와 하방에 제1경사부가 마련되며 타측에 마련된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제1배출수단; 내측에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공간의 바닥면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복수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받침 지지되는 포집부가 구성된 포집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 단턱에 안착되고 상단에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의 중앙에 유도공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삽입홈이 구성된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트랩에 관련된다.
이외에도 국내 등록특허 제1166553호에는 「무수 소변기」(선행기술 2)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소변기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제1설치안내부재와; 상기 제1설치안내부재에 체결고정되어 소변배수안내부재가 장착되도록 하는 제2설치안내부재와; 상기 제2설치안내부재에 장착되어 소변의 배수를 안내하는 소변배수안내부재와; 상기 소변배수안내부재에 구비된 걸림턱에 안착되어 소변의 배수를 안내하면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배출안내부재와; 상기 배출안내부재에 구비된 배출안내면으로 소변유도봉이 결합되어 소변의 유도 배수를 안내하는 소변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주로 배수구에 설치되는 트랩에 관한 것으로, 소변기의 내면에 침착되는 소변 찌꺼기 및 이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에 대한 해결 방안은 아직 제시된 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을 사용하지 않아 수자원을 절약하고,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며, 직접 소변이 접촉되는 내통을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오염시 손쉽게 내통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배수체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도록 한 내통 교체형 소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기를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수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개구부와 통하며 내통이 결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외통; 상기 외통의 수납공간에 대응되는 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외통에 교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내통;을 포함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하부에 배수관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통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은 하단에는 배수통공과 통하도록 하부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뒷면 하부가 이어지는 부위에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은 내주면에 발수코팅면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외통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의 외면 및 외통의 내면 가운데 일 이상의 면에 흡음재가 접착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의 결합부에는 엘보우 관이 결합되고, 상기 엘보우 관의 토출측이 프레임의 통공을 관통하여 메인 하수관에 삽입된 것으로, 상기 엘보우 관의 토출측의 선단 외주면과 메인 하수관 사이의 공간을 메꾸도록 기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통공의 일측에 돌출되어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의 외주면에 유니온 너트가 체결되어 조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공에 결합되며,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체는 배수구가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배수구와 접촉되며, 굴곡 변형에 의해 승강되면서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차단막; 상기 차단막의 상단부가 내면에 고정되고, 측벽에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유지비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사용 후 소변 잔여물이 표면에 침착된 내통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체의 차단막에 의해 배수시에는 개방되고, 배수가 종료되면 폐쇄되도록 하여 배수구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어 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에서 내통과 외통의 결합 부위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의 배수관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수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수체의 작동예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에서 내통과 외통의 결합 부위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의 배수관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결합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수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수체의 작동예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 교체형 소변기는, 소변기를 고정하는 프레임(5); 상기 프레임(5)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수통공(6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개구부와 통하며 내통(7)이 결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외통(6); 상기 외통(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외통(6)에 교체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내통(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5)은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판상 또는 외통의 배면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된 판상으로 이루어져 벽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메인 하수관(5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5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50)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통(6)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돌출부(55)가 형성된다.
프레임(5)은 벽면에 결합되는데 통상 알려진 세트앙카 또는 칼블럭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결합된다.
프레임(5)의 돌출부(55)가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돌출부(55)는 프레임(5)의 하부를 절곡시켜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세모꼴 부재를 용접시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5)은 벽에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바닥에서 벽에 이르는 지지구조물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지지구조물로 된 프레임에 소변기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원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외통(6)은 상기 프레임(5)에 밀착되도록 뒤면을 평판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하단에는 배수통공(60)과 통하도록 하부에 결합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2)와 뒷면 하부가 이어지는 부위에는 상기 돌출부(55)에 안착되도록 단턱(64)이 형성된다.
결합부(62)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후술될 배수체(B)가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에는 후술될 엘보우 관(L)이 결합되어 소변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내통(7)은 외통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주기마다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내통(7)에는 직접 소변이 투입되므로 상부에는 개구공이 형성되어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외통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통(7)의 하부에는 외통(6)의 배수통공(60)과 일치되는 배수공(70)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외통(6)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림턱(72)이 형성된다.
또한 내통(7)의 내주면에는 소변이 즉시 흘러내릴수 있도록 안쪽면에 발수코팅면(T)이 형성된다. 즉 소변이 스며들지 않도록 내통(7)의 안쪽면에 소수성을 띄도록 발수코팅면(T)이 형성된다.
발수(撥水:water repellent)코팅은 코팅된 표면(T)이 물방울과 이루는 접촉각을 가능한 한 크게 하고 마찰계수를 낮추어 줄 뿐 아니라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물방울이 코팅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도록 하며, 부착되더라도 풍압 등의 외력에 의해 쉽게 제거되도록 하는 특성이 있다.
내통(7)은 교환 작업시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경량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다.
내통(7)의 상단에는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6)의 상단에 걸쳐져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72)이 길거나 혹은 짧게 형성된다. 이 걸림턱(72)은 내통(7)을 취급할때 손잡이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7)의 외면 및 외통(6)의 내면 가운데 일 이상의 면에는 흡음재(C)가 접착형성된다.
즉, 내통(7)의 뒷면에 흡음재(C)가 형성되어 상기 외통(6)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소변 충격에 의한 소음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흡음재(C)는 얇은 판상의 스폰지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내통(7)의 뒷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경우 내통을 교체할때 동반되어 함께 교체된다.
또는 외통(6)의 내면에 흡음재(C)가 접착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외통(6)의 내면에 부착된 흡음재(C)가 내통(7)에 밀착됨으로써 흡음성능을 갖게 된다.
여기서 흡음이라 함은 소변이 내통(7)을 때릴때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흡음재(C)는 외통(6) 및/또는 내통(7)의 전체에 접착될 수도 있고 일면에만 접착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소변이 많이 닿게되는 벽면쪽에 흡음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6)의 외부에 커버(U)가 부착될 수도 있다. 커버(U)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하부의 엘보우 관(L)이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통(6)의 결합부(62)에는 엘보우 관(L)이 결합되고, 상기 엘보우 관(L)의 토출측이 프레임(5)의 통공(50)을 관통하여 메인 하수관(500)에 삽입되어 배관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엘보우 관(L)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이 외통(6)의 결합부(62)에 결합되고 하단, 즉 토출측이 메인 하수관(500)에 결합된다.
메인 하수관(500)은 본 발명의 소변기가 벽면에 장착되는 점을 고려하여 벽면의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된다.
엘보우 관(L)과 벽면에 매립된 메인 하수관(500)을 결합한 후에는 기밀성을 갖도록 체결함으로써 누수와 악취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다.
기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보우 관(L)의 토출측의 선단 외주면과 메인 하수관(500) 사이의 공간을 메꾸도록 기밀재(600)가 결합된다. 기밀재(600)는 원형 링 형상으로 된 고무패킹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은 통공(50)의 외주연을 따라 일측에 돌출되어 원통형상의 결합보스(5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57)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유니온 너트(7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엘보우 관(L)의 일단을 메인 하수관(500)에 삽입하고, 그 외주에 밀폐링(800)을 결합한 후 유니온 너트(700)를 조여 체결시킨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7)의 배수공(70)에 결합되며,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500)으로 배출하고 하수관(500)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배수체(B)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배수체(B)는, 배수구가 형성된 플랜지(1); 상기 플랜지(1)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배수구와 접촉되며, 굴곡 변형에 의해 승강되면서 배수구를 개폐시키는 차단막(2); 상기 차단막(2)의 상단부가 내면에 고정되고, 측벽에 다수의 유입구(30)가 형성된 덮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통(7)의 배수공(70) 및 외통(6)의 결합부(62)에는 중앙에 배출구(110)가 형성되고, 배출구(110)의 외측에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공간을 갖는 물 저장부(122)가 형성된 버켓(120)이 결합되고, 버켓(120)의 상부에 상기 배수체의 플랜지(1)가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1)는 중앙에 배수구(11)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부(16)를 갖도록 하여 배수가 용이해지도록 하고, 가장자리에는 버켓(120)의 개구부에 걸쳐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2)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덮개(3)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장착되는데, 플랜지(1)의 배수구(11)의 상단과 선 접촉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갖도록 콘(corn)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에 환형리브(28)가 형성되며, 상기 환형리브(28)가 덮개(3)의 내측 저면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된다.
차단막(2)의 중심부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기공(25)이 형성된다.
즉, 덮개(3)와 차단막(2)이 일체로 부착되고, 차단막(2)이 덮개(3)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덮개(3)와 차단막(2)의 결합에 의해 에어챔버(36)가 형성되며, 후술될 차단막(2)의 승강작동에 의해 에어챔버(36)가 수축됨에 따라 내부에 차있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통기공(25)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2)의 경사진 부위에는 탄성가요부(22)가 형성되어 차단막(2)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하였다.
탄성가요부(22)는 차단막(2)의 경사진 부위의 상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며 굴곡 변형에 의해 상하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굴곡 변형에 의해 차단막(2)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특히 탄성가요부(22)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단막(2)의 타 부위보다 탄성가요부(22)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연신률이 높은 연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단막(2)과 탄성가요부(22)의 연결지점이 상승 또는 하강시 꺽임작동될 수 있어 차단막(2)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덮개(3)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벽에는 다수의 유입구(30)가 형성되어 소변이나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고, 내부에는 차단막(2)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면에 상술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5)을 장착하고, 프레임(5)의 전면에 외통(6)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후 외통(6)의 결합부(62)에 엘보우 관(L)을 결합한 후 벽면에 매립된 메인 하수관(500)과 연결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밀재(600)를 개재하여 기밀되게 결합한다.
이후 외통(6)의 내부에 내통(7)을 끼워넣고, 그 상부의 걸림턱(72)이 외통(6)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내통(7)의 배수공(70)에 버켓(120)을 장착하고, 버켓(120)에 배수체(B)를 장착한다.
즉, 버켓(120)의 상단에 플랜지(1)를 결합한다.
이후 차단막(2)이 장착된 덮개(3)를 결합시키면 차단막(2)의 하향 돌출부위가 플랜지(1)의 배수구(11)에 삽입되어 차단막(2)의 하측 경사진 부위가 배수구(11)의 상단과 선 접촉된다.
덮개(3)는 플랜지(1)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합되도록 하여 부력에 의해 덮개(3)가 들뜨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이후 소변이나 물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면, 덮개(3)의 유입구(30)를 통해 유입된 후 차단막(2)의 경사부위와 배수구(11)의 상단이 닿아 막혀 있는 부위에 고이게 된다.
일정량의 수량이 고이게 되면, 유압이 생성되므로 부력에 의해 차단막(2)이 상승되는 압력을 받게 되고, 탄성가요부(22)가 변형되면서 차단막(2)이 상승된다. 이때 차단막(2)의 상승은 미세한 간격 정도만 상승되며 이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도 물은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막(2)이 상승되면 에어챔버(36)에 고여있던 공기는 통기공(25)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된 에어는 플랜지(1)의 배수구(11)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밀어내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더욱 배수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배수가 종료된 후에는 차단막(2)은 탄성가요부(22)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되어 배수구(11)를 막게 되므로써 하수관(100)의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트랩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차단막(2)에 소변찌꺼기나 물때로 인해 결정상태의 오염물이 생성되어 청소작업으로는 제거가 곤란한 경우 덮개(3)와 그에 일체된 차단막(2)을 함께 제거한 후 새것으로 교체하여 플랜지(1)에 결합하면 되므로 간편하면서도 저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5 ; 프레임 6 : 외통
7 : 내통 55 ; 돌출부
60 ; 배수통공 62 : 결합부
64 ; 단턱 70 : 배수공
72 ; 걸림턱

Claims (6)

  1. 소변기를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하부에는 배수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개구부와 통하며 내통이 결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외통;
    상기 외통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외통에 교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내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하부에 배수관이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통의 하단이 걸쳐지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하단에는 배수통공과 통하도록 하부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뒷면 하부가 이어지는 부위에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내주면에 발수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외면 및 외통의 내면 가운데 일 이상의 면에 흡음재가 접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결합부에는 엘보우 관이 결합되고, 상기 엘보우 관의 토출측이 프레임의 통공을 관통하여 메인 하수관에 삽입된 것으로,
    상기 엘보우 관의 토출측의 선단 외주면과 메인 하수관 사이의 공간을 메꾸도록 기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통 교체형 소변기.

KR1020130137464A 2013-11-13 2013-11-13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KR20150055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64A KR20150055298A (ko) 2013-11-13 2013-11-13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464A KR20150055298A (ko) 2013-11-13 2013-11-13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298A true KR20150055298A (ko) 2015-05-21

Family

ID=53390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464A KR20150055298A (ko) 2013-11-13 2013-11-13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2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493A1 (ko) * 2015-11-06 2017-05-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US11109845B2 (en) 2015-11-06 2021-09-07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Urine test container for urine separation and infection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493A1 (ko) * 2015-11-06 2017-05-11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변의 분리 및 감염 관리를 위한 진보된 소변 검사용 용기
US11109845B2 (en) 2015-11-06 2021-09-07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Urine test container for urine separation and infection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605B1 (ko) 배수체
KR20060115578A (ko) 세탁기용 방수판
KR20150055298A (ko) 내통 분리가 가능한 소변기
JP5651830B2 (ja) 槽体と排水器との接続構造
KR20090036555A (ko) 배수트랩용 장착부재
KR200475135Y1 (ko) 역류방지장치
JP2004036114A (ja) 床排水トラップ
KR101562184B1 (ko) 내통 교체형 소변기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CN211973730U (zh) 排液装置
KR101424746B1 (ko) 악취방지 무수소변기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CN215977605U (zh) 一种自闭式无水封防臭地漏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JP2007023688A (ja) 排水トラップ
JP6300175B2 (ja) 衛生設備機器の掃除口蓋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設備機器
CN208455776U (zh) 一种家用的卫浴坐便器安装结构
CN212026524U (zh) 一种侧排地漏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CN215367678U (zh) 一种排污装置和卫浴底盘
CN217896687U (zh) 一种可拆卸易清理地漏
JP2012211436A (ja) 排水桝
CN215211373U (zh) 一种管道清洗装置
JP6325308B2 (ja) 手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